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82B1 -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82B1
KR910000982B1 KR1019870015164A KR870015164A KR910000982B1 KR 910000982 B1 KR910000982 B1 KR 910000982B1 KR 1019870015164 A KR1019870015164 A KR 1019870015164A KR 870015164 A KR870015164 A KR 870015164A KR 910000982 B1 KR910000982 B1 KR 91000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concrete
packing machine
vehicle body
sid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71A (ko
Inventor
전무남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상순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982B1/ko
Publication of KR89001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서 댐의 경사면에 부설되는 레일의 일부 사시도.
제3도는 댐의 경사면 구획정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서, 반송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서, 포장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4도 포장기의 측면도.
제7도는 제3도 반송차에 제4도 포장기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8도는 제4도 반송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8 : 반송차 9 : 포장기
11,12 : 원치 16 : 탑재레일
20 : 작업대 21 : 현수용 프레임
14 : 차체 32,33 : 유압잭
본 발명은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댐공사, 특히 산간 계곡을 가로막는 대형댐은, 통상적으로 지반조성을 한 후, 그 위에 암괴등을 축조하고 차수벽공사를 시공하여 건설한다.
차수벽으로는 종래부터, 점토심벽, 아스팔트 콘크리트 심벽, 철근 콘크리트표면 등이 채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철근콘크리트표면이 안정성과 환경적응성등에서 가장 우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철근 콘크리트표면은 성토후, 그 경사면에 철근을 깔고 콘크리트 타설 및 미장을 하면서 진행되고, 이들 작업은 댐의 급경사면에서 행해야 하는 관계로, 안전사고와 작업환경의 면에서 대단히 불리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부터 작업이 수월하고 안전한 방식의 램 콘크리트 타설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로서 가장 진보되어 있는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경사면의 소정위치에 레일을 깔고, 이 레일을 타고 지브크레인을 승강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생콘크리트, 철근등의 각종 공사기자재를 공급함으로서, 공사에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방식은 자재수송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것일 뿐, 실재 콘크리트 시공에는 전혀 관여하지 못하므로, 과히 획기적인 방법이라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댐 콘크리트 타설의 곤란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 장치로서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댐 콘크리트 타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은 성토된 댐의 경사면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사이드 비임을 부설하여 놓고, 이들 사이드 비임에 구획된 시공영역의 표면에 철근을 배열한 다음, 댐의 정상부의 반송차를 정차시키고, 양 사이드 비임상에 포장기를 탑재하여 경사면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댐의 정상부에서 포장기까지 콘크리트 공급용 슈우트를 가설하여 놓고, 이를 통해 생콘크리트를 공급함과 아울러, 전기한 반송차의 원치로서 포장기를 적당한 속도로 인양시켜, 댐 경사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댐 콘크리트 타설장치는 포장기와, 이 포장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1쌍의 반송차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포장기는 밑면에 콘크리트 표면 형성을 위한 슬립 포옴이 설치되고, 그 상면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작업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대의 전방측에 슈우트 프레임이 조성되고, 후방측에 미장작업대가 부착연결되는 한편, 전기한 1쌍의 반송차는 각각 자주 가능한 차체의 상면에 원치가 장착되고, 전기한 양 차체의 대향측변에 각각 하나의 레일이 비스듬히 고정설치되어서, 양 반송차의 원치로 전기한 포장기를 인양하여 차체상의 레일에 탑재시켜 양 반송차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기한 반송차의 차체는 댐의 법면각도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댐 건설현장의 전체도이다. 도면에서 부호(1)은 댐, (2)는 성토경사면을 표시한다.
댐(1)은 일반적인 댐공사와 마찬가지로 지반을 조성하고, 그 위에 암괴등을 축조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댐(1)이 성토되면, 그 성토경사면(2)를 굳게 다지는 한편, 댐(1)의 정상면에는 주행레일(3)을 부설한다. 그리고, 성토경사면(2)에서 댐(1)의 상하방향으로 사이드 비임(4)를 다수 등간격으로 부설한다. 사이드 비임(4)의 부설작업은 주행레일(3)을 타고 크레인 또는 전용의 작업장비(도시생략)등일 진입시켜 행함으로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사이드 비임(4)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단면 "
Figure kpo00001
"자상의 찬넬 1쌍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측면에는 다수의 철근삽입공(5)가 뚫려져 있다. 전기한 사이드 비임(4)의 부설이 종료되면,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성토경사면(2)는 일정면적의 시공영역(A)(B)(C)(D)……로 구획된다.
이 시공영역(A)(B)(C)(D)……위에 철근(6)을 배열하는데, 이 철근(6)의 양단은 전기한 사이드 비임(4)의 철근삽입공(5)로 삽입되어서 콘크리트 타설 종료시까지 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철근(6)의 배열이 끝나면, 댐(14)의 정상부에 부설된 주행레일(3)을 따라 반송차(7)(8)을 진입시킨다.
그리고, 성토경사면(2)의 최하측에 포장기(9)를 위치시켜서 전기한 사이드 비임(4)를 타고 승강주행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 포장기(9)의 설치작업은 반송차(7)(8)상에 포장기(9)를 탑재해서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사이드 비임(4)위로 포장기(9)를 인도하여 하강위치시켜도 좋고, 다른 방법으로는 포장기(9)를 분해하여 성토경사면(2)의 하측으로 옮긴 다음, 사이드 비임(4)상에 재조립시켜 놓아도 되는 등, 현장환경에 맞추어 편리한 쪽으로 행한다.
다음에, 램(1)의 정상부에서 포장기(9)까지 생콘크리트 공급용 슈우트(10)을 가설하고, 생콘크리트를 공급한다. 포장기(9)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는 포장기(9)에 승차한 작업자에 의해 양 사이드 비임(4)(4)사이로 균등하게 펼쳐지고, 바이브레이터로 다져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반송차(7)(8)은 차체에 장착된 원치(11)(12)로써 포장기(9)를 서서히 인양시킨다.
포장기(9)는 사이드 비임(4)를 타고 인양되는 와중에 생콘크리트를 평탄화 해준다. 이렇게 생콘크리트가 양 사이드 비임(4)사이로 평탄화되면 곧바로 캔버스(13)에 의해 피복되어 양생과정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포장기(9)가 댐(1)의 정상부까지 인양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을 끝내면, 양 사이드 비임(4)내의 시공영역은 작업이 완료되고, 포장기(9)는 양 반송차(7)(8)사이에 탑재되어 다음 시공영역으로 이송된다.
한편, 사이드 비임(4)는 콘크리트 타설이 끝남과 동시에 시공영역에서 분리제거된다. 이것은 사이드 비임(4)를 콘크리트내로 매립시킬 경우, 댐(1)의 법면상에서 사이드 비임(4)의 부식에 의해 차수취약지역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시공영역(A)(B)(C)(D)의 콘크리트 타설 순서는 시공영역(A)(C)(B)(D)순으로 교호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 타설후에 사이드 비임(4)를 제거하기가 수월한 이점이 있다.
물론, 시공영역(A)(C)순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행하고, 사이드 비임(4)를 제거해내어도, 시공영역(B)(D)를 타설할 때는 포장기(9)가 콘크리트면을 타고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비임(4)의 제거로 인하여 작업에 하등의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타설장치를 도시한다.
제4도는 반송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양 반송차는 형태와 구성이 상호 대칭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도면에서 좌측의 반송차(7)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반송차(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치(11)이 차체(14)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원치(11)은 통상적인 원치구동장치(15)와 조합되어 있으며, 그 일측방으로 탑재레일(16)이 비스듬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외에도 차체(14)상에는 주행용동력원(17)과 케이블 스풀(18)이 장비되어 있다.
전기한 주행용 동력원(17)은 차체(14)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주행레일(3)상에 놓여진 차륜(18)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차륜(18)로의 동력전달은 벨트나 체인등에 동력전달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원치(11)에 감겨있는 와이어 로프(19)는 후술하는 포장기(9)로 연결된다.
제5도는 포장기(9)의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이 포장기(9)는 콘크리트 타설치, 작업자가 승차하기 위한 작업대(20)을 보유함과 아울러, 이 작업대(20)의 전방축으로 슈우트 현수용 프레임(21)이 조립부착되어 있고, 또한 후방측으로는 미장작업대(22)가 부착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작업대(20)의 양측에는 전술한 와이어 로프(19)와 연결되는 도르레(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장작업재(22)의 후측에는 캔버스 로울(24)가 부착되어 있다.
제6도는 상술한 포장기(9)가 사이드 비임(4)상에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포장기(9)의 작업대(20)은 그 하부측에 슬립 포옴(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슬립 포옴(25)는 양변 전후측에 설치된 지지차륜(26)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차륜(26)은 작업대(20)상에 비치되는 유압펌프(27)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연동되는 아암(28)을 통해 부착되어짐으로서, 사이드 비임(4)상에 위치하는 슬립 포옴(25)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유압펌프(27)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은 라인을 타고 급송되어 아암(2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29)를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아암(28)이 축(30)을 지점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대로 선회작동하여, 사이드 비임(4)에 대한 슬립 포옴(25)의 높이 및 자세각도를 변환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슈우트 현수용 프레임(21)의 하측에도 차륜(31)이 설치되어서 사이드 비임상에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댐공사에 사용되는 것이며, 사용에 있어서, 먼저 반송차(7)(8)의 원치(11)(12)로 포장기(9)를 인양하기 전에, 유압펌프(27)을 작동하여 사이드 비임(4)와 슬립 포옴(25)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준다.
그리고, 슈우트 현수용 프레임(21)에 슈우트(10)을 현수시켜 놓고, 생콘크리트를 공급함과 아울러, 포장기(9)를 서서히 인양시킨다.
이 과정에서 포장기(9)의 작업대(20)과 미장작업대(22)에는 작업자가 승차한다. 그리고, 작업대(20)에 탑승한 작업자는 통상의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생콘크리트를 다져넣는 작업과 그리고 생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펼쳐주는 작업을 행한다.
포장기(9)가 서서히 인양됨에 따라 하측의 슬립 포옴(25)는 양 사이드 비임(4)사이에 펼쳐지는 생콘크리트를 균등한 두께로 평탄화해주게 된다. 이렇게 생콘크리트가 평탄화되면 미장작업대(22)에 탑승한 작업자는 평탄화된 생콘크리트 표면상에 몰타르를 입히고, 캔버스로울(24)에서 캔버스(13)을 풀어내어, 타설된 생콘크리트 표면을 피복시켜 양생이 잘 되도록 한다.
작업의 마지막에는 포장기(9)가 댐(1)의 정상부까지 인양되어진다.
포장기(9)는 댐(1)의 정상부에서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양 반송차(7)(8)로 탑재된다. 즉, 포장기(9)는 사이드 비임(4)에서 반송차(7)(8)의 탑재레일(16)으로 옮겨지고, 원치(11)(12)는 정지된다.
이로 말미암아 포장기(9)와 현수 프레임(21)의 양측면 차륜(26)(31)은 각각 반송차(7)(8)의 탑재레일(16)상으로 나누어 옮겨지기 때문에, 반송차(7)(8)과 포장기(9)는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포장기(9)를 반송차(7)(8)에 탑재시킨 다음, 주행레일(3)을 따라 반송차(7)(8)을 추진시켜서, 다음의 시공영역으로 이동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에 의하면 댐의 경사면에 대한 생콘크리트 타설을 기계적 장치로 행할 수 있어서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또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도 종래와는 달리 평면상으로 놓여지는 작업대 위에서 작업을 행하는 것이어서,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댐공사의 경사면 콘크리트 타설이 일관성을 갖고 진행되는 관계로,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과 함께 특히 댐공사에 소요되는 공기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반송차(7)(8)은 차체 경사도 조절매카니즘을 보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송차(7)(8)의 차체경사도를 댐(1)의 법면경사도와 일치시킴으로써, 포장기(9)의 인양이 한층 수월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제8도는 반송차(7)(8)의 차체경사도 조절을 위한 하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부호로 지칭되어 있다.
반송차(7)(8)은 차체(14)의 네모서리 부근에 각각 유압잭(32)(33)이 장착된다.
차체(14)의 경사도 조절에 있어서는 모든 유압잭(32)(33)을 작동하여 차체(14)를 지면에서 부상시켜 놓고, 전방측 유압잭(32)와 후방측 유압잭(33)의 높이에 변화를 주어 차체(14)가 전방으로 혹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와이어 로프(19)가 댐(1)의 법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면, 포장기(9)의 인양시에 와이어로프(19)의 처리를 무난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반송차(7)(8)의 정지자세가 확고하게 정립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성토된 댐의 경사면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사이드 비임을 부설하여 놓고, 이들 사이드 비임으로 구획된 시공영역의 표면에 철근을 배열한 다음, 댐의 정상부에 반송차를 정차시키고, 양 사이드 비임상에 포장기를 탑재하여 경사면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댐의 정상부에서 포장기까지 콘크리트 공급용 슈우트를 가설하여 놓고, 이를 통해 생콘크리트를 공급함과 아울러, 전기한 반송차의 원치로서 포장기를 적당한 속도로 인양시켜, 댐 경사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
  2. 1쌍의 반송차(7)(8)과 포장기(9)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반송차(7)(8)은 각각 자주 가능한 차체(14)의 상면에 원치(11)(12)가 장착되고, 전기한 양 차체(14)의 대향측변에 각각 하나의 탑재레일(16)이 비스듬히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전기한 포장기(9)는 밑면에 콘크리트 표면형성을 위한 슬립 포옴(25)을 형성한 작업대(20)을 보유하고, 이 작업대(30)의 전방측에 슈우트 현수용 프레임(21)이 조립부착되며, 또 작업대(20)의 후방측에 미장작업대(22)가 부착 연결되어서, 전기한 양 반송차(7)(8)의 탑재레일(16)상으로 전기한 포장기(9)가 인양탑재되면 양 반송차(7)(8)과 포장기(9)가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댐 콘크리트 타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반송차(7)(8)은 차체(14)의 네모서리부근에 각각 유압잭(32)(33)이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댐 콘크리트 타설장치.
KR1019870015164A 1987-12-28 1987-12-28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KR91000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164A KR910000982B1 (ko) 1987-12-28 1987-12-28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164A KR910000982B1 (ko) 1987-12-28 1987-12-28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71A KR890010371A (ko) 1989-08-08
KR910000982B1 true KR910000982B1 (ko) 1991-02-19

Family

ID=1926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164A KR910000982B1 (ko) 1987-12-28 1987-12-28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13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KR101367657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01B1 (ko) * 2000-08-18 2003-02-06 금호엔지니어링 (주) 경사면 콘크리트 타설공법
KR100476477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100476478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KR100871146B1 (ko) * 2008-02-01 2008-12-05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13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KR101367657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71A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9298A (en) Self-propelled mobile lift
KR910000982B1 (ko)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KR101851779B1 (ko) 캐터필러궤도를 겸비한 올인원 경계석 시공장치
JP4346194B2 (ja) 法面へ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据え付け用の台車および装置
KR102040602B1 (ko) 지하철도 궤도패널 시공방법
CN212835507U (zh) 一种混凝土钢筋笼绑扎及转换装置
CN211850704U (zh) 一种用于钢结构安装的悬挂式移动平台
JP3622890B2 (ja) メッシュ敷設式連続舗装工法及びその施工機械
KR101048036B1 (ko) 전동식 호이스트
KR100476477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CN113979298A (zh) 一种隧道非机动车道沟槽盖板安装装置
KR100476478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CN109083013B (zh) 一种桥梁吊装方法
US5027921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d distributing materials and/or equipment around the periphery of a building
JP3497670B2 (ja) 防振地下鉄トンネルの構築装置及び構築方法
CN216272675U (zh) 一种铺路石吊装搬运装置
JPH06288189A (ja) ポータルカルバートの敷設方法
CN220844192U (zh) 道路边坡预制块的运输工具
JP3761388B2 (ja) トンネルへの補強材配設装置
JPH07300842A (ja) ダムの施工方法
JPS6323454Y2 (ko)
JPS6332924B2 (ko)
JPH0135973B2 (ko)
JP2003027900A (ja) 作業台車
JPH02298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