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35Y1 -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35Y1
KR200235135Y1 KR2020000025542U KR20000025542U KR200235135Y1 KR 200235135 Y1 KR200235135 Y1 KR 200235135Y1 KR 2020000025542 U KR2020000025542 U KR 2020000025542U KR 20000025542 U KR20000025542 U KR 20000025542U KR 200235135 Y1 KR200235135 Y1 KR 200235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diameter
formwork
fixing devic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Original Assignee
양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2020000025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3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후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3)와 상기 관체부(11)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은 지름이 1-3mm 크기의 못직경(Φ)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앵커판부(13)의 직경(Φ1)은 못직경(Φ)의 4-6배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관체부(11)의 길이(L)는 12-18㎜로 하며, 상기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은 못직경(Φ)의 2-3배 크기로 형성함을 기술요지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A Fixing Device for Steel form Panel}
본 고안은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후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공사에 널리 사용되어 오던 합판거푸집공법은 설치에서 해체까지 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철근의 배근간격 및 피복두께 등의 품질확보에 어려움이 많을 뿐만아니라, 거푸집의 설치·해체 및 소운반 작업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며, 대량의 거푸집 폐자재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합판거푸집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소위 '데크플레이트'라고 불리우는 철판을 슬래브용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소위 '철판거푸집공법'이다.
이 철판거푸집공법은 데크플레이트라고 불리우는 철판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와 일체가 되도록 하여서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완료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도록 할 뿐만아니라, 철판의 단면2차모멘트를 높여서 동바리의 지지간격을 크게 확대시킴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키는 장점을 가져서 인건비가 상승하는 요즈음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이 철판거푸집공법의 일종으로서 철판의 상면에 철근트러스가 일체로 용접되어 있는 철근트러스철판을 사용하는 '철근 트러스 상판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철근 트러스 상판공법'은 바닥슬래브 합판거푸집 대신에 아연도 절곡강판에 입체형 철근이나 철선으로 만든 트러스(선조립철근)를 철판에 전기용접하여 제작한 슈퍼데크(슬래브두께 110∼300㎜)나 페로데크(슬래브두께 120∼22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 철근 트러스 상판공법은 철근의 배근간격 및 피복두께 등의 품질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철근조립공사도 공장에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공사와 철근공사를 건축공사현장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설명의 편의상 위에서 언급된 데크플레이트, 슈퍼데크 또는 페로데크를 총칭하여 철판거푸집으로 명명한다.
도1a 내지 도1d에는 이러한 철판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 공사가 완료된 후에 후속마무리 공정이 진행되는 종래의 슬래브용 철판거푸집공법이 예시된다.
이 종래의 철판거푸집공법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첫째, 철판거푸집(300)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체(400)들을 설치하는 수평지지체(400)의 설치공정을 실시한다.
둘째, 상기 수평지지체(400)들의 상부에 철판거푸집(300)들을 올려놓고 일반못(200)들로서 고정하는 철판거푸집(300)의 설치공정을 실시한다.
셋째, 철판거푸집(300)의 설치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는 슬래브의 타설공정을 실시한다.
넷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가 충분히 경화된 후에는 철판거푸집(300)의수평지지체(400)들을 해체하는 수평지지체(400)의 해체공정을 실시한다.
다섯째, 철판거푸집(300)들을 수평지지체(400)들에 고정할 때에 사용되었던 일반못(200)들의 하부돌출부분(210)들을 제거하는 마무리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철판거푸집공법은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완료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철판거푸집공법은 수평지지체(400)들의 해체공정시에, 철판거푸집(300)을 수평지지체(40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일반못(200)들이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돌출되었다. 이와같이,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돌출되는 일반못(200)들의 하부돌출부분(210)들은 미관상으로나 안전상의 이유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일반못(200)들의 하부돌출부분(210)들을 일일이 제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별도의 작업비용이 소요되어야 한다.
또한, 일반못(200)의 하부돌출부분(210)이 절단되어서 제거된다고 하여도, 하부돌출부분(210)을 제외한 잔류부분의 절단면(220)은 별도의 부식방지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한 상태로 그대로 외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태로 외기에 노출된 잔류부분의 절단면(220)은 공사가 완료된 후에 부식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된다. 일반못(200) 잔류부분의 절단면(220)에서 부식이 일단 진행되면, 그 부식은 그 주변의 철판거푸집(300)으로 번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와같은 부식의 진행은 미관상으로나 구조적으로나 슬래브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즉, 종래의 철판거푸집공법은 수평지지체(300)들의 해체후에, 반드시일반못(200)들의 하부돌출부분(210)들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마무리공정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지지체의 해체시에 고정못도 동시에 제거될 뿐만아니라 잔류부분이 철판거푸집에 남지 않도록 하여서 부식의 진행을 방지하는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 내지 도1d는 종래 슬래브용 철판거푸집공법을 예시한 것임
도2는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와 비교되는 다른 가고정장치들의 시공예를 나타낸 것임
도5a 내지 도5d는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이용한 슬래브용 철판거푸집공사를 단 계별로 예시한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못지지체 11:관체부 12:내부통로
13:앵커판부 14:누름판부 20:무두못
21:걸침부 L:관체부길이 Φ:못직경
Φ1:앵커판부직경 Φ2:누름판부직경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는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3)와 상기 관체부(11)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은 지름의 1-3mm 크기의 못직경(Φ)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앵커판부(13)의 직경(Φ1)은 못직경(Φ)의 4-6배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관체부(11)의 길이(L)는 12-18㎜로 하며, 상기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은 못직경(Φ)의 2-3배 크기로 형성함을 그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판부(13)는 철판거푸집(300)의 상부에 타설되어서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설되어서 관체부(11)에 타이트하게 끼워진 무두못(20)이 내부통로(11)를 통하여 아래로 빠질때에 못지지체(10)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서, 무두못(20)이 아래로 원할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앵커판부(13)의 직경(Φ1)을 못직경(Φ)의 4-6배 크기로 하고,상기 관체부(11)의 길이(L)는 12-18㎜로 한정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타설시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누름판부(14)와 앵커판부(13)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체부(11)의 외부에 충분한 량의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경화되도록 하여서, 관체부(11)에 끼워진 무두못(20)이 내부통로(12)를 통하여 아래로 빠질때에 무두못(20)이 아래로 원할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은 못직경(Φ)의 2-3배 크기로 한정하고 있다. 도4a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망치로 박아서 철판거푸집(300)을 수평지지체(40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관체부(11)의 하단부가 철판거푸집(300)의 직상면까지 마주닿아도 그 마주닿는 감각이 망치자루를 잡고있는 작업자의 손에 충분히 전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관체부(11)의 하단부가 철판거푸집(300)의 직상면에 마주닿아서 더 이상 망치질을 할 필요가 없어진 경우에도 계속하여 망치질을 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가 파손되어서 못지지체(10)의 본래기능을 올바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4b에서와 같이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망치로 박아서 철판거푸집(300)을 수평지지체(40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를 비스듬히 박게 되면, 무두못(20)의 일부가 철판거푸집(300)의 직상면 누름판부(14)의 사이에서 노출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철판거푸집의 고정공정이 완료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공정을 실시하면, 미경화콘크리트가 무두못(20)의 일부가 노출된 철판거푸집(300)의 직상면 누름판부(14)의 사이에 채워지며, 무두못(20)의 일부가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결과로 귀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평지지체(400)의 해체공정의 실시과정에서 수평지지체(400)와 더불어 무두못(20)이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빠져나올수 없게 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못지지체(10)의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을 못직경(Φ)의 2-3배로 한정한다.
본 고안에서, 무두못(20)은 일반못에서와 같이 상단부에 못직경보다 넓은 머리판부가 없는 못을 지칭한다. (원래 이 머리판부는 통상적으로 못머리부라고 불리우지만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무두못의 못머리부와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머리판부라고 명명한다)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사용되는 무두못(20)은 지름이 1-3mm 크기의 못직경(Φ)을 가지며, 그 못머리부에 못직경보다 미세한 크기로 확장되는 걸침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침부(21)는 무두못(20)이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하여서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가 철판거푸집(300)을 수평지지체(4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며, 수평지지체(400)의 해체공정시에는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와 철판거푸집(300)을 관통하여 수평지지체(400)와 더불어 무두못(20)이 제거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고안의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슬래브용 철판거푸집공사를 도5a 내지 도5d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두못(20)을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끼워서 본 고안의 가고정장치들을 준비하는 철판거푸집용 가고정장치의 준비공정을 실시한다.
둘째, 철판거푸집(300)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체(400)들을 설치하는 수평지지체의 설치공정을 실시한다. 도4a 내지 도4b에는 상기 수평지지체(400)로서 목재보형틀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 목재보형틀은 필요에 따라서 멍에와 같이 다른 종류의 수평지지체(400)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셋째, 상기 수평지지체(400)들의 상부에 철판거푸집(300)들을 올려놓고 앞에서 준비된 가고정장치들로서 고정하는 철판거푸집(300)의 설치공정을 실시한다.
넷째, 철판거푸집(300)의 설치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는 슬래브의 타설공정을 실시한다.
다섯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가 충분히 경화된 후에는 철판거푸집(300)의 수평지지체(400)들을 해체하는 수평지지체(400)의 해체공정을 실시한다. 이때에, 수평지지체(400)들에 박혀져 있던 무두못(20)들은 수평지지체(400)들의 해체과정에서 수평지지체(400)에 박혀진 상태로 철판거푸집(300)을 관통하여 하부로 제거된다.
본 고안은 수평지지체(400)들의 해체공정시에, 철판거푸집(300)을 수평지지체(40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가고정장치의 무두못(20)들이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동시에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돌출되는 일반못(200)들의 하부돌출부분(210)들을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그에 따른 작업비용이 절감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무두못(20)이 철판거푸집(300)의 하부로 완전히 빠져나가 제거되므로, 무두못(20)의 잔류부분이 존재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철판거푸집(300) 고정할 때에 사용되었던 가고정장치의 무두못(20)이 철판거푸집을 부식시키지 아니하므로, 철판거푸집공법으로 시공된 슬래브에 미관상으로나 구조적으로 별도의 문제점을 야기시키지 않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그 내부에 끼워지는 못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는 관체부(11)와 상기 관체부(11)의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앵커판부(13)와 상기 관체부(11)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누름판부(14)를 포함하며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못지지체(1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관체부(11)의 내부통로(12)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무두못(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은 지름이 1-3mm 크기의 못직경(Φ)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앵커판부(13)의 직경(Φ1)은 못직경(Φ)의 4-6배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관체부(11)의 길이(L)는 12-18㎜로 하며, 상기 누름판부(14)의 직경(Φ2)은 못직경(Φ)의 2-3배 크기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KR2020000025542U 2000-09-07 2000-09-07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KR200235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42U KR200235135Y1 (ko) 2000-09-07 2000-09-07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42U KR200235135Y1 (ko) 2000-09-07 2000-09-07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135Y1 true KR200235135Y1 (ko) 2001-09-13

Family

ID=7308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542U KR200235135Y1 (ko) 2000-09-07 2000-09-07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781B1 (en) Pocketformer apparatus for a post-tension anchor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235135Y1 (ko)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JP2009084941A (ja) アフターボンド工法に於けるpc鋼棒定着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に用いる器具
JP499961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工法
JP3707006B2 (ja) 既設組積造壁における開口部の新設方法
KR20000059441A (ko) 슬래브용 철판거푸집의 가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슬래브용
JPH03281855A (ja) 建築物の床組工法
KR102269595B1 (ko) 중공슬래브의 부력방지장치
JP2581909B2 (ja) 軟弱地盤における基礎工法
JPH0512505B2 (ko)
JP2003147784A (ja) 鋼製型枠支保工
JP3078195U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H0621952Y2 (ja) アンカー頭部の処理構造
KR200237627Y1 (ko)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연결구조
JP3010355B1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床の打ち継ぎ部の施工法
JPH0665979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穴充填方法
JP3021610U (ja) パイプ配管用床孔埋め工事用金網わく
KR200172618Y1 (ko) 콘크리트 천장 시공용 장선을 걸기 위한 브라켓 일체형패널
JP2536742Y2 (ja) コンクリート打設工事用箱抜き管材の取付具
JPH10266428A (ja) 捨型枠
KR200216231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및 이를 이용한바닥슬래브(10) 보강 방법
KR20030085736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KR200196885Y1 (ko) 메탈래스
KR200174283Y1 (ko) 파이프 고정구조
JP2002106173A (ja) 鉄筋受け架台及びそれを使用した配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