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43Y1 -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43Y1
KR900001543Y1 KR2019850011607U KR850011607U KR900001543Y1 KR 900001543 Y1 KR900001543 Y1 KR 900001543Y1 KR 2019850011607 U KR2019850011607 U KR 2019850011607U KR 850011607 U KR850011607 U KR 850011607U KR 900001543 Y1 KR900001543 Y1 KR 900001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rrier
tape
tape cassette
su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068U (ko
Inventor
세이이찌로오 마쓰끼
후미야 야마다
마사히꼬 가와무라
마사시 가와모또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을 카아스테레오에 적용한 실시예, (a)테이프카세트 삽입상태 및 (b)인입,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그 (a)테이프 카세트 삽입상태, (b)인입상태 및 (c)는 플레이 상태를 표시하는 좌측면도.
제3도는 그 카세트 접동(摺動)부재의 지지부의 종단면도.
제4도는 카세트 접동부재의 평면도.
제5도는 카세트 접동부재를 구동하는 회동레버와 캠레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상자형 부재의 우측의 지지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상자형 부재의 좌측의 지지부의 좌측면도.
제8도는 상자형 부재의 (a)인입위치 및 (b)플레이 위치에 있어서 좌측면도.
제9도는 제1 및 제2의 캠레버와 구동핀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구동기구의 평면도.
제11도는 장진용토오크 리미터의 (a)수직단면도 및 (b)그 스프링부재의 평면도.
제12도는 유성(遊星)기어 기구의 평면도.
제13도는 헤드돌출 및 절환기구의 좌측면도.
제14도는 그 캠기어의 반원상캠과 접동레버의 캠산(山)과의 걸어맞춤을 표시하는 좌측면도.
제15도는 헤드회전 아암과 부채꼴 기어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제16도는 회전헤드의 평면도.
제17도는 (a)캠기어의 우측면도 및 (b)그와 대향하는 샤시의 측벽의 좌측면도.
제18도는 접동레버와 2개의 회동아암의 평면도.
제19도는 후방의 회동아암과 (a)핀치호울더 및 (b)아이들러 아암과의 동작을 표시한 평면도.
제20도는 토오크 절환기구의 종단면도.
제21도는 가이드 로울러의 사시도.
제22도는 FF/REW 구동기어의 좌측면도.
제23도는 FF/REW 기어의 절환을 표시한 평면도.
제24도는 탄성 보조판의 사시도.
제25도는 제2의 서브모우터의 부착 부분의 사시도.
제26도는 제2의 서브모우터를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2 : 상자형 부재
3 : 카세트 접동부재 4 : 승강아암
5 : 회동레버 6 : 제1캠레버
6a,8a : 캠홈 8 : 제2캠레버
9 : 캐리어 9a : 구동핀
19 : 태양기어 20 : 유성(遊星)기어
21 : 결치내치태양기어(決齒內齒太陽齒車)
본 고안은 예컨데 카아스테레오나 휴대형의 VTR 등에 사용하는 소형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1개의 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의 장진·이젝트 및 테이프 플레이를 행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구동력 전달기구의 도중에 설치한 결치기어에 의해서 그 동작 절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으나 이와같은 것에 있어서는 결치기어의 기동시에 충격음이 발생하여 불쾌하며 또 모우터에 대하여 큰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그분만큼 정규격의 큰 것을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장치의 결점을 개량하는 것이며 메인모우터의 구동력에 따라 테이프 카세트의 장진·이젝트 및 테이프 플레이를 할 수가 있어 전환동작이 원활하며 충격이 없고 메인 모우터에 과대한 부하를 걸지않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메인코우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의 장진·이젝트 및 테이프 플레이를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에서 메인모우터의 구동력전달 기구의 일부에 설치되어,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전하지 않는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와 동축으로 축받이되어 태양기어와 비교적 약한 힘으로 마찰 결합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지지되어 태양기어 및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유성기어로부터 이루어진 유성기어기구와, 캐리어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서 구동되어서 테이프카세트를 각각 장진 및 이젝트하는 슬로트인 방식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메인모우터가 정회전 하였을 때 유성기어가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맞물려서 캐리어가 정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카세트를 장진한 후 유성기어가 결치내치 태양기어의 결치부(決齒部)에 대향하여 캐리어가 정지하고 계속 메인모우터가 정회전하여 테이프 플레이를 하고 또 메인모우터가 역회전 하였을 때 캐리어가 태양기어와 마찰 결합하고 있으므로써 역방향으로 조금 회동하고 이어서 유성기어가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맞물려서 캐리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이젝트한다.
[실시예]
본 고안을 카아스테레오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그 전체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며 동도(a)는 테이프카세트 삽입상태( 및 이젝트 상태)를 또 동도(b)는 인입상태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2도는 그 좌측도면이며, 동도(a)(b)는 제1a,b도에 대응하며, 제2c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플레이위치에 하강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테이프 플레이어는 오오토리버어스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테이프카세트 장진·이젝트기구·헤드돌출 및 방향절환기구, FF/REW 기구 등을 갖추고 또 그것 등을 구동하는 메인모우터(MM), 제1서브모우터(SM1) 및 제2서브모우터(SM1)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의 기구를 중심으로 순차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테이프 카세트(1)를 삽입 및 배출하는 테이프 카세트 삽입구를 정면(제1도에 있어서 하측, 제2도에서 우측)에 갖추고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를 직접 간직하는 상자형부재(2)가 승강아암(4)의 선단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자형부재(2)의 천판에 형성된 긴홈(2a)에 카세트 접동부재(30가 접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서 (A)카세트 삽입위치와 (B)인입위치의 사이를 이동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인입 및 압출을 행한다.
승강아암(4)은 그 기단을 샤시에 축받이(4a)되어 상자형부재(2)를 (b)인입위치와 (c)플레이 위치와 사이에서 하강 및 상승시킨다.
상자형부재(2)의 저판은 그의 폭이 테이프 카세트 삽입구에 향하여 서서히 좁게되어 있어서 그 선단에 아래쪽으로 경사하는 돌출편(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세트(1)가 테이프카세트 삽입구에 대하여 다소 뒤틀린 상태로 삽입되어도 돌출편(2b) 및 그것에 연속하여 서서히 넓게되는 부분에 안내되어 확실하게 상자형부재(2)내에 삽입된다.
이돌출편(2b)은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 삽입구의 중앙 가까이 설치되어도 좋고 혹은 테이프 카세트 삽입구의 좌단 또는 우단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접동부재(3)는 그 상측에 돌설된 칼라플랜지 부착 샤프트(3a)에 의해서 상자형부재(2)의 천판에 형성된 긴홈(2a)에 걸어맞추어서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해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칼라 플랜지 부착 샤프트(3a)의 샤프트부와 긴홈(2a)의 벽과의 사이에 금속제의 원통상로울러(3b)가 또 그 칼라플랜지부와 상자형부재(2)의 상면과의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환상와샤(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접동부재(3)는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분에 탄성을 가지는 걸어맞춤돌편(3d)를 갖추어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는 리일축 구멍에 이 걸어맞춤돌편(3d)이 걸어맞추어져서 테이프 카세트(1)를 가볍게 간직한다.
카세트 접동부재(3)는 그의 후단에 형성된 슬리트(3e)에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레버(5)의 선단의 긴핀(5a)이 걸어맞추어서 회동레버(5)의 회동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의 인입 및 이젝트시의 압출을 행한다.
회동레버(5)는 제5도의 분해 사시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토오션스프링(5b)을 통하여 제1캠레버(6)에 결합되어 토오션 스프링(5b)이 휘어지므로 회동레버(5)만이 조금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를 손으로 테이트 카세트 삽입구로부터 삽입했을 때 삽입하는 힘에 의하여 토오션스프링(5b)이 휘어지므로서 카세트 접동부재(3)가 조금 후퇴하여 그 작동편(3f)이 스위치레버(7)를 회동시켜서 메인모우터(M)를 가동시킨다.
토오션 스프링(5b)은 비교적 엉성하게 감아서 그의 자유길이가 회동레버(5)의 기단의 토오션 스프링 부착부분의 간격으로부터 수% 길게 되어 있어서 압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되어 있으므로서 토오션 스프링(5b)이 경사되기 힘들고 또 경사하여 지지축에 접촉한 경우에도 그의 맞닿는 힘이 약하므로 긴 사이에 지지축이 깍여져서 금속 가루가 흐트러질 염려가 없고 종래장치와 같이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토오션스프링과 지지축과의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제1캠레버(6)의 캠홈(6a)에 캐리어(9)에 돌설시킨 구동핀(a)이 걸어맞추어져 캐리어(9)가 회동한때 카세트 접동부재(3)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부재(2)의 천판의 좌단 및 중앙으로부터 우측 가까이의 위치에 상방을 향하여 굴곡부(2c)가 형성되어서 천판으로부터 각각의 절곡부(2c)에 걸쳐서 L자형을 한 걸어맞춤홈(2d)이 형성되여 있다.
승강아암(4)의 선단양측에는 L자형을 한 걸어맞춤돌기(4b)가 각각 선단을 외측에 향하여 돌설되며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걸어맞춤돌기(4b)가 상자형부재(2)의 걸어맞춤홈(2d)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걸어맞춤돌기(4b)는 소위 반뽑기로 형성되어 승강아암(4)보다 조금 낮게 되어 있으므로 굴곡부(2c)의 머리가 장치의 상면에 돌출하지 않고 테이프플레이어의 두께를 조금이라도 작게 할려는 카아스테레오에 있어서는 극히 유효하다.
좌측의 걸어맞춤홈(2d)의 길이는 좌측의 걸어맞춤돌기(4b)의 선단부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길게 되어 있어서 승강아암(4)에 대하여 상자형부재(2)가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을 향하여 부세되어 이에 따라서 걸어맞춤돌기(4b)가 걸어맞춤홈(2d)로부터 빠져나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자형부재(2)와 승강아암(4)과의 조립에서는 먼저 우측의 걸어맞춤돌기(4b)를 걸어맞춤홈(2d)에 걸어 맞춤시켜서 좌측을 걸어맞춘후 상자형부재(2)를 우측으로 부세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므로 극히 간단하다.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승강아암(4)의 선단과 샤시의 측벽과의 사이에는 스프링(4c)이 설치되어 동도(a)인입위치에서는 약하고 또 동도(b)플레이 위치에서는 강하며 각각 승강아암(4)의 선단을(즉 상자형부재(2)를)아래쪽으로 압압한다.
승강아암(4)은 동도(a)인입위치에 있어서는 기단부에 설치한 비교적 강한 스프링(4d)을 통하여 제2의 캠레버(8)와 맞닿아서 이 스프링(4d)의 부세력에 의해서 상자형부재(2)를 상승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동도(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의 캠레버(8)의 걸어맞춤끝이 후퇴하면 승강아암(4)과 동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자형부재(2)를 플레이 위치에 이동시켜서 제2캠레버(8)는 더욱이 후퇴하여 스프링(4d)으로 부터 분리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승강아암(4)의 선단에 간판스프링(4e)이 돌설되어서 그 선단이 상자형부재(2)의 천판에 맞닿아서 제2c도 및 제8b도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력을 주고 있다.
그 목적은 상자형부재(2)의 걸어맞춤홈(2d)이 (승강아암(4)의 회동량을 크게 취할 수 없다는 이유로)카세트 인입상태에 있어서 상자형부재(2)의 중심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a)인입위치와 (b)플레이위치와의 이동도중에 있어서 상자형부재(2)의 중력에 의한 반시계방향으로의 경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1캠레버(6) 및 제2캠레버(8)는 동시에 캐리어(9)에 돌설된 구동핀(9a)에 의해서 구동이 된다.
그 캠홈(6a) 및 (8a)의 형상은 각각 제9도(a) 및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캐리어(9)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최초 제1캠레버(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최후의 근소한 회동에 의해서 제2캠레버(8)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최초 제1캠레버(6)가 회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제2캠레버(8)는 회동하지 않고 또 최후에 제2캠레버(8)가 회동할때에는 제1캠레버(6)는 회동하지 않는다.
즉 최초 카세트 접동부재(3)가 후퇴하여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를 인입위치에 이동시켜서 다음에 승강아암(4)이 회동하여 테이프 카세트(1)를 플레이위치로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젝트시에는 캐리어(9)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전혀 반대의 경과를 거쳐서 테이프 카세트를 배출한다.
구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0도는 구동기구의 개략을 표시한 것이다.
메인 모우터(MM)에 의해서 메인벨트를 통하여 포오워어드 측 플라이 휘일(10) 및 리버스측 플라이 휘일(11)이 구동이 되어 테이프주행방향에 응하여 각각 플레이 아이들러기어(12) 또는 (13)을 통하여 리일대(14) 및 (15)의 어느것인가 한쪽이 회전구동이 된다.
포오워어드측의 플레이 아이들러 기어(12)로부터 장전용 토오크 리미터를 갖춘 기어(16) 및 (18)를 통하여 태양 기어(19)와 동축으로 고정된 대기어(19a)가 구동이 된다.
제1서브모우터(SM1)에 의해서 회전헤드의 헤드돌출 및 핀치로울러, 플레이아이들러 기어의 절환이 행하여진다.
제2서브모우터(SM2)에 의해서 FF/REW용 아이들러기어(22)의 절환을 한다.
제11도는 장진용 토오크 리미터기구를 표시한 것이다.
소경의 기어(18)와 그것에 간격을 두고 동축에 고정된 마찰원판(18a)과의 사이에 대경의 기어(16)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기어(16)와 (18)와의 사이에 동도(b)에 표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다리를 갖춘 형상의 탄성을 가지는 만곡된 스프링부재(17)가 개재되어 이에 따라서 기어(16)를 마찰원판(18a)에 압접하여 양자를 마찰을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가 고장 등에 의해 도중에서 정지한 바와 같은 경우 대경의 기어(16)와 마찰원판(18a)과의 마찰 걸어맞춤이 벗어나서 이것에 의해 상류(上流)의 구동기구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염려는 없다.
제12도는 테이프카세트 장진·이젝트기구의 구동기구인 유성기어 기구를 표시한 것이다.
대경의 기어(19)와 동축으로 고정된 태양기어(19)에 유성기어(20)가 맞물려서 또 유성기어(20)는 태양기어(19)와 동축에 샤시가 설치되어 회전하지 않는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려 있다.
유성기어(20)는 태양기어(19)와 동축으로 축받이된 캐리어(9)에 지지되어 캐리어(9)는 태양기어(19)와 약한 힘으로 마찰 걸어맞춤이 되어 있다.
캐리어(9)에 돌설된 구동핀(9a)이 카세트 접동부재(3)를 이동시키는 제1캠레버(6) 및 승강아암(4)을 회동시키는 제2캠레버(8)의 캠홈(6a) 및 (8a)에 걸어맞춤 되어 있다(제9도 참조).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지금 메인 모우터(MM)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태양기어(19) 및 유성기어(20)가 화살표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려져 있으므로 캐리어(9)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동도(b)의 상태를 거쳐서 동도(c)의 위치에 도달하여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로부터 벗어나 캐리어(9)는 정지한다.
그 사이에 제1 및 제2의 캠레버(6) 및 (8)을 회동시켜서 테이프 카세트(1)를 인입플레이 위치로 하강시킨다.
캐리어(9)는 태양기어(19)와 약한 힘으로 마찰걸어 맞춤이 되어 있음으로 계속하여 메인모우터(MM)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 경우 동도(c)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메인 모우터(MM)가 역회전하면 캐리어(9)는 태양기어(19)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려서 그후는 캐리어(9)가 테이프카세트 삽입시와 반대방향으로(반시계방향으로)회전을 계속하여 동도(a)의 위치에 도달하면 스위치레버(7)와 회동하여 메인모우터(MM)가 정지한다.
헤드 돌출 및 절환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헤드 돌출 및 방향절환기구는 제1의 서브모우터(SM1)에 의해서 워엄기어(220)를 통하여 정역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캠기어(23)에 의해서 구동이 된다.
캠기어(23)는 제1의 서브모우터(SM1)의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캠기어(23)의 좌측면에 돌설된 핀(23a)이 회전헤드(24)의 방향절환을 하는 의 자상을 한 헤드회전아암(25)의 한쪽의 아암에 설치된 긴홈(25a)과 걸어맞추어지고 또 캠기어(23)의 같은측에 돌설된 반원상의(23b)의 단부가 전후방향(동도에서는 좌우 방향)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접동레버(26)의 캠산(山)(26a)에 맞닿도록 되여 있다.
동도는 포어워어드 플레이 또는 뮤우직서어치의 대기상태이며 캠기어(23)가 화살표시의 방향으로 회동하면 헤드 회전아암(25)은 (실질적으로)회동하지 않고 접동레버(26)만이(동도에서)좌방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돌출 및 핀치로울러, 플레이 아이들러기어의 이동을 행한다.
또 반대로 동도의 상태로부터 캠기어(23)가 화살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먼저 헤드 회전아암(2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회전헤드(25)를 반전시킨후 반원상 캠(23b)의 (동도에서)좌측의 단부가 캠산(26a)의 좌측에 맞닿아지도록 함으로써 접동레버(26)를 우방으로 이동시킨다.
플레이시와 뮤우직서어치시에는 접동레버(26)의 이동위치(즉 캠기어(23)의 회동위치)가 다르며 뮤우직 서어치 시에는 회전헤드(23)를 플레이위치의 불과 손앞에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4도는 캠기어(23)의 반원상 캠(23b)와 접동레버(26)의 캠산(26a)과의 맞닿는 상태를 표시한 것이며 동도(a)는 뮤우직 서어치시의 또 동도(b)는 플레이시의 맞닿는 상태이다.
그 어느 상태에서도 반원상캠(23b)과 캠산(26a)과의 맞닿는 부의 접평면은 맞닿는부와 캠기어(23)의 중심과를 맺는 직선의 방향으로부터 어느(예컨대 θ=20° 내지 50°)어긋나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한 바와같이 접동레버(26)의 정지 위치의 제어를 캠기어(2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여 행하여 지고 있으므로 캠기어(23)의 정지위치의 오차가 그대로 접동레버(26)의 정지위치의 오차로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정지위치의 오차를 저감하기 때문이며 이것에 따라서 접동레버(26)의 정지위치의 정확도를 높일수 있다.
또 뮤우직서어치시와 플레이시에 있어서 반원상캠(23b) 및 캠산(26a)의 맞닿는 부의 위치가 다르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이것에 따라서 양위치에서 접동레버(26)의 정지위치의 오차를 각각 독립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헤드 회전아암(25)의 딴쪽의 아암에는 자상의 걸어맞춤부(25b)가 형성되어 제15도(우측면도이며 제13도와 뒤집다)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헤드(24)를 180°회전시키는 부채꼴기어(24a)의 걸어맞춤돌기(24b)와 걸어맞춤하여 캠기어(23)의 회동에 의해서 각각 포오워어드측 및 리버어스측에 절환이 된다.
제1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기어(24a)의 걸어 맞춤돌기(24b)는 선단에 테이퍼부를 가지며 회전헤드(24)가 릴리이스 위치에 있을때에만 헤드 회전아암(25)의 자상 걸어맞춤부(25b)에 걸어맞추어서 회전헤드(24)가 그것보다 전방(동도에 있어서 좌방)에 이동하는데 따라서 자상 걸어맞춤부(25b)로부터 분리되어 그 극간이 서서히 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헤드돌출때(캠기어)(23)가 회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헤드 회전아암(25)이 다소 회동하여도 회전헤드(24)가 마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회전헤드(24)가 플레이 위치로부터 릴리이스위치에 이동할 때 그의 걸어맞춤돌기(24b)가 헤드 회전아암의 자상 걸어맞춤부(25b)에 확실하게 걸어맞춤한다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회전헤드(24)의 상측에 가늘고 긴 탄성부재로부터 이루어지고 양단에 2개의 구멍을 가지는 애지머스 고정판(241)이 설치되어 이 2개의 구멍에 포어워어드용 및 리버어스용의 애지머스 나사(242) 및 (243)이 관삽되어 그들의 나사 머리가 애지머스 고정판(241)에 본드로크 되어 있다.
애지머스 고정판(241)은 그 중앙부분이 헤드대(24c)에 맞닿아 있으므로 애지머스 조정시에는 애지머스나사(242) 및 (243)의 헐거움을 멈추는 작용을 하며 조정후에는 그것들을 본드로크 하기 위한 기판으로 된다.
또 애지머스 고정판(241)과 헤드대(24c)와의 사이에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부재로부터 된 와샤(244)가 설치되어 있다.
와샤(244)를 설치함으로써 애지머스 고정판을 엷은 약한 부재나 탄성을 전혀 갖추지 않은 부재에 의해서 만들 수도 있다.
캠기어(23)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캠기어(23)의 우측면에 제17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접점(23c)이 설치되어 대향하는 샤시의 벽에 형성된 동도(b)에 표시된 바와 같은 금속 패턴에 이접점(23c)이 접점하여 캠기어(23)의 회전위치 검출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제1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동레버(26)는 그의 전후(동도에 있어서 상하)에 걸어맞춤 오목부(26b)를 갖추고 각각 회전헤드(24)의 전후에 대칭으로 설치된 회동아암(27) 및 (28)의 핀(27a) 및 (28a)이 이 걸어맞춤오목부(26b)에 각각 걸어맞추어서 회동아암(27) 및 (28)을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회동아암(27) 및 (28)은 동기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한쪽이 헤드돌출을 하여 또 딴쪽이 테이프 주행 방향애 응하여 포오워어드 측 또는 리버스측의 핀치로울러 및 플레이 아이들러기어의 이동을 행한다.
그의 구성 및 동작은 회전헤드(24)에 대하여 전혀 대칭이므로 후방의 회동아암(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회동아암(27)은 핀치호울더(29)의 핀치스프링(29b)에 맞닿는 절곡부(27b) 로크아암(30)의 맞닿는부(30c)와 맞닿는 아암(27c) 및 헤드대(24c)의 걸어맞춤편(24d)와 맞닿는 아암(27d)를 갖추고 있다.
핀치호울더(29)는 지지축(29d)에 설치된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 핀치호울더(29)의 하측의 판부재에 설치된 투공(29a)에 아이들러 아암(31)에 돌설된 핀(31a)이 유관(遊貫)되어 있다.
핀치호울더(29)의 하측에 로크아암(30) 및 아이들러 아암(31)이 배치되어 있다.
로크아암(30)은 샤시에 핀치호울더(29)와 동축(29d)에 지지되어 아이들러 아암(31)을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느 스프링(30a) 및 아이들러 아암(31)의 릴리이스 위치에 걸림하는 걸림부(30b)를 갖추고 있다.
동도의 상태에서 아이들러 아암(31)은 그의 갈고리부(31b)를 로크아암(30)의 걸림부(30b)에 의해서 걸림되어서 릴리이스위치에 있고 그 핀(31a)은 그의 갈고리부(31b)를 로크아암(30)의 걸림부(30b)에 의해서 걸림되어서 릴리이스위치에 있고 그 핀(31a)은 핀치호울더(29)의 투공(29a)의 좌단에 맞닿아있다.
그 동작을 포어워어드 플레이의 경우에 있어서 설명하면 접동레버(26)가 후방(제18도에서 상방)에 이동하여 회동아암(2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먼저 절곡부(27b)에 의해서 핀치호울더(29)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핀치호울더를 포오워어드 측 캡스턴에 압접하여 이어서 아암(27c)에 의해 로크아암(30)의 맞닿는부(30c)를 압압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이에 의하여 그 걸림부(30b)가 갈고리부(31b)로부터 벗어나서 아이들러 아암(31)이 (스프링(30a)의 부세력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플레이용 아이들러 기어(12)가 리일기어(14b)에 맞물린다.
이때 전방의 회동아암(28)도 동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아암(28d)이 헤드대의 걸어맞춤핀(24d)에 맞닿아서 헤드대(24c)를 플레이위치에 이동시킨다.
또 플레이상태로부터 릴리이스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접동레버(26)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회동아암(27)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크아암(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스프링(30a)에 의해서 부세되어 있으므로 아이들러 아암(31)은 플레이 위치에 머물고 핀치호울더(2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먼저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어서 아이들러 아암(31)의 핀(31a)이 핀치호울더(29)의 투공(29a)의 좌단에 의하여 압압되어서 아이들러 아암(31)은 그 갈구리부(31b)가 로크아암(30)의 걸림부(30b)에 걸어맞춤되어서 릴이이스위치에 걸림이 된다.
이와같이 핀치 로울러와 플레이용 아이들러 기어와의 동작의 타이밍을 비킴으로써 릴리이스 상태로부터 플레이 상태에 이행하는 경우에는 테이프가 어긋나게 함이 없으므로 곡의 헤드돌출이 틀어질 염려가 없고 또 플레이상태로부터 릴리이스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테이프의 느슨함을 감을 수가 있다.
리버어스 플레이 때에는 회동아암(27) 및 (28)은 포오워어드 플레이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역할을 교대한다.
뮤우직 서어치 때에는 접동레버(26)의 이동량이 약간 적고 회전 헤드(24)가 플레이위치보다 불과 손앞에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핀치로울러 및 플레이 아이들러도 동작위치에 달하지 못한다.
제20도는 리일대(14) 및 (15)의 하측에 설치된 토오크 절환기구의 단면도를 표시한 것이다.
리일대(14)에 동축에 설치된 2장의 원판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펠트 및 인공피혁을 고정하여 된 환상마찰면(14a) 및 (14d)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폴리아세탈 수지제의 대경 및 소경의 리일기어(14b) 및 (14c)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경의 리일기어(14b)와 소경의 리일기어(14c)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4e)이 설치되어 2개의 리일기어를 상하의 환상 마찰면에 압압하여 각각 적당한 마찰계수(일예로서 μ=0.18과 μ0.49)를 얻도록 되어 있다.
대경의 리일기어(14b)는 플레이용이며 또 소경의 리일기어(14c)는 FF/REW용이다.
또한 환상마찰면(14d)으로서 인공피혁의 대신에 폴리 아세탈 무기물첨가품을 사용하여도 거의 같은 값의 마찰계수를 얻을 수가 있다.
제2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손앞의 핀치호울더(32)를 축받이 하는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축받이부의 외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로울러(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것에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한때 이 가이드로울러(33)에 안내되어서 원활하게 상자형부재(2)내에 삽입이 된다.
FF/REW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2도 및 제2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FF/REW동작은 제2의 서브모우터(SM2)에 의해서 그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된 절환기어(34)를 워엄기어(230)를 통하여 회전시켜서 L자 아암(35)을 회동시켜서 FF/REW용기어(22)를 포오워어드 측 플라이휘일(10)과 리일기어(14C)와의 사이, 또는 리버스 측 플라이 휘일(11)과 리일기어(15C)와의 사이에 각각 맞물림되는 것에 따라서 행한다.
절환기어(34)의 우측면 및 이것과 대향하는 샤시의 벽에도 제17a도 (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탄성접점 및 금속패턴이 설치되어 이것들이 접점하여 절환기어(34)이 회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제2의 서브모우터(SM2)는 샤시의 천판과 수직벽과 교차된 구석의 부분에 샤시 등의 고착수단을 사용함이 없이 한 장의 탄성보조판(36)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제2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탄성보조판(36)은 서로 틀리는 다른 측에 돌출하는 3개의 절곡부(36a,36b,36c)를 가지는 평탄부와 그것에 연설된 2개의 절곡부(36d)로 되어 있다.
샤시의 천판에는 제25도(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천지가 반대로 되어 있다)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브모우터(SM2)의 전후의 베어링부가 각각 끼워 맞춤하는 U자형의 홈(37a,38a)를 갖춘 절곡편(37,38)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의 홈(37a,38a)의 수직벽과 반대측의 상단부에는 수직벽의 측에 돌출하는 클릭부(37b,3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샤시의 수직벽에는 탄성보조판(36)의 절곡부(36a) 및 (36c)가 걸어맞추는 2개의 걸어맞춤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제26도는 그 부착상태를 표시한 것으로 제2의 서브모우터(SM2)의 전후의 베어링부를 U자형의 홈(37a) 및 (38a)에 끼워맞추어 서브모우터(SM2)와 수직벽과의 극간에 탄성보조판(36)을 동도에 있어서 상방으로 부터 압입하면 그 절곡부(36a) 및 (36c)가 수직벽의 걸어맞춤구멍(39)에 걸어맞춤되며 또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36b)가 서브모우터(SM2)를 화살표시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이것에 따라서 서브모우터(SM2)는 탄성보조판의 2개의 절곡부(36d) 및 U자홈의 클릭부(37b) 및 (38b)에 걸림되어서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U자홈의 클릭부(37b) 및 (28b)는 없어도 서브모우터(SM2)가 빠지는 일은 없으나 있는 쪽이 보다 강고하게 고정이 된다.
서브모우터(SM2)를 떼어낼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탄성보조판의 절곡부(36a) 및 (36c)를 예컨대 드라이버의 끝등으로 강하게 압압하여 걸어맞춤구멍(39)으로부터 떼어낸후 탄성보조판(36)을 뺌으로서 간단하게 서브모우터(SM2)를 떼어낼수가 있다.
이와같은 부착기구는 밑바닥과 사방을 벽 또는 걸림부에 의해서 획정(劃定)되나 상방으로부터만 부착, 떼어내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면 공통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그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1)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면 스위치레버(7)가 압압되어서 메인모우터(MM)가 기동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인입한 후 플레이위치로 하강시켜서 이어서 제1서브모우터(SM1)가 동작하여 헤드 돌출하여 방향절환등이 행하여지며 계속하여 메인 모우터가 정회전하여 전회 연주를 종료한 때의 상태의 계속이 (예컨대, 전회포어워어드 플레이어가 종료한 상태라면 리버스 플레이의 최초에서)연주된다.
뮤우직서어치, 테이프반전, FF, REW 등의 조작보턴을 누르면 제1 또는 제2서브모우터가 동작하여 적의 소망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테이프 연주가 왕복 종료하던가 도중에서 이젝트 보턴을 누르면 메인모우터가 역회전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상승시킨후 압출하여 모든 동작을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테이프카세트의 장진·이젝트 및 테이프 플레이를 행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메인모우터의 구동력 전달기구의 일부에 설치되어 태양기어와 태양기어와 동축에 배치되어 회전하지 않는 걸치내치 태양기어와 동축으로 축받이 되어 태양기어와 비교적 약한 힘으로 마찰 걸어맞춤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지지되어 태양기어 및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유성기어로 이루어진 유성기어 기구와 캐리어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서 구동되어서 테이프 카세트를 각각 장진 및 이젝트하는 스로트인 방식의 테이프 카세트의 장진·이젝트 기구를 갖추어 메인모우터가 정회전한때 유성기어가 결치내치태양기어와 맞물리어 캐리어가 정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카세트를 장진한 후 유성기어가 결치 내치 태양기어의 결치부에 대행하여 캐리어가 정지하고 계속하여 테이프 플레이를 행하고 또 메인모우터가 반대 회전한때 유성기어가 결치내치 태양기어와 맞물리어 캐리어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이젝트하도록 함으로써 절환동작이 원활하게 되어서 충격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또 메인모우터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으므로 정격의 작은 모우터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인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테이프카세트의 장진·이젝트 및 테이프 플레이를 행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메인모우터의 구동력 전달기구의 일부에 설치되어 태양기어(19)와 태양기어(19)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전하지 않는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태양기어(19)와 동축으로 축받이되어 태양기어(19)와 비교적 약한힘으로 마찰 걸어맞춤하는 캐리어(9)와 캐리어(9)에 지지되어 태양기어(19) 및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리는 유성기어(20)로 이루어진 유성기어(20)기구와, 캐리어(9)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구동되어서 테이프 카세트를 각각 장진 및 이젝트하는 슬로트인 방식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기구를 갖추어 메인모우터가 정회전하였을 때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리어서 캐리어(9)가 정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카세트를 장진한 후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의 결치부에 대향하여 캐리어가 정지하고 계속하여 플레이를 행하여 또 메인모우터가 반대회전 하였을 때 유성기어(20)가 결치내치 태양기어(21)와 맞물려서 캐리어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카세트를 이젝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이젝트 기구.
KR2019850011607U 1984-09-14 1985-09-11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KR9000015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38757U JPH0424505Y2 (ko) 1984-09-14 1984-09-14
JP59-138757(U) 1984-09-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792U Division KR900001536Y1 (ko) 1984-09-11 1985-09-11 오오토리버어스식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50011793U Division KR900001537Y1 (ko) 1984-09-14 1985-09-11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50011794U Division KR900001544Y1 (ko) 1984-09-14 1985-09-14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방출기구
KR2019850011791U Division KR890007480Y1 (ko) 1985-09-11 1985-09-14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회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068U KR860004068U (ko) 1986-04-25
KR900001543Y1 true KR900001543Y1 (ko) 1990-02-28

Family

ID=3069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607U KR900001543Y1 (ko) 1984-09-14 1985-09-11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4505Y2 (ko)
KR (1) KR9000015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068U (ko) 1986-04-25
JPH0424505Y2 (ko) 1992-06-10
JPS6155236U (ko) 198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177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조작전환기구
KR900001544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방출기구
KR900001543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세트 장진. 이젝트 기구
US4344096A (en) Cassette tape recorder
JPH0338667B2 (ko)
KR890007480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회전기구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411248Y2 (ko)
JPS6144293Y2 (ko)
JPH0411211Y2 (ko)
JPH0411249Y2 (ko)
JP3063391B2 (ja) 記録再生装置
US4710835A (en) Magnetic head driving mechanism for tape player
JPH0249005Y2 (ko)
JPH0734491Y2 (ja) テープ再生装置のアジマス機構
JPH0514343Y2 (ko)
JPH0721642A (ja) テープ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422429Y2 (ko)
JPS6023807Y2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S6347929Y2 (ko)
JPH0135320Y2 (ko)
JP2907735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S6113292B2 (ko)
JP3024722B2 (ja) テープデッキにおけるカセットテープ装着装置
JPS63498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