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278Y1 -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 Google Patents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278Y1
KR200343278Y1 KR20-2003-0035660U KR20030035660U KR200343278Y1 KR 200343278 Y1 KR200343278 Y1 KR 200343278Y1 KR 20030035660 U KR20030035660 U KR 20030035660U KR 200343278 Y1 KR200343278 Y1 KR 200343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ncrete
dowel
mesh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완
Original Assignee
혜광종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광종건(주) filed Critical 혜광종건(주)
Priority to KR20-2003-0035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8Dowels, i.e. members adapted to penetrate the surfaces of two parts and to take the shear stresses
    • E04B1/483Shear dowels to be embedded in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분리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그 이음부에 설치되되,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있고 6면 중에서 일면이 개방 형성되는 망형의 철재 박스; 및 상기 개방 형성된 일면을 막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벽체 콘크리트와 슬라브 콘크리트가 분리 타설될 때 이용되는 다우얼 바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우얼 박스 후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이음부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선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콘크리트와 후타설되는 슬라브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Net-type dowel box for the separated materials}
본 고안은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시에 벽체와 같은 수직부재와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를 분리하여 타설하는 경우, 이음부분을 견고하게 결합하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때, 수직부재인 벽체와 수평부재인 슬라브에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골조공정을 진행하면서 상기 부재들을 분리해서 타설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다. 예컨대, 계단, 각종 배관통로 및 엘리베이터 피트(elevator pit)가 모여있는 코아(core)와 슬라브(slab)의 경우, 각각을 분리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상기 코아와 슬라브가 접하는 이음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로 스티로폼(styrofoam)과 폼세이버(form saver, 31)를 결합한 방식 및 철판형 다우얼박스(dowel box, 20)를 적용한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스티로폼(34)과 폼세이버(31)를 결합한 방식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폼세이버(31)는 철근이나 이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봉의 일방 단부에 너트(32)와 같은 암나사부가 구비된 체결구가 결합 형성된다. 상기 스티로폼(34)은 상기 폼세이버(31)가 벽체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스티로폼(34)을 제거하면 폼세이버(31)의 일방 단부가 노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티로폼(34)과 폼세이버(31)를 결합한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우선, 벽체를 형성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벽체 철근에 소철선 등으로 상기 폼세이버(31)를 슬라브 철근 배근 간격과 일치하도록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폼세이버(31)의 단부가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스티로폼(34)을 폼세이버(31)의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형틀을 분리하고 설치된 스티로폼(34)을 제거하여 상기 폼세이버(31)의 일방 단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폼세이버(31)와 연결될 슬라브 철근의 단부를 절삭하여 숫나사부(33)를 형성한 후 상기 철근의 숫나사부와 폼세이버(31)를 체결시키고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정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로폼과 폼세이버를 결합한 방식은 슬라브 철근의 단부를 절삭하여 숫나사부를 형성한 다음 폼세이버와 체결시킴으로써 공사 비용이 다른 방식보다 더 소요된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벽체 철근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폼세이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위가 벽체 철근에 한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벽체 철근에 견고히 고정시키지 않으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많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을 벽체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잔여물 없이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2 및 도 3은 기존의 철판형 다우얼 박스(20)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형 다우얼 박스(20)는 다우얼 바(dowel bar, 4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로서, 철재로 형성된다.
상기 철판형 다우얼 박스(20)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 상기 철판형 다우얼 박스(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다우얼 바(40)를 끼워 넣은 후에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먼저 철판형 다우얼 박스(20)를 고정시킨 후에 다우얼 바(40)를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다우얼 박스(20)를 벽체 철근 등에 고정시키고 상기 다우얼 바(40)를 상기 박스(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운 후 구부려서 박스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덮개를 닫아 밀봉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벽체 콘트리트를 타설한다. 계속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거푸집을 탈형하고 상기 덮개를 분리하여 구부러진 다우얼 바(40)를 펴서 슬라브 철근과 잇고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정을 완료한다.
상기 철판형 다우얼 박스(20)는 그 자체가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의하여 다우얼 바(40)가 다우얼 박스(20)로부터 분리되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는 적다.
그러나, 철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고, 슬라브 철근의 배근 간격과 직경이 철판에 형성된 구멍의 간격 및 직경과 상이한 경우에는 철판을 재가공하여야 하므로 융통성을 발휘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철판 후면의 타설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구조적인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며, 콘크리트와 철재라는 이질재료간의 결합으로서, 철판에 엠보싱(embossing)이나 요철처리가 되어 있더라도 결합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제적이고, 다우얼 바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우얼 박스 후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선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콘크리트와 후타설되는 슬라브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티로폼과 폼세이버를 결합한 방식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철판형 다우얼 박스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종래의 철판형 다우얼 박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망형 다우얼(dowel) 박스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망형 다우얼 박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망형 다우얼 박스, 11 : 망형 철재 박스,
12 : 덮개,
13 : 망형 철재 박스와 덮개의 결합을 위한 구멍,
20 : 철판형 다우얼 박스, 21 : 철판 박스,
22 : 다우얼 바를 끼우기 위한 구멍,
23 : 덮개,
24 : 철판박스와 덮개의 결합을 위한 구멍,
31 : 폼세이버, 32 : 너트,
33 : 숫나사부, 34 : 스티로폼,
40 : 다우얼 바, 50 : 콘크리트 벽체,
60 : 콘크리트 슬라브, 70 : 철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분리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그 이음부에 설치되되,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있고 6면 중에서 일면이 개방 형성되는 망형의 철재 박스; 및 상기 개방 형성된 일면을막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망형 다우얼 박스(10)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우얼 박스(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고, 6면 중에서 일면이 개방 형성되는 망형의 철재 박스(11)와, 상기 개방된 면을 덮는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망형 철재 박스(11)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벽체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slump value)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슬럼프 값이라 함은 슬럼프시험을 했을 때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치수를 cm로 나타낸 값으로서, 슬럼프 값이 커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큰 경우에는 상기 구멍의 크기가 더 작은 것을 선택하고 슬럼프 값이 작아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구멍이 형성된 박스(11)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은 10 ~ 15 정도이므로 상기 구멍의 크기는 15mm2~ 140mm2인 것이 적당하고 그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및 평행사변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서,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길이의 2배 이하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12)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서, 시멘트 페이스트(paste)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재료 예컨대, 목재, PVC, 철재 등으로 형성되면족하다.
상기 박스(10)는 망상의 철판이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다우얼 바(40)를 설치할 때 간단한 절단 공구로써 상기 다우얼 바(40)를 끼울 구멍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다우얼 바(40)는 다우얼 박스에 먼저 고정되어 벽체 철근(70)에 함께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먼저 벽체 철근(70)에 고정된 후 다우얼 박스를 상기 다우얼 바(40)에 끼워 넣을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의 망형 다우얼 박스(10)를 적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순서를 바꾸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벽체와 슬라브를 분리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본 고안에 의한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벽체의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배근된 철근에 상기 망형 다우얼 박스를 고정하며, 계속해서, 상기 고정된 다우얼 박스에 다우얼 바가 설치될 위치에 상기 다우얼 바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다우얼 바를 끼운 후, 상기 다우얼 바를 구부리며, 상기 다우얼 박스의 개방된 면을 덮개로 막은 다음에, 상기 벽체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벽체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도 다우얼 박스가 망상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박스 후면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상의 하자를 예방하는 것이 용이하고, 망상의 개별 구멍에서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입되어 자연스럽게 엠보싱이 형성됨으로써 후속 공정인 슬라브 콘크리트와 접합력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망형 철판은 보나 슬라브를 끊어칠때 이용하는 리브 라쓰(rib lath)를 사용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고, 가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상기 다우얼 박스의 덮개를 분리하고 구부러진 다우얼 바를 원상대로 펴며, 슬라브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슬라브 철근과 상기 다우얼 바를 이은 후에 상기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다.
본 고안은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에 있어서, 벽체 콘크리트와 슬라브 콘크리트가 분리 타설될 때 이용되는 다우얼 바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다우얼 박스 후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이음부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선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콘크리트와 후타설되는 슬라브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분리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그 이음부에 설치되되,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있고 6면 중에서 일면이 개방 형성되는 망형의 철재 박스; 및
    상기 개방 형성된 일면을 막는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형의 철재 박스의 단위 구멍의 크기는 15mm2~ 140mm2이고, 그 형상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및 평행사변형 중 어느 하나로서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길이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목재, PVC, 철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KR20-2003-0035660U 2003-11-14 2003-11-14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KR200343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60U KR200343278Y1 (ko) 2003-11-14 2003-11-14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60U KR200343278Y1 (ko) 2003-11-14 2003-11-14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77A Division KR20050046870A (ko) 2003-11-14 2003-11-14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및 그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278Y1 true KR200343278Y1 (ko) 2004-03-02

Family

ID=4934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60U KR200343278Y1 (ko) 2003-11-14 2003-11-14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44B1 (ko) 2008-06-12 2010-07-09 (주)대우건설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44B1 (ko) 2008-06-12 2010-07-09 (주)대우건설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52058A (ru) Вертикаль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швы
KR200343278Y1 (ko)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KR101024963B1 (ko) 마감패널이 내재된 외벽 일체화 시공용 빌드폼
JP3429459B2 (ja) 橋床ハンチの施工方法
JP3439436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
KR1003862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분리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이용되는 망상형 다우월 박스
KR20050046870A (ko)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및 그설치 방법
KR20023460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이용되는 망상형 다우얼 박스
JP2023060617A (ja) 建物の立ち上がり基礎のu字形捨て型枠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PL1544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uttering elements for sheathing concrete and a shuttering element for sheathing concrete
JP3889497B2 (ja) コンクリート製地下室の成形工法
CN220167223U (zh) 一种预制清水混凝土非结构填充墙
CN209975867U (zh) 一种预制构造柱结构
JPS6195127A (ja) コンクリ−ト型枠工法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KR930005580Y1 (ko) 결착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거푸집 단열 판넬
JPH11217931A (ja) 発泡断熱型枠
JPH0523091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込工法
JP294237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梁、壁などの鉛直方向打継ぎ部の型枠工法およびこの工法に用いるガイド金具
JP4319775B2 (ja) 耐震補強壁とその製造方法
KR200349962Y1 (ko) 슬라브타설용 거푸집 보조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