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560Y1 - 테이프 레코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560Y1
KR910001560Y1 KR2019870015296U KR870015296U KR910001560Y1 KR 910001560 Y1 KR910001560 Y1 KR 910001560Y1 KR 2019870015296 U KR2019870015296 U KR 2019870015296U KR 870015296 U KR870015296 U KR 870015296U KR 910001560 Y1 KR910001560 Y1 KR 910001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assette holder
tape
engagement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564U (ko
Inventor
다다오 아라다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5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560Y1/ko
Publication of KR890007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
제 1 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의 기구부분을 취출해서 표시한 정지 상태의 평면도.
제 2 도는 동 저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4 도는 동 Ⅳ-Ⅳ선 화살 표시도.
제 5 도는 동작 모드시의 제4도와 같은 상태도.
제 6 도는 동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3 : 리일축
12 : 테이프 카셋트 13 : 카셋트 홀더
14 : 정지조작부재 14e : 제1계합부
14f : 제2계합부 15 : 코일스프링
20 : 연동부재 20a : 제1피계합부
20b : 제2피계합부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종래 왕복동자세로 또는 스프링으로 복동(復動)방향에 부세(付勢)한 이젝트 레버(Bjict Lever)와, 이 이젝트 레버의 왕복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동부재와, 리일축을 돌설한 기판에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할수 있도록 장착되며, 또 테이프 카셋트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위치 까지 눌렀을때, 상기 기판측에 회동하여 상기 테이프 카셋트의 리일축 감합공(敢合孔)을 상기 리일축에 끼워놓는 카셋트 홀더 등을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는 공지이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1개의 스프링이 동작 모드시 카셋트 홀더를 반 이젝트축 (기판측)에 회동 부세 하는 기능과 이젝트시 테이프 카셋트를 카셋트 홀더 외방에 밀어내는 기능등을 겸비했었다.
따라서, 동작 모드시의 테이프 카셋트의 기판에의 유지를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카셋트 홀더를 반 이젝트측에 회동 부세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을 강하게 하면, 이젝트시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는 세력이 좋고 카셋트 홀더 외방에 튀어오를 염려가 있어서 위험하다.
그래서, 테이프 카셋트에 저항체를 습접(褶接)시킴으로서 이 테이프 카셋트의 튀어오름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저항체를 테이프 카셋트의 습접하는 것은, 카셋트 홀더에 테이프 카셋트를 장입할때 저항이 커지고, 장착 조작을 가벼운 힘으로는 할수 없음과 동시에, 테이프 카셋트에 상처를 준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약하게 하면, 카셋트 홀더에 대한 반 이젝트 측에의 회동 부세력이 약해지고, 테이프 카셋트의 기판에의 누르는 힘도 약해져, 이 기판에 대한 테이프 카셋트의 유지가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동작 모드 (Mode)시에 있어서 기판에 대한 테이프 카셋트의 유지를 안정화 함과 동시에, 이젝트시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가 튀어나오지 않고 부드럽게 카세트 홀더 외방에 내밀어지며 또 카셋트 홀더에 대한 테이프 카셋트의 장입조작을 가볍게 할수 있도륵 된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의 기구부분을 취출 하여 표시한 정지 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동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 선 화살표시도, 제4도는 Ⅳ 선 화살표시도로서, 도면중 1은 기판인바, 이 기판 1에는 캡스턴(Capstan)축 2과, 리일축 3과, 이들 캡스턴축 2와 리일축 3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와, 이 모터 4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스위치5등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축 2을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보스부(Boss 部) 6내에 이 기판 1의 하면측에서 회전자재로 감합되어 이 기판 1의 상면축에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축 2의 소정개소 외주면에 각설된 환상홈(環狀溝)내에 E 링등의 계지(係止)링 7을 계합함으로서, 이 계지링 7은 상기 보스부 6의 상단면에 당접 계지하여 상기 캡스턴축 2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일축 3은 상기 기판 1의 상면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모터 4는 상기 스위치 5를 통하여 전원 (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이 모터 4의 회전 동력은 동력전달 기구 8를 통하여 상기 캡스턴축 2에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 기구 8는,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 4의 회전축 4a에 고정된 소경의 제1풀리 8a와, 상기 캡스턴축 2의 하단부에 고정된 대경의 제2풀리 8b와, 이들 제1및 제2풀리 8a및 8b 사이에 장치된 고무등으로된 무단벨트 8c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1의 하면에는 헤드 취부판 9이 소정범위 이동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헤드 취부판 9의 일단측 상면에는 자기헤드(재생용) 10와 핀치롤러 11등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 자기헤드 10는 그 전면부가 테이프 카셋트 12의 테이프 (도시생략)에 접리(接梨)하는 것이다.
카셋트 12의 테이프를 통하여 접리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 취부판 9은 스프링 9a에 의하여 상기 핀치롤러 11가 캡스턴축 2에 당접(堂接)하는 방향(제2도중 좌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는 카셋트 홀더 13에 착탈자재로 지지된다.
이 카셋트 홀더 13는, 저벽 13a의 양측연부에 직각상방을 향하여 측박 13b,13c를 형성하며, 그 양측벽 13b,13c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1의 양측벽 1a,1b의 일단부 내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상방 즉, 상기 기판 1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가 이젝트 위치 (리셋트 위치이고, 또 하방 즉, 상기 기판 1에 근접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는 재생 모드위치(셋트 위치)이다.
상기 헤드 취부판 9은, 이젝트 겸 정지 조작부재 (이젝트 레버)14가 동작 모드 시 위치에서 정지 시 위치에 이동하는데 따라서 코일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정지시위치축(제2도중 우측)에 압압 이동된다.
상기 정지 조작부재 14는, 제4도 내지 제6도에서와 같이 주체 14a의 일측연부에 직각 상방을 향하여 측벽부 14b를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이 측벽부 14b의 전단부에 직각외방을 향하여 전벽부 14c를 절곡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정지 조작부재 14는, 그 주체 14a를 상기 기판 1의 하면에 위치하여 또 측벽부 14b는 상기 기판 1의 일측벽 1a의 외면에 위치하여 소정범위의 이동 자재로 장착하여져 있다.
상기 주체 14a의 하측연부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된 안내면 14d를 형성하며, 이 안내면 14d는 상기 헤드 취부판 9의 습접부 9b에 습동자재로 습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조작부제 14를 동작 모드시 위치에서 제1단계 위치 (빨리보냄 모드시 위치)까지 눌러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안내면 14d와 습접부 9b와의 습접으로, 상기 헤드 취부판 9은 상기 코일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재생모드시 위치에서 상기 핀치롤러 11는 상기 캡스턴축 2에서 약간 떨어진 빨리보냄 모드시 위치로 이동한다.
또,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상기 제1단계 위치에서 더욱 깊은 제2단계 위치(이젝트, 정지시 위치)까지 눌러 이동 시킴으로서 상기 안내면 14d와 습접부 9b와의 습접으로 상기 헤드 취부판 9은 상기 코일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상기 핀치롤 11를 상기 캡스턴축 2에서 최대한 떨어진 정지시 위치(이젝트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정지 조작부재 14는 코일스프링 15로 재생모드시 위치측 (제2도중 상방향)에 부세하고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 15는 일단이 상기 기판 1의 하면에, 하단이 상기 정지 조작부재 14의 주체 14a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재생 모드시 위치에 있는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제1단계 위치(빨리보냄 모드시 위치)까지 얕게 누르면, 이 정지조작부재 14는 제1단계위치, 즉, 빨리보냄 모드 위치에 계지 유지된다.
이 빨리보냄 모드시 위치에 있는 상기 정지 조작부재 14를 이젝트시 위치측에 가볍게 누른다음 이 정지 조작부재 14의 누름을 해제하면, 재차 재생모드시 위치로 돌아간다.
또 상기 빨리보냄 모드시 위치에 있는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이젝트시 위치측에 강하게 누르면 이젝트시 위치로 된다.
또 재생모드 위치에 있는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제1단계 위치에서 깊은 제2단계 위치 (이젝트시 위치)까지 누르면 이젝트시 위치로 된다.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이젝트시 위치로 이동 시킴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셋트에서 리셋트 위치로 회동한다.
또 리셋트 위치에 있는 상기 카셋트 홀더 13에 테이프 카셋트 12를 장입하여 소정위치까지 누름으로서 이 카셋트 홀더 13는 셋트 위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리셋트 위치 에서 셋트 위치로 회동함으로서 이 카셋트 홀더 13에 장입한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캡스턴축 감합공 및 리일축 감합공 (모두 도시생략) 이 상기 캡스턴축 2 및 리일축 3에 각각 끼워 맞추어짐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절결부 (切決部)(도시없음)을 통하여 상기 자기헤드 10 및 핀치롤러 11가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테이프에 접촉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셋트 위치에서 리셋트 위치로 회동 함으로서 상기 캡스턴축 감합공 및 리일축 감합공에서 상기 캡스턴축 2및 리일축 3은 각각 이탈함과 동시에, 상기 자기헤드 10및 핀치롤러 11도 상기 테이프에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계지부재 16에 의하여, 리셋트 위치에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지부재 16는, 제6도에서와 같이 좌우로 나란히한 높이가 낮은 계지면 17과 높이가 높은 카셋트 압출편 18등을 구비하며, 이 카셋트 압출편 18의 상단부에는 제3도중 좌 수평 방향을 향하여 연출한 스프링 걸이편 19을 갖고 있다.
상기 계지부재 16는 그 하단이 상기 기판 1의 지지벽 1c,1d에,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삽입 및 취출 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계지부재 16는, 카셋트 취출방향에 회동하므로서 그 계지편 17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에 당접 계지하여 이 카셋트 홀더 13의 셋트 방향에의 회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상기 카셋트 압출편 18은 카셋트 홀더 13내의 테이프 카셋트 12를 취출한 방향에 눌러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또 반대로,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를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내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이 테이프 카셋트 12로 상기 카셋트 압출편 18을 누름으로서 상기 계지부재 16는 삽입 방향에 회동되어, 상기 계지편 17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에서 벗어나, 그 계지 유지가 해제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카셋트 홀더 13에는 제1도와 같이 상기 카셋트 압출편 18의 이동을 허용하는 절결부 13d를 형성하며,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연동부재 (회동부재 )20를 통하여 상기 정지 조작 부재 14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 20는 제4도 내지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일측벽 13b(제1도중 좌측벽)에 일단이 회동자재로 장착되고 또 타단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선단부 일측방에 돌출한 연결편 13e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동부재 20의 일단측에는, 그회동 중심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출한 2 지상 (2 肢狀)의 각편으로된 제1, 제2피계합부 20a,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피계합부 20a,20b에는 상기 정지조작 부재 14의 일측연부에 그 이동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설한 돌기로 된 제1, 제2계합부 14e,14f가 계탈 자재로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정지조작부재 14가 재생 모드 위치에서 이젝트시 위치에 이동할때 (왕동시)는, 상기 제1계합부 14e를 제2피계합부 20b를 압압하므로서, 상기 연동부재 20는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반 기판 1측에 회동하여 리셋트 위치로 된다.
이 리셋트 회동후는, 상기 계합부 14e가 상기 제1피계합부 20a에 당접계합함으로서,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를 코일스프링 15의 부세력으르 이젝트시 위치로 계지 유지된다.
또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는 이젝트시 위치에서 재생모드시 위치에 이동할때 (복동시)는, 상기 제2피계합부 14f는 상기 제2피계합부 20b를 상기 코일스프링 15의 복원력으로 압압함으로서 상기 연동부재 20는 제4도중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카셋트 홀더 13를 상기 기판 1측으로 회동하여 셋트 위치로 된다.
상기 계지부재 16의 스프링 걸이편 19과 상기 연동부재 20의 하단의 스프링 걸이부 20c등에는, 꼬인 코일스프링 21의 각단부 21a, 21b를 각각 계지하고 있다.
상기 꼬인 코일스프링 21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가 셋트 위치에 있을때는, 이 카셋트 홀더 13를 상기 기판 1에 밀도록 작용하나, 상기 계지 부재 16를 카셋트 취출 방향에 부세하는 힘은 극히 약한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계지부재 16의 계지면 17과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전단연과의 압접력은 작고,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리셋트 위치 방향에 이동할때의 접촉 저항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것이다.
그래서 상기 카셋트 홀더 13를 셋트 위치에서 리셋트 위치 방향으로 회동해가면, 꼬인 코일 스프링 21은 점차 축세(蓄勢)하여 상기 계지부재 16의 카셋트 취출 방향에의 회동력을 점차 증대한다.
따라서,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리셋트 위치까지 상승하여 이 카셋트 홀더 13의 전단연이 상기 계지부재 16의 계지편 17에서 벗어나면, 상기 계지부재 16는 카셋트 취출 방향에 강하게 회동하여, 그 계지편 17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축에 당접 계지하고, 이 카셋트 홀더 13의 셋트 위치 방향에의 회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상기 카셋트 압출편 18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절결부 13d내에 삽입 하고, 상기 카셋트 압출편 18은 그 절결부 13d의 내단면에 닿게 되므로서, 상기 계지부재 16의 카셋트 취출 방향에의 회동이 정지한다.
반대로, 상기 카셋트 홀더 13는 제4도에서와 같이 리셋트 위치에 계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카셋트 홀더 13를 셋트 위치 방향에 부세하는 힘은 극히 미약한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는 상기 계지편 17의 상단과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과의 압접력은 작고,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를 삽입할때의 접촉 저항으로서는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를 상기 카셋트 홀더 13내에 삽입하며, 이 테이프 카셋트 12로 상기 계지부재 16를 카셋트 삽입 방향으로 회동해 가면, 꼬인 코일스프링 21은 점차 축세하여,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셋트 위치 방향에의 회동력은 점차 증대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를 상기 카셋트 홀더 13 충지벽(衝止壁)13f에 닿는 위치까지 삽입하여 상기 계지편 17의 상단이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에서 벗어나면, 이 카셋트 홀더 13는 셋트 위치 방향에 강하게 회동하여, 제5도시와 같이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를 장착 상태로 한다.
상기 카셋트 홀더 13에는 카셋트 누름부재 22가 형성되며, 이 누름 부재 22는 횡장(橫長)판제로 된 것으로, 그 양단부는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양측벽 13b,13c 상호간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 누름부재 22의 중간부에서 일단측 (제1도중 우단측)쪽에는, 카셋트 압압용 판 스프링 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판스프링 23의 타단측에은 카셋트 취출 방향으로 연출하고, 그 연출단측은 측벽 V 자상으로 골곡되어 이 골곡 코너부 23a의 하면은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상면에 접리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 누름 부재 22의 타단측 (제1도중 좌단측)에는, 꼬인 코일 스프링 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꼬인 코일 스프링 24는, 상기 카셋트 누름부재 22를 상기 카셋트 압압용 판 스프링 23은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상면에서 떨이지는 방향(제4도중 반시계 방향)에 부세함과 동시에, 상기 카셋트 누름부재 22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꼬인 코이스프링 24의 코일부 24a는, 상기 카셋트 누름부재 22의 타단에 장치되고 또 각 단부 24b,24c는 상기 카셋트 누름부재 22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일측벽 13b의 상단에 각각 계지되어 있다.
또 제1도중 25a, 25b는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저벽 13a의 상면 양측에 카셋트 삽입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조 안내부로, 상기 테이프 카셋트 12의 좌우방향의 위치 규제를 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26은,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일측벽 13b의 후단측 상면에는 형성된 단면 V자상 카셋트 누름부재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 상태에서는 카셋트 홀더 13가 리셋트 위치에 있고, 정지 조작부재 14가 정지시 위치에 있고 이 정지 조작부재 14의 안내변 14d에 의하여 헤드 취부판 9의 습접부 9b가 압압하면서 이 헤드 취부판 9은, 코일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핀치롤러 11는 캡스턴 축 2에서 멀리 떨어진 정지시 위치에 유지되고 또 이 스위치 5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셋트 홀더 13내에 테이프 카셋트 12를 강하게 누르면, 계지부내재 16의 계지면 17이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에서 벗어나, 이 카셋트 홀더 13는 셋트 위치 방향으로 회동하고, 테이프 카셋트 12의 캡스턴축 감합공 및 리일축 감합공에 캡스턴축 2 및 리일측 3이 각각 감합한 상태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카셋트 홀더 13의 셋트 위치에의 회동에 따라서 연동부재 20는 제4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제1피계합부 20a와 정지조작부재 14의 제1계합부 14e와의 당접 계합은 해지 되므로서, 정지조작부재 14의 정지시 위치에 이동한 상태의 계지를 해제하며, 이 정지조작부재 14는 코일스프링 15의 부세력으로 동작모드 위치에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서 정지조작부재 14의 제2피계합부 14f는, 연동부재 20의 제2피계합부 20b를 코일스프링 15의 복원력으로 압압함으로서, 연동부재 20를 통하여 카셋트 홀더 13는 기판 1측에 회동부세된다.
또 상기 정지조작부재 14의 동작 모드시 위치에의 이동에 따라서 스위치 5는 온 상태로 되고, 모터 4는 통전되어, 모터 4는 제2도중 시계 방향에 회전 구동한다.
또,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는 동작 모드시 위치에 이동하는데 따라서, 이 정지조작부재 14에 의한 헤드 취부판 9의 정지시 위치에 이동한 상태의 유지를 해제하고, 이 헤드 취부판 9은, 코일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제2도중 좌 방향에 이동하여, 동작 모드시 위치, 즉 재생모드시 위치로 되고, 자기헤드 10는 테이프 카셋트 12의 테이프에 접촉함과, 동시에, 핀치롤러 11는 이 테이프를 통하여 캡스턴축 2에 접촉한다.
이 캡스턴축 2에는 상기 모터 4의 회전 동력은 동력전달기구 8를 통하여 전달되므로서, 이 캡스턴축 2은 제2도중 시계 방향에 회전하고, 상기 리일축 3에도 상기 모터 4의 회전 동력 전달이 되므로서, 이 리일축 3은 제2도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 12의 테이프는 일방 (리일축 3에 감합하지 않는축)의 리일에서 타방 (리일축에 감합할축)의 리일을 향하여 주행되어 재생모드 동작을 한다.
이와같이 재생모드를 실행하여 일방의 리일에서 타방의 리일로 테이프를 모두 감으면 리일축 3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 리일축 3의 회전 정지에 따라서, 이 리일축 3과 모터 4와의 사이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모터 4에의 통전이 차단되며, 이 모터 4의 구동이 정지하게 됨과 동시에 캡스턴축 2의 회전도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이후, 테이프 카셋트 12를 카셋트 홀더 13에서 꺼내도록, 정지 조작부재 14를 코일 스프링 15의 부세력으로 제2도중 하측을 향하여 눌러서 정지시 위치에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서, 정지 조작부재 14의 안내면 14d에 의하여 헤드 취부판 9의 습접부 9b가 압압되어서 이 헤드 취부판 9은 코일 스프링 9a의 부세력으로 제2도중 후방향에 이동 하여서 핀치롤러 11는 캡스턴축 2에서 더욱 떨어진 정지시 위치로 되고, 핀치롤러 11및 자기헤드 10가 테이프 카셋트 12의 테이프에서 떨어진다.
또 상기 정지조작부재 14는 정지시 위치에 이동함에 따라서, 그 제1계합부 14e는 연동부재 20의 제2피계합부 20b를 압압함으로서, 이 연동부재 20는 제5도중 시계방향에 회동함에 따라서 카셋트 홀더 13는 리셋트 위치에 회동되고, 이 회동에 따라서 계지부재 16의 카셋트 압출편 18으로 테이프 카셋트 12는 카셋트 홀더 13외측에 밀어냄과 동시에, 계지부재 16의 계지편 17은 카셋트 홀더 13의 하면에 계지하고, 이 카셋트 홀더 13는 리셋트 위치에 유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정지 조작부재 14의 제1피계합부 14e가 연동부재 20의 제1피계합부 20a에 당접계합함으로서, 제4도에서와 같이 정지조작부재 14를 코일 스프링 15의 탄발력으로 이젝트시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왕복동 자재로 또 스프링으로 복동방향으로 부세한 이젝트 레버와, 이 이젝트 레버의 왕복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회동에 따라서 회동할수 있도록 장착하며, 또 테이프 카셋트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위치 까지 눌러 장입했을때, 상기 기판측에 회동하여 상기 테이프 카셋트의 리일축 감합공을 상기 리일측에 장치할 카셋트 홀더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에 제1 및 제2피계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에 상기 제1피계합부와 계탈 자재로 계합할 제1피계합부 제2피계합부등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이젝트 레버의 왕동시는, 상기 제1피계합부로 제2피계합부를 압압함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는 반 기판측에 회동하여, 이 회동후는 상기 제1피계합부가, 제1피계합부에 당접 계합함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를 당해 회동위치에 계지 유지하고 다시 상기 이젝트 레버의 왕동시는, 상기 제2피계합부로 상기 제2피계합부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압하므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를 기판측에 회동 부세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동작 모드시에 있어서, 기판에 대한 테이프 카셋트의 유지가 안정함과 동시에, 이젝트시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가 튀어나오지 않고 부드럽게 카셋트 홀더 외측으로 압출할뿐 아니라, 카셋트 홀더에 대한 테이프 카셋트의 장입 조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왕북동 자재로, 또 스프링(15)으로 복동방향에 부세된 이젝트 레버(14)와, 이 이젝트 레버의 왕복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회동부재(20)와, 리일축을 돌설한 기판에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할수 있도록 장착하며, 또 테이프 카셋트를 소정 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까지 눌러 장입했을 때 상기 기판측에 회동하여 상기 테이프 카셋트의 리일측(3)감합공을 상기 리일축에 감입시키는 카셋트 홀더(13)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에 제1및 제2피계합부 (14e,14f)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에 상기 제1피계합부와 계탈 자재로 계합할 제1피계합부(20a)와 제2피계합부(20b)등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이젝트 레버(14)의 왕동시는, 상기 제1피계합부(14e)로 제2피계합부(20b)를 압압하므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 (13)가 반기판측에 회동하고, 이 회동후는, 상기 제1피계합부(14e)가 제1피계합부(20a)에 당접 계합함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를 해당 회동 위치에 계지 유지하고, 다시, 상기 이젝트 레버(14)의 복동시는, 상기 제2피계합부(14f)에서 상기 제2피계합부(20b)를 상기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압함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 (13)를 기판측에 회동부세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
KR2019870015296U 1987-09-07 1987-09-07 테이프 레코더 KR910001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296U KR910001560Y1 (ko) 1987-09-07 1987-09-07 테이프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296U KR910001560Y1 (ko) 1987-09-07 1987-09-07 테이프 레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64U KR890007564U (ko) 1989-05-17
KR910001560Y1 true KR910001560Y1 (ko) 1991-03-15

Family

ID=1926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296U KR910001560Y1 (ko) 1987-09-07 1987-09-07 테이프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5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64U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5893A (en) Cleaner for a playing head of a cassette player
CA1094680A (en) Cleaner for a playing head of a cassette player
KR100245151B1 (ko) 디스크 매거진 착탈장치
KR910001560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77356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
US4161007A (en)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JPH0636502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装置の切換装置
US5617395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a front loading disc player
JP3042767B2 (ja) 車載用テープレコーダ
JPH045090Y2 (ko)
KR910001561Y1 (ko) 테이프 레코더
JPS6125092Y2 (ko)
JPH0554479A (ja) テーププレーヤ
KR970002833B1 (ko) 동작 상태 선택 기구
KR960006239Y1 (ko) 컴펙트 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가이드 및 스토퍼장치
KR960006236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JP2596182Y2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用マガジン
KR920005436Y1 (ko) 테이프레코더의 헤드착설판 동작제어장치
KR900001619Y1 (ko) 스라이드 조작기구
GB2208746A (en) Tape recorder
KR910009107B1 (ko) 이젝트 버튼장치
KR910001555Y1 (ko) 테이프 주행장치의 자동 정지장치
KR940002132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카세트홀더 구동장치
KR940000478Y1 (ko) 원격조작식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KR900001543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