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121B1 - 엔진용 스타터 - Google Patents

엔진용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121B1
KR910002121B1 KR1019880700216A KR880700216A KR910002121B1 KR 910002121 B1 KR910002121 B1 KR 910002121B1 KR 1019880700216 A KR1019880700216 A KR 1019880700216A KR 880700216 A KR880700216 A KR 880700216A KR 910002121 B1 KR910002121 B1 KR 91000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rear bracket
contact
rotating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833A (ko
Inventor
슈조 이소즈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36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06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5345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838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5345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0077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2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the motors having longitudinally-shiftable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being of the coaxi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7Reduction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용 스타터
종래, 유성치차 감속장치를 내장한 이 종류의 스타터의 한 예로서 제1도에 도시하는 것 같은 것이 있었다.
이 도면에 있어서 (100)은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이며 이하에 서술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101)은 전기자코어, (102)는 중간부에 전기자 코어(101)를 설치한 전기자 회전축이며 전기자(100)의 후부에 콤뮤테이터(103)가 끼워져 있다. 이 콤뮤테이터(103)에는 전기자 코어(101)에 감겨져 있는 전기자 코일(104)이 접속되어 있다.
(105)는 콤뮤테이터(103)에 접촉하는 브러시 및 지지기이며, 볼트(106)에 의해 후방 브래킷(107)에 결합되어 있다. (108)은 전기자 회전축(102)을 그 후방단부에서 피봇하는 베어링이며, 후방 브래킷(107)의 요부에 끼워져 있다. (109)는 직류 전동기의 요크이며, 전기자(100)에 계자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영구자석(109a)를 내주면상에 고정설치하고 있으며, 그 요크(109) 단면에는 유성치차 감속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치차(110)를 끼운 전방 브래킷(1l1)이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전기자 회전축(102)의 전단부에는 평치차가 형성되고, 이와 내부치차(110)양쪽에 복수의 유성치차(113)가 맞물려 있다. (114)는 이 유성치차(113)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베어링이며 지지핀(115)에 의해 피봇된다. (116)은 지지핀(115)을 끼우는 플랜지이며, 유성치차 감속 장치의 아암을 구성하고 있으며 출력 회전축(117)이 고착된다. (118)은 상기 내부치차(110)의 돌기 내주면에 끼워지는 슬리이브 베어링이며 출력 회전축(117)을 피봇하고 있다. (119)은 출력회전축(117)의 후부 내주면 요부에 끼워진 슬리이브 베어링이며, 상기 전기자 회전축(102)의 전단부를 피봇하고 있다. (120)은 전기자 회전축(102) 및 출력 회전축(117)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된 강구이며 트러스트를 주고받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121)은 출력 회전축(117)의 중간부의 외주에 형성된 헬리컬 스플라인 치이며, 오버런닝 클러치(112)가 전후 미끄럼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움되어 있다. (123)은 오버런닝 클러치(1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온(124)의 축방향 이동량을 규제하는 출력축(117)의 전단부에 설치된 스톱퍼이며, (125)는 출력 회전축(117)을 전단부에서 피봇하는 슬리이브 베어링이며 전방 블래킷(11)의 전단부 내면에 끼워진다. (126)은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서 성형된 중간부에 회전축(126a)을 갖는 레버이며, 전자 스위치(127)의 플런저(128)와 오버런닝 클러치(122)의 외주부에 각 단부를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결합된다. (129)는 가동 접점이며, 절연체(130)를 거쳐서 로드(131)에 부착되며, 로드(131)는 전후 미끄럼 가능하도록 코어(132)에 삽입되어 있다. (133)은 고정 접점이며, 너트(134)에 의해 절연체인 캡(135)에 고정되어 있다. (136)은 플런저(128)를 가동하는 여자 코일이며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보빈(137)에 감겨 케이스(138)에 내장되어 있다. (139)는 리이드 와이어이며, 고정 접점(133)과 브러시 및 지지기(105)의 브러시를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스타터 스위치를 폐쇄함으로서 전자 스위치(127)의 여자 코일(136)이 통전되며, 플런저(128)가 가동되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로드(131)을 후방으로 밀고, 가동 접점(129)과 고정 접점(133)을 맞닿게 한다. 이것으로 고정 접점(133)으로부터 리이드 와이어(139)를 거쳐서 브러시 및 지지기(105)를 통해서 전기자(100)에 급전이 행해지며 전기자(100)가 회전력을 발생한다. 전기자(100)의 회전은 평치차(112)로부터 유성치차(113)에 전달되며, 유성치차 감속 기구에 의해 감속 되어서 오버런닝 클러치(122)에 전달된다. 이때, 오버런닝 클러치(122)와 결합되어 있는 피이온(124)은 회전구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동된 플런저(128)의 힘은 레버(126)를 회전축(126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오버런닝 클러치(122)를 피니온(124)과 더불어 전방으로 축선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킨다. 이로써 피니온(124)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크랭크축에 장치된 플라이 휠에 고정 설치된 링 기어와 맞물린다.
엔진의 시동후에 있어서는 피니온(124)에 대한 엔진의 회전 작용에 의해 오버런닝 클러치(122)가 피니온(124)으로부터 이탈되며 피니온(124)만이 공전한다.
종래의 엔진용 스타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자 스위치와 직류 전동기 본체는 병렬축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에 장착되는 경우, 전자 스위치의 스페이스를 엔진 또는 엔진부를 제외한 차량측에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차량둥에 있어서의 엔진 레이아웃의 계약을 초래하는 둥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 전방브래킷의 선단부가 엔진 미션 하우징내의 예컨대 플라이 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플라이휠의 형상이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전자 스위치와 전동기가 직렬축학, 그리고 소형으로 구성되며 또한 출력 회전축의 피봇을 피니온으로부터 보면 치우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장착성이 우수한 엔진용 스타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계하는 엔진용 스타터는 관형의 전기자 회전축을 가지는 전동기와,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와, 이 클러치 기구에 맞물리도록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력 회전축과 전자력에 의해서 상기 출력 회전축을 축선 방향으로 미는 이동체를 가짐과 동시에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켜서 상기 전동기에 급전하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자 회전축의 관내에 상기 출력회전축의 후부와 상기 이동체의 전부를 서로 역방향으로부터 삽입한 구성이며, 상기 전동기의 후방 브래킷을 플라스틱 성형하고, 상기 후방 브래킷의 전방에 전기자 회전축의 후방을 피봇하는 베어링이 끼워지는 凹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후방 브래킷에 고정 접점을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것으로써 전동기의 전기자 회전축, 출력회전축 및 전자 스위치의 축부가 일축상에 배열되는 직렬축하에 수반하는 전장의 신장이 감소되어 소형이 되며, 게다가 경량이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기에 대한 급전을 위한 콤뮤테이터로서 면형 콤뮤테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으로 전장은 보다 짧은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형 콤뮤테이터에 접촉하는 브러시를 유지하는 흘더부를 후방 브래킷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 접점을 배치하기 위한 요부를 상기 홀더부와 상기 베어링용 요부를 피해서 설치하고 있다.
게다가 또한 전자 스위치의 케이스의 전단부에 있는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에 결합하는 코어의 형상에 대웅해서 후방 브래킷의 후단부에 후방 브래킷의 요부로 통하는 절결부를 설치하고 후방 브래킷의 후단부를 케이스 내주면에 결합 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것으로 전장이 보다 짧아진다. 또,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요부의 치수를 크게 잡고 고정 및 이동 접점을 크게할 수 있으여 대용량화가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전방은 해당 구성요소의 우측을, 후방은 그 좌측을 각각 나타내며, (1)은 직류전동기의 전기자이며, 이하에 서술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2)는 전기자 코어, (3)은 중간부에 전기자 코어(2)가 장착되며 관형 구멍(3a)을 갖는 관형인 전기자 회전축이며, 연장면이 그 축선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예컨대, 직교하는 평면형인 브러시 접촉면(4a)를 가지는 면형 콤뮤테이터(4)가 그 후단부에 끼워지며, 이면형 콤뮤테이터(4)에는 전기자 코어(2)에 감겨져 있는 전기자 코일(5)이 적절히 접속되어 있다.
(6)은 브러시이며, 그 후방에 배치된 스프링(6a)에 의해 전방으로 가동되며 브러시 선단이 브러시 접촉면(4a)에 가압 접촉된다. (7)은 플라스틱 성형된 직류 전동기용 후방 브래킷이며 브러시(6)를 전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중심 축선의 주위에 이 축선과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흘더용 구멍(7a)과 이 홀더용 구멍(7a)보다 그 축선측에서 후단부로부터 전방에 형성된 요부(7b)를 갖는다. 또, 후방 브래킷(7)을 요부(7b)의 저면 중앙부에 축선 방향인 전후 방향에 축용 관통 구멍(7c)과 이 축용 관통 구멍(7c)의 전단부인 후방 브래킷(7)의 전방에 설치된 베어링용 요부(7a)를 갖는다. 또한, 후방 브래킷(7)은 요부(7b)의 내주면으로부터 홀더용 구멍(7a)으로 통하는 요부(7b)의 구멍(7e)과 요부(7b)의 내주면으로부터 홀더용 구멍(7a)이 없는 후방 브래킷(7)의 부분을 홀더용 구멍(7a)에 대해서 예컨대 직교하도록 설치된 나사 관통 구멍(7f)을 갖는다. (8)은 전기자 회전축(3)의 후방 최단부를 피봇하는 베어링이며, 베어링용 요부(7d)에 끼워져 있다.
(9)는 후방 단면을 후방 브래킷(7)의 전방 단면에 결합되어 있는 직류 전동기의 요크이며, 전기자(1)에 계자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영구 자석(9a)을 내주면상에 고정설치하고 있으며, 전방 단면의 단차형의 외주에는 유성 치차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치차(10a)를 창설한 전방 브래킷(10)이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차형인 후방 단부를 이용해서 장착된다.
이 전방 브래킷(10)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의 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계단형 요부에 의해 구멍 직경이 작게되어 있으며, 후방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치차(10a)와 내측 중간부에 형성된 베어링용 요부(10b)와 전방의 소경 구멍(10c)과 후단면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나선구멍(10d)을 가지고 있다. (11)은 전기자 회전축(3)의 전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태양 치차로서의 평치차(12)는 유성 치차이며, 평치차(11) 및 내부치차(10a)간에서 그들 양쪽에 맞물리고 있다. (13)는 유성치차(12)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베어링, (14)는 베어링(13)을 지지하는 지지핀, (15)는 종래와 마찬가지인 오버런닝 클러치 기구가 있는 오버런닝 클러치이며, 축선에 가까운 위치의 내주면에 설치한 헬리컬 스플라인치(15a)와 이 전방에 이 내경보다 구멍 직경이 작은 내부 돌기(15b)를 가지는 오버런닝 클러치 내부 부재(15A)와, 이것에 결합 또는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며 후방에서 지지핀(14)을 고착하고 있는 오버런닝 클러치 외부부재(15B)와, 오버런닝 클러치 내부부재(15A)와 오버런닝 클러치 외부부재(15B)간에 배치된 롤러(15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6)은 오버런닝 클러치 내부부재(15A)에 끼우져 래디얼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며, 전방 브래킷(10)의 요부(10b)에 끼워진다. (17)은 후방 단면에 요부(17a)를 가지는 출력 회전축이며, 중간부에 전기자 회전축(3)의 전단입구의 관내경보다 직경이 큰 스플라인 결합치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헬리컬 스플라인(15a)로 전후미끄럼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19)는 스플라인 결합치(18)의 이 뿌리로부터 출력 회전축(17)의 축선에 가까운 그 전방 측면과 내부 돌기(15b)의 후방 단면 사이에 개재하는 스프링이며 출력 회전축(17)을 항시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20)은 출력 회전축(17)을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스플라인(21)에 결합된 피니온, (22)는 출력 회전축(17)의 전단부에 설치된 스톱퍼이며 피니온(20)의 후방의 요부와 출력회전축(17)의 단차간에 개재하는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는 피니온(20)을 출력 회전축(17)에 걸기 위한 것이다.
(23)은 전기자 회전축(3)의 관형 구멍(3a)의 내구면에 끼워지며, 관형 구멍(3a)의 전단 입구로부터 삽입된 출력 회전축(17)의 후방을 피봇하며, 출력 회전축(17)의 전후 방향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가능케하고 있는 슬리이브 베어링, (24)는 요크(9)의 전단 중앙부에 있는 베어링용 구멍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이며, 전기자 코어(2) 설치부와 평치차(11) 사이에서 전기자 회전축(3)을 피봇하고 있다.
(25)는 전기자(1)를 갖는 직류 전동기의 후방에 직결된 전자 스위치이며, 여자시 전기자(1)에 급전을 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와, 마찬가지로 출력 회전축(17)에 추력을 부여하는 기구를 가지며, 이하에 서술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26)은 전단측에 개구를 갖는 케이스이며, 전단면을 후방 브래킷(7)의 후단면에 맞부딛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27)은 케이스(26)의 후방 브래킷(7)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전후 방향으로 볼트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 (28)은 플랜지부(27)의 구멍에 삽통되며 나선구멍(10d)에 나사 결합하며, 케이스(26)를 직류 전동기에 체결해서 후방 브래킷(7)에 결합시키는 볼트이다. (29)는 여자코일(30)이 감겨지며, 감김 구멍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케이스(26)내에 수용된 보빈이다. (31)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이며, 후방에 중공부(31a)가 있고 케이스(26)내에서 보빈(29)의 감김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지며, 전방이 중공부(31a)와 연결되는 구멍을 전후 방향으로 가지는 플런저 관부(31b)로 되어 있다. (32)는 케이스(26)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끼워져 단차로 보빈(29)을 고정하고 중앙부에 베어링용 구멍(22a)을 갖는 코어, (33)는 코어(32)의 후단면과 플런저(31)의 후방의 전방 단차 사이에 개재하는 스프링이며 플런저(31)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34)는 코어(32)의 베어링용 구멍(32a)에 끼워진 베어링이며, 플런저관부(31b)를 전후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피봇하고 있다.
(35)는 종단면이 T자형인 플런저 로드이며, 후단부가 중공부(31a)내에 배치되며 중공부(31a)내에서 후방에 배치된 스프링(36A)에 의해 후단면이 전방으로 밀려져 가압된다. 그 후단부로부터 전방 부분이 로드형이며, 플런저 관부(3lb)를 관통해서 축용 관통 구멍(7c)을 통과하고 또한, 전기자 회전축(3)에 그 후단 입구로부터 삽입되며 전기자 회전축(3)의 후단부의 관형 구멍(3a)에 끼워진 베어링(36B)로 피봇된다. 이 플런저 로드(35)의 전단면은 요부(17a)에 접촉되어 있는 강구(37)에 항상 닿아 있다. (38)은 요부(7b)와 코어(32) 사이의 공간내에 있는 플런저 관형부분(31b)의 전단부의 외주면상에 장착된 절연체이며, 전방 가장자리에 단차가 있다. (39)는 끼움 구멍이 있는 가동 접점이며, 절연체(38)의 그 단차부에 끼워져 있다.
(40)은 L자형인 고정 접점이며, 요부(7b)에 내장되어서 그 한 변이 가동 접점(39)과 대향 배치된다. (41)은 고정 접점(40)의 한변에 다른 한 변과는 반대측으로 결합된 나사이며, 나사 관통 구멍(7f)을 통해서 후방 브래킷(7)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부분에 너트(42)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로써 외부단자가 구성됨과 동시에 고정 접점(40)이 후방 브래킷(7)에 고정화 된다.
또한, 고정 접점(40)내에 도시하지 않은 직류 전원에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브러시(6)의
Figure kpo00001
측에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 와이어로 접속되며, 또, 브러시(6)의
Figure kpo00002
측은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 와이어로 접지되어 있다. 또, 상기 직류 전원의
Figure kpo00003
측 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 와이어이며 너트(42)의 체결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 관계가 없는 고정 접점(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원은 도시하지 않은 스타터 스위치를 거쳐서 여자 코일(30)에 접속되어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도시한 후방 브래킷(7) 및 고정 접점(40)등의 상세도이며, 제3a도는 후방에서 본 배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40a,40b)는 고정 접점(40)의 각각을 도시하며, (42a,42b) 너트(42)의 각각을 나타내며 (43a)는 고정 접점(40a) 결합된 나사(41a)와 너트(42a)로 구성되는 B단자, (43b)는 고정 접점(40b)에 결합한 나사(41b)와 너트(42b)로 구성되는 M단자이다. B단자(43a)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와이어를 거쳐서 직류 전원의
Figure kpo00004
측 단자에 접속되며, M단자(43b)는 도시하지 않는 리드 와이어를 거쳐서 홀더용 구멍(7a)내의 브러시(6)의
Figure kpo00005
측에 접속된다. 또한, 요부(7b)는 그단원 기동형의 요부에 중심축선에 대해서 그 양측에 직사각형 요부를 이어붙인 형상을 취하고 있다. 고정접점(40)는 그 직사각형 요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원에는 제1도에 도시한 여자 코일(30)이 도시되지 않은 스타터 스위치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4도는, 제2도에 단면으로 도시한 후방 브래킷 (7)과 케이스(26)와 코어(32)와의 관계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케이스(26)의 전단부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26)의 내주면은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서 단차(26a)로 되어 있다. 또, 코어(32)의 원호직경 및 후방 브래킷(7)의 후단부의 외경은 이 단차(26a)에 끼워지도록 케이스(26)의 개구 직경과 대략 같다. 또, (7h)는 후방 브래킷(7)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도의 요부(7b)에 통하는 한쌍의 절결이며, 코어(32)에 대응한 위치와 크기로 흘더용 구멍(7a)을 피해 설치되어있다. 이같은 구성으로 케이스(26)의 단차(26a)에 코어(32)를 끼우며 이 코어(32)와 절결(7h)을 대응시켜서 같은 단차(26a)에 후방브래킷(7)의 후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스타터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시에는 여자코일(30)은 비통전 상태이므로 여자되지 않으며, 플런저(31)에 가해지는 힘은 스프링(33)의 힘뿐이다. 이스프링(33)에 의한 후방으로의 가압에 의해 플런저(31) 및 플런저 로드(35)는 이동 범위내에서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회전축(17)은 전자 스위치(25)로부터 추력을 받지 않으며 스프링(19)에 의한 후방으로의 힘을 받아서 전기자 회전축(3)의 전단면과 스플라인 결합치(18)의 우측면이 결합하는 도시한 위치까지 후방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 이때엔 가동 접점(39)은 고정 접점(40)과 떨어져 있으므로 고정 접점(40)이 떠있는 상태로 되며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기자(1)로 급전이 행해지지 않으며 전기자(1)는 정지되어있다.
상기 스타터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서 여자코일(30)이 통전되어서 여자되며 이 여자에 의한 전자력으로 플런저(31)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39)도 전방으로 이동해서 가동 접점(39)이 고정 접점(40)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고정 접점(40) 끼리가 가동 접점(39)을 거쳐서 단락되며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고정 접점(40)을 흐르며, 고정 접점(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브러시로부터 면형 콤뮤테이터(4)를 흐르며, 또한 전기자 코일(5)을 흘러서 접지측에 이른다. 이같은 전기자(1)의 통전으로 발생된 회전력은 평치차(11)로부터 유성치차(12)로 전달되며, 유성치차(12)의 공전력으로 되어 오버런닝 클러치(15)에 전달된다. 오버런닝 클러치(1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플라인에 끼워져 있는 헬리컬 스플라인치(15a)로부터 스플라인 결합치(18)로 전달된다. 이것으로 출력회전축(17)은 피니온(20)과 더불어 일체적으로 전기자(1)의 회전에 대해서 감속된 형태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가압된 플런저(31)가 스프링(36A)을 거쳐서 플런저 로드(35)를 앞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므로 출력 회전축(17)은 강구(37)를 거쳐서 플런저 로드(35)로부터 전방으로의 추력을 받고 이 추력으로 스프링(19)의 힘에 대향해서 피니온(20)과 더불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엔 스플라인 정합치(18)는 헬리컬 스플라인치(15a)와 결합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해서 그 결합 위치가 변화된다. 출력 회전축(17)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소정 구멍(10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피니온(30)은 엔진에 부설된 플라이 휠의 외주상에 링 기어와 맞물린다. 따라서, 전기자(1)의 회전력은 피니온 기구에 의해 감속된 형태로 상기 링 기어에 전달되며 상기 엔진을 시동시킨다.
상기 엔진의 시동 직후에는 엔진의 회전력이 상기 링 기어를 거쳐서 피니온(20)에 전달되므로 피니온(20)이 출력 회전축(17)과 더불어 회전을 빨리하며, 이 회전에 의한 롤러(15c)의 작용으로 오버런닝 클러치(15)가 이탈되며 피니온(20)은 출력 회전축(17)과 더불어 공전한다.
또한, 시동후, 상기 스타터 스위치를 개방한 때에는, 스타터는 상기 초기상태(도시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콤뮤테이터로서 면형 콤뮤데이터를 사용한 경우를 설명했으나 종래의 콤뮤데이터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기자 회전축과 출력 회전축간에 유성치차 감속기구를 갖춘 것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출력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할 필요가 없는 경우엔 유성치차 감속 기구가 없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동기의 자계를 발성하는 것으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자극 철심에 코일을 감은 것이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접점(40)과 브러시(6)의
Figure kpo00006
축을 리이드 와이어로 접속하였으나 리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구멍(7e)을 통한 직경 접촉만이라도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등에 사용되는 엔진용 스타터, 특히 유성치차 감속장치를 내장하는 것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엔진용 스타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엔진용 스타터의 단면도.
제3a도는 후방 브래킷 및 고정 접점의 배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후방 브래킷, 코어 및 케이스의 조립도이다.

Claims (5)

  1. 관형인 전기자 회천축을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축방향 일단측얘 있어서 상기 전기자 회전축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회전축과 상기 전기자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 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전동기의 축방향 타단측에 설치되어 전자력에 의해 상기 출력 회전축을 축선 방향으로 밀어 미끄럼시키는 이동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전자력에 의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켜서 상기 전동기에의 급전을 행하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자 회전축의 관내에 상기 출력 회전축의 후부와 상기 이동체의 앞부분을 서로 역방향으로부터 삽입한 엔진용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후방 브래킷(7)을 플라스틱 성형하고, 상기 후방 브래킷(7)의 전방에 상기 전기자 회전축(3)의 후단부를 피봇하는 베어링(8)이 끼워지는 베어링용 요부(7d)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 브래킷(7)에 상기 고정 접점(40)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스타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회전축(3)의 후방에 끼워진 콤퓨테이터(4)를 브러시(6)선단과 접촉하는 평면형 접촉면을 가지는 면형 콤퓨테이터(4)로 하고 상기 후방 브래킷(7)의 베어링용 요부(7d) 주위부분에 상기 브러시(6)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홀더용 구멍(7a)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스타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며 후방이 중공부(31a)이고 전방이 상기 중공부에 이어지며 상기 축선 방향인 이동 방향의 구멍을 갖는 플런저(31)와 후단부가 상기 중공부(31a)내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부(31a)내에 후방 배치된 스프링(36A)에 의해 앞쪽으로 가동되며 상기 후단부로부터 전방이 로드형으로 되어 있는 플런저 로드(35)로 구성하고, 상기 플런저(31)의 전방 외주에 절연체(38)를 거쳐서 상기 가동 접점(39)을 상기 고정 접점(40)의 접점면에 마주보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스타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브래킷(7)에 홀더용 구멍(7a)과 베어링용 요부(7d)를 피해서 상기 고정접점(40)이 내부 설치되는 요부(7b)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 브래킷(7) 요부의 (7b)의 공간내에 상기 고정접점(39)을 마주보도록 가동 접점(40)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스타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스위치의 케이스(26)의 후방 브래킷(7)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에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전기자 회전축(3)의 관형 구멍(3a)내로 안내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코어(32)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코어(32)의 형상에 대웅해서 상기 후방 브래킷(7)의 후단부에 절결부(7h)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 브래킷(7)의 후단부를 상기 케이스(26)의 내주면의 단차(26a)에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스타터.
KR1019880700216A 1986-10-03 1987-10-01 엔진용 스타터 KR910002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36559 1986-10-03
JP61236559A JPS6390666A (ja) 1986-10-03 1986-10-03 エンジン用スタ−タ
JP61-153450 1986-10-06
JP1986153451U JPH0528380Y2 (ko) 1986-10-06 1986-10-06
JP61-153451 1986-10-06
JP1986153450U JPS6360077U (ko) 1986-10-06 1986-10-06
PCT/JP1987/000730 WO1988002568A1 (en) 1986-10-03 1987-10-01 Starter for eng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833A KR880701833A (ko) 1988-11-05
KR910002121B1 true KR910002121B1 (ko) 1991-04-04

Family

ID=2732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216A KR910002121B1 (ko) 1986-10-03 1987-10-01 엔진용 스타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81416A (ko)
KR (1) KR910002121B1 (ko)
WO (1) WO1988002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9521B1 (ko) * 1988-04-01 199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JPH02153259A (ja) * 1988-12-02 1990-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始動電動機
JPH02260347A (ja) * 1989-03-30 1990-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および接点集合体
JPH03239841A (ja) * 1990-02-14 1991-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遊星歯車装置
US5167162A (en) * 1990-05-22 1992-12-01 Mitsuba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Starter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41893Y2 (ja) * 1990-06-08 1995-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H0495325A (ja) * 1990-07-31 1992-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スイッチ装置
JPH04136481A (ja) * 1990-09-28 1992-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同軸形スタータ
KR920008333A (ko) * 1990-10-15 1992-05-27 시끼 모리야 스타터 장치
JP2793741B2 (ja) * 1992-05-29 1998-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同軸形始動電動機
JP3072714B2 (ja) * 1995-09-04 2000-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減速機構付スタータ
US6443023B1 (en) 1996-05-24 2002-09-03 Denso Corporation Starter having improved electromagnetic switch
EP1453183B1 (en) * 1999-02-25 2012-04-11 Denso Corporation Brush holder arrangement of dc motor
JP4618516B2 (ja) * 2006-11-16 2011-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2012125034A (ja) * 2010-12-08 2012-06-28 Hitachi Ltd 永久磁石式回転電機及びその回転子製造方法
JP5991189B2 (ja) * 2012-12-20 2016-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2020004848A (ja) * 2018-06-28 2020-01-09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ソレノ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3765A (en) * 1941-04-10 1943-11-09 Scintilla Ltd Star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T165002B (de) * 1947-01-29 1950-01-10 Siemens Ag Elektrische Anlaß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US2687789A (en) * 1948-08-19 1954-08-31 Joseph J Mascuch Driving mechanism
US2578094A (en) * 1950-03-10 1951-12-11 Jack & Heintz Prec Ind Inc Engine starter jaw meshing mechanism
GB782191A (en) * 1954-12-01 1957-09-04 Karel Sigmund Electrically actuated start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994887A (en) * 1961-05-12 1965-06-10 Espanola Magnetos S A Femsa Fa Improvements in engine starter drives
DE2233838A1 (de) * 1972-07-10 1974-01-31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JPS5143315U (ko) * 1974-09-27 1976-03-31
DE2448069A1 (de) * 1974-10-09 1976-04-22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DE2511073A1 (de) * 1974-10-11 1976-04-22 Gould Inc Bleilegierung
FR2331186A1 (fr) * 1975-11-07 1977-06-03 Paris & Du Rhone Perfectionnements aux demarreurs electriques
JPS5752773A (en) * 1980-09-12 1982-03-29 Kawasaki Heavy Ind Ltd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US4366385A (en) * 1980-10-22 1982-12-28 Facet Enterprises, Inc. Engine starter drive
JPS6021560U (ja) * 1983-07-20 1985-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部減速型スタ−タ
JPS6078981U (ja) * 1983-11-07 1985-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同軸型スタ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81416A (en) 1989-11-21
WO1988002568A1 (en) 1988-04-07
KR880701833A (ko) 198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121B1 (ko) 엔진용 스타터
KR930004519B1 (ko) 엔진용 스타터
US4852417A (en) Starter for engine
US20050178222A1 (en) Starter
KR920003824B1 (ko) 동축형 시동기
US4962340A (en) Engine starter with variable length front bracket
US9617964B2 (en)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10010192B1 (ko) 동축형 기동기
KR930000928B1 (ko) 동축형 스타터
KR940009056B1 (ko) 시동전동기
KR920001944B1 (ko) 동축형 시동기
EP0300058B1 (en) Coaxial engine starter
US6006618A (en) Starter motor with rear bracket elements fixed by through-bolts
EP1429022B1 (en) Starter having pinion-rotation-restricting member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
JPS6390666A (ja) エンジン用スタ−タ
JPH0528380Y2 (ko)
KR940009055B1 (ko) 동축형 스타터
JP3644116B2 (ja) スタータ
JP3663691B2 (ja) 出力軸摺動型スタータ
JPH063189Y2 (ja) 同軸形スタータ
KR930001168B1 (ko) 동축형 스타터
JPH06100164B2 (ja) スタ−タ用電磁ソレノイドのプランジヤ機構
JP2000009003A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のピニオン固定構造
KR930003122B1 (ko) 동축형 스타터
WO2000026533A1 (en) Engine starter having an axially stationary overru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