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913B1 -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913B1
KR101368913B1 KR1020110123987A KR20110123987A KR101368913B1 KR 101368913 B1 KR101368913 B1 KR 101368913B1 KR 1020110123987 A KR1020110123987 A KR 1020110123987A KR 20110123987 A KR20110123987 A KR 20110123987A KR 101368913 B1 KR101368913 B1 KR 10136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crete
dam
wall
sid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135A (ko
Inventor
김도학
김인택
윤기완
인영길
안찬혁
이한복
김병기
배경운
주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Priority to KR102011012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9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슬립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댐 정상부에 상부 레일 및 슬립폼 윈치 작업차를 설치하는 단계; b) 차수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을 조립하여 시험 가동하는 단계; c) 콘크리트가 타설될 차수벽 표면에 아스팔트 에멀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여 조립하는 단계; d) 슬립폼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사이드폼과 일체화시킨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Side Form: 측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e)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 상에서 이동하는 슬립폼을 사용하여 댐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차수벽 콘크리트(Face 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타설된 콘크리트를 습윤 양생하여 차수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지수판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그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PVC 지수판의 일부가 장착되고, 노출된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Method for constructing face slab of concrete face rockfill dam using rail integrated side form}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 Face Rockfill Dam: CFRD)의 차수벽(Face Slab)을 시공할 때, 슬립폼(Slip Form)을 차수벽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하는 레일을 사이드폼(Side Form)과 일체화시킨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Dam)은 식수의 저장, 농업용수, 홍수를 막기 위한 제방,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시설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댐은 통상적으로 상류에 가물막이 및 방류 시설을 설치하고, 하천을 가로지르게 축조되는 댐체는 투수성 차단을 목적으로 숏크리트를 실시하는 한편, 이러한 댐체의 토대 부분은 일정 지점마다 암반 보강함으로써, 지반의 활동 전도력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기초 토대인 플린스(Plinth)를 설치하며, 이후, 이러한 플린스에 연결시켜 차수벽을 축조하는 과정으로 완성된다. 이때, 일정 규모로 경사지게 축조되는 차수벽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댐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통상적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급경사면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슬립폼(Slip Form)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립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공법은, 먼저 댐 등의 경사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안내레일을 설치한다. 이후, 이러한 안내레일 상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슬립폼을 설치하여 경사면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의 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슬립폼을 안내레일을 따라 끌어올리고, 다음 구간에 콘크리트를 연속 작업으로 타설하는 방식으로 댐 상단부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은 댐 단면이 콘크리트 차수벽과 이 차수벽을 지지하는 차수벽 지지층 및 석괴층(사력층)으로 구성되는 댐을 말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 시공시 사이드폼 및 레일이 분리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수벽 시공시 사이드폼 및 레일이 분리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10)을 시공할 때, 사이드폼(30) 및 레일(40)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고, 슬립폼(50)은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2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60은 운반 대차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방식은 측면 거푸집인 사이드폼(30) 및 레일(40)을 각각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서, 설치가 복잡하고 과다한 투입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이러한 방식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지수판(80)의 시공은 가능하지만 작업이 번거롭고 PVC 지수판(80)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마감면이 불균일해지는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수판은 토목, 건축 분야의 구조물 등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침수, 누수를 방지하고, 반영구적 지수성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주로 옹벽이나 아파트 공동구의 분리된 구조체 콘크리트 조인트 부분에서 사용한다. 특히, PVC 지수판(80)은 건축 구조물, 하천, 항만, 발전소, 댐, 제방, 터널 등 건축 작업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건축자재로서, 압출 성형 방식으로 생산되므로 여러 가지 단면 형성이 가능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 시공을 위해 대차레일이 사이드폼의 기능을 겸비하는 방식으로서, 그 설치가 간단하여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이러한 PVC 지수판의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48987호(출원일: 2001년 12월 10일), 발명의 명칭: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76478호(출원일: 2001년 12월 10일), 발명의 명칭: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76477호(출원일: 2001년 12월 10일), 발명의 명칭: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371101호(출원일: 2000년 08월 18일), 발명의 명칭: "경사면 콘크리트 타설공법" 5)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0-0001932호(공개일: 1990년 02월 27일), 발명의 명칭: "댐의 콘크리트 차수벽 시공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해 슬립폼(Slip Form)을 사용할 경우, 사이드폼, 대차레일 및 PVC 지수판이 일체 시공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PVC 지수판 장착 타설에 따라 차수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슬립폼(Slip Form)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댐 정상부에 상부 레일 및 슬립폼 윈치 작업차를 설치하는 단계; b) 차수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을 조립하여 시험 가동하는 단계; c) 콘크리트가 타설될 차수벽 표면에 아스팔트 에멀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여 조립하는 단계; d) 상기 슬립폼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사이드폼과 일체화시킨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Side Form: 측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 상에서 이동하는 슬립폼을 사용하여 댐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차수벽 콘크리트(Face 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습윤 양생하여 차수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지수판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PVC 지수판의 일부가 장착되고, 노출된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f)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차수벽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해체할 때, 상기 홈에 장착된 PVC 지수판을 제외한 부분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해 슬립폼(Slip Form)을 사용할 경우, 사이드폼, 대차레일 및 PVC 지수판이 일체 시공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PVC 지수판 장착 타설에 따라 차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공정 및 전체 차수벽 공정의 수를 절감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투입인원 및 장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 시공시 사이드폼 및 레일이 분리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수벽 시공시 사이드폼 및 레일이 분리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표준 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한 슬립폼(Slip Form)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메인차수벽 시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메인차수벽 시공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10f는 각각 도 9에 도시된 단계에 따른 메인차수벽 시공 과정을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100)은 댐 정상부(110), 차수벽(120) 및 배수로(130) 등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벽(120)에 콘크리트가 소정 두께로 타설된다. 이때, 차수벽(120)은 급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그 공사가 용이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폼(220)을 사용하여 차수벽(120)의 경사면을 따라 댐 하부에서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댐 정상부에는 슬립폼 윈치 작업차(210)가 설치되고, 차수벽(120)의 경사면을 따라 슬립폼(220)이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에서는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 및 철근(240)이 설치되고, 슬립폼(220)은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표준 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 시공 방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은 다수의 Zo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Zone-1 및 Zone-1A는 불투수 Zone으로서, Zone-1은 누수시 세사 유입으로 공극을 충진하고, 이때, Zone-1A는 Zone-1의 유실 방지를 보호하기 위한 Zone이다. 또한, Zone-2는 차수벽 지지 Zone으로서, 차수벽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누수시 수두 손실을 유도한다. 또한, Zone-3A는 선택 Zone으로서 Zone-2와 주축조 Zone의 필터(Filter) 역할을 하며, Zone-3B는 주축조 Zone으로서 작용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고, 누수시 간극 수압 발생을 방지하는 자유배수 조건을 만족하고, Zone-3C는 부축조 Zone으로서, 댐의 하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Zone이다. 또한, Zone-1B는 환경 친화층으로서, 댐 배면 녹화를 통한 친환경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Zone이며, 배수층은 누수시 유량을 신속하게 제체 밖으로 이동시키고 침윤선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Zone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은 Zone-2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차수벽(120)의 측단면도로서, 댐의 하단부에 플린스(Plinth: 1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린스의 상부에 스타터베이(121) 및 메인차수벽(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 수벽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먼저, 준비 작업으로서 동선(가도)을 계획하고, 급수설비, 전기설비, 조명시설 및 안전시설을 준비한다(S110).
다음으로, 댐 사면을 점검한다(S120). 예를 들면, 낙하물 방지망을 철거하고, 사면을 청소하며, 현황을 측량하고, 솟음 및 공극 부위를 보수하고, 각 Span별 라인을 점검한다.
다음으로, 버림 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한다(S130). 이때, 지수판 보호덮개를 제거하고, 이음부를 청소하며, 압축 스티로폼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수직이음을 설치한다(S140). 즉, 콘크리트 수직이음부의 원활한 거동 및 지수를 위해서 몰탈 패드를 도포하고, 아스팔트 쉬트를 루핑하며, 동지수판을 설치(용접)한다.
다음으로, 스타터베이 철근 및 거푸집을 설치한다(S150). 이때, 스타터베이는 표면차수벽 콘크리트인 페이스 타설을 위한 거치대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앵커를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사이드폼 및 전면부폼을 조립한다. 이후, 스타터베이를 타설하며(S160), 이때, 주변이음 블록아웃, 수직이음 블록아웃 및 수평시공이음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메인차수벽을 시공하는데(S170), 구체적으로, 아스팔트에멀젼을 도포하고, 철근을 조립하며,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레일)을 설치한다. 이때, 슈트를 설치하고, 슬립폼 세팅 및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습윤 양생을 통해 메인차수벽을 완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상기 메인차수벽의 시공시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하는데,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이음부를 마감한다(S180). 이때, 네오프렌 튜브 및 치킨와이어를 설치하고, 매스틱필러를 도포하며, EPDM 커버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균열을 보수함으로써 차수벽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S190).
전술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스타터베이 및 메인차수벽을 포함하는 전체 차수벽 시공에 대한 것이고, 메인차수벽의 구체적인 시공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한 슬립폼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한 슬립폼(220)은 댐 정상부로부터 사면 경계선을 따라 및 댐 경사면에 배치되며, 이때, 슬립폼 윈치 작업차(210)는 상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 대차이고, 슬립폼(220)은 댐 경사면에 배치된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을 위한 슬립폼(220)은 슬립폼 가이드(221)를 통해 이동식 대차인 슬립폼 윈치 작업차(210)에 연결되어 댐의 경사면을 따라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 상에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또한, 콘크리트 분배장치(223)는 콘크리트 투입구(222)를 통해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타설 작업대(224)에 분배한다. 이때, 표면마감 작업대(225)는 차광막(226)이 덮인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된 차수벽 표면을 마감(미장)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아스팔트 에멀젼이 형성된 몰탈 패드(241) 상에 동지수판(23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PVC 지수판(233)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그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PVC 지수판(233)의 일부가 장착되고, 노출된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121) 타설시 매립된다. 또한,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차수벽으로부터 해체되는데,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해체할 때, 상기 홈에 장착된 PVC 지수판(233)을 제외한 부분이 해체된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차수벽 시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에 홈에 형성되어 PVC 지수판(233)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노출된 부분은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121) 타설시 매립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폼(220)을 가이드하는 레일(232)이 거푸집(231)과 일체화되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에 홈에 형성되어 PVC 지수판(233)이 장착된다. 즉, PVC 지수판(233)은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의 해체 시에는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 시공을 위해 슬립폼을 사용할 경우, 사이드폼, 대차레일 및 PVC 지수판이 일체 시공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PVC 지수판 장착 타설에 따라 차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메인차수벽 시공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고, 도 10a 내지 10f는 각각 도 9에 도시된 단계에 따른 메인차수벽 시공 과정을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메인차수벽 시공 방법은, 먼저, 댐 정상부에 상부 레일 및 슬립폼(Slip Form) 윈치 작업차를 설치한다(S171).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 정상부에 상부레일(27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레일(27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슬립폼 윈치 작업차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차수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을 조립하여 시험 가동한다(S172).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폼 윈치 작업차(210) 상에서 슬립폼(220)을 조립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메인차수벽 표면에 아스팔트 에멀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여 조립한다(S173). 구체적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할 메인차수벽 상에 아스팔트 에멀젼(241)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여 조립하는데, 이때, 철근 운반대차(260)에 의해 철근(240)이 운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립폼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Side Form)을 설치한다(S174). 구체적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운반 대차(250)를 사용하여 표면차수벽의 경사면을 따라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운반한 후에 설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PVC 지수판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은 그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PVC 지수판의 일부가 장착되고, 노출된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립폼을 사용하여 댐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차수벽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75). 구체적으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차수벽에 형성된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 상에서 슬립폼(220)을 댐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분배장치(223)를 통해 상기 슬립폼 윈치 작업차(210)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슬립폼(220)은 댐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광막(226)이 덮인 상태에서 표면을 마감(미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타설된 차수벽 콘크리트를 습윤 양생(Wet Curing)하여 메인 차수벽을 완성한다(S176). 구체적으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립폼(220)을 사용하여 차수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콘크리트 표면에 습기를 공급하도록 물(280)을 공급하여 습윤 양생시킨다. 즉, 콘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 작용으로 인해 그 강도가 증가되므로 습윤 양생에 의해 습기가 공급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후속적으로,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차수벽으로부터 해체되는데,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230)을 해체할 때, 상기 홈에 장착된 PVC 지수판(233)을 제외한 부분이 해체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은, PVC 지수판 설치가 불가능한 기존의 일체형 레일의 성능을 개선하여 수축이음부의 차수성을 향상시켰으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형 레일 대비 PVC 지수판 손상을 감소시키고, 마감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레일 시공시 설치 및 해체에 4일이 소요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에 따르면,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의 설치 및 해체에 1.5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PVC 지수판을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에 미리 장착하여 타설함으로써 차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라 안전사고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 Face Rockfill Dam: CFRD)
110: 댐 정상부
120: 차수벽(Face Slab)
130: 배수로
140: 플린스(Plinth)
210: 슬립폼 윈치 작업차
220: 슬립폼
230: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측면 거푸집)
240: 철근
250: 레일 운반 대차
260: 철근 운반 대차
270: 상부 레일
231: 거푸집
232: 레일
233: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지수판

Claims (4)

  1. 슬립폼(Slip Form)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댐 정상부에 상부 레일 및 슬립폼 윈치 작업차를 설치하는 단계;
    b) 차수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을 조립하여 시험 가동하는 단계;
    c) 콘크리트가 타설될 차수벽 표면에 아스팔트 에멀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여 조립하는 단계;
    d) 상기 슬립폼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사이드폼과 일체화시킨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Side Form: 측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 상에서 이동하는 슬립폼을 사용하여 댐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차수벽 콘크리트(Face 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습윤 양생하여 차수벽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지수판이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그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PVC 지수판의 일부가 장착되고, 노출된 PVC 지수판은 상기 차수벽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차수벽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해체할 때, 상기 홈에 장착된 PVC 지수판을 제외한 부분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4. 제1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KR1020110123987A 2011-11-25 2011-11-25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KR10136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87A KR101368913B1 (ko) 2011-11-25 2011-11-25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87A KR101368913B1 (ko) 2011-11-25 2011-11-25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135A KR20130058135A (ko) 2013-06-04
KR101368913B1 true KR101368913B1 (ko) 2014-02-28

Family

ID=4885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987A KR101368913B1 (ko) 2011-11-25 2011-11-25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012A (zh) * 2014-09-28 2014-12-24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砼堆石坝超长混凝土滑模体及其施工方法
CN104314053A (zh) * 2014-10-09 2015-01-28 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土石坝心墙沥青混凝土及其摊铺方法
CN106120661A (zh) * 2016-07-11 2016-11-16 中国水利水电第十工程局有限公司 混凝土面板与垫层料坡面临时固坡隔离防护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071B (zh) * 2018-11-05 2024-05-14 中国三峡建设管理有限公司 斜坡混凝土浇筑自升模板
CN112446079B (zh) * 2020-11-24 2023-04-25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已浇筑混凝土对成坝安全性影响的判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82B1 (ko) * 1987-12-28 1991-02-19 롯데건설 주식회사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JP2000120046A (ja) * 1998-10-14 2000-04-25 Taisei Corp 斜面コンクリート舗設装置
KR20030047430A (ko) * 2001-12-10 2003-06-18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20040052711A (ko) * 2004-04-29 2004-06-23 배성도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82B1 (ko) * 1987-12-28 1991-02-19 롯데건설 주식회사 댐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장치
JP2000120046A (ja) * 1998-10-14 2000-04-25 Taisei Corp 斜面コンクリート舗設装置
KR20030047430A (ko) * 2001-12-10 2003-06-18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20040052711A (ko) * 2004-04-29 2004-06-23 배성도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012A (zh) * 2014-09-28 2014-12-24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砼堆石坝超长混凝土滑模体及其施工方法
CN104234012B (zh) * 2014-09-28 2016-04-27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砼堆石坝超长混凝土滑模体及其施工方法
CN104314053A (zh) * 2014-10-09 2015-01-28 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土石坝心墙沥青混凝土及其摊铺方法
CN106120661A (zh) * 2016-07-11 2016-11-16 中国水利水电第十工程局有限公司 混凝土面板与垫层料坡面临时固坡隔离防护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135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57B1 (ko)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N101906768B (zh) 混凝土面板堆石坝的面板施工方法
KR101368913B1 (ko)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N103485288B (zh) 一种穿越既有线的双层顶进涵施工工艺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CN103643971B (zh) 隧道仰拱定型端模快速施工方法
CN109736847A (zh) 一次性浇筑混凝土仰拱及其施工方法
KR101286959B1 (ko) 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 설치 방법
CN104060781A (zh) 一种梯段无缝的现浇板式楼梯及施工方法
CN103822017A (zh) 基于对电缆排管敷设的施工方法
KR101258180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JP2018172953A (ja) バラスト軌道の路盤形成方法
CN109667607B (zh) 一种隧道分区防水施工工艺
CN103132465B (zh) 一种紧贴桩基承台的地下箱涵建造方法
CN110106915A (zh) 一种免支撑逆作地下工程施工方法及地下工程建筑结构
CN103924513A (zh) 桥梁钢盖板伸缩装置
JP2007247169A (ja) トンネル内部の構築工法
KR102056025B1 (ko) 대형 단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유도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700116A (zh) 一种适用于黄土地区的天桥逆作施工方法
CN216615676U (zh) 一种适用于软塑淤泥质河床的封底结构
CN107327176B (zh) 一种预制装配式变电站舱基
CN115961647A (zh) 地下室顶板后浇带超前封闭结构、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212223970U (zh) 预制盖板后浇带止水临时封闭结构
CN103774620B (zh) 一种混凝土工程伸缩缝垂直止水结构固定件
CN209687499U (zh) 一次性浇筑混凝土仰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