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711A -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711A
KR20040052711A KR1020040029765A KR20040029765A KR20040052711A KR 20040052711 A KR20040052711 A KR 20040052711A KR 1020040029765 A KR1020040029765 A KR 1020040029765A KR 20040029765 A KR20040029765 A KR 20040029765A KR 20040052711 A KR20040052711 A KR 2004005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installing
index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365B1 (ko
Inventor
배성도
Original Assignee
배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도 filed Critical 배성도
Priority to KR102004002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3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①) 구조물 시공이음부에 방수 및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도 1 과 같은 종래의 지수판 설치용 고정장치 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수판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하는 중앙원통부(ⓐ) 측면에 고정판(ⓑ)이 도 5
처럼 수직으로 형성되어있어, 수축 과 평창 기능을하는 지수판의 중앙원통부(ⓐ)가 콘크리트(①)속에 묻히지 않토록 도 7 과 같이 콘크리트(①)타설 경계면 으로 활용할 수 있고,
도 7 과 같이 고정판(ⓑ)에 못이나고정도구(④)를 이용하여 마감거푸집(③)에 견고히 설치 함으로서 정확한 위치에 정밀시공 할수 있으며, 콘크리트(①) 건조수축에 대응하여 지수판 중앙원통부(ⓐ)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수판본체 와 고정판(ⓑ) 연결부에 도 6 처럼 V홈(ⓒ) 형태를 두어 고정판(ⓑ)
제거시 탈락이 용이토록 하며, 도 1 의 지수판 본체부는 손상없이 고정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판(ⓑ)은 도11,도12 와 같이 지수판의 용도와 기능에따라 지수판본체부
어느곳 이든지 설치하여 결속도구로 엮어서 철근에 묶는 등 지수판의 완전고정을 실현 할 수 있는 혁기적인 기술이다.

Description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water - stops fixed device and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①)구조물의 시공이음부에 설치하는 도 1 형태의 수축 과 평창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종래의 지수판 고정장치(ⓑ)와 설치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①)의 성질상 열과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건조 수축이 일어나게되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콘크리트(①)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토록 일정간격으로 시공이음부를 두어 신축이음재(②)를 설치한다. 이와 동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형태의 방수 및 수축 과 평창 기능을가진 지수판을
설치하게 되며, 도 2 처럼 지수판의 중앙원통부(ⓐ)와 신축이음재(②)가 상호 일치하도록 설치 하여 똑같은 수축 과 평창 기능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작용
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 1 과 같이 기존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가진 지수판은 고정장치가 없어 도 4 의 시공사례 사진 과 도 3 처럼 지수판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하는 중앙원통부(ⓐ)가 선 타설된 콘크리트(①) 속에 매립되어 뭍혀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이는,
지수판 중앙원통부(ⓐ)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콘크리트(①)의
건조수축으로 인해 지수판이 빠져 버리거나 찢어어 버려, 방수기능을 상실하게되는등 부실시공 사례가 빈번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5 처럼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지수판 중앙원통부(ⓐ)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판(ⓑ)을 장착하여 지수판의 중앙원통부가 콘크리트속에 뭍혀버리지 않토록
콘크리트(①)타설 경계부로 활용하고,
도 7 처럼 고정판(ⓑ)을 이용하여 못이나고정도구(④)로 콘크리트마감거푸집(③)에 고정 함으로서 도 2 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정밀시공하여 중앙원통부(ⓐ)의 수축과 평창 기능을 극대화 한다.
설치기능을 다한 고정판(ⓑ) 제거시 고정판(ⓑ)과 지수판본체 연결부에 도 6 과 같이 V홈(ⓒ) 형태를두어 고정판(ⓑ) 탈락이 용이토록하며, 도 8 처럼 지수판본체에는 손상없이 탈락된다. 또한!
도11 과 도12 처럼 이 고정장치(ⓑ)는 지수판의 용도와 기능에따라 어느 곳 이든지 수곳에 장착할수 있으며, 이 고정판(ⓑ)을 이용하여 결속도구로 지수판의 완벽한 고정을 실현할수 있다.
도 1은 방수 및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종래의 지수판 사시도.
도 2는 콘크리트 시공이음부에 수축 과 평창 기능을가진 지수판과
신축이음재(Joint Filler)를 설치한 표준시공도.
도 3은 콘크리트시공이음부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가진 지수판 편심
시공도(수축과평창기능 상실)
도 4는 지수판의 신축 기능을 하는 중앙원통부가 선 타설된
콘크리트부에 뭍혀버려 신축이음재(Joint Filler)와
지수판의 중앙원통부가 일치하지않은 부실시공사례 사진.
도 5는 지수판의 수축 과 평창 기능 을하는 중앙원통부 측면에
고정판을 설치한 사시도.
도 6은 지수판 본체 와 고정판 연결부에 설치한 탈락용 V홈 상세도.
도 7은 콘크리트형틀 설치후, 마감거푸집에 지수판을 설치한 상세도.
도 8은 콘크리트타설한 다음 마감거푸집 철거후 고정판 제거도.
도 9는 고정판 제거후 신축이음재(Joint Filler) 설치도.
도 10은 콘크리트 시공이음부에 지수판과 신축이음재(Joint Filler)
설치 완료후 콘크리트 이어치기를 위한 형틀 설치도.
도 11은 지수판의 용도 와 기능에 따라 필요한 어느곳이든 고정판을 설치한
지수판 단면도.
도 12는 외벽노출형 지수판에 고정판을 이용하여 못을박아 고정한 단면 예시도.
*도면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① : 콘크리트. ② : 신축이음재(Joint Filler). ③ : 마감거푸집.
④ : 못또는고정도구. ⑤ : 콘크리트형틀
ⓐ : 수축과평창 기능을하는 중앙원통부. ⓑ : 지수판고정 장치(판)
ⓒ : 탈락이 용이하도록설치한 V형태의 홈.
본 발명은 콘크리트(①) 구조물 시공이음부에 수축 과 평창 기능을가진
도 1 과 같은 종래의 지수판의 고정장치 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수판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하는 중앙원통부(ⓐ) 측면에 고정판(ⓑ)이 도 5 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어있어 수축 과 평창 기능을하는 지수판 중앙원통부(ⓐ)가 콘크리트(①)속에 뭍혀버리지 않게 설치할수 있토록 콘크리트 타설 경계표시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지수판설치시 도 7 처럼 고정판(ⓑ)에 못이나고정도구(④)를 이용하여,
콘크리트(①) 마감거푸집(③)에 견고히 설치함으로서, 도 2 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정밀시공 하여 콘크리트(①)의 건조수축 작용시, 이에 대응하여 지수판의 수축 과평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도 1 형태의 지수판본체 와 고정판(ⓑ) 연결부에 도 6 처럼 V홈(ⓒ)을 두어 기능을다한 고정판(ⓑ) 제거시 탈락이 용이토록하고, 도 8 과 같이 지수판 본체부는 손상없이 고정판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고정장치는 도11 과 도12 처럼 지수판의 용도와 기능에따라 지수판 본체부 어느곳 이든지 수곳에 설치 하여 결속도구로 엮어서 철근에 묶는등 이를 이용해 지수판의 완전고정을 실현할수있는 혁기적인 기술이다.
(실시예)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에 신축이음재(②)와 방수 및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도 1 과 같은 종래의 지수판을 설치함에 있어,
콘크리트(①)타설을 하기위해 콘크리트형틀(⑤)을 조립한후, 콘크리트(①) 시공
이음부분에 마감거푸집(③)을 설치함과 동시에 방수와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도 1 과 같은 종래의 지수판을 설치한다. 이때!
도 5 와 같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있는 지수판의 고정판(ⓑ)을 이용해 지수판중앙원통부(ⓐ)가 콘크리트(①) 속에 뭍혀버리지 않토록 콘크리트(①) 타설 경계면으로 활용하고, 도 7 처럼 이 고정판(ⓑ)에 못또는고정도구(④)로 콘크리트 마감거푸집(③)에 완전 고정하여 콘크리트(①)를 타설함으로서 정확한 위치에 정밀시공을 할 수 있다.
지수판의 설치기능을 다한 고정판(ⓑ)은 도 8 처럼 콘크리트형틀(⑤)과 마감
거푸집(③) 해체시 탈락된다.
이때!
지수판본체 와 고정판(ⓑ)연결부에 설치한 V형태의 홈(ⓒ)은 고정판(ⓑ) 탈락을
용이토록하며 지수판본체의 손상없이 도 8 처럼 탈락 된다.
그후! 도 9 처럼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에 신축이음재(②)를 설치하고,
도 10 과 같이 콘크리트형틀(⑤)을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①)를 이어서
타설하면,
신축이음재(②)와 수축 과 평창기능을 가진 지수판의 중앙원통부(ⓐ)가 도 2 처럼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완벽한 방수기능 과 콘크리트(①)의 건조수축에 따른 지수판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본 발명은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도 1 과 같은 종래의 지수판 중앙원통부(ⓐ) 측면에 도 5 와 같이 수직으로 고정판(ⓑ)을 설치함으로서 중앙원통부(ⓐ)가 콘크리트(①) 속에 뭍히지않토록 콘크리트타설 경계면 역할의 효과가 있고.
도 1 형태의 수축 과 평창기능을가진 종래의 지수판을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에
설치시 고정판(ⓑ)에 못이나고정도구(④)를 이용하여 도 7 처럼 콘크리트타설용
마감거푸집(③)에 견고히 설치함으로서, 정확한위치에 정밀시공하여 완벽한 방수
기능 과 콘크리트(①)의 건조수축에 따른 지수판 중앙원통부(ⓐ)의 수축 과 평창 기능을 도 2 처럼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지수판본체 와 고정판(ⓑ) 연결부에 V홈(ⓒ)을 두어 기능을 다한 고정판(ⓑ)제거시 탈락이 용이토록 하고 도 8 처럼 지수판 본체부 손상없이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이 고정장치(ⓑ)는 도11 과 도12 처럼 지수판의 용도와 기능에따라 지수판 본체부
어느곳 이든지 수곳에 설치하여 결속도구로 엮어서 철근에 묶는등 지수판의 완전
고정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에 설치하는 방수 및 수축 과 평창 기능을 가진 종래의 지수판(이하:지수판)을 설치함에 있어, 수축과 평창기능을 하는 중앙원통부(ⓐ)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있는 고정판(ⓑ) 과 V홈(ⓒ)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①)타설용 형틀(⑤) 설치단계; 콘트리트(①) 시공이음부의 마감거푸집(③)에 지수판을 설치하는단계; 마감거푸집(③) 과 지수판을 설치 완료한후 콘크리트(①) 타설단계; 콘크리트형틀(⑤)과 마감거푸집(③) 해체단계;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에 설치되어있는 지수판의 중앙원통부(ⓐ)와 일치되게 신축이음제(②)를 설치하는단계; 콘크리트(①) 이어치기용형틀(⑤)을 설치한후 콘크리트(①)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로 구성되어있는 콘크리트(①) 시공이음부 지수판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수판 고정판(ⓑ)을 마감거푸집(③)에 접촉되게 설치한후 못 이나 고정도구(④)로 완전고정설치 하는단계;와 마감거푸집(③) 해체시 V홈(ⓒ) 장치에 의해 지수판 본체부는 손상없이 탈락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콘크리트시공이음부의 지수판 시공방법.
  2. 상기 1항에 있어 수축 과 평창기능을 가진 종래의 지수판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고정판(ⓑ)과 지수판본체부의 손상없이 탈락될수있도록 설치하는 V홈(ⓒ)장치.
  3. 상기 2항의
    고정판(ⓑ) 과 V홈(ⓒ) 장치를 이용하여
    용도와 기능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종래 지수판의 본체부의 필요한곳; 어느곳; 수곳;에 설치하여 지수판의 완전고정을 실현할 수 있는 지수판고정장치.
KR1020040029765A 2004-04-29 2004-04-29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055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65A KR100550365B1 (ko) 2004-04-29 2004-04-29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65A KR100550365B1 (ko) 2004-04-29 2004-04-29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711A true KR20040052711A (ko) 2004-06-23
KR100550365B1 KR100550365B1 (ko) 2006-02-08

Family

ID=3734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65A KR100550365B1 (ko) 2004-04-29 2004-04-29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3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1885A (zh) * 2010-03-12 2010-07-21 中国水电顾问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 复合橡胶止水带以及贴坡式止水结构
KR101368913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N114165058A (zh) * 2021-10-30 2022-03-1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止水钢板安装合格率的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1885A (zh) * 2010-03-12 2010-07-21 中国水电顾问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 复合橡胶止水带以及贴坡式止水结构
KR101368913B1 (ko) * 2011-11-25 2014-02-28 주식회사 정원종합산업 레일 일체형 사이드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N114165058A (zh) * 2021-10-30 2022-03-1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止水钢板安装合格率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365B1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29506U (zh) 用于清水砼浇筑的梁板模系统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100550365B1 (ko)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KR200469370Y1 (ko) 벽체 관통 슬리브
WO2017171111A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821174A (zh) 调模预埋件及铝合金模板斜撑装置
CN211286666U (zh) 调模预埋件及铝合金模板斜撑装置
JPH01223245A (ja) コンクリート壁工法
KR20050079965A (ko)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N110905199A (zh) 铝合金模板斜撑装置的施工方法
KR20010059643A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100365985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200339379Y1 (ko) 건축용 슬리브 어셈블리
CN211691471U (zh) 一种用于建筑给排水管的预留孔模型
KR200262708Y1 (ko) 콘센트 박스 작업틀
JP2007254951A (ja) 水切溝用形成治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水切溝の形成方法
KR200343278Y1 (ko)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KR10069417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KR200223623Y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200267861Y1 (ko) 콘크리트 균열 발생기
JPH0266242A (ja) 構築物用目地部材
KR100325661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표면처리방법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200226634Y1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