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04B1 -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04B1
KR910001904B1 KR1019830001667A KR830001667A KR910001904B1 KR 910001904 B1 KR910001904 B1 KR 910001904B1 KR 1019830001667 A KR1019830001667 A KR 1019830001667A KR 830001667 A KR830001667 A KR 830001667A KR 910001904 B1 KR910001904 B1 KR 91000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plunger
bracket assembly
spring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483A (ko
Inventor
에이 야아넬 제이므즈
Original Assignee
데이나 코오포레이션
슈우 에이 그리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나 코오포레이션, 슈우 에이 그리핀 filed Critical 데이나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를 가진 시프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강력 트랜스미숀의 부분 단면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랜스미숀 12 : 시프트 제어장치
14, 16, 17, 18 : 시프트 레일 22, 24 : 러그
26 : 채널 30 :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72 : 하우징 74, 78 : 보어
80 : 플런저 82 : 캠 표면
96 : 포펫트 볼
본 발명은 손으로 작동되는 트랜스미숀의 시프트 레일(shift rail)에 사용하기 위한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기어 시프트 레버의 운동을 보조하고 레버 위치를 물리적으로 감지하거나 그러한 감지를 증진시키는데 스프링 부하 플런저(spring loaded plunger)가 이용되는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각을 이루고 치우쳐 배치된 스프링 및 포펫트 볼 시스템과 함께 직접 스프링 부하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다. 그 스프링 및 포펫트 볼 시스템들은 그러한 플런저들을 그들의 최외측 위치에 "스프링 고정(spring lock)"시키는데에만 이용되어왔다.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가 강력한 트럭 트랜스미숀의 가장 낮은 기어비의 작동에서는 만족스러웠으나, 고속도로에서 빈번히 이용되는 상단, 즉 가장 높은 기어비들중에서 변속하는데에는 만족하지 못하였다.
시프트 레버는 변속을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일에 결합하는 시프트 핑거를 포함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가장 높은 기어비들에서의 변속들과 관련하여 시프트 레버 제어력은 가벼운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것은, 운전자가 동일한 스프링력하에서 시프트 레버를 먼쪽으로(즉,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래일쪽으로) 밀때 보다는 그의 오른쪽 무릎쪽으로(즉, 대부분의 트럭에서의 제1 및 후진 시프트 레일쪽으로) 횡으로 시프트레버를 당기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언덕에서의 주행중 변속에 있어서, 빈번히 이용되는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레일과 관련하여 스프링 복귀력이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그의 정규 작동에서 2개의 별도의 스프링 시스템을 요하고 따라서 제조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그리하여, 가장 높은 기어비들 사이 변속에서 가벼운 스프링 복귀력을 제공하고 제조가 간단하며 저렴하게 되는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강력 트랜스미숀의 가장 높은 기어비들중에서 변속하는데 있어서 통상 이용되는 것보다 더 만족하고 더 간단하며 저렴한 시그트 브라켓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가장 낮은 기어비의 시프트 레일과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레일 모두에 유사한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가 가끔 이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 따라,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낮고 보다 바람직한 스프링 복귀력을 달성하도록 오히려 간단히 개조될 수 있다. 그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2가지의 통상 이용되는 스프링 시스템들중 하나만을 요하고, 스프링 복귀력이 직접적인 형 또는 직렬형인 다중 스프링 시스템들 이용하는 기존 차량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그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시프트 레일에 그와 함께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횡방향으로 정렬되고 계단진 보어를 가지고 있다. 그 보어에는 계단진 플런저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그 플런저는 스프링 부하 포펫트 볼과 협동하도록 배치된 캠 표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포펫트 볼이 블런저의 모든 작동 위치에서 캠 표면과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플런저에 대한 모든 직접적인 스프링력이 제거된다.
제1도는 강력한 트럭 트랜스미숀(10)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를 구비한 시프트 제어장치(12)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손으로 변속되는 트랜스미숀의 각종 구조에 이용될 수 있으나, 제1 및 2도에 도시된 트랜스미숀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프트 제어장치(12)는 7가지의 전진 속도와 하나의 후진 속도를 위한 시프트 레일(14)(16)(17)(18)을 포함하며, 시프트 레일(14)는 가장 높은 기어, 즉 6번째와 7번째의 것을 나타내고, 시프트 레일(16)은 다음으로 높은 기어, 즉 4번째와 5번째의 것을 나타내고, 시프트 레일(17)은 낮은 기어, 즉 2번째 및 3번째의 것을 나타내며, 시프트 레일(18)은 가장 낮은 비의 기어, 즉 첫번째 및 후진의 것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각 시프트 레일은 트랜스미숀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시프트 포오크(20)의 운동을 지지한다. 그 시프트 포오크는 제2 및 제3기어의 시프트를 제어하는 시프트 레일(17)을 위한 것으로만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시프트 포오크는 각 시프트 례일에 부착되어 있고, 통상의 것과 같이 시프트 핑거(도시안됨)를 수용하는 채널 또는 슬로트(26)을 형성하는 1쌍의 러그(lug)(22)(24)(제1도)를 가지고 있다. 편리를 위해, 러그(22) 및(24)는 시프트 레일(14)(16)(17)(18)과의 관련을 나타내기 위해 첨자 A, B, C, D와 함께 표시되었다.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 및 (30)은 각각 가장 낮은 비의 레일과 가장 높은 비의 레일인 시프트 레일(18) 및 (14)에 부착된다(제2도 참조). 그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들이 제3 및 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여, 가장 낮은 비의 시프트 레일에 사용하는데 적당한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을 먼저 설명하여, 본 발명의 배경은 물론 옛날것과 새것의 차이를 설명한다.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레일들에 이용되어 왔으나 불만족스러웠든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보어(34)를 가진 하우징(32)를 포함하며, 그 보어에서 하우징(32)가 나사(36)(제2도)에 의해 시프트 레일(18)에 취부된다. 보어(34)는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있고, 그에 수직, 즉 횡으로 제2보어(38)이 연장하여 있으며, 제2보어(38)내에 플런저(40)이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보어 및 플런저는 오직 양 방향으로만 플런저(40)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계단져 있다. 그리하여, 각각 제2보어 및 플런저의 견부(42) 및 (44)는 서로에 대해 작용하여 플런저 운동을 위한 기계적인 정지 또는 제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그 플런저는 직렬의 스프링(46)의 압력에 대항하여 그 보어내에 고정적으로 보유된다. 그 스프링(46)은 플런저(40)의 후단부(52)와 로울 핀(50)사이에 배치된다. 그 플런저는 환상의 홈(54)을 가지고 있고, 그 홈에 대하여 포펫트 볼(56)이 밀어붙여져 그 플런저를 도시된 바와 같은 그의 신장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 홈은 포펫트 볼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궁형 면(62)를 가지고 있어, 플런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포펫트 볼이 블런저를 고정시킨다. 이 목적을 위해, 하우징(32)는 전술한 2개의 보어(34) 및 (38)을 연결하는 제3의 보어(58)을 가지고 있고, 그 보어(58)은 포펫트 볼(56)과 시프트 레일(18)사이에 배치된 제2의 스프링(60)을 수용하고 있다.
상기한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의 작동을 이하 설명한다. 트럭 운전자가 제2 또는 제3기어로부터 제1기어로 변속할때,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핑거는 그가 채널 또는 슬로트(26C)(제1도)에서 나와 슬로프(26D)내로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의 단부(53)에 지탱된다. 그 플런저(40)과 스프링(46)은 시프트 레일(18)내로의 시프트 핑거의 운동이 달성될때 운전자가 시프트 핑거의 위치를 느끼게 한다. 스프링의 복귀력은 횡으로 연장하는 중립 시프트 축선 8-8을 따라서 트랜스미숀의 중립 모우드에서만 제공되어 느껴진다. 그리하여, 슬로트(26D)가 결합되고 운전자가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시프트 레일(18)을 제1 또는 후진 위치로 이동시킨때 스프링력은 더 이상 느껴지지 않게 된다.
운전자가 제2 또는 제3기어 위치의 결합을 위해 시프트 레버를 중립 시프트 축선 8-8을 따라 시프트 레일(18)로부터 시프트 레일(17)로 이동시키는 반대 운동시, 스프링(46)은 기어 시프트 레버를 다음의 인접시프트 레일로 밀어 붙이는 것을 보조한다. 이런 타입의 종래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은 매우 높은 직접 복귀력을 가진다. 그러한 매우 높은 복귀력은 운전자가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힘을 보상하기 위해 시프트 레버에 당김력을 부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인접한 낮은 시프트 레일을 지나 부당하게 시프트 레버를 밀어 붙이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가 특히 심한 가장 낮은 제1 및 후진시프트 레일에의 적용에도 적당할 수 있다.
플런저(40)(제3도)의 작동을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를 시프트 레일(18)로 이동시킬때, 플런저(40)은 스프링(46)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눌리고 포펫트 볼(56)은 플런저(40)가 눌림에 따라 스프링(60)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밀린다. 포펫트 볼(56)이 홈(54)에서 나온후, 그 포펫트 볼은 플런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 붙이는 것을 중지한다. 그리하여, 포펫트 볼(56)이 홈(54)의 가장자리를 넘었을때는, 스프링(60)과 포펫트 볼(56)이 플런저(40)을 연장시키지 못하게 된다. 종래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의 그러한 양상에 대해,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30)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인식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특이한 한계가 제공된다.
제4도에서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30)이 도시되어 있고, 그 시프트 브라켓트 조질체는 하우징(72)와 보어(74) 및(78)을 포함하며, 그 보어들은 제3도의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의 보어(34) 및(38)과 유사하다. 유사하게, 너트(66)(제2도)이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30)을 그의 시프트 레일(14)상의 제위치에 유지시킨다. 더우기, 플런저(80) 및 보어(78)은, 그 플런저에 부여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플런저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견부(102) 및(104)를 각각 가지프록 계단져 있다.
플런저(80)의 단부(93)이 시프트 핑거와의 결합을 위해 배치되어 있다. 번호(92)는 플런저의 후단부를 나타낸다. 여기까지가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와 상기한 종래 기술과 유사한 점이다. 계단진 플런저(80)은 종래 기술의 플런저(40)의 홈(54) 대신에 캠 표면(82)를 가지고 있다. 그 캠 표면(82)는 플런저(80)이 스프링(100)과 포펫트 볼(96)의 작용에 의해 채널 또는 슬로트(26)내로 밀어 붙여지도록하는 방식으로, 러그(22)(24)쪽으로 각이져 있다. 그 캠 표면(82)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80)의 종축 94-94로부터 25-35도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보어(98)내에 배치된 스프링(100)은 보어(78)내 플런저(80)의 모든 작동 위치에서 플런저(80)의 캠 표면(82)에 대하여 포펫트 볼(96)을 밀어 붙이도록 작용한다. 그 스프링 및 포펫트 볼은, 플런저를 그의 우측 제한 수단에 대하여 밀어 붙이기 위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러그(22)(24)쪽으로 각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종래 기술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28)의 스프링(46) 및 로울 핀(50)이 본 발명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그 스프링(46)에 의해 발생되는 직접적인 힘이 제거되고, 표준 부품들의 사용에 의해 가벼운 제어력이 얻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는 트랜스미숀의 가장 높은 비의 시프트 레일에서 가벼운 스프링 복귀력을 이용하는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6)

  1.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시프트 레일에 그와 함께 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시프트 핑거 결합수단과, 그 결합수단까지 달하는 횡으로 정렬된 보어와, 그 보어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그 플런저의 일단부가 시프트 핑거에 접촉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반대측 단부는 시프트 핑거쪽으로의 상기 플런저의 횡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는 손으로 작동되는 트랜스미숀의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시프트 핑거 결합수단쪽 방향으로 각이진 캠 표면과, 상기 시프트 핑거쪽으로의 플런저의 횡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대하여 플런저를 압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그 압압 수단이 플런저의 모든 작동 위치에서 상기 캠표면과 결합하도록 항상 탄력적으로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이 스프링과 포펫트 볼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부하 포펫트 볼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레일에 지탱되고, 상기 볼이 플런저의 캠 표면과 접촉하며 상기 스프링과 캠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및 포펫트 볼이 상기 제한 수단에 대하여 플런저를 압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도록 각을 가지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이 플런저의 종축으로부터 25-35도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및 포펫트 볼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일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해 상기 캠 표면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쪽으로의 상기 플런저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플런저의 일단부의 견부와, 그와 결합하는 상기 보어내의 견부를 포함하고, 그리하여 그 견부들 사이의 접촉이 일방향으로만 상기 플런저의 운동을 제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 결합수단이,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가 시프트 핑거수용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1쌍의 러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KR1019830001667A 1982-04-21 1983-04-20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KR910001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064082A 1982-04-21 1982-04-21
US370640 1982-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83A KR840004483A (ko) 1984-10-15
KR910001904B1 true KR910001904B1 (ko) 1991-03-30

Family

ID=2346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667A KR910001904B1 (ko) 1982-04-21 1983-04-20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JP (1) JPS58191016A (ko)
KR (1) KR910001904B1 (ko)
AU (1) AU561830B2 (ko)
BR (1) BR8301447A (ko)
CA (1) CA1199254A (ko)
DE (1) DE3307988A1 (ko)
ES (1) ES8404071A1 (ko)
FR (1) FR2525783B1 (ko)
GB (1) GB2118646B (ko)
IN (1) IN160987B (ko)
IT (1) IT1167087B (ko)
MX (1) MX155326A (ko)
SE (1) SE450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725A (en) * 1983-10-28 1987-01-06 Dana Corporation Transmission and range box control
JPS6099357U (ja) * 1983-12-14 1985-07-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多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US4827793A (en) * 1988-06-01 1989-05-09 Dana Corporation Forward/center control sh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TW338815B (en) * 1995-06-05 1998-08-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recognition of handwritten input
WO2001051830A1 (de) * 2000-01-10 2001-07-19 Ise Industries Gmbh Schaltgetriebe für ein personenkraftfahrzeug
DE10302068B4 (de) * 2003-01-21 2014-07-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chaltarretier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8653A (en) * 1949-07-18 1951-01-16 Fuller Mfg Co Gated shift block
JPS4841285A (ko) * 1971-09-29 1973-06-16
JPS522063B2 (ko) * 1973-11-19 1977-01-19
US3937100A (en) * 1974-08-15 1976-02-10 Borg-Warner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GB1572317A (en) * 1978-03-30 1980-07-30 Eaton Ltd Shift control for change speed gear transmission for vehicles
US4866488A (en) * 1985-03-29 1989-09-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allistic transport filter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383283A (en) 1983-10-27
IN160987B (ko) 1987-08-29
SE8302210D0 (sv) 1983-04-20
IT1167087B (it) 1987-05-06
GB2118646B (en) 1985-07-17
FR2525783B1 (fr) 1986-09-19
GB2118646A (en) 1983-11-02
IT8347980A0 (it) 1983-03-24
SE450158B (sv) 1987-06-09
DE3307988A1 (de) 1983-10-27
CA1199254A (en) 1986-01-14
BR8301447A (pt) 1983-11-29
KR840004483A (ko) 1984-10-15
ES521719A0 (es) 1984-04-01
SE8302210L (sv) 1983-10-22
JPS58191016A (ja) 1983-11-08
GB8310422D0 (en) 1983-05-25
MX155326A (es) 1988-02-18
ES8404071A1 (es) 1984-04-01
FR2525783A1 (fr) 1983-10-28
AU561830B2 (en) 198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785A (en) Directly mounted master shift control
RU2415321C2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с переменным блокирующим усилием, препятствующим неправильному переключению передач
KR910001904B1 (ko) 시프트 브라켓트 조립체
KR850001872A (ko) 변속장치 이동간(稈) 연동장치 시스템
US6009769A (en) Shift lock units for shift lever devices
US4633725A (en) Transmission and range box control
US5476021A (en) Motor vehicle toothed change transmission shift device
GB2304836A (en) A ratio selector mechanism of a synchromesh vehicle transmission
US4561321A (en) Shift bracket assembly
EP1158213B1 (en) Shift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20020052282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0199620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후진 램프 스위치
KR100279999B1 (ko) 자동차 기어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84817Y1 (ko) 변속기의시프트레일절도기구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200162151Y1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100395728B1 (ko) 반자동 변속 자동차의 클러치 작동 장치
KR970010274A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KR200171002Y1 (ko) 시트 삽입형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19980015179U (ko) 차량의 후진오조작 방지기구
KR950006992Y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950000788Y1 (ko) 자동차의 후진 오동작 방지장치
KR0113384Y1 (ko) 자동차용 수동식 변속기의 클러치 자동 단속장치
KR0173994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