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764B1 -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 Google Patents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764B1
KR100255764B1 KR1019980034673A KR19980034673A KR100255764B1 KR 100255764 B1 KR100255764 B1 KR 100255764B1 KR 1019980034673 A KR1019980034673 A KR 1019980034673A KR 19980034673 A KR19980034673 A KR 19980034673A KR 100255764 B1 KR100255764 B1 KR 10025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late
formwork
insul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Original Assignee
양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50009529U external-priority patent/KR960037881U/ko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101998003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거푸집의 상면에 판상단열재를 밀착되게 고정시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거푸집을 탈형할 때에 판상단열재들을 거푸집에 밀착되게 고정하던 철못을 간편하게 제거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은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그 관체부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3)와 그 관체부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첫째, 무두못(20)을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의 내부에 끼워서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들을 준비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의 준비공정과; 둘째, 콘크리트의 타설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300)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400)들을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으로 일정간격마다 고정하여 판상단열재(400)들과 거푸집(300)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판상단열재의 고정공정과; 셋째, 미경화 콘크리트로서 슬라브(500)나 벽체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정과; 넷째,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의 양생후에 거푸집(300) 탈형과 동시에 상기 고정못(100)의 무두못(20)을 제거시키는 거푸집의 탈형 및 무두못의 제거공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이다.

Description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
본발명은 거푸집의 상면에 판상단열재를 밀착되게 고정시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거푸집을 탈형할 때에 판상단열재들을 거푸집에 밀착되게 고정하던 철못을 간편하게 제거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일측면에는 단열판재들이 일체로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에는 상하층 또는 외부와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상단열재가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 또는 벽체의 일측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에 판상단열재를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벽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어 왔던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첫째, 콘크리트의 타설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300)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400)들을 일반못(200)으로 일정간격마다 고정하는 판상단열재의 고정공정과;
둘째, 미경화 콘크리트로서 슬라브(500)나 벽체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정과;
셋째,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의 양생후에 거푸집(300)을 탈형하는 거푸집의 탈형공정과;
넷째,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었던 일반못(200)의 돌출부분을 절단공구로서 절단하는 못의 절단공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종래의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은 첫째 일반못(200)의 돌출부분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이 훼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둘째 시간이 경과되면서 일반못(200)의 잔류부분이 부식되어서 발생되는 녹이 마감벽지를 오염시키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판상단열재의 시공방법은 판상단열재(400)들이 거푸집(300)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못하고 틈새가 형성되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가 그 틈새에 채워져서 경화후에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에 얇은 시멘트 페이스트막(A)이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그 이유는 종래에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못(200)은 그 상호간격을 촘촘하게 유지하기에 매우 어려웠다. 물론, 종래의 공법으로도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에 고정하는 일반못(200)들의 상호간격을 촘촘히 설정한다면, 판상단열재(400)들과 거푸집(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제거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판상단열재(400)들을 거푸집(300)에 고정하는 일반못의 간격을 촘촘하게 설정하는 경우, 거푸집(300)의 탈형후에 일반못(200)의 돌출부분을 제거하는 데 막대한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새로운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공법으로는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에 밀착고정하기에 곤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판상단열재(400)의 얇은 시멘트 페이스트막(A)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매우 어려웠다.
이 시멘트 페이스트막(A)은 거푸집(300)의 탈형후에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전체에 걸쳐서 덮여져서 하나의 박리층의 역할을 하여서 벽지마감공사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벽지를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에 판상단열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시멘트 페이스트막(A)을 잡부들을 별도로 동원하여 긁어낸 후에, 벽지를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1992. 9. 17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554호에 공개된 공개번호 92- 16885호에는 도2에서와 같이, "유연 탄력성 합성수지로서 동체(7)의 상단에 확대부(6)를 형성하고 하단을 원추형 하침부(8)로 형성하고 상단의 확대부(6)내에 정두실(3)을 형성하고 동체(7)의 내부에 하통공(5)을 뚫어 정두실(3)의 하단과의 접경을 약간 넓히어 걸림턱(4)을 형성하고 이에 두단(1')이 현저하게 적은 못(1)의 허리부에 끼워서 일조로 구성한 아웃트렛 박스 가정착용 못"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었다.
이 아웃트렛 박스 가정착용 못(1)은 상단에는 확대부(6)와 하단에는 원추형 하침부(8)를 형성하며, 상기 확대부(6)내에는 그 중심내부로 수직하게 뚫려지는 하통공(5)과 그 하통공(5)의 상단부를 약간 넓히어 걸림턱(4)을 가지는 정두실(3)을 형성한 유연 탄력성 합성수지로서 성형되는 동체(7)와; 두단(1')이 현저하게 적은 못(1)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아웃트렛 박스 가정착용 못(1)은 도3a 및 도3에서와 같이, 유연한 탄력성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동체(7)를 재질이 견고한 금속재로 제작되는 아웃트렛 박스(9)의 못구멍(11)에 그 원추형 하침부(8)를 끼워서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동체(7)의 하통공(5)을 관통하여 두단(1')이 현저하게 적은 못(1)을 박아서 아웃트렛 박스(9)를 거푸집(10)에 고정시킨 후에, 그 상부에 콘크리트 슬라브(12)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슬라브(12)의 양생후에 그 거푸집(10)을 탈형하면, 아웃트렛 박스(9)를 고정할 때에 사용되었던, 못(1)이 거푸집(10)에 꽂힌 상태로 거푸집(10)과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아웃트렛 박스(9)의 하부에는 못(1)이 돌출되지 아니하며, 돌출되는 못의 제거를 위하여 별도의 마감공사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웃트렛 박스 가정착용 못(1)도 판상단열재들을 거푸집(10)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 이유는 이 아웃트렛 박스 가정착용 못(1)은 그 필수적인 기술적 구성요소인 원추형 하침부(8)를 가지는 동체(7)가 재질이 매우 단단한 금속재로 제작되는 아웃트렛 박스(9)의 못구멍(11)에 끼워지기에는 매우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데 반하여, 건축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폴리스티렌 판재와 같이 비중이 매우 작아서 재질이 매우 무른 판상형단열재를 거푸집(10)에 고정하는 경우, 그 고정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구멍이 뚫려질 정도로 파손되어서 판상형단열재를 거푸집(10)의 상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127910호에는 못을 삽통하는 것이 가능한 단관상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악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용못유지구가 1982. 8. 10자로 공개되어 있다.
이 건재용 못유지구는 그 단관상부의 내부에 못머리가 확실하게 형성되는 일반못이 끼워져서 사용되어서, 망치로서 일반못을 타격하여서 대상물체쪽으로 충격을 가하여도, 못머리가 단관상부에 의하여 더 이상 대상물체에 깊이 박히는 것을 방지하여, 박힌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반못을 빼내는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 건재용 못유지구와 일반못으로 판상형단열재를 거푸집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에, 그 상부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슬라브의 양생후에 그 거푸집을 탈형하면, 판상형단열재를 거푸집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었던 일반못의 일부가 콘크리트 슬라브 하부면에 일체로 부착된 판상형단열재의 하부로 돌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127910호에 나타난 기술내용은 판상형단열재의 하부로 돌출되는 일반못의 돌출부분을 절단공구로서 절단하여서 판상형단열재의 하부로 일반못이 돌출되는 것을 제거하는 마감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잔류된 일반못이 부식되면서 녹발생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잔류된 일반못이 콘크리트로 슬라브 및 벽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외기온과의 열교환 작용을 일으키는 통로가 되어 판상형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첫째 콘크리트 슬라브나 벽체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들을 밀착되게 고정하여서 시멘트 페이스트막이 판상단열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둘째 거푸집을 탈형할 때에 거푸집과 함께 못이 빠져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못의 제거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서 벽지마감공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셋째 못의 일부가 잔류됨이 없이 완전하게 제거되도록 하여서 녹발생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단열성능을 향상시켜 주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및 그것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 도1b는 종래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예시한 것임
도2는 또 다른 종래고안의 가정착용 못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3a, 도3b는 제2도의 가정착용 못을 적용한 시공방법을 예시한 것임
도4는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6a, 도6b, 도6c, 도6d는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예시한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10: 못지지체
11: 관체부 12: 내부통로
13: 누름판부 14: 앵커판부
20: 무두못 21: 걸침부
이하, 본발명의 기술적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은 도4 및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그 관체부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3)와 그 관체부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못지지체(10)에서, 누름판부(13)는 비중이 작아서 재질이 매우 무른 판상단열재(400)에 맞닿아 거푸집(300)쪽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 누름판부(13)는 앵커판부(14)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넓은면적을 가지는 누름판부(13)는 판상단열재(400)를 눌러주는 힘을 분산시키면서 폴리스티렌 수지패널과 같이 재질이 무른 판상단열재를 거푸집(300)쪽으로 밀착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못지지체(10)에서, 앵커판부(14)는 거푸집(300)의 상부 또는 내부에 타설되어서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라브(500) 또는 벽체에 매설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 앵커판부(14)는 거푸집(300)의 탈형시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진 못머리부가 빠져나가면서 못지지체(10)를 잡아당길 때에, 못지지체(10)가 무두못(20)과 더불어 재질이 무른 판상단열재(400)를 뚫고서 나가면서 판상단열재(400)를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하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앵커판부(14)는 누름판부(13)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 슬라브(500) 또는 벽체의 타설시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누름판부(13)와 앵커판부(14)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통로(12)의 외부에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하여서 앵커판부(14)의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치수상의 한정을 논하자면, 누름판부(13)는 못직경의 (5∼10)배 정도, 앵커판부(14)는 못직경의 (3∼7)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에서, 무두못(20)은 일반못에서와 같이 상단부에 못직경보다 넓은 머리판부가 없는 못을 지칭한다. (원래 이 머리판부는 통상적으로 못머리부라고 불리우지만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무두못의 못머리부와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머리판부라고 명명한다)
도5에서와 같이, 본발명에 사용되는 무두못(20)은 그 못머리부에 못직경보다 미세한 크기로 확장되는 걸침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침부(21)는 무두못(20)이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내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하여서 본발명이 판상단열재(400)를 관통하여 거푸집(300)에 박혀질 때,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쪽으로 밀착시킬 때 버틸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300)의 탈형시에는 내부통로(12)와 판상단열재(400)를 관통하여 거푸집(300)에 부착되어 무두못(20)이 제거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은 도6a, 도6b, 도6c, 도6d에서와 같이, 첫째, 무두못(20)을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의 내부에 끼워서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들을 준비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의 준비공정과;
둘째, 콘크리트의 타설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300)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400)들을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으로 일정간격마다 고정하여 판상단열재(400)들과 거푸집(300)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판상단열재의 고정공정과;
셋째, 미경화 콘크리트로서 슬라브(500)나 벽체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정과;
넷째,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의 양생후에 거푸집(300) 탈형과 동시에 상기 고정못(100)의 무두못(20)을 제거시키는 거푸집의 탈형 및 무두못의 제거공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발명의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은 첫째 넓은면적으로 가지는 못지지체(10)의 누름판부(13)로서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재질이 무른 판상단열재(400)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면서 거푸집(300)에 틈새없이 밀착되게 고정하여서 시멘트 페이스트막이 판상단열재(4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주며, 둘째 거푸집의 탈형과 동시에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무두못(20)이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와 판상단열재(400)를 관통하여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못의 제거 및 마무리공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벽지공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셋째 고정못(100)의 일부가 잔류됨이 없이 완전하게 제거시켜서 녹발생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잔류된 못에 의한 열교환 작용을 배제시켜서 판상단열재(400)가 원래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그 관체부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3)와 그 관체부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부(13)는 상기 앵커판부(14)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3. 첫째, 무두못(20)을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의 내부에 끼워서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들을 준비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의 준비공정과; 둘째, 콘크리트의 타설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300)의 일측면에 판상단열재(400)들을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으로 일정간격마다 고정하여 판상단열재(400)들과 거푸집(300)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판상단열재의 고정공정과; 셋째, 미경화 콘크리트로서 슬라브(500)나 벽체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정과; 넷째, 콘크리트 슬라브(500)나 벽체의 양생후에 거푸집(300) 탈형과 동시에 상기 고정못(100)의 무두못(20)을 제거시키는 거푸집의 탈형 및 무두못의 제거공정을 통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이용한 판상단열재의 부착시공방법.
KR1019980034673A 1995-05-06 1998-08-26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025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673A KR100255764B1 (ko) 1995-05-06 1998-08-26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529U KR960037881U (ko) 1995-05-06 1995-05-06 콘크리트 공사용 탈형못
KR1019980034673A KR100255764B1 (ko) 1995-05-06 1998-08-26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529U Division KR960037881U (ko) 1995-05-06 1995-05-06 콘크리트 공사용 탈형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764B1 true KR100255764B1 (ko) 2000-05-01

Family

ID=2663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673A KR100255764B1 (ko) 1995-05-06 1998-08-26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1B1 (ko) 2008-10-16 2011-03-09 임상명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200003978A (ko) 2018-07-03 2020-01-13 김웅회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1B1 (ko) 2008-10-16 2011-03-09 임상명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200003978A (ko) 2018-07-03 2020-01-13 김웅회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KR102144337B1 (ko) * 2018-07-03 2020-08-13 김웅회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23457A (ja) タイル支持具、タイル貼り壁構造及びタイル貼り帳壁
KR102316502B1 (ko) 단열갱폼 및 단열갱폼을 이용한 건물벽체 시공방법
KR100255764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0365985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371057B1 (ko) 유로폼용 탈형공구
KR200321241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KR200223623Y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200146353Y1 (ko) 천정마감용 앵커 시공장치
JPH11217931A (ja) 発泡断熱型枠
KR930005580Y1 (ko) 결착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거푸집 단열 판넬
KR100796021B1 (ko) 콘크리트 방식판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3862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분리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이용되는 망상형 다우월 박스
KR200414986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S6012013Y2 (ja) コンクリ−トスラブ用埋込材
KR20023460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이용되는 망상형 다우얼 박스
JP2007130879A (ja) ノロ止め具
KR20010059641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20050092990A (ko) 화장실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JPS6242054Y2 (ko)
JP2991333B2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67861Y1 (ko) 콘크리트 균열 발생기
KR20220159321A (ko) 벽체구축용 거푸집패널의 간격유지구
KR200235135Y1 (ko)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US7549617B1 (en) Slab saver form attach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503

Effective date: 199912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