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820Y1 -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820Y1
KR910002820Y1 KR2019880001044U KR880001044U KR910002820Y1 KR 910002820 Y1 KR910002820 Y1 KR 910002820Y1 KR 2019880001044 U KR2019880001044 U KR 2019880001044U KR 880001044 U KR880001044 U KR 880001044U KR 910002820 Y1 KR910002820 Y1 KR 910002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efrost
auxiliary relay
temperatur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573U (ko
Inventor
김정주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1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820Y1/ko
Publication of KR890016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5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8Defroster control by ti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고온 냉매에 의한 제상 방식의 냉동 사이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상 제어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제상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X1,X2: 보조 릴레이 21D : 전자변
2D : 제상 타이머 52C :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
26D : 온도 개폐기 X1a,X2a,X2b : 보조 릴레이의 a,b접점
2Da : 제상 타이머의 접점 21Da : 제상 타이머의 접점
21Da : 전자변(21D)의 밸브
본 고안은 냉동기의 사이클에서 타이머 및 온도 개폐기에 의하여 고온 냉매가 제상 동작을 수행하는 제상 제어 방식에 있어서 타이머에 의한 제상 운전 기간 동안 제상 종료 온도 개폐기가 동작하여 제상 운전이 반복(=발정)수행 하므로서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상 발전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은 제1도에서와 같이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어진 냉매가 응축기(2)와 모세관(3)을 통함으로서 증발기(4)에 전달되어 그 증발기(4) 주위 온도가 강화되는 구조이다.
이 동작에 의하여 증발기(4)의 주위에는 성애가 발생되어지는데 이외 성애를 주기적으로 제거시키기위해 종래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제상 타이머(2D)가 설정된 제상 시간이 되면 그 a접점(2Da)을 턴온하여 보조릴레이(X1)을 여자 시킨다.
그러면 보조릴레이(X1)의 a접점(X1a)이 턴온하여 제1도의 밸브(21Da)을 개방 시킴으로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4)로 유입시켜 성애를 제거하게 한다.
즉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에 의해 증발기(4)의 냉각코일 온도가 상승됨으로서 그 주위의 성애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승되는 온도가 제상 종료 개폐기(26D)가 임의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순간 그 a접점(H)은 b접점(L)으로 접속되어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제상 동작을 완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문제점은 제상 종료 개폐기(26D)가 b접점(L)으로 접속되는 순간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가 동작을 하여 냉동 운전이 되는 상태가 되면서 증발기(4)의 온도를 강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4)의 온도가 강하되면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의 b접점(L)은 a접점(H)으로 접속되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설명에서 제상 타이머(21D)의 설정시간은 끝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온도 개폐기(26D)의 접점이 접점으로 접속되어지게 되면서 보조릴레이(X1)와 전자변(21D)이 동작하여 고온 증기 바이패스용 밸브(21Da)가 개방되어져 고온 고압의 냉매가 증발기(4)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이에 냉동 사이클은 제상타이머(2D)가 닫혀있는 동안 제상 및 냉동 운전이 복합되어 동작됨으로서 필요이상으로 냉각코일이 가열되어 냉동능력이 감소하고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제상 제어 회로에서 발생하는 결점인 제상 타이머의 제상기간 중 제상 및 냉동 운전이 반복되어 필요이상 냉각코일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능력을 향상 시킴으로서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실현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제2도에서와 같이 전원(T1,T2)에 제상 타이머(2D)와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 및 보조 릴레이(X1)의 a접점(X1a)이 접속된 전자변(21D)을 병렬 연결 시키고 보조 릴레이(X1)에는 보조 릴레이(X1)의 접점(X2)을 연결하여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의 a접점(H)에 접속시키고 그 b접점(L)에는 보조 릴레이(X2)와 자기 유지 a접점(X2a)를 병렬 연결하여 제상 타이머(2D)의 a접점(2Da)과 보조 릴레이(X1)의 a접점(X1a)에 연결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인 점은 증발기(4)의 냉각 코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온도 개폐기(26D)에 의해 여자된 보조릴레이(X2)가 제상 타이머(2D)의 제상시간 동안 보조 릴레이(X1)의 여자됨을 방지하게 하여 제상 타이머(2D)의 제상시간내에 재상 및 냉동 운전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서 이의 상세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서는 제상 타이머(2D)의 a접점(2Da)이 턴오프 되어 있고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의 접점은 a접점(H)으로 접속된 것으로 하여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에 의해서 압축기(1)가 동작 함으로서 냉동 사이클은 냉동 운전이 수행중인 것으로 한다.
이로서 융측기(2)에서 액화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3)에 의한 감압 장치를 통과하게 됨으로서 확산되어져 증발기(4)에 유입되어 그 주위 온도를 낮추어 주게 된다.
이에 증발기(4)에는 온도차에 의한 성애가 발생되어지게 된다.
이때 이 성애를 제거시키기 위해 임의 주기로 설정된 시간을 갖고 동작을 하는 제상 타이머(2D)가 여자되면서 그 a접점(2Da)이 턴온하게 되면 전원(T1)은 온도 개폐기(26D)의 a접점(H)과 보조 릴레이(X2)의 b접점(X2b)을 통해 보조 릴레이(X1)에 전달된다.
따라서 보조 릴레이(X1)는 여자되면서 그 a접점(X1a)에 의해 자기 유지 되어진다.
동시에 a접점(X1a)에 의해 전자변(21D)이 여자되면서 제1도의 밸브(21Da)가 개방 되어 진다.
이에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4)로 유입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에 의해 그 증발기(4)의 냉각 코일이 가열되어 온도는 상승되어 진다.
따라서 증발기(4)의 상승되는 온도에 의해 성애가 제거되는 것인데 이 상승되어 온도가 증발기(4)의 냉각코일에 부착되는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가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접점은 a접점(H)위치에서 b접점(L)으로 접속 되어진다.
이에 보조 릴레이(X1)가 소자 되면서 b접점(X1b)에 의해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가 여자 되면서 압축기(1)를 기동시키고 냉동 사이클을 냉동 운전으로 수행 시키게 한다.
와 동시에 보조 릴레이(X1)의 a접점(X1a)은 턴 오프 됨으로 전자변(2D)은 소자되어 그에 의하여 동작하는 밸브(21Da)는 닫혀져 압축기(1)에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차단 시킨다.
한편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의 접점이 b접점(L)위치에 있는 상태이므로 전원(T1)은 접점(2Da)와 b접점(L)을 통해 보조릴레이(X2)에 전달 되어져 그 보조 릴레이(X2)를 여자 시키고 또한 그 a접점(X2a)에 의해 자기 유지 되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동 운전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증발기(4)의 온도가 강하 되어지면 온도 개폐기(26D)의 (b)접점은 a접점(H)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 개폐기(26D)가 a접점(H)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더라고 보조 릴레이(X2)는 자기 유지 a접점(X2a)에 의해 자기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b접점(X2b)가 턴오프되어 보조 릴레이(X1)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제상 타이머(2D)가 동작하고 있는 기간에도 보조릴레이(X1)의 a접점(X1b)에 의하여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가 여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압축기(1)는 냉동 운전을 계속 하게 됨으로 제상 동작의 반복(발정)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후 제상 타이머(2D)의 설정 시간이 끝나게 되면 보조 릴레이(X2)는 소자 되면서 보조 릴레이(X1)가 여자되어 상기와 같은 제상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냉동기에 적용시에는 제상시 증발기의 냉각 코일을 필요 이상으로 과열시키지 않으므로 고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상이 빈번하게 반복됨에 따라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냉동기에서 제상 제어를 위해 보조 릴레이(X1)의 a,b접점(X1a,X1b)이 접속된 전자변(21D)과 압축기용 전자 접촉기(52C) 및 제상 타이머(2D)를 전원(T1,T2)에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는 제상 제어 회로에 있어서 보조 릴레이(X1)에 보조 릴레이(X2)의 b접점(X2b)을 직렬연결하여 제상 종료용 온도 개폐기(26D)의 a접점(H)에 접속시키고 그 b접점(L)에는 보조 릴레이(X2)와 자기 유지 a접점(X2a)을 병렬연결하여 제상 타이머(2D)의 a접점(2Da)과 보조 릴레이(X1)의 a접점(X1a)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KR2019880001044U 1988-01-30 1988-01-30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KR910002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044U KR910002820Y1 (ko) 1988-01-30 1988-01-30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044U KR910002820Y1 (ko) 1988-01-30 1988-01-30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73U KR890016573U (ko) 1989-08-19
KR910002820Y1 true KR910002820Y1 (ko) 1991-05-02

Family

ID=1927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044U KR910002820Y1 (ko) 1988-01-30 1988-01-30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8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73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820Y1 (ko) 냉동기의 제상 발정 방지 회로
GB1591693A (en) Refrigerator-freezer
JPH09318165A (ja) 電気冷蔵庫
JPS60555B2 (ja) マルチタイプ冷凍機の容量制御装置
KR10055743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527365B2 (ja) 冷凍サイクル
JPH0311660Y2 (ko)
KR910002819Y1 (ko) 히터 제상 제어 회로
JP2590111B2 (ja) 熱回収形冷温水装置の制御回路
KR0162415B1 (ko) 냉장고의 냉동실 온도조절 방법
KR900010730Y1 (ko) 냉동기의 제상에 따른 저압상승 방지 및 제상발정 방지회로
JPH02259379A (ja) 車両用冷凍装置
JPS5835982Y2 (ja) 冷凍サイクルの運転装置
KR200293109Y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장치
KR910000132Y1 (ko) 간냉식 냉장고의 제상장치
KR950006023Y1 (ko) 냉동기기의 제상장치
JPH07190582A (ja) 低温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運転方法
KR0166666B1 (ko) 핫가스를 이용한 평대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600782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US2895306A (en) Hot gas defrost system including bypass-suction line heat exchange
KR100370091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S6110147Y2 (ko)
JPH0728547Y2 (ja) 冷却装置の除霜制御回路
JPS5914686Y2 (ja) セパレ−ト型冷蔵庫
JPS6036867Y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