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244B1 -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244B1
KR910003244B1 KR1019870002680A KR870002680A KR910003244B1 KR 910003244 B1 KR910003244 B1 KR 910003244B1 KR 1019870002680 A KR1019870002680 A KR 1019870002680A KR 870002680 A KR870002680 A KR 870002680A KR 910003244 B1 KR910003244 B1 KR 910003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ata
circui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571A (ko
Inventor
엠. 아이즈릴 챨스
커티슨 죤스 2세 데이비드
젠 양 쳉
다니엘 잘리 죠지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엘리 와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엘리 와이스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제1도는 네트워크 인터폐이스 제어 회로와, 패킷 스위치 시스템 및 회로 스위치 시스템에 대한 상기 회로의 연결의 블럭도.
제2도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호출 프로세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에 의해 이용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패킷 스위치 시스템 단말기로의 데이타 호출에 대한 호출 설정 순차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패킷 스위치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회로 스위치 시스템 단말기로의 데이타 호출에 대한 호출 설정 순차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인터 시스템 통신을 위해 이용된 각종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의 디지탈 라인 회로(DLC) 부분 조립품 및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NAU)에 의해 활용된 명령문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회로 스위치 시스템 13 : 패킷 스위치 시스템
1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 134 : 패킷 시스템 인터페이스
154 : 데이타 버스 201 : 단말기 위치 테이블
202 : 데이타 변환기 지정 테이블 203 : NIC 단말기 위치 테이블
본 발명은 회로 스위치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스위치 시스템에 회로 스위치 시스템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탈 통신 시스템은 회로 스위칭, 즉 시간 분배 멀티플렉싱(TDM)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데이타 단말기 및 음성 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타 및 음성 통신을 제공한다. 점차로, 패킷 스위치 시스템에 상호 연결할 회로 스위치 시스템을 필요하는 많은 응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상기 상호 연결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단말기 및 포트상에서 제어시키고 데이타를 전송시킬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단말기 및 포트가 요구된다. 종래 기술에서,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단말기와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단자 사이의 통신은 먼저 인터페이스 회로에 대해 다이얼된 연결부를 설정하여 패킷 시스템상의 호출 단말기 및 인터페이스 사이의 다이얼된 연결부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터 시스템 연결부는 통상적으로 인트라 시스템 연결부에 비교되는 외부 다이얼링 단계를 필요로 하는데, 상기 단계는 시간 소모 및 비효율적인 동작을 유발한다.
바람직한 것은, 내부 시스템 호출부상에 요구된 시스템 관리의 외부층을 제거시킬 단일 스테이지 또는 직접적인 다이얼링과, 내부 시스템 호출부상의 어드레스 번역을 제거할 두 시스템간의 플랜을 어드레스한 단일 단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에 패킷 스위치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여, 인트라 시스템 또는 인터 시스템 연결부를 설정하기 위한 단일 어드레싱 플랜을 이용하여 단일 스테이지 호출부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각 단말기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 단말기에 대한 늘린 수와 유사한 단일 부호 단자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상의 단말기 위치 테이블은 각 단말기가 위치되는 시스템을 한정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어느 한 시스템의 발신 단말기가 종착 단말기의 부호 단말 어드레스를 포함한 인터 시스템 호출부 메시지를 전송할 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는 다른 시스템상의 어드레스 종착 단말기로 호출하기 위해 적당한 포맷내로 메시지를 변환시킨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는, 패킷 스위치 시스템에 연결되고 그의 포트 회로 역할을 하는 제1부분 조립품, 회로 스위치 시스템에 연결되고 그의 포트 회로 역할을 하는 제2부분 조립품, 상기 부분 조립품 사이에서 데이타를 통신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타 변환기 회로 및, 상기 부분 조립품 사이에 제어 신호 표시하기 위한 이중 포트 메모리를 포함한다. 각 데이타 변환기 회로는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포트 회로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인터 시스템에 의한 호출 기초상에서 정해진다. 따라서, 단말기 위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터 시스템 호출부에서 호출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회로는 호출시에 데이타 통신을 조정할 데이타 변환기 회로를 지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패킷 스위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호출 제어 명령과 단말 기간의 데이타 호출부 정보를 구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원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회로 스위치 시스템(CSS)을 패킷 스위치 시스템(PSS) (13)에 인터페이스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14)를 도시한 것이다. CSS는 음성 또는 데이타 호출부내에 포함된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시간 분배 멀티플렉스(TDM) 버스(124)를 이용한다. PSS는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버스를 이용한다.
CSS는, TDM 버스(124)를 통해, 제각기 음성 및 데이타 단말기(121-1 내지 121-J)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수의 포트 회로(PC)(122-1 내지 122-J)에 연결된 호출 프로세서(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CSS는 음성 및 데이타 호출을 제어한다. 포트 회로(122-K)는 다른 회로 스위치 시스템으로 억세스시킨다. 회로 스위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에이 티 앤드 티 시스템 75 디지탈 통신 시스템인데, 상기 시스템은 1985년 1월호의 에이 티 앤드 티 테크니칼 저널의 페이지 153에 엘.에이. 박터등에 의한 명칭이 "시스템 75 : 통신 및 제어 구조"인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PSS는 에이 티 앤드 티 스타란 네트워크와 같은 공지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인데, 이것은 한 그룹의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NAU)(132-1 내지 132-N)를 포함한다. 단말기 (131-1 내지 131-M)는 제각기 NAU(132-1 내지 132-M)를 통해 통신하여, PSS의 패킷(CSMA) 버스(133)를 통해 그 사이에서 호출한다. NAU는 패킷 버스(133)로 억세스하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패킷 시스템 인터페이스(PSI)(134)는 다른 패킷 스위치 시스템으로 억세스시킨다. 스타란 네트워크 NAU의 동작법은 에이 티 앤드 티 정보 시스템에 의한 "스타란 네트워크 테크니칼 레퍼런스 매뉴얼"(999-300-208 IS)에 기술되어 있다.
NAU(132-1-132-N)은 단말기(131-1 내지 131-M)가 패킷 시스템상에서 서로 통신하게 한다. NAU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동기는 통상적으로 (1) 명령 언어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상호 작용할 명령 해석기, (2) 원거리 단말기에 대한 일련의 명령으로 매크로 명령을 분류하는 매크로 명령 확장기 및, (3) 각종 고장 및 재시험(retries)을 포함하여 원거리 기계로부터의 응답에 반작용하는 응답 분석기를 포함한다. NAU는 단말기가 CSMA 버스(133)를 억세스할 수 있을 시에 결정하기 위한 경쟁(contention) 해상도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IC(14)는 CSS(12)의 데이타 단말기가 단일 스테이지 다이얼링을 이용하여 CSS(12)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PSS(13)의 단말기와 통신하게 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도 통신한다. 단일 스테이지 다이얼링은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분층을 제거한다. 더우기, 단일 어드레싱 플랜은 CSS(12) 및 PSS(13) 단일 어드레스상에 단말기를 지정하여, 인터 시스템 호출에 대한 어드레스 번역을 소거한다. 따라서, CSS(12)상의 데이타 호출 다이얼링은 인트라 시스템이거나 인터 시스템 데이타 호출부이든간에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PSS(13)상의 인트라 시스템 또는 인터 시스템 호출은 동일한 단면 다이얼링 플랜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SS(12)상의 발신 단말기(121-1)과 PSS(13)상의 종착 단말기 (131-M) 사이의 데이타 호출부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 단말기(121-1)는 호출 프로세서(CP)(123)로 데이타 호출 질의를 다이얼한다. CP(123)는 종착 단말기(131-M)가 CSS(12)나 PSS(13)내에 위치되는 여부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위치 테이블(제2도의 201)을 검사한다. 종착 단말기(131-M)가 PSS상에 위치되므로, CP(123)는 호 출 질의를 NIC(14)로 진행하게 한다. NIC(14)는 PSS(13)상의 단말기와 같이 작용하여, 종착 단말기(131-M)에서 데이타 호출을 종료하게 한다. PSS(13)상의 데이타 호출부가 양호하게 설정될 경우, NIC(14)는 그에 따라 CP(123)에 통지한다. CP(123)는 그때 호출에 대한 데이타 변환기(예를 들어, 145D)를 선택하여, 적절한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21-1)로 되돌려 보낸다. 설정된 데이타 호출에 대한 데이타 전송 경로는 발신 단말기(121-1), 포트 회로(122-1), TDM 버스(124), T/R(147), 데이타 버스(154), NPE (152), 데이타 변환기(145D), NAU 버스(146),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NAU(132-1) 및 종착 단말기(131-M)를 포함한다.
호출부가 PSS(13)상에서 설정되지 않을 경우, NIC(14)는 불능을 CP(123)에 통지하고, CP(123)는 그에 따라 호출 시도를 종단하고 발신 단말기(121-1)에 신호 표시한다.
도급으로, 발신 단말기(121-1) 및 종착 단말기(121-J), 즉 CSS(12)의 상기 두 단말기 사이의 데이타 호출은 호출 프로세서(123)의 제어하에, 그리고 CSS(12)의 정상 동작 절차에 따라 TDM 버스(124) 및 포트 회로(122-J)를 포트 회로(122-1)를 통해 진행시킨다. 전과 같이, 호출 프로세서(123)는 데이타 호출이 인트라 시스템 호출인가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을 활용한다. 즉, 두 발신 단말기(121-1) 및 종착 단말기(121-J)는 시스템 CSS(12)내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PSS(13)상의 발신 단말기(131-1)와 CSS(112)상의 종착 단말기 (121-J) 사이의 데이타 호출은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 단말기(131-1)는 종착 단말기 (121-J)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위치 테이블(제2도의 203)을 검사하는 NIC(14)로 데이타 호출 질의문을 보낸다. 테이블(203)은 유효성 CSS(12)의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만을 포함한다. 종착 단말기(121-J)가 CSS(12)내에 위치되므로, NIC(14)는 질의문을 다시 포맷하여, CSS(12)의 CP(123)으로 진행시킨다. NIC(14)는 그때 호출을 시작하도록 유휴 데이타 변환기(예를 들어, 145A)를 선택한다. 호출 프로세서 CP(123)는 종착 단말기(121-J)가 호출에 유효할 경우에 호출을 종료한다. CP(123)는 종착 단말기 (121-J) 및 NIC(14) 사이에서 데이타 통신을 위해 TDM 버스(124)상의 말하고 듣는 타임 슬롯을 지정한다. 그때 NIC(14)는 데이타 호출을 종료하도록 확인문을 발신 단말기 (131-1)로 되돌려 보낸다. 데이타 통신은 그때 발신 단말기(131-1), NAU(132-1),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데이타 변환기(145A), NPE(152), 트랜시버(147) 및 포트 회로(122-J)로부터 종착 단말기(121-J)로 이루어진다.
CSS(12)상의 종착 단말기(121-J)가 호출문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경우, CP(123)는 데이타 호출을 종단하도록 호출 취소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NIC(14)를 신호화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PSS(13)상의 단말기는 호출 제어 정보를 CSS(12)상의 CP(123)로 통신한다. 발신 단말기(예를 들어, 131-M)는 호출 프로세서 서비스 질의문을 NIC(14)로 보낸다. NIC(14)는 질의문을 다시 포맷하여, 질의문을 CP(123)로 진행시킨다. CP(123)는 질의문이 데이타 호출 질의문이 아닌 제어 정보 질의문인가를 확인한다. CP(123) 및 발신 단말기는 그때 NIC(14)를 통해 제어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런 제어 정보는 TDM 버스(124), 트랜시버(147), SAKI(148), DLC 버스(153), 이중 포트 메모리(141),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및 NAU(132-M)의 제어 채널을 통해 발신 단말기(131-M)로 상호 교환한다.
아래의 기술문은 서로 다른 도면을 참조한 참조 번호를 이용한다. 참조 번호가 기술문내에서 이용될 시에, 상기 참조 번호와 관련된 소자는 참조 번호의 제1디지트(예를 들어, 121-1은 제1도상에 위치됨)와 같은 번호를 가진 도면상에 위치된다.
회로 스위치 시스템(CSS) 동작법
NIC(14)의 DLC 부분 조립품은 NPE(152), DLC 제어기(151), ROM(150), RAM(149), SAKI(148) 및 트랜시버(147)를 포함하는데, 상기 모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C 버스(153) 및 데이타 버스(154)를 통해 연결된다. DLC 부분 조립품은 CSS(12)의 다른 포트 회로(예를 들어, 122-1)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정의 단말기(121-1 내지 121-J)와 TDM 버스(124)를 통한 DLC 사이에서 호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된 DLC의 유니트는 엘.에이. 백스터등에 의한 명칭이 "시스템 75 : 통신 및 제어 구조"인 상기 참조된 기사의 페이지(16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버스 트랜시버(147)는 포트 회로(200)를 TDM 버스(124)에 인터페이스한다. TDM 버스(124)로부터의 시간 슬롯 정보는 제어 정보 및 데이타를 포함한다. 데이타는 디지탈화된 펄스 코드 변조(PCM) 음성 샘플이나 디지탈 데이타이다. 상기 데이타는 네트워크 처리 소자(NPE)(152)에 의해 TDM 포맷으로부터 또는 그로 변환된다. 제어 인터페이스 SAKI(148)는 DLC 버스(153)를 통해 DLC 제어기(151)에 연결한다. 제어 인터페이스 SAKI(148)는 TDM 버스(124)를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며, DLC 제어기(151)는 데이타 버스(154)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다.
DLC 제어기(151), ROM(150) 및 RAM(149) 회로는 모든 포트 회로에 공통인 기능과, 특정형의 포트 회로에 유일한 특정 응용 기능을 수행한다. DLC 제어기(151)는 포트 회로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며, 시스템 호출 프로세서(123)와 통신하게 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예를 들어, 121-1)상에서 오프훅함으로써 호출을 시작한다. 이런 변화는 포트 회로 (122-1)에 의해 검출되며, 오프훅 메시지는 호출 프로세서 (123)로 전송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런 호출문을 처리하기 위한 자원은 다이얼을 신속히 하기 위해 사용자로 전송된다.
호출 처리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숫자를 해석하여, 모든 숫자가 입력될 시에 TDM 버스(124)를 통해 종착 스테이션으로 호출을 루트시킨다. 상기 TDM 메시지에 대한 포맷은 501이다. 호출부는 링깅 메시지를 가진 증착 사용자에게로 신호화되고, 호출 진행은 링백 메시지를 가진 발신 사용자에게로 지시된다. 종착 사용자가 호출부에 대답할 시에, 호출 프로세서(123)는 링백 제거 메시지와 함께 링깅 및 링백 메시지를 제거하고, 발신기 및 종착기 사이에 담화/청취 경로를 설정한다. 담화/청취 경로는 호출 프로세서(123)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이 전송 및 수신 경로에 대한 분리 시간 슬롯을 이용한다. 최종으로, 발신기나 종착기가 온훅될 시에, 호출 처리 소프트웨어는 회로 연결부를 파괴하고, 호출에 관련된 모든 자원을 딜로케이트(reallocate) 한다.
[패킷 스위치 시스템(PSS) 동작법]
NIC(14)의 NAU1 부분 조립품은 NAU1 제어기(144), ROM(143), RAM(142) 및, NAU1 버스(146)를 통해 연결된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를 포함한다. NAU1 부분 조립품은 다른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 NAU(예를 들어, 132-1)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타 호출부는 소정의 단말기(131-1 내지 131- M) 및 CSMA 버스(133)를 통한 NAU1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NAU와 NAU1 사이의 통신은 PSS 메시지 포맷(530)을 이용한다. 상기 메시지(530)는 공지된 국제 표준 기구(150) 프로토클의 데이타 링크 레벨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런 레벨의 프로토콜은 PSS(13)의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NAU) 사이에 데이타 전송을 위해 관리 및 에러 검출을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NAU1은 PSS(13)의 다른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NAU)와 같이 작용한다. 데이타 링크 레벨은 두 보조층, 매체 억세스 제어기(MAC)(531) 및 논리 링크 제어기(LLC)(540)를 포함한다. MAC(531)는 동기 프리앰블(532), 프레임 시작 분리 문자(533), 종착 어드레스(534), 소스 어드레스(535), 데이타 필드(537)에 대한 길이 필드(536), 최소 패킷 크기(538) 및 프레임 검사 순차(539)를 성취할 패킷 패딩을 포함한다. 데이타 필드(537)는 LLC 보조층(540)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종착 어드레스(534)는 PSS(13)상의 종착 스테이션을 식별하는데에 이용된다. 소스 어드레스(535)는 전송 위치로서 INC(14)를 식별한다.
LLC 보조층은 종착 서비스 억세스 포인트(541), 소스 서비스 억세스 포인트(542), 제어 단어(543) 및 데이타 필드(548)를 포함한다. 데이타 필드(548)는 TRNS 어드레스(5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ISO 프로토콜의 네트워크층을 이용하지 않는다. ISO 프로토콜의 수송층 레벨은 TRNS(544)로 설명된다. TRNS 층은 데이타 전송을 위해 서비스의 분리(데이타그램) 및 연결(가상 회로)방향 등급을 제공한다. 두 형태에서, 어드레싱 정보는 특정 레벨 2MAC(531) 어드레스에 따르는 끝점의 선택을 위해 전달된다. TRNS 층(544)은 PID 엔코딩(545), (INFO(513)내의 DEST-lD인) DEST-lD(546), (INFO(513)내의 SOURCE-lD인) SOURCE-lD(547) 및, 종착지로 전달될 정보(54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회로는 PSS(13)의 단말기와 CSS(12)의 단말기 사이의 데이타 호출에 이용된다. 데이타그램 서비스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PSS(13)상의 단말기로부터 호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본원의 최종 단락에서 기술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데이타 호출은 단말기간의 가상 회로를 연결하는 서비스의 연결 방향 등급을 제공된다. 이런 형태의 서비스 호출 제어 패킷 및 데이타 전송 패킷내에서 한정되는 두가지 형태의 패킷이 있다. 호출 제어 패킷은 호출 질의문(CR), 호출 확인문(CC), 호출분리(CD) 명령문 등이 있다.
데이타를 호출하기 위하여, 호출 질의문(CR)은 예를 들어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및 종착 어드레스 NAU(132-1) 사이의 가상 회로 연결의 설정을 질의하는 데에 이용된다. 일단 호출부 또는 가상 회로가 설정되면, 데이타 전송 패킷은 데이타를 전송한다. 데이타 전송 패킷은 제어 온리(CO), 혼합 데이타(MD) 및 데이타 온리(DO)를 포함하여, 제각기 제어 메시지, 제어 및 데이타와, 사용자 데이타의 블럭을 통신한다. 데이타 호출을 종료함에 있어서, 호출 분리(CD) 명령은 호출을 종결한다.
[NAU1/DLC 동작법]
제1 및 5도에서, NIC(14)의 NAU1 및 DLC 부분 조립품의 통신은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이중 포트 메모리(155)와 데이타 전송에 대한 데이타 변환기(145A 내지 145D)를 활용한다. 이중 포트 메모리(155)는 상기 제어 메시지(510)를 전송하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타 변환기(145A 내지 145D)는 패킷형의 정보가 NAU1으로부터 수신되어 DLC에 대한 TDM 포맷으로 변환되게 하는 선입선출 (FIFO)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반대로, 데이타 변환기(145A 내지 145D)는 또한 패킷형의 전송을 위한 DLC로부터 NAU1으로 TDM 포맷 데이타를 패키지한다. 데이타 변환기는 고레벨 데이타링크 제어(HDLC) 포맷의 데이타 바이트를 엔코드하여 TDM 버스(124)상의 변환된 데이타를 전송하며, 그리고 TDM 버스로부터 CPU(123)에 의해 직접 판독 가능한 데이타 바이트내로 수신된 데이타를 디코드한다.
NAU1/DLC 메시지(510)는 이중 포트 메모리(155)를 통해 발생하는 NAU1 제어기(144) 및 DLC 제어기(151) 사이의 통신에 이용된다. 메시지(510)는 명령 필드(511), 크기 필드(512) 및, 정보 필드(513)를 포함한다. 명링 필드는 두 바이트(514 및 515)를 포함한다. 상기 필드는 명령 전송기에 의해 적재되어, 명령 수신기에 의해 하적된다. 그래서, CSS에 의해 개시된 호출에 대해 CSS는 명령 전송기가 되고, PSS는 명령 수신기가 되며, 그리고 PSS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는 그 역으로 된다.
크기 필드(512)는 정보 필드(513)의 바이트 길이를 포함한다. 정보 필드는 명령 필드(514)내에 기억된 명령에 의해 요구되는 소정의 적절한 정보를 포함한다.
부분 조립품 NAU1 및 DLC 사이의 제어 통신은 한번에 이중 포트 메모리(155)를 통해 지령된 명령문을 이용한다. 명령이 지령될 때마다 명령 전송기는 명령 필드(511)가 0인가를 검사한다. 명령 필드가 0인 경우, 명령에 관련된 소정의 파라미터는 정보 필드(513)내로 기록되고, 크기 데이타는 크기 필드(512)내로 기록된다. 명령 정보는 최종으로 명령 필드내에 기록된다. 명령 필드내에서 0이 아닌 값은 메시지(510)가 완전히 기록되어 사용될 준비가 되어 있는 명령 수신기에게 나타난다. NAU1/DLC 메시지 (510)를 수신한 후에, 명령 수신기는 명령문이 처리되고, 다음 명령문이 주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명령 필드(511)를 삭제(clear) 한다.
예를 들면, DLC 제어기(151)가 명령 전송기일 경우, 메시지(510)에 나타난 포맷의 발신 호출 명령문(601)을 명령수신기, NAU1 제어기(144)로 전송한다. NAU1 제어기(144)는 정보를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로 통신하는데, 상기 제어기는 PSS(13)상의 종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530에 도시된 PSS 메시지로 정보를 포맷시킨다.
NAU1 및 DLC 사이에서 통신될 수 있는 각종 명령문 및 응답문이 제6도에 리스트된다. 두가지 분류의 명령물, 즉 자발적인(unsolicited) 명령문(601 내지 608) 및 명령 응답문(609 내지 513)이 있다. 자발적인 명령문은 제1바이트의 내용으로 명령 응답문과 구별된다. 511 및 521에서, 자발적인 명령문은 명령 응답문이 응답되는 자발적인 명령문과 동일한 제1바이트를 가질 시에 0인 제1바이트를 갖는다. 모든 명령문 및 명령 응답문에서, 소스 번호(SOURCE-lD) 및 종착 번호(DEST-NO)는 항상 메시지의 정보부(513)내에 포함된다. 변환기 장치 번호(DEV-NO)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명령문 및 응답문내에 요구되지 않는다.
PSS(13)의 단말기로부터 CSS(12)의 단말기로 호출하는 동안에, CALL-CSS와 같은 명령문(601)이 이용된다. 515은 CALL-CSS이고 513은 종착 번호(DEST-lD) 및 소스 번호(SOURCE-lD)를 포함하지만, (CSS(12)에 의해 결정되므로) 변환 장치 (DEV-NO)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명령문(601)은 메시지(510)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된다.
DLC로부터의 가능 응답문은 응답된 호출부(629), 통화중인 호출부(630), 이용할 수 없는 변환기(631) 및 취소된 호출부(632)를 포함한다. 상기 모든 명령 응답문은 소스 및 종착 번호를 확인한다. 응답된 호출부는 CSS(12)가 호출에 응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SS(12)는 1이 지정되므로 명령 응답문내의 DEV- NO를 포함한다. 통화중인 호출부는 종착 단말기가 통화중인 것을 의미한다. 이용할 수 없는 변환기는 모든 변환 장치(145A 내지 145D)는 사용중이거나 DLC에 의해 할당되어, 이때에는 데이타 통신이 불가능하다. 변환 장치는 데이타 호출 질의문이 시스템 PSS이나 CSS 또는 단말기로부터 호출 프로세서(123)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할당된다. 그러나, DEV-NO는 호출이 609에 응답될 시에 명령 응답문내에 지장되어 복귀 된다.
펜딩 데이타 호출이 602에 나타난 포기 명령문을 이용하여 포기된다. 이것은 발신 호출 명령문(601)이 전송된 후에 예정된 시간주기 동안에 DLC로부터 응답되지 않을 시에 NAU1로부터 지령된 명령문(602)을 포기한다. 응답에 있어서, DLC는 호출 설정을 종단하여, 에러 명령문(633)을 NAU1으로 전송한다.
데이타 호출이 종단될 시에, NAU1은 분리 호출 명령문(603)을 종착 및 소스 번호를 식별한 DLC로 전송한다. DLC는 그러한 호출부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 에러 명령문(633)을 복귀한다. 호출이 연결될 경우에, DLC로부터 응답이 요구되지 않고, 호출부는 제거된다.
NAU1이 기대되지 않은/에러 상태를 검출할 시에, 진단 명령문(604)을 이용하여 DLC로 에러를 보고한다. DLC는 에러 등재 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에러 메시지를 호출 프로세서(123)로 진행시킨다.
아래의 단락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NAU1는 데이타 변환기(145A 내지 145D)로부터 수신된 데이타 프레임의 제어 헤더에 의해 식별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NAU1은 상기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메시지(605)를 이용하여 전체 프레임을 DLC로 진행시킨다. 제어 메시지의 크기는 크기 필드(SIZ)의 값에서 1을 감산함으로써 계산된다.
CSS(12)의 단말기로부터 PSS(13)의 단말기로 호출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같은 명령문을 이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PSS(13)으로부터 CSS(12)로 개시된 호출부와 동일한 명령응답문을 수신한다.
CSS(12)의 단말기로부터 PSS(13)의 단말기로의 발신은 명령문(621)을 이용한다. PSS(13)로부터의 응답문은 단지 응답된 호출부(609) 및 취소된 호출부(612)를 포함하며, 비통화 호출부(610) 또는 이용할 수 없는 장치(611)가 활용된다.
분리 호출부는 상기 호출이 연결될 경우에 필요한 비응답에 따른 명령문(623)을 이용하며, 이 경우에 에러 응답문(613)이 형성된다.
CSS(12)호출 설정은 명령문(622)을 이용하여 포기된다. 상기 명령문은 호출 설정을 종단하여, 앞선 호출 발신 명령문(621)을 삭제한다.
NAU1는 상기 호출부가 종착 및 소스 번호 사이에서 설정되지 않을 경우에 명령 에러(613)에 따라 응답한다.
제어 메시지(625)는 NIC(14)의 DLC로 부터 CSS(12)의 원격 포트 회로(예를 들어, 122-1)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NAU1는 제어 헤더(TX-DCP)로부터 상기와 같이 제어 메시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 명령문을 수신함과 동시에 NAU1는 종착된 변환기 장치(DEV-NO)를 통해 확인된 포트 회로로 진행하는 데이타 스트림내로 전체 메시지를 삽입한다. DCP제어 메시지의 실시예는 EIA갱신 및 데이타 모듈 핸드 세이크 메시지이다. 제어 메시지(625)에 응답하여 NAU1으로 부터의 명령 응답 메시지가 없다.
DLC하적 명령문(626)은 CSS(12)의 호출 프로세서(123)가 단말기 위치 테이블(203)을 NAU1로 하적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블은 시스템 CSS(12)의 유효 단말기 번호를 나타낸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CSS(12)상에 제공된 각 단말기를 리스트하기 보다는 10개의 단말기의 그룹이 리스트되어, 레이블(201)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그래서, 단말기 그룹 번호가 테이블(201)내에 리스트될 경우, 상기 그룹의 모든 부재는 또한 시스템 CSS(12)상에 위치된다. 하적 명령문(626)에 응답하여 NAU1에서 기재된 명령 응답 메시지가 없다.
변환기 구성 명령문(627)은 CSS(12)의 발신 소스 단말기와 PSS(13)의 종착 단말기 사이에서 양호하게 핸드 세이크한 후에 DLC에 의해 이용된다.
DLC는 지정된 변환 장치(예를 들어, 145A)상에서 적당한 데이타 전송 보드율을 설정하도록 구성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명령문은 또한 NAU1가 PSS(13)상의 단말기로부터 CSS(12)상의 단말기로 전송 데이타를 수신 되게한다. 상기 명령에 앞서 PSS(13)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는 지정된 변환 장치내에서 버퍼된다. 상기 구성 명령문에 응답하여 NAU1으로 부터 기인한 명령 응답 메시지가 없다.
DLC는 NAU1의 온전함을 검사한다. 온전 검사 명령문(525)은 주기적으로 상기 기능을 완수 시킨다. NAU1은 예정된 시간 주기내에서 검사 명령 응답문(614)과 응답한다. 또한, DLC는 NAU1 인세인(insane)으로 간주하고, DLC 및 NAU1 양자는 리세트 순차에 입력된다. 상기 리세트 순차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상의 모든 호출은 종단된다.
[인터 시스템 데이타 호출]
CSS(12) 단말기와 PSS(13) 단말기 사이에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가 아래에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NIC(14)의 NAU1 부분 조립품은 게이트 웨이 모드나 브리지 모드로 동작한다. 게이트 웨이 모드에서, PSS 범 수신 프로토콜(URP)은 NAU1 상에서 종단된다. 브리지 모드에서, URP프로토콜은 두 시스템 양단에 보존된다. 상기 두 모드는 PSS 및 CSS 시스템에서 연결된 단말기나 데이타 장치의 서로 다른 조합부 사이에서 본 발명이 통신하게 한다.
[CSS상의 단말기 내지 PSS상의 단말기]
제 1, 2, 3, 5 및 6도를 결합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CSS(12) 상의 소스 단말기 (121-1)는 게이트 웨이 모드를 이용하여 PSS(13) 상의 종착 단말기(131-1)에 대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21-1)에서의 사용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방식(301)으로 종착 단말기(131-1)의 확장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한다. CSS의 호출 프로세서(123)는 다이얼된 확장 번호를 수신하 여, 종착 단말기 확장에 관련된 포트가 시스템 PSS 또는 CSS에 위치되는 여부를 결정하도륵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을 검사한다.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은 CP(123)와 NAU1의 RAM(142)양자내에 위치된다. CP(123)내의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은 시스템 CSS 관리자에 의해 발생되며, CSS(12)상의 다이얼 가능한 모든 단말기 번호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스트는 CSS가 개시될시에 CP(123)로부터의 NAU1의 RAM(142)로 하적된다. 단말기 위치 테이블(203)은 상기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구조된다.
본 실시예에서, 호출 프로세서(123)는 종착 단말기(131-1)가 PSS(202)상에 위치되는 테이블(201)로부터 결정한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그 때(501)에 도시된 메시지를 이용한 TDM 버스(124)를 통해 소스 또는 발진 단말기 번호(121-1)와 종착 단말기 번호(131-1)양자를 전송한다. 메시지(501)는 포트 회로(122-1 내지 122-K) 또는 DLC가 정보를 수신하는 여부를 식별할 헤더(5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착 단 말기 확장부가 PSS내에 위치되므로, DLC 어드레스는 헤더(502)내에 삽입된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또한 이용 가능한 데이타 변환기 장치(145A내지 145D)에 대한 데이타 변환기 테이블(202)을 검사한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그 때 도래 호출을 나타내도록 링저-온(ringer-on)다운링크 메시지를 DLC로 전송한다. 링저-온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DLC는 ID질의 메시지 업링크 메시지를 호출 프로세서(123)로 전송한다. 호출 프로세서는 그 때 503내의 데이타 변환 장치 번호, 504내에 삽입된 종착 단말기 확장부 및, 505내의 소스 단말기 확장부를 가진 메시지(501)를 전송한다.
메시지(501)는 트랜시버(147)를 통해 SAKI(148)에 의해 수신되어, 버스(53)를 통해 정보를 DLC제어기(151)로 진행시킨다. DLC제어기(151)는 메시지(501)의 내용을 메시지 포맷(510)으로 다시 포맷시킨다.
종착 번호는 PSS(13)상의 종착 단말기에 대한 호출부에 설정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 NIC에 의해 요구된다. 소스 번호는 호출 설정에 대한 PSS프로토콜에 의해 요구된다. NIC가 단지 하나의 PSS피지칼 어드레스를 가지므로, 소스 번호는 호출 PSS 포트로서 NIC를 식별하는 데에 이용된다. 소스 번호는 호출 수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응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NIC가 포트 식별에 대한 모조 소스 번호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기는 호출자 식별에 상기 번호를 사용할 수 없다.
PSS(13)에 대한 발신 호출 명령문(621)은 메시지(510)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되어, 513내에서 종착 단말기 번호, 소스 단말기 번호 및 변환기 장치 번호를 식별한다. 단계(302)시에, 상기 발신 호출 명령문은 NAU1 제어기(144)에 의해 검색 되는 이중 포트 메모리(155)에 입력된다. 단계(303)에서, NAU1 제어기는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가 PSS(13)상의 호출 질의를 개시하게 한다.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 는 메시지 포맷(510)으로부터 PSS메시지 포맷(530)으로 호줄 질의문을 다시 포맷한다.
호출 질의문은 종착 번호에 대응하는 피지칼 어드레스를 입수하도록 NAU(132-1)에 대한 호출문의 명령문을 포함한다. NAU(132-1)는 그의 종착 번호를 인식하여, 피지칼 어드레스를 지정한 호출문의 응답문을 CSMA제어기(141)로 전송한다. CSMA제어기(141)는 그 때 호출 질의문을 NAU(132-1)로 전송하여, 피지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CSMA 버스(133)상에서 호출부를 설치하도록 질의한다. NAU(132-1)는 호출 확인 메시지나 호출 분리 메시지와 응답한다.
호출 확인 메시지를 추정하면, NAU1제어기는 호출 확인 메시지를 명령응답 메시지 포맷(520)으로 변환 시킨다. 메시지(520)는 그 때 이중 포트 메모리(155)를 통해 DLC로 전송되며, SAKI(148)를 통해 상기 메시지는 포맷(501)의 오프훅 응답문으로 변환되어, 호출 프로세서(123)으로 전송된다(단계(364A)).
호출 프로세서(123)는 그 때 데이타 통신에 대한 끝점으로 타임 슬롯을 지정한다. 단계(305)에서, 데이타 모듈 핸드 세이크는 NIC(14)와 단말기(121-1)사이에서 연결이 확실히 양립되게 한다. 예를 들면, 데이타 전송율은 NIC(14)와 단말기(121-1)사이에서 부합한다. 그 후, 호출 설정은 단계(306)에서 완료된다. NIC(14) 및 단말기(131-1)은 (버퍼 크기와 같은) URP프로토콜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URP초기 INIT핸드 세이크를 상호 교환한다. 양호한 INIT핸드 세이크한 후에, 단계(307)에서 NIC(14)는 데이타 전송 모드로 진행하고, 단계(308)에서 발신 단말기(121-1)와 종착 단말기(131-1)사이에서 데이타 플로우를 허용한다. 상기 데이타는 NAU(132-1),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RAM(142), NAU1제어기(144), 변환기 장치(145A), NPE(152), 트랙시버(147) 및 포트 회로(122-1)를 통해 전송한다. 데이타 전송의 제어 메시지는 NAU 시스템 버스(146)와 이중 포트 메모리 (155)를 통해 변환 장치(145A)로 부터 DLC제어기 (151)로 되돌려 보낸다.
CSS 상의 데이타 전송은 단말기(121-1) 및 NIC(14) 사이에서 프레임당 데이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트를 예정된 시간 슬롯내에서 일어난다. 각 프레임은 헤더 및 CRC에러 코드 순차를 가진 HDLC내에서 엔코드된다. 변환 장치(145A)는 CRC 에러를 검사하고, 프레이밍을 검사하여 CRC에러 순차를 스트립 오프시킨다. 변환 장치 (145A)의 출력은 NAU 제어기(144)에 의해 판독되는 헤더 및 데이타이다. NAU1제어기(144)는 그 때 데이타를 종착 번호, 논리 채널 번호에 부가하여, RAM(142)을 통해 CSMA인터페이스 제어기(141)로 전송한다.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는 패킷을 형성하도록 데이타를 수집하여, CSMA버스(133)를 통해 패킷을 NAU(132-1)로 전송한다.
CSS(12)상의 발신 단말기(121-1)로부터 PSS(13)상의 단말기(131-1)로부터의 브리지 모드 데이타 호출은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브리지 모드 데이타 호출과 게이트 웨이 모드 데이타 호출의 차이는, 브리지 모드에서 발신 단말기(121-1)가 PSS(13)상의 호출부를 설정할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게이트 웨이 모드에서 NIC(14)는 PSS(13)상의 호출 설정을 종료한다.
명령모드의 단말기 다이얼링은 PSS(13)상의 단말기에 대한 데이타 호출을 개시하도록 CSS 상의 발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된다. 특정 PSS단말기 확장 번호가 이용되므로, CSS(12)는 PSS(13)에 대한 브리지 모드 호출이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종착 및 소스 확장 번호 양자를 브리지 모드 데이타 호출 질의문인 정보와 함께 NIC(14)로 전송한다. 변환장치가 이용 가능할 경우, NIC(141)는 PSS(13)상에서 호출 설정을 개시하지 않고 데이타 호출을 즉시 응답시킨다. NIC(14) 및 발신 포트 회로(122-1)는 게이트 웨이 모드에서와 같이 서로서로 핸드 세이크한다. 데이타 호출 설정이 CSS(12)상에서 양호하게 이루어질 경우, CSS(12) 상의 발신 단말기는 PSS(13)상의 종착 단말기에 대한 호출 설정을 개시한다. 그래서, CSS(12)상의 발신 단말기는 CSMA버스(133)상의 가상 단말기이다. NIC(14)는 상기 경우에 데이타 번역기 역할을 한다. 그것은 PSS상에 이용된 포맷과 CSS상에 이용된 포맷 사이의 데이타를 변환시킨다.
[PSS상의 단말기 내지 CSS상의 단말기 ]
제1, 2, 4, 5 및 6도를 결합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시스템 PSS(13)상의 단말기(131-M)는 시스템 CSS(12)상의 단말기에 대한 데이타 호출을 발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말기(131-M)는 시스템 PSS(13)상에서 정상적으로 호출부를 설정한다. 이것은 NAU1의 피지칼 어드레스를 입수하도록 단말기(131-M)로부터 NIC(14)의 NAU1으로의 호출문의 명령문을 포함한다. NAU1은 호출문의 응답문내의 피지칼 어드레스를 단말기(131-M)로 전송한다. 단말기(131-M)는 호출 요구 메시지(401)를 NAU1으로 전송하는데, 상기 NAU1은 발신 확장 번호(즉, 단말기(131-M) 확장번호) 및 종착 확장 번호(즉, 시스템 CSS(12)상의 단말기(121-J))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 확장 번호는 PSS(13)상의 발신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되는 반면에 CSS(12) 단말기로부터 호출부가 발신함과 동시에, 호출 프로세서(123)는(도시되지 않은)내부 테이블로부터 확장 번호를 알 수 있다.
호출 요구문을 수신한 후에, NAU1제어기(144)는 단말기(121-J)가 시스템 PSS(13)이나 CSS(12)상에 위치되는 여부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을 검사한다. 종착 단말기가 CSS(12)상에 있을 경우, NAU1은 호출 펜딩 메시지를 단말기(131-M)로 복귀시킨다. 소스 단말기 확장 번호는 또한 시스템 PSS(13)상 또는 CSS(12)상에서 발신된 호출에 대한 억세스 제한을 결정하도록 호출 프로세서(123)에 의해 이용된다.
NAU1제어기(144)는 메시지 포캣(510)을 이용한 종착 및 소스번호를 포함한 DLC로 발신 데이타 호출 명령문(601)을 전송한다. DLC는 호출 발신 명령문을 TDM 메시지 포맷(501)로 변환시켜, SAKI(148), 트랜시버(147), TDM 버스(124)를 호출 프로세서(123)로 진행시킨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정상 호출 설정 프로시류(402)와 진행하여, 상기 데이타 호출시에 선택되는 한 변환 장치(145A 내지 145D에 관련된 시간 슬롯을 지정한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호출부(403)를 확인하여, 트랜시버(147) 및 SAKI(148)를 통해 시간 슬롯 번호 및 변환 장치 번호를 DLC제어기(151)로 전송한다. DLC제어기(151)는 그 때 NPE(152)내의 변환기 지정 테이블(202)내에서 지정된 데이타 변환기에 지정된 시간 스롯 번호를 적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테이블(202)내의 변환기(145A)는 시간 슬롯(2)에 지정된다. DLC제어기(151)는 종착 단말기(121-J)에 관련된 포트 회로(122-J)에 따른 표준 데이타 모듈 핸드 세이크(404)로 진행한다. 상기 핸드 세이크 순차로, NIC(14)는 CSS(12) 종착 단말기(121-J)가 필요로 하는 동작 파라미터(예를들어, 데이타율)을 확실히 알게 된다.
양호한 핸드 세이크한 후에, 종착 단말기(121-J)는 연결 모드로 진행한다. 호출 프로세서(123)는 그 때 DLC제어기(151)를 신호화하여, 메시지 포맷(520)내의 호출 응답 명령문(629)을 NAU1제어기(144)로 전송한다. NAU1제어기(144)는 CSMA제어기 (141)가 표준 호출 확인 패킷을 PSS(13)상의 발신 단말기(131-M)로 전송하게 한다. DLC제어기는 브리지 모두 표시(널 패킷)용 종착 단말기(121-J)와 양호하게 핸드 세이크한 후에 예정된 시간을 기다린다.
브리지 모드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DLC제어기(151)는 게이트웨이 모드를 추정하여, PSS(13)상의 데이타 호출 설정부와 진행한다. PSS(13)상의 호출 설정 프로시듀는 NAU1제어기(144)와 NAU(132-M)사이의 초기 핸드 세이크를 포함한다. 양호한 호출 설정후에, NIC(14)는 PSS(13)상에서 이용되도록 데이타 포맷과 시스템 CSS(12) 모드 사이에서 변환된다. PSS(13) 발신 단말기(131-M)와 종착 단말기(121-J)사이의 데이타 전송(405)은 NAU(132-1),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141), RAM(142), 버스(146), NAU1제어기(144), 변환 장치(145A), NPE(152), 트랜시버(147) 및 포트 회로(122-J)를 통해 이루어진다. CSMA 인터페이스 제어기는 발신 단말기(131-M)로부터 데이타 팻킷을 수신하여, RAM(142)내에 기억시킨다. NAU1제어기(144)는 한번에 1바이트의 데이타를 처리하여, 변환장치(145A)로 전송하는데, 상기 장치는 입력 데이타를 DCP포맷으로 엔코드하여, 정보를 NPE(152)로 출력시킨다. NPE(152)는 TDM버스 (124)를 통해 단말기(121-J)로 전송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 슬롯 내에 데이타 바이트를 위치시킨다.
브리지 모두가 종착 단말기(121-J)에 의해 NAU1제어기(144)로 전송된 널 패킷에 의해 표시될 경우, 후행하는 호출 프로시듀는 아래와 같다. NAU1(144)는 그 때 호출 요구 메시지를 종착 단말기(121-J)로 진행시킨다. 데이타 호출부는 PSS(13)상의 발신 단말기(131-M)와 CSS(12)상의 종착 단말기(121-J)사이에서 직접 설정된다.
[PSS상의 단말기 내지 CSS의 호출 프로세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호출 제어 메시지는 PSS(12)상의 단말기로부터 호출 프로세서(123)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특징은 제5도에 도시된 ISO프로토콜의 TRNS보조층(544)에 의해 제공된 데이타그램 서비(분리 서비스)능력을 이용한다. 데이타그램 서비스는 정보의 패킷이 가상 회로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링크층에 의해 제공되며, 종착 어드레스는 패킷내에 제공되며, 명백한 인정이 복귀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CSS(12)상의 단말기는 단지 호출 프로세서(123)와 호출 설정 정보를 상호 교환만 한다. 환원하면, 단말기는 호출하고, 호출하지 않으며, 그리고 호출중에 있도록 요구할 뿐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인 메카니즘은 NIC(14)를 통해 CP(123)와 통신하도록 PSS(13)상의 단말기에 제공된다. 단말기(예를들어, 단말기(134-1)가 CP(123)와 통화하길 원할 시에, NIC(14)에 대한 PSS피지칼 어드레스를 찾도록 포맷 (530)내의 호출문의 명령문을 이용한다. 그 때 특정 PID(545)는 패킷이 PSS(13)단말기로 부터 CP(123)에 대한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의 NIC(14)는 제어 채널상에서 CP(123)로 전송하기 위한 PSS 및 CSS 사이에 데이타 포맷을 변화시킬 프로토콜 번역기 작용을 한다. PSS네트워크층 프로토콜은 제거되고, CSS제어 채널 프로토콜은 가산된다. 단부간의 데이타 완전성 및 플로우 제어는 NIC(14)에 의해 조정되지 않는다. 적당한 데이타 전송 및 수신을 끌점(즉, CP(123) 및 단말기 (131-1)까지 확실하게 한다.
CSS(12)는 다중 NIC(14)를 통해 다중 PSS(13)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런 배치에 있어서 단일 다이어링은 단일 다이얼 가능한 번호를 갖도록 각 시스템의 단말기를 요구할 수 있다. 단말기 위치 테이블(201)은 시스템이 어느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를 지정한다.
따라서, CSS(12)상의 단말기로부터의 소정의 PSS시스템 단말기로의 호출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러한 배치에 있어서, 각 PSS 시스템상의 단말기 사이의 호출은 CSS(12)를 이용하지 않고, PSS 시스템상의 게이트 웨이 회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된 것은 본 발명의 원리의 한 실시예만을 설명했다. 다른 방법, 순차 또는 회로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구현할 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팻킷 스위치 시스템(13)을 회로 스위치 시스템(12)에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회로(14)로서, 상기 패킷 스위치 시스템은 제1형태의 단말기(131-1)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은 복수개의 제2형태의 단말기(121-1 내지 121-J)와, 상기 제2형태의 단말기 사이에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한 호출 프로 세서(1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으로 억세스를 요구한 상기 팻킷 스위치 시스템의 제1형태의 단말기로부터 제1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41, 142) 및,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상기 호출 프로세서를 억세스 하기 위한 제2제어 메시지로 상기 제1제어 메시지를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145A 내지 145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메시지는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상기 호출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1형태의 단말기와, 상기 단일 제2형태의 단말기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된 상기 제2형태의 단말기사이에 인터시스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한 단일 제2형태의 단말기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1형태의 단말기와 상기 복수개의 제2형태의 한 단말기 사이에 상기 인터시스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해 한 호출 설정 순차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포트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네트워크 억세스 유니트와 상기 포트 회로 사이에서 데이타를 통신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타 변환기 회로 및, 상기 각 데이타 변환기를 서로 다른 인터 시스템 데이타 호출부에 지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8. 패킷 스위치 시스템(13)을 회로 스위치 시스템(12)에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14)로서, 상기 패킷 스위치 시스템은 복수개의 제1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각 제1형태의 단말기(131-1 내지 131-m)는 제1호출 설정 메시지를 이용한 상기 복수개의 다른 제1형태의 단말기에 대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은 복수개의 제2형태의 단말기(121-1 내지 121-J)와, 제2호출 설정 메시지를 이용한 상기 복수개의 제1형태의 두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한, 호출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제1호출 설정 메지시에 의해 식별된 상기 복수개의 제2형태의 한 단말기에 대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제1형태의 한 단말기로부터 발신한 단일 스테이지 호출 설정 순차를 포함한 상기 제1호출 설정 메시지에 응답하는 수단 NAU 및, 상기 제2호출 설정 메시지에 의해 식별된 상기 복수개의 제1형태의 한 단말기에 대한 데이타 호출부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제2형태의 한 단말기로부터 발신한 단일 스테이지 호출 설정 순차를 포함한 상기 제2호출 설정 메시지에 응답하는 수단 DL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스위치 시스템의 모든 단말기의 시스템의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테이블 수단 및, 상기 제1호출 설정 메시지내에서 식별된 종착 단말기의 시스템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테이블 수단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태의 각 단말기와, 상기 제2형태의 각 단말기는 단일 호출 설정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KR1019870002680A 1986-03-24 1987-03-24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KR910003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43,239 US4723238A (en) 1986-03-24 1986-03-24 Interface circuit for interconnecting circuit switched and packet switched systems
US843239 198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71A KR870009571A (ko) 1987-10-27
KR910003244B1 true KR910003244B1 (ko) 1991-05-24

Family

ID=2528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680A KR910003244B1 (ko) 1986-03-24 1987-03-24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23238A (ko)
EP (1) EP0238984A3 (ko)
JP (1) JPS62231546A (ko)
KR (1) KR910003244B1 (ko)
CA (1) CA12688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894A (en) * 1987-08-31 1990-06-19 Motorola, Inc. Multi-processor, multi-bus system with bus interface comprising FIFO register stock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JPH024083A (ja) * 1988-06-17 1990-01-09 Fujitsu Ltd 網間接続における統合課金方式
CA2001861C (en) * 1988-12-28 1996-12-17 Bruce Merrill Bales Circuit switching system for interconnecting logical links between packet switching networks
US5014266A (en) * 1988-12-28 1991-05-07 At&T Bell Laboratories Circuit switching system for interconnecting logical links between packet switching networks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JP2863686B2 (ja) * 1992-11-05 1999-03-03 株式会社テック 印字装置
US7082106B2 (en) * 1993-01-08 2006-07-25 Multi-Tech Systems, Inc. Computer-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5410754A (en) * 1993-07-22 1995-04-25 Minute Makers, Inc. Bi-directional wire-line to local area network interface and method
JPH07170288A (ja) * 1993-12-15 1995-07-04 Hitachi Ltd 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通信方法
US5912888A (en) 1994-06-09 1999-06-15 U.S. Robotics Access Corp. Digital network access server
US20100208634A1 (en) 1994-10-11 2010-08-19 Arbin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Communications Across Convergent Networks
GB9603582D0 (en) 1996-02-20 1996-04-17 Hewlett Packard Co Method of accessing service resource items that are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336649B1 (en) 1995-12-20 2008-02-26 Verizon Business Global Llc Hybrid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telephony system
IL126909A0 (en) 1996-05-07 1999-09-22 Webline Communication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internet multi-media content with telephone and audio communications
US6600733B2 (en) 1997-02-06 2003-07-29 Verizon Laboratories Inc. System for interconnecting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voice communications
US6195345B1 (en) 1997-12-03 2001-02-27 Ericsson Messaging Systems, Inc. High capacity multimedia messaging exchanges
IES980709A2 (en) 1997-12-15 1999-06-30 Tellabs Res Ltd Telecommunication Systems
US8130749B2 (en) * 1998-02-17 2012-03-06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A Corp of California Telephone network interface bridge between data telephony networks and dedicated connection telephony networks
US6724748B1 (en) 1998-05-21 2004-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network and packet data network interoperability
US6240086B1 (en) * 1999-10-15 2001-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DSP allocation for universal access to a packet network
DE69940209D1 (de) * 1998-10-30 2009-02-12 Telogy Networks Inc Dynamische dsp-zuordnung für universalzugriff zu einem paketnetz
US6614781B1 (en) * 1998-11-20 2003-09-02 Level 3 Communications, Inc. Voice over dat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US6442169B1 (en) 1998-11-20 2002-08-27 Level 3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data from egress facilities
US6747970B1 (en) 1999-04-29 2004-06-08 Christopher H. Lamb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between connectionless and connection-oriented networks
JP3967492B2 (ja) * 1999-06-17 2007-08-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端末の収容装置
US7324635B2 (en) * 2000-05-04 2008-01-29 Telemaze Llc Branch calling and caller ID based call routing telephone features
US7047196B2 (en) 2000-06-08 2006-05-16 Agiletv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voice recognition near a wireline node of a network supporting cable television and/or video delivery
US20020040391A1 (en) * 2000-10-04 2002-04-04 David Chaiken Server farm formed of systems on a chip
US20020064152A1 (en) * 2000-11-28 2002-05-30 Lemley Donald G. Packet voice gateway
US8095370B2 (en) * 2001-02-16 2012-01-10 Agiletv Corporation Dual compression voice recordation non-repudiation system
US20060092831A1 (en) * 2004-11-01 2006-05-04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bstitution of card-based telephony bearer channel switch modules in a manner that preserves stable calls
US8599871B2 (en) * 2005-08-31 2013-12-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paging a multi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7676229B2 (en) * 2006-08-31 2010-03-09 Syniverse Technologies, Inc. Cellular-to-VoIP call establishment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oftware
US8972885B2 (en) 2008-08-29 2015-03-03 8X8, Inc. Networked contact center user interface
US8238538B2 (en) 2009-05-28 2012-08-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tateful home phone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6202A (en) * 1977-04-11 1978-11-04 Nec Corp Composite data exchange system
FR2458957B1 (fr) * 1979-06-13 1986-02-07 Telediffusion Fse Concentrateur teleinformatique pour reseau de transmission et de commutation de donnees par paquets
US4313036A (en) * 1980-02-19 1982-01-26 Rolm Corporation Distributed CBX system employing packet network
NL8104368A (nl) * 1981-09-23 1983-04-18 Philips Nv Digitale telefooncentrale met voorzieningen voor het behandelen van pakketgeschakelde data.
JPS58114646A (ja) * 1981-12-28 1983-07-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網間接続制御方式
DE3210439A1 (de) * 1982-03-22 1983-09-2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uebertragen von nachrichtensignalen zwischen mit unterschiedlichen uebertragungsprozeduren arbeitenden vermittlungsstellen eines ersten vermittlungsnetzes und eines zweiten vermittlungsnetzes
US4556972A (en) * 1983-12-27 1985-12-03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for routing data packets through a circuit switch
US4592048A (en) * 1984-05-03 1986-05-27 At&T Bell Laboratories Integrated packet switching and circuit switching system
JPS6130148A (ja) * 1984-07-20 1986-02-12 Nec Corp 時分割電話交換網とパケツト交換網との接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71A (ko) 1987-10-27
JPS62231546A (ja) 1987-10-12
EP0238984A3 (en) 1989-09-27
EP0238984A2 (en) 1987-09-30
CA1268845C (en) 1990-05-08
CA1268845A (en) 1990-05-08
US4723238A (en) 198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244B1 (ko) 회로 스위치 및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상호 연결용 인터페이스 회로
JP2679635B2 (ja) Lan間接続装置
US5062108A (en) ISDN codeset conversion
US7170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an ANSI type radio access network in the internet protocol based core network
US69504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via a packet-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
JP2894319B2 (ja) 移動体データ通信方式
EP0777397A2 (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utilization of the bridged shared line appearance feature
JP3265282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装置
JP2716984B2 (ja) 通信方法
JPH07154428A (ja) Isdnによるlan間接続方式
JP2812767B2 (ja) パケット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27545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호 처리를 위한발신호 및 착신호 처리 방법
EP0869689A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mergency calls
KR100243480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최초 승인 메시지처리 방법
KR100243482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식별 메시지처리 방법
JP3001534B1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isdnサービス方法
KR100248663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이밍 지연보상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4866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 채널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3231809B2 (ja) 交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48666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마스터 채널 식별메시지 처리 방법
JP2000217136A (ja) V5.2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式
JPH04223635A (ja) パケット交換機
JPH0341844A (ja) Isdn端末アダプタ
JPH03220948A (ja) 着信端末プロトコル識別方式
JP2001077862A (ja) プロトコル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