KR910004033B1 -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 Google Patents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33B1
KR910004033B1 KR1019880010639A KR880010639A KR910004033B1 KR 910004033 B1 KR910004033 B1 KR 910004033B1 KR 1019880010639 A KR1019880010639 A KR 1019880010639A KR 880010639 A KR880010639 A KR 880010639A KR 910004033 B1 KR910004033 B1 KR 91000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ircular head
hinge means
body portion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67A (ko
Inventor
로우런드 와렌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모터즈 코오포레이션
에이 디 헤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모터즈 코오포레이션, 에이 디 헤인스 filed Critical 제너럴 모터즈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05F2011/387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using arrangements in the window glass, e.g.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제 1 도는 창문이 닫힘위치에 있는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안내부재(GUIDE)를 구체화한 자동차의 일부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라인 2-2를 따르는 차량도어 조립체의 횡단면도(단, 창문은 열림위치에 있음).
제 3 도는 제 2 도의 라인 3-3을 따르고 본 발명에 부합되는 안내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나타난 안내부재를 절단하여 라인 4-4의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에 나타난 안내부재의 일부 확대정면도(성형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나타냄).
제 6 도는 제 5 도의 라인 6-6의 화살표방향에서본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의 일부측면도.
제 7 도는 안내홈에 부착하기 전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조립체 (door assembly) 40 : 창문 (window)
52,54 : 체널형 안내홈 (channel-shaped track) 80 : 안내부재 (guide)
80a,80b : 플라스틱부재 82 : 저면부 (base portion)
84 : 몸체부 (shank portion) 86 : 원형 머리부 (head portion)
88 : 연결부 (neck portion) 90,92 : 힌지수단 (hinge means)
94 : 활형 탄성부재 (bowed leaf portion)
96 : 상호 작용수단 (co-operable means) 112 : 배면 (back)
132,134 : 원형 플랜지 (circula flange) 140 : 구멍 (aperture)
142 : 돌출부 (protrus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문과 같은 이동부재를 채널 (CHANNEL)형의 고정된 안내홈에 부착하는 안내부재에 관한 것으로 스냅(SNAP)끼워 맞춤방식으로 함께 연결되고, 상기 연결작업시 원형 머리부가 자동으로 휘어 안내홈내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두 개의 성형 플라스틱부재로 구성된 두 개의 원형 머리부를 갖는 안내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양한 안내장치가 자동차의 창문을 닫힘과 열림위치 사이에서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안내장치중의 한부류는, 창문에 고정되고, 차량의 문 또는 다른 차체의 구조에 의해서 지지되는 고정식 채널형 안내홈내에서 회전 또는 활주하도록 창문으로부터 먼 단부에 위치된 원형 머리부 또는 롤러수단을 포함하는 안내부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장치의 일례가 미국특허번호 제 4,483,100호, 제 4,503,639호 및 제 4,593,494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안내장치는 안내부재 및 이와 결합하는 안내홈이 비교적 엄밀한 공차로 제작되어야만 하고, 안내부재와 안내홈 사이에서 덜거덕거림(rattling)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나이론 디스크부재(nylon disk parts)로 제조된 채널형 안내홈내에 수용되는 안내롤러를 사용하는 안내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상기 두 개의 디스크부재는 스프링와셔에 의해서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홈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공차변화를 흡수하며, 트랙과 롤러사이의 덜거덕거림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장치의 일례가 미국특허번호 제 2,912,288호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스냅 끼워맞춤식으로 함께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면서 채널형 안내홈과 활주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원형 머리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로 이루어진 신규의 안내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는 창문, 안내부재 및 안내홈의 제작공차변화에 대하여 민감하지 않고 안내부재와 안내홈 사이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덜거덕소리도 근본적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동차의 창문과 같은 부재를 고정식 안내홈에 따라 안내하도록 된 신규의 안내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동일하게 성형되어 함께 스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와 함께 같이 연결되는 경우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면서 채널형 안내홈과 활주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원형 머리부를 갖는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를 포함하므로서, 비교적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창문, 안내부재 및 안내홈의 제작 공차변화에 민감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홈과 안내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안내부재와 안내홈 사이에서 어떠한 덜거덕거리는 소리도 근본적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각각, 창문과 적절하게 연결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와 일체로 되고 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몸체부, 채널형 안내홈내에 적절하게 수용되고, 성형(Moulding)상태로 몸체부와 일렬배열되는 원형 머리부(head portion), 힌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와 원형 머리부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 양측단이 몸체부와 원형 머리부에 일체로 되고 상기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활형 탄성부재 및 저면부와 몸체부 및 원형 머리부가 서로 뒤와 뒤가 맞대어 일렬배열된 후에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몸체부를 서로 스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하는 상호 작용수단(co-operable means)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부재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활형 탄성부재가 서로 맞물리고, 연결부에서 힌지수단이 휘어져서 원형 머리부를 최초의 성형위치(일렬배열되어 있음)로부터, 위치이동시켜 원형 머리부의 자유단부면이 서로 먼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원형 머리부가 안내부재의 종축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갖춘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재의 각 플라스틱부재는 창문과 적절하게 접촉연결되는 일반적인 평면형 저면부, 상기 저면부와 일체로 되고 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평면형 배면을 갖는 몸체부, 채널형 안내홈내에 적절하게 수용되는 원형 머리부, 한쪽 단부는 제 1의 힌지수단에 의해서 몸체부에, 다른 단부는 제 2의 힌지수단에 의해서 원형 머리부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 양측단부가 몸체부 및 원형 머리부와 일체로되고 정면도로 볼 때 상기 연결부를 탄력지지하는 활형 탄성부재 및 저면부, 몸체부, 원형 머리부가 서로 뒤와 뒤가 서로 맞대어 일렬배열된 후에 플라스틱부재의 몸체부를 함께 스냅 끼워맞춤 연결하도록 플라스틱부재의 몸체부에 형성된 상호 작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부재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상기 활형 탄성부재가 서로 맞물리고,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이 자체탄성력에 반하여 휘어지며, 연결부 및 원형머리를 서로 멀리 이동시켜 자유단부가 서로 먼방향으로 향하게 원형 머리부를 위치시키고,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이, 상기 원형머리가 안내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자체 탄력성에 반하여 추가로 휘어지고, 상기 탄성력이 원형 머리부를 상기 안내홈과 맞물리도록 하여, 원형 머리부가 안내홈에 연결되는 경우, 원형 머리부와 안내홈 사이의 덜거덕거리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한 점은 저면부 및 몸체부가 일체형 보강판을 포함하여 견고한 저면부 및 몸체부를 제공하고, 원형 머리부 및 연결부가 서로 맞물려서 상기 힌지수단이 휘어지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견고한 보강판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수단이 원형 머리부에 효과적으로 선-신장력(pre-tension)을 부여하여, 상기 원형 머리부가 안내홈에 연결되는 경우, 항상 채널형 안내홈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자동차(10)는 도어형성부(14)을 갖춘 차체(12)와, 전방단부에서 적절한 힌지(Hinge)(도시되어 있지않음)에 의하여 상기 차체(12)에 적절하게 회전가능토록 고정되어 제 1 도에 도시된 열림위치와, 도어형성부(14)을 밀폐하는 닫힘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도어 조립체(16)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조립체(16)는 어떠한 적절한 구조 또는 통상의 구조로도 가능하며 내부도어판(20), 외부도어판(22), 후방단부벽(24), 전방단부벽(26) 및 저부벽(28)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판의 상부면 또는 자동차(10)의 벨트라인(34)을 따라 신장된 개구부(32)를 갖춘 공간부(well)(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조립체(16)는 프레임이 형성되지 않은 창문(40)을 포함하는데, 상기 창문(40)은 상기 창문(40)의 대부분이 자동차 벨트라인(34)위에 위치되는 닫힘위치(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와 창문(40)이 도어 조립체(16)의 공간부(30)내에 수용되는, 열림위치(제 2 도에 도시된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유지한다.
상기 창문(40)은 가장자리에 프레임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이고, 따라서 창문의 측면 및 상단부 모서리가 U자 반대형상의 프레임내에 활주하는 방식은 아니며, 또한 제 1 도에 도시된 닫힘위치에 있는 경우, 창문(40)은 도어형성부(14)의 상부둘레에 형성되고 차체구조(12)에 의해서 지지되는 적절한 밀봉부재(43) 및 차체구조(12)의 내부 또는 외부 도어판(20) 및 (22)에 의해서 지지되는, 적절한 밀봉부재(44) 및 (45)과 각각 맞물려서 각각 창문(40)과 차체구조(12) 사이에서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창문(40)은 전,후방 안내홈(52) 및 (54)을 포함하는 적절한 안내장치에 의해서 열림과 닫힘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전,후방 안내홈(52) 및 (54)은 브래키트(Bracket) 등에 의해서 도어 조립체(16)의 내부도어판(20)에 정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52) 및 (54)은 창문(40)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안내홈(52) 및 (54)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안내홈("52")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도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안내홈(52)은 일반적으로 C-형상을 갖추고 내부도어판(20)에 인접한 저부벽(60), 한쌍의 단부벽(62) 및 (64)과, 상기 단부벽(62) 및 (64)와 각각 일체로된 한쌍의 전방벽(66) 및 (68)을 포함한다.
전방벽(66) 및 (68)은 서로 일정간격을 갖는 위치에서 종료되어, 안내홈(52)의 전체길이부로 연장되고, 창문(40)의 평면과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는 신장된 개구부(elongated opening)(7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신규의 안내부재(80)가 창문(40)을 안내홈(52) 및 (54)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안내부재(80)는 전, 후방 측면에서 저단부에 인접하여 창문(40)에 적절하게 고정되고, 각각의 안내홈(52) 및 (54)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안내부재(80)는 합성수지등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고 함께 스냅 끼워맞춤되어 종축(81)에 대해 대칭인 안내부재(80)를 제공하는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동일한 구조이므로, 동일 부품에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었으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플라스틱부재("80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부재(80a)는 창문(40)에 적절하게 접촉맞물림되는 저면(82), 상기 저면부(82)와 일체로 되고 이에 수직하게 확장하는 몸체부(84), 채널형 안내홈(52)내에 적절하게 수용되는 원형 머리부(86), 한쪽 단부에서 제 1의 힌지수단(90)에 의해서 몸체부(84)에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제 2의 힌지수단(92)에 의해서 원형머리(86)에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88), 양측 단부가 몸체부(84)와 원형 머리부(86)에 일체로 되고 연결부(88)를 탄력지지하는 활형 탄성부재(94) 및 상기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의 몸체부(84)에서 저면부(82) 몸체부(84) 및 원형 머리부(86)가 서로 뒤와 뒤가 맞대어 일렬배열된 후에 플라스틱부재(80a)(80b)의 몸체부(84)를 함께 스냅 끼워맞춤하는 상호 작용수단(96)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 및 (92)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상(성형된 상태) 자유 상태위치(normal, as-moulded, free-state position)을 향해 자체적으로 탄력지지되어 연굴부 및 원형 머리부(88) 및 (86)가 몸체부(84)와 종축으로 일렬배열된다.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의 상호 작용수단(96)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활형 탄성부재(94)는 서로 맞물리고, 그리고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 및 (92)이 연결부 및 원형 머리부(88) 및 (96)를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떨어져 위치시키며, 원형 머리부(86)가 서로로부터 떨어져 맞서는 자유단부(98)를 갖고 그리고 중심축(100)(중심축은 종축과 예각을 이룸)이 안내부재(80)의 종축(81)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92)을 탄성력에 반하여 휘어지게 이동시켜준다.
특히, 중요한 것은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 및 (92)은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함께 연결된 후에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자체 탄성력에 반하여 추가로 휘어져서 원형 머리부(86)가 서로 반대의 위치로 안내홈(52)내에 수용되며, 자체 탄성력이,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형 머리부(86)가 안내홈(52)과 맞물리도록 상기 원형머리(86)를 지지한다는 점이다. 플라스틱부재(80a)의 저면부(82)는 형상에 있어서 반원형인 일반적인 평면부재이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저면부(82)는 후방으로 확장하여 창문과 적절하게 맞물리는 반원형 림(RIM)(101)을 포함한다. 또한, 저면부(82)는, 횡단면상으로 볼 때, 반원형을 이루고,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창문(40)내의 구멍(104)을 통해 적절하게 확장하는 후방 확장핀(102)을 포함한다.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이것들은 안내홈(52)과 맞서는 측면상에서 창문과 접촉 맞물림되는 원형 저면부 및 림을 형성하고, 후방 확장핀(102)은 뒤와 뒤가 서로 맞대어 일렬배열되고 창문내의 구멍(104)을 통하여 확장하는 실린더형 판을 함께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재(80)는, 핀(102)위로 강제 끼워 맞춤되고 저면부(82)와 맞서는 측면에서 창문(40)과 맞물려 안내부재(80)를 창문(40)에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강제 스프링크립(110)(spring clip)과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서, 창문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몸체부(84)는 저면부(82)와 일체로 되고 그것에 수직하게 확장한다. 또한, 몸체부(84)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왼쪽 단부는 반원형 저면부(82)의 직경과 같은 폭을 갖고 전방단부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 평배면(112)을 갖는다. 상기 평배면(112)은 활형 직경(chordal diameter)을 따라 저면부(82)와 일체로 된다. 또한, 몸체부(84)는 배면(112)에 대하여 수직하게 확장하는 보강판(116)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판(116)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면부(82)와 일체로 되는 왼쪽단부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배면(112)과 일체로되는 하부측면을 갖는다. 몸체부 (84)의 구조는 견고한 지지부재와 같은 것이다.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의 몸체부(84)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 오른쪽 단부(117)에서 각 배면(112)의 평면으로부터 떨어져 확장하고 서로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그 사이의 공간(12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이유에 대하여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플라스틱부재(80a)의 연결부(88)는 견고한 구조인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연결편(neck section)(88a) 및 (88b)을 포함한다. 일정간격을 갖고 배열된 상기 연결편(88a)와 (88b)은 그 사이에 개방된 홈(124)을 형성한다. 연결핀(88a) 및 (88b)의 각각은 제 1 힌지수단(90)에 의해서 몸체부(84)에 형성된 배면(112)의 전방단부(117)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힌지수단(90)은 가요성 또는 피보트(pivot)성을 갖는다.
제 5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배면(112)의 전방단부(117)는 단부면(117a)을 포함하고 그리고 연결편(88a) 및 (88b)의 후방단부는 베벨(bevel)가공된 단부면(125)을 포함하여 대략 35°인 예각 "A"를 한정한다. 또한, 연결편(88a) 및 (88b)은 제 2 힌지수단(92)에 의해서 원형 머리부(86)의 후방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힌지수단(92)은 가요성 또는 피보트(pivot)성을 갖고 연결부(88)의 연결편(88a) 및 (88b)은 단부면(126)을 향하고 원형 머리부는 베벨가공되어 대략 60-65°, 바람직하게는 62°의 예각 "B"를 형성하는 후방단부(127)을 포함한다.
원형머리(86)는 후방단부(127)가 제 2의 힌지수단(92)과 일체로 되는 일정간격의 한쌍의 후방편(128) 및 바퀴의 형태인 전방단부편(130)을 포함한다. 즉, 전방단부편(130)은 보다 작은 직경의 중간허브부(hub portion)(135)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일정간격의 한쌍의 원형플랜지(132) 및 (134)를 포함한다. 후방편(128)은 원형플랜지(132)와 일체로 된다.
또한, 원형 머리부(86)는 홈(124)과 인접한 후방면(128)과 일체로 되고 원형플랜지(132)와 일체로 되는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보강판(136)을 포함한다.
원형 머리부(86)의 형태 및 구성은 견고한 합성플라스틱부재와 같은 것이다. 보강판(136)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편의 평면에 수직하게 확장하고, 연결부(88)상에서 보강판(137)과 일렬배열된다.
또한, 보강판(137)은 연결부(88) 상에서 이에 수직하게 확장하고, 원형 머리부(86)상에서 보강판(136)의 베벨가공된 후방단부에 적절하게 맞물리는, 베벨가공된 전방단부를 포함하는데, 이하,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활형 탄성부재(94)는 연결부(88)의 연결편(88a) 및 (88b)과 원형머리부(86)의 후방편(128) 사이에 위치되며, 한쪽 단부는 몸체부(84)의 전방단부와 일체로 되고 다른 단부는 후방편(128)과 원형플랜지(132)의 접합부에서 원형 머리부(86)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활형 탄성부재(94)의 길이는 제 1 힌지수단(90)과 원형 머리부(86)의 플랜지(132) 사이의 길이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활형 탄성부재(94)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88)위로 탄력지지되고, 최전방단부에서, 원형 머리부(86)상의 보강판(136)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활형 탄성부재부(94)는 어느정도의 가요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견고하다.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86a) 및 (86b)를 함께 스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호 작용수단(96)은 보강판(116)의 맞서는 측면상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플라스틱부재(80a)(80b)의 몸체부(84)의 평배면(112)을 통해 확장하는 한쌍의 직사각형구멍(140) 및 보강판(116)의 맞서는 측면상에 대향된 위치에서 배면(112)의 평면에 수직하게 확장하며 일체로 형성된 돌기는 갖는 한쌍의 돌출부(1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4 도에 상세히 나타난 바와같이, 각 플라스틱부재(80a)(80b)의 몸체부(84)의 후방왼쪽 단부에 인접하여 하나의 구멍(140) 및 돌출부(142)가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오른쪽 단부에도 하나의 구멍(140) 및 돌출부(142)가 형성된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플라스틱부재(80a)(80b)가 성형된 상태에 있는 경우,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 및 (92)은 몸체부(84), 연결부(88)와 원형 머리부(86)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방향으로 일렬배열되도록 정상자유상태위치(normal free-state position)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상기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이것들은 서로 뒤와 뒤가 맞대어 일렬배열되어 저면부(82), 몸체부(84)와 원형머리(86)가 종축으로 일렬배열되도록 한다.
상기 플라스틱(80a)와 (80b)는 플라스틱(80a)상의 돌출부(142)가 플라스틱부재(80b)의 각각의 구멍(140)과 일렬배열되고 플라스틱부재(80b)상의 돌출부(142)가 플라스틱부재(80a)상의 각 구멍(140)와 일렬배열된 다음, 서로를 향해 배면부(112)를 억지끼워 맞춤시킴으로서 함께 연결된다. 몸체부(84)가 함께 가압되는 경우, 한쪽 플라스틱부재의 돌기를 갖는, 돌출부(142)가 다른 플라스틱부재의 각 구멍(140)내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140)를 형성하는 평배면(112)의 측벽에 의해서 정상자유상태위치로부터 돌출부(142)의 돌기가 상기구멍(140)를 밀폐할 때까지 휨 변형된다.
상기와 같은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돌출부(142)는 정상자유상태위치를 향해 복귀되고 다른 플라스틱부재(80a) 또는 (80b)에 형성된 평배면(112)의 외부표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두개의 플라스틱부재(80a) 및(80b)는 함께 스냅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수단(96)에 의해서 함께 고정 유지된다.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80a)와 (80b)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각 플라스틱부재(80a),(80b)상에서 활형 탄성부재(94)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활형 탄성부재(94)가 어느정도 가요성을 갖지만, 근본적으로 견고하므로, 이것들은 보다 더 가요성을 갖는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 및 (92)이 연결부(88) 및 원형 머리부(86)를 서로로부터 떨어져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로 휘어지고 이동되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위치에 놓이는 경우, 머리부(86)의 자유단부(98)은 서로로부터 떨어져 맞서 위치되며 안내부재(80)의 종축(81)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100)을 갖추게 된다.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함께 연결되어 원형 머리부(86)가, 제 7 도에 나타난 위치로 휘게되는 경우, 원형 머리부(86)는 추가로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 및 (92)에 인접하여 베벨가공된 단부면(117a)과 (125) 및 (126)과 (127)이 각각 서로 다소의 간격을 갖게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원형 머리부(86)가 각각의 안내홈(52),(54)내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머리부(86)를 서로로부터 멀리 추가로 휨 이동시켜 상기 머리부(86)가 안내홈 내부로 삽입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추가 휨이동은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 및 (92)의 자체 탄성력에 반하여 허용되고 그리고, 원형 머리부(86)가 각각의 안내홈(52),(54)에 삽입되는 경우, 자체 탄성력에 기인한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 및 (92)이 각각의 안내홈(52),(54)과 맞물린상태로 원형 머리부(86)를 탄력지지하여 확실히 결합시켜 둔다. 또한, 중요한 사실은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 및 (92)은 머리부(86)가 중심축(100)에 대하여 90°보다 약간 크게 휘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범위를 지나쳐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 연결부(88) 및 머리부(86)상에서 보강판(136) 및 (138)의 베벨가공된 측면과 함께 각각, 몸체부, 연결부 및 원형 머리부(84),(88) 및 (86)상의 베벨가공된 단부면(117)(125) 및 (126)(127)은 각각, 서로 맞물려 상기 머리부(86)가 몸체부(84)에 대하여 휘어짐으로서 발생되는 한지수단(90) 및(92)의 과도한 휨현상 및/또는 파손(breakage)을 방지하는 범위내로 제한하게된다.
따라서, 힌지수단(90) 및 (92)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상자유상태위치로부터 휘어지는 경우, 안내홈(52)(54)의 저부벽(60)에 대하여 탄력지지되어 안내부재(80)와 각각의 안내홈(52)(54) 사이의 덜거덕거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머리부가 안내홈(52)(54)내에 수용될 때, 상기 머리부(86)에 대한 선-신장수단(pre-tension means)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활형 탄성부재(94)의 구성은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의 힌지수단(90)(92)에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응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플라스틱부재(80a) 및 (80b)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원형 머리부(84) 사이의 축가요성(axial flexing)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된다. 또한 일정간격을 갖는 플랜지(132)과 (134)를 구비하는 것은 원형 머리부(86)와 각 안내홈(52)(54)의 저부벽(6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만일, 롤러가 플랜지를 갖춘 바퀴형으로된 머리부(86) 대신에 요구되는 경우, 상기 머리부(86)의 바퀴는, 안내홈(52)과의 활주접촉이 아니라 안내홈 사이의 회전접촉이 요구될 때에, 적절한 롤러(150)가 장치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신규의 안내부재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가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내홈 안내부재 또는 창문에 있어서 제조공차변화에 민감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안내부재와 안내홈 사이의 덜거덕거리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또한, 함께 스냅 끼워맞춤 방식으로 지지되는 동일한 형상의 한쌍의 플라스틱부재를 제공하고, 원형 머리부를 적절한 위치에 미리 위치시키는 활형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사상은 조립작업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0)

  1. 저면부(82)가 창문(40)에 적절하게 고정되어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원형 머리부(86)가 안내홈(52)(54)내에 수용되며, 채널형 안내홈(52)(54)을 따라 서로 맞서는 방향으로 자동차(10)의 창문(40)과 같은 부재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80)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80)가 합성프라스틱으로 성형되고 함께 스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되어 종축(81)에 대칭인 안내부재를 제공하는 두 개의 플라스틱부재(80a),(80b)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부재(80a)(80b)의 각각이 다음과 같은 구성부재 즉, a. 상기 창문(40)과 적절하게 연결되는 저면부(82) ; b. 상기 저면부(82)와 일체로 되고 이에 수직하게 확장하는 몸체부(84) ; c. 상기 채널형 안내홈(52,54)내에 적절하게 수용되고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84)와 일렬배열되는 원형 머리부(86) ; d.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92)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84) 및 상기 머리부(86)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88) ; e. 양측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84) 및 상기 머리부(86)와 일체로되고 그리고 상기연결부(88)를 탄력지지하는 활형 탄성부재(94) ; 및 f. 각각의 저면부(82), 몸체부(84) 및 원형머리(86)가 서로 뒤와 뒤가 맞대어, 일렬배열되도록, 상기 플라스틱부재(80a,80b)의 상기 몸체부(84)상에서, 플라스틱부재(80a,80b)의 상기 몸체부(84)를 함께 스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하는 상호 작용수단(96)을 포함하며 ; 플라스틱부재(80a,80b)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상기 활형 탄성부재(94)는 서로 맞물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수단(90,92) 및 연결부(88)가 상기 원형 머리부(86)를 서로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휨이동시키며, 일렬배열위치(성형된 상태)로부터, 자유단부(98)가 서로로부터 떨어져 맞서 위치되고 원형 머리부(86)가 상기 안내부재(80)의 상기 종축(81)을 가로질러 확장하는 중심축(100)을 포함하게 원형 머리부(86)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부재(80a,80b)의 각각에 대하여, 저면부(82)는 상기 창문(40)와 적절하게 접촉되는 일반적인 평편형이고, 몸체부(84)는 일반적인 평배면(112)을 갖추며, 원형 머리부(86)는 상기 채널형 안내홈(52,54)내에 적절하게 수용되는 전방단부편(130)을 포함하고 ; 연결부(88)는 한쪽단부에서 제 1의 힌지수단(90)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84)와 일체로 결합되고 다른 단부에서 제 2의 힌지수단(92)에 의해서 상기 원형 머리부(86)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은 성형된 자유상태위치 즉 정상위치를 향해 탄력지지되어 연결부(88) 및 원형 머리부(86)가 상기 몸체부(84)의 상기 평배면(112)과 종으로 일렬배열되며 ; 그리고 상기 활형 탄성부재(94)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을 자체탄성력에 반하여 휘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힌지수단이,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안내홈(52,54)내에 수용되는 경우, 쟈체탄성력에 반하여 추가로 휘어져서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안내홈(52,54)에 연결되는 경우상기 자체 탄성력이 원형 머리부(86)를 안내홈(52,54)과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이 채널형 안내홈(52,54)이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부재(80a,80b)의 각각에서 a. 상기 저면부는 상기 창문(40)에 대하여 적절하게 접하여 연결되는 반원형의 일반적인 평편형 저면부(82)이고 ; b. 상기 몸체부(84)는 활형단부(chordal end)를 따라 상기 저면부(82)와 일체로 되고 이에 수직하게 확장되는 평배면(11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평배면(112) 및 상기 저면부 (82)와 일체로 되어 상기 몸체부(84)와 상기 저면부 (82)를 견고하게 하는 보강판(116)을 포함하고 ; c.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상기 채널형 안내홈(52,54)내에 적절하게 수용되는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원형플랜지(132,134)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84)의 평배면(112)에 형성된 평면과 종방향으로 일렬배열되는 중심축(100)을 포함하며 ; d. 상기 연결부(88)가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연결편(88a,88b)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각각은 한쪽 단부에서 제 1의 힌지수단(90)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84)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른 단부에서 제 2의 힌지수단(92)에 의해서 상기 머리부(86)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92)은 성형된 상태 즉, 정상자유 상태위치를 향해 탄력지지되어 측면상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연결편(88a,88b) 및 원형 머리부(86)가 몸체부(84)의 상기 평배면(112)과 종방향으로 일렬배열되도록 하고 ; 그리고 e. 상기 활형 탄성부재(94)는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상기 연결편(88a,88b)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부재(94)는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연결편(88a,88b)보다 큰 길이를 갖고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92)이 각각의 플라스틱부재(80a, 80b) 상에서 조립된 안내부재(80)의 상기 머리부(86)가 안내홈(52,54)내에 수용되는 경우, 자체탄성력에 반하여 추가로 휘어져서,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자체탄성력이 원형 머리부(86)를 안내홈(52,54)과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수단이 각 플라스틱부재(80a,80b)의 상기 몸체부(84)에 형성된 평배면(112)상에서 대각선으로 서로 맞서는 위치에서 한쌍의 관통구멍(140)을 갖추고, 맞서는 대각선위치에서 각 플라스틱부재(80a,80b)의 상기 몸체부(84)에 형성된 평배면(112)과 일체로 수직하게 확장하는, 돌기부를 갖는 휨변형 가능한 한쌍의 돌출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42)가 각 플라스틱부재(80a,80b)상의 상기 몸체부(84)의 상기 배면상에서, 다른 플라스틱부재(80a,80b)의 몸체부(84)의 배면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140)를 통해 수냅 끼워맞춤방식으로 수용되어 플라스틱부재(80a,80b)를 함께 연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의 힌지수단(90)이 최초의 성형상태로부터 대략 35°의 각도로 휘어질 수 있고 그리고 제 2의 힌지수단(92)의 최초의 성형상태로부터 대략 60°의 각도롤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각각 분리된 롤러(150)를 포함하여 안내홈(52,54)과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머리(86)가 안내홈(52,54)과 맞물리는 바퀴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원형플랜지(132,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머리부(86)가 상기 활형 탄성부재(94)에 인접하고 상기 제 2의 힌지수단(92)과,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연결편(88a,88b)과 가장 인접한 원형플랜지(132) 사이에 위치되는, 축 및 횡방향으로 확장하는 일체형 보강판(13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연결편(88a,88b)이 각각, 상기 활형 탄성부재(94)에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확장하는 보강판(137)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 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측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한쌍의 연결편(88a,88b)상의 보강판(137), 상기 원형 머리부(86)상의 보강판(136)은 서로 맞물려 제 1 및 제 2의 힌지수단(90,92)이 휘어질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도록된 인접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KR1019880010639A 1987-08-27 1988-08-22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KR910004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129 1987-08-27
US07/090,129 US4777767A (en) 1987-08-27 1987-08-27 Guide for attaching a window of an automotive vehicle to a guide channel
US090,129 1987-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67A KR890003567A (ko) 1989-04-15
KR910004033B1 true KR910004033B1 (ko) 1991-06-22

Family

ID=2222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639A KR910004033B1 (ko) 1987-08-27 1988-08-22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77767A (ko)
EP (1) EP0305044B1 (ko)
JP (1) JPS6470221A (ko)
KR (1) KR910004033B1 (ko)
DE (1) DE38758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302B2 (ja) * 2017-11-30 2022-08-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ドア
FR3099891B1 (fr) * 2019-08-14 2021-07-23 Cooper Standard France Rail de guidage, dispositif et procédé de moulage par injection de ce rai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2288A (en) * 1957-10-09 1959-11-10 Gen Motors Corp Guide roller
US3199930A (en) * 1962-08-29 1965-08-10 Gen Motors Corp Guide roller assembly
US3466803A (en) * 1968-05-28 1969-09-16 Gen Motors Corp Guide arrangement
US3466802A (en) * 1968-06-17 1969-09-16 Gen Motors Corp Slidable guide assembly
JPS51141123A (en) * 1975-05-29 1976-12-04 Nissan Motor Co Ltd Guide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window glass
DE3149073C2 (de) * 1981-12-11 1986-03-06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r Führung und Betätigung eines vertikal verschiebbaren Fahrzeugfensters
DE3209206A1 (de) * 1982-03-13 1983-09-29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Scheibenfuehrung fuer fahrzeuge
US4633613A (en) * 1983-12-09 1987-01-06 Ohi Seisakusho Co., Ltd. Window regulator for door
JPS60161274U (ja) * 1984-04-05 1985-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ドアのドアガラスガイド構造
JPH0326975Y2 (ko) * 1985-01-09 1991-06-11
JPH0684706B2 (ja) * 1985-07-08 1994-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昇降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5869T2 (de) 1993-03-18
KR890003567A (ko) 1989-04-15
EP0305044A2 (en) 1989-03-01
US4777767A (en) 1988-10-18
JPS6470221A (en) 1989-03-15
DE3875869D1 (de) 1992-12-17
EP0305044B1 (en) 1992-11-11
EP0305044A3 (en) 199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981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US10150452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6449814B1 (en) Trim fastener clip employing multiple lines-of-contact stabilization
US20180002977A1 (en) Tambour-door assembly
JP2006506268A (ja) アームと関節接続コネクタとを備える自動車の窓ガラス用ワイパー
US4712341A (en) Modular window assembly clip
KR100808570B1 (ko) 일측 단부에서 구동되는 와이퍼 암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탈착식 및 힌지식 결합을 위한 장치,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0923460B1 (ko) 힌지형으로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갖는 와이퍼 암
US5819361A (en) Wiper blade for a window washing apparatus
MX2007000547A (es) Dispositivo limpiador de parabrisas.
US20160001645A1 (en) Profile element for connecting a vehicle window pane to a cover part and profile element assembly
BRPI0617185A2 (pt) braço do limpador de pára-brisa
US5186509A (en) Body side molding attachment
US6581238B1 (en) Motor vehicle wiper
JP6894910B2 (ja) ワイパアダプタ、および同ワイパアダプタを組み込むワイパ組立体
US4170855A (en) Molding fasteners
KR910004033B1 (ko) 차창을 안내홈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부재
US4663802A (en) Gripping handle for an attache case having a pivot pin on only one of its leg extensions
US5052072A (en) Windshield-wiper end clip
US20130031865A1 (en) DLO Molding With Dutch Bend Feature And Clip Retention Feature
CA2001885C (en) Window molding member for automobiles
US3740800A (en) Fastener
EP1080959B1 (en) Ventilation louve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3874018A (en) Windshield wiper construction
US20110245001A1 (en) Attachment assembly and drive unit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