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985B1 -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 Google Patents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85B1
KR100365985B1 KR10-2000-0023339A KR20000023339A KR100365985B1 KR 100365985 B1 KR100365985 B1 KR 100365985B1 KR 20000023339 A KR20000023339 A KR 20000023339A KR 100365985 B1 KR100365985 B1 KR 10036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nail
insulation
inner pass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381A (ko
Inventor
양내문
병 균 임
Original Assignee
병 균 임
양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균 임, 양내문 filed Critical 병 균 임
Priority to KR10-2000-002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98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거푸집 탈형시에 제거되는 무두못에 의하여 판상단열재가 크게 훼손됨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실시되어야 하는 벽지마감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판상단열재가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단열공사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못지지체(110)와, 상기 못지지체(110)를 이루는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1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못지지체(110)의 누름판부(113) 중앙 하부에 상기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와 상응하는 직경으로서 수직으로 연통되는 단열재보호관(115)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앵커판부(114)의 저면에 맞대어지는 판상단열재(400)가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분리 제거되는 무두못(120)에 의하여 심하게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상단열재용 고정못{A Nail for Fixing an Insulation Board}
본발명은 거푸집의 외면에 판상단열재를 밀착되게 고정시켜서 슬라브 또는 벽체에 판상단열재를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주며 탈형되는 거푸집에 무두못이 꽂혀서 제거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상하층 또는 외부와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를 일체로 부착시키는 단열공사를 수행하여 왔다.
이와 같이 판상단열재를 이용한 단열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종래에는 거푸집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들을 일반못으로 고정시키고,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양생된 슬라브나 벽체로부터 거푸집을 탈형한 후에, 거푸집을 탈형하여서 들어난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일반못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판상단열재를 이용한 단열공사를 수행할 때에 일반못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일반못의 돌출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상단열재를 훼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면서 판상단열재에 잔류되어 있는 일반못이 부식되어서 마감벽지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돌출된 일반못을 일일이 절단하여야 하는 부담으로 인하여 가급적 고정못의 간격을 넓게하여서 판상단열재를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판상단열재와 거푸집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판상단열재와 거푸집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어서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시멘트막이 형성되므로, 판상단열재의 외면을 벽지로서 마감하는 데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 국내 특허번호 제255764호(2000.2.16)에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그 관체부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3)와 그 관체부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된 "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이 특허되어 있다.
이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은 첫째 못지지체(10)의 누름판부(13)로서 판상단열재(400)를 폭넓게 눌러서 거푸집(300)에 틈새없이 밀착되게 고정시켜 주므로,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입되어서 시멘트막이 형성됨을 방지하여서 벽지공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거푸집(300)에 판상단열재(400)를 고정시켜 주었던 무두못(20)이 탈형되는 거푸집(300)과 함께 제거되어서, 못의 제거 및 마무리공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주며, 셋째 고정못(100)의 일부가 잔류됨이 없이 완전하게 제거되어서 녹발생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잔류된 못에 의한 열전달 작용을 배제시켜서 판상단열재(400)가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은 거푸집(300)을 탈형하는 과정에서 그 거푸집에 꽂혀서 못지지체(10)로부터 이탈되어서 제거되는 무두못(20)이 주변의 판상단열재(400)를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a의 도시와 같이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으로서 거푸집(300)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400)들을 고정시키고,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경화된 슬라브(500) 또는 벽체에 판상단열재(400)가 부착된 상태에서 거푸집(300)을 해체하게 된다. 이때, 도2b의 도시와 같이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에 대하여 어느 일측으로부터 거푸집(300)을 비스듬이 당겨서 탈형시키기 때문에,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슬라브(500) 또는 벽체에 매립된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를 벗어난 무두못(20)이 비스듬이 젖혀진 거푸집(300)에 의하여 경사지게 굴절되므로, 무두못(20)이 제거된 부위의 판상단열재(400)에 무두못이 굴절된 각도 만큼의 커다란 구멍이 뚫어져서 손상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벽지로서 마감작업을 수행할 때에 작업자가 판상단열재(400)에 커다랗게 뚫어진 구멍들을 일일이 메꾸어 줌으로써, 작업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여서 마감작업시에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작업자의 무관심 또는 현장 감독소홀 등으로 인하여 판상단열재(400)에 뚫어진 구멍들을 확실하게 메꾸지 않고 마감하는 경우에, 그 판상단열재(400)에 뚫어진 구멍으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결로현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거푸집 탈형시에 제거되는 무두못에 의하여 판상단열재가 크게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되어서, 첫째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실시되어야 하는 벽지마감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판상단열재가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단열공사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나타낸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종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3은 본발명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발명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나타낸 단면도
도5a, 도5b는 본발명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못지지체 111: 관체부 112: 내부통로
113: 누름판부 114: 앵커판부 115: 단열재보호관
116: 보강턱 117: 보호튜브 118: 보강돌기
120: 무두못 121: 걸침부 122: 미세돌기
본발명도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못지지체(110)와, 상기 못지지체(110)를 이루는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120)으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못지지체(110)의 누름판부(113) 중앙 하부에 상기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와 상응하는 직경으로서 수직으로 연통되는 단열재보호관(115)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앵커판부(114)의 저면에 맞대어지는 판상단열재(400)가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분리 제거되는 무두못(120)에 의하여 심하게 훼손됨을 방지하여 줌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은 도5a 및 도5b의 도시와 같이, 그 못지지체(110)의 누름판부(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열재보호관(115)을 가져서,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제거되는 무두못(120)이 상기 단열재보호관(115)을 통하여 유도되어서, 판상단열재(400)를 통과할 때에 굴절되는경사각도를 줄여 줌으로써, 거푸집(300) 탈형시에 제거되는 무두못(120)이 판상단열재(400)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구멍만을 남기도록 하여서 손상률을 극소화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첫째 훼손된 판상단열재(400)에 뚫어진 커다란 구멍을 메꾸어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서 마감공사시에 불필요한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을 감축시켜 주며, 둘째 판상단열재(400)가 거의 원형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서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못지지체(110)는 내부통로(112)를 가지는 관체부(111)의 하부에는 누름판부(113)를 그 관체부의 상부에는 앵커판부(114)를 각각 형성하여서 되며, 상기 무두못(120)을 지탱하여 주면서도 필요시에 손쉽게 이탈될 수 있게 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관체부(111)는 내부가 트여지는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그 단면내에 상기 무두못(120)이 타이트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내부통로(112)를 확보하여 주도록 형성한다.
상기 누름판부(113)는 상기 앵커판부(11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여서, 재질이 무른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면서 거푸집(300)쪽으로 효과적으로 눌러주도록 한다.
상기 앵커판부(114)는 거푸집(300)에 타설 경화되는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거푸집(300) 탈형시에 못지지체(110)의 내부통로(1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진 무두못(120)이 이탈되면서 잡아당기는 힘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단열재보호관(115)은 상기 누름판부(113)의 하부에 일체로서 판상단열재(400) 단면의 중간부까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제거되는 무두못(120)을 유도하여 주기 때문에, 비스듬이 젖혀져서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힌상태로 제거되는 무두못(120)이 판상단열재(400)를 통과할 때에 굴절되는 경사각도를 줄여 줌으로써, 판상단열재(400)가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보호관(115)은 상기 누름판부(113) 중앙 하부에 상기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와 상응하는 직경으로서 판상단열재(400)의 높이에 대하여 절반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관체부(11)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접되는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의 코너부위의 둘레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보강턱(116)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를 견고하게 보강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앵커판부(114)의 상부면 중앙에는 상향 돌출되어서 보호튜브(117)를 가지는 보강돌기(118)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이 보강돌기(118)은 무두못(120)을 망치로 때려서 거푸집(300)에 고정시킬 때에 상기 앵커판부(114)가 파손됨을 방지하여 주며, 보호튜브(117)은 상기 무두못(120)의 못머리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도록 감싸주어서 이후에 무두못(120)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무두못(120)은 상기 못지지체(110)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거푸집(300)에 판상단열재(400)를 고정시켜서 시공된 슬라브(500)나 벽체에 부착시켜 주는 구성부이다.
본발명에서 무두못(120)은 일반못에서와 같이 상단부에 못직경보다 넓은 머리판부가 없는 못을 지칭한다.(원래 이 머리판부는 통상적으로 못머리부라고 불리우지만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무두못의 못머리부와 구분하기 위하여 머리판부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상기 무두못(120)은 그 못머리부에 못직경보다 미세한 차이로 확경되는 걸침부(121)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걸침부(121)는 상기 무두못(120)의 못머리부가 상기 못지지체(110)의 내부통로(112)의 입구에 걸쳐지도록 하여서, 상기 못지지체(110)을 눌러서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 쪽으로 밀착시켜서 고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두못(120)의 상단부 근처에 등간격마다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환상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미세돌기(122)들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미세돌기(122)는 상기 무두못(120)이 못지지체(110)의 내부통로(112)내에 마찰접촉되도록 타이트하게 끼워져서, 상기 못지지체(110)을 눌러서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 쪽으로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거푸집(300)의 탈형시에는 상기 무두못(120)이 못지지체(110)의 내부통로(112)와 판상단열재(400)를 통과하여서 거푸집(300)과 함께 제거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 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은 거푸집 탈형시에 무두못에 의하여 판상단열재가 크게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됨으로써,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벽지마감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을 감축하여 주며, 판상단열재가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못지지체(110)와, 상기 못지지체(110)를 이루는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1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못지지체(110)의 누름판부(113) 중앙 하부에 상기 관체부(111)의 내부통로(112)와 상응하는 직경으로서 수직으로 연통되는 단열재보호관(115)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앵커판부(114)의 저면에 맞대어지는 판상단열재(400)가 탈형되는 거푸집(300)에 꽂혀서 분리 제거되는 무두못(120)에 의하여 훼손됨을 방지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보호관(115)은 상기 판상단열재(400)의 높이에 대하여 절반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11)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접되는 누름판부(113)와 앵커판부(114)의 코너부위의 둘레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보강턱(116)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판부(114)의 상부면 중앙에는 상향 돌출되어서 보호튜브(117)를 가지는 보강돌기(118)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120)의 상단부 근처에 등간격마다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환상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미세돌기(122)들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2000-0023339A 2000-05-01 2000-05-01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036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39A KR100365985B1 (ko) 2000-05-01 2000-05-01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39A KR100365985B1 (ko) 2000-05-01 2000-05-01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180U Division KR200223623Y1 (ko) 2000-08-16 2000-08-16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81A KR20010100381A (ko) 2001-11-14
KR100365985B1 true KR100365985B1 (ko) 2003-01-09

Family

ID=4578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339A KR100365985B1 (ko) 2000-05-01 2000-05-01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978A (ko) 2018-07-03 2020-01-13 김웅회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KR102169525B1 (ko) 2020-02-10 2020-10-23 김용태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410U (ko) * 1987-01-24 1988-07-30
JPH0171207U (ko) * 1987-10-30 1989-05-12
US5620288A (en) * 1994-02-21 1997-04-15 Hilti Aktiengesellschaft Fastening member assembly to be driven into a hard receiving material by an explosive powder charge operated setting tool
KR19980066532U (ko) * 1997-05-17 1998-12-05 김요섭 와셔가 부설된 무두못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410U (ko) * 1987-01-24 1988-07-30
JPH0171207U (ko) * 1987-10-30 1989-05-12
US5620288A (en) * 1994-02-21 1997-04-15 Hilti Aktiengesellschaft Fastening member assembly to be driven into a hard receiving material by an explosive powder charge operated setting tool
KR19980066532U (ko) * 1997-05-17 1998-12-05 김요섭 와셔가 부설된 무두못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978A (ko) 2018-07-03 2020-01-13 김웅회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KR102169525B1 (ko) 2020-02-10 2020-10-23 김용태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81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985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200223623Y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1321917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100730643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KR100750343B1 (ko) 판상 단열재 고정구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100255764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JPH05280172A (ja) プラスチック製のフェーシングアンカ
KR200283437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KR100371057B1 (ko) 유로폼용 탈형공구
CN111779272A (zh) 一种保温一体化专用对拉螺杆
KR100550365B1 (ko) 지수판 고정장치 와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0339379Y1 (ko) 건축용 슬리브 어셈블리
JP4058506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端部下面の補修工法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6840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JP3386770B2 (ja) 耐震用スリット材の補強構造及び補強部材
JP2007254951A (ja) 水切溝用形成治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水切溝の形成方法
JPH074032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中空部材の製造法及び該製造法によって製造した中空部材
KR01358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플레트타이 지지대
KR200146353Y1 (ko) 천정마감용 앵커 시공장치
KR20000005390U (ko)
KR200343278Y1 (ko) 분리된 구성부재에 이용 가능한 망형 다우얼 박스
KR200371600Y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