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643B1 -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643B1
KR100730643B1 KR1020070006088A KR20070006088A KR100730643B1 KR 100730643 B1 KR100730643 B1 KR 100730643B1 KR 1020070006088 A KR1020070006088 A KR 1020070006088A KR 20070006088 A KR20070006088 A KR 20070006088A KR 100730643 B1 KR100730643 B1 KR 10073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late
insulation
formwork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937A (ko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내문
양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양근영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102007000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6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단열재(400)의 상면에서 무두못(20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못지지체(10)와, 판상단열재(400)의 하면에 거푸집(300)과, 거푸집(300)의 하면에 지지부재(310)를 위치시키고, 상기 무두못(200)으로 지지부재(310)에 까지 박아 고정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0)은 그 상단면 외주면을 테이퍼지게 가공 형성한 테이퍼부(22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삽입되는 위치인 상기 테이퍼부(220)의 하단부인 무두못(200)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수직돌기(2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판상단열재의 상면에서 무두못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못지지체와, 판상단열재의 하면에 거푸집과, 거푸집의 하면에 지지부재를 두고, 상기 무두못으로 지지부재에 까지 박아고정할 때, 상기 무두못의 상단을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망치로 두드려 박을 때, 그 외주면을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탈형시 무두못이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못지지체의 내부 통로에 밀착되도록 다수의 수직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무두못의 자중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무두못의 하단에 역삼각형상의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10)에 박힐 때, 박히기는 쉬우나 거푸집(300) 탈형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무두못

Description

판상단열재용 고정구{Fixing member for an insulating material}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상단열재용 나사못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판상단열재용 나사못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3a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b는 도2의 A-A선에 따른 또 다른 단면도,
도4는 종래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종래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10 : 못지지체
12 : 내부통로 14 : 앵카판부
200 : 무두못 210 : 수직돌기
220 : 테이퍼부 230 : 나사부
본 발명은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슬라브나 벽체의 시공은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판상단열재를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거푸집을 떼어내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과정에서 거푸집을 떼어 내면 슬라브나 벽체의 외관은 판상단열재가 된다. 판상단열재가 슬라브나 벽체의 외관뿐만 아니라 단열재로서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만약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중량에 의하여 판상단열재가 거푸집 위에서 밀리게 되면 외관은 물론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 본원 출원인이 발명한 등록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 10-255764호의 기술내용이다. 도4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거푸집(300) 위에 판상단열재(400)를 깔고,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으로 판상단열재(400)를 거푸집(300)과 고정시켰다. 못 지지체(10)는 판상단열재(400) 위에 놓이고, 무두못(20)은 판상단열재(400)를 관통하여 그 끝단이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10)에 박혀 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판상단열재(400)가 거푸집(300)위에서 제 자리에 있게 되는 것은 판상단열재용 고정못(100) 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판상단열재(400)를 제 위치에 있게 하는 의도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거푸집(300)을 떼어낼 때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오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이 두 가지의도를 다 만족하고 있지 못하다.
즉, 거푸집(300) 위에 판상단열재(400)를 제 위치에 있도록 고정하는 한 가지 의도에 있어서는 아무 손색이 없이 탁월하지만, 거푸집(300)을 떼어낼 때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오도록 하는 의도는 만족하고 있지 않다.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는 종래기술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그 이유가 있다.
종래 기술의 의도는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지게 함으로써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튀어나온 못을 일일이 절단해야하는 번거로운 이중적인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 점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상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기술에서 무두못(20)의 걸침부(21)의 직경은 무두못(20)이 관통되는 내부통로(12)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무두못?이라고 명명된 그 명칭만으로도 직경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이다. 걸침부(21)가 내부통로(12)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 즉 걸쳐 있을 정도만큼의 관계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무두못(20)을 거푸집(300)에 박을 때 걸침부(21)의 위 표면이 적어도 앵카판부(14)의 표면과 일치하든지 그 아래에 놓일 때까지 박아야 하는 데 작업자가 덜 박게 되면 걸침부(21)의 위 표면이 앵카판부(14)의 표면상부에 남게 된다. 작업자의 부주의란 바로 이를 두고 말하는 것이다.
앵카판부(14)의 표면상부에 남아있는 무두못(20)이 시멘트 페이스트와 함께 경화하게 되면 그 결합력이 강해서 거푸집(300)을 떼어낼 때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 시멘트 페이스트와 접면되는 무두못(20)의 길이는 아주 짧다. 무두못(20)의 아주 짧은 길이라도 시멘트 페이스트와 만나게 되면 무두못(20)을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할 정도로 시멘트 페이스트의 결합력이 강하다.
또한, 상기 무두못(20)의 걸침부(21) 상면을 앙카판부(14)의 표면과 일치될 때까지 박을 때, 상기 걸침부(21)가 그 수평 외주면으로 돌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이 걸침부(21)의 돌기에 의해 상기 무두못(20)이 거푸집(300)과 함께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이유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판상단열재용 고정못이 가지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무두못이 콘크리트와 접면되어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거푸집 탈형시 무두못이 거푸집과 함께 빠져나오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거푸집과 함께 무두못이 빠져나옴으로써 튀어나온 무두못을 일일이 절단하여야하는 번거로운 이중적인 일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판상단열재에 대한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두못의 아주 짧은 길이 만큼이라도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면되게 되면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한 결합력이 이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무두못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한 결합력과 결합되어있는 상태에서 거푸집을 떼어낼 때 무두못이 함께 빠져나오려면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10)에 박혀있는 무두못의 고정력이 시멘트 페이스트와 결합된 무두못의 결합력보다 커야 한다.
무두못이 거푸집과 함께 빠져나오지 못한다면 거푸집의 지지재에 박혀있는 무두못의 고정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무두못의 고정력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결합력을 능가되도록 보강할 수만 있다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데 착안한 것이 바로 본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상단열재용 고정구는 판상단열재의 상면에서 무두못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못지지체와, 판상단열재의 하면에 거푸집과, 거푸집의 하면에 지지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무두못으로 지지부재에 까지 박아 고정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은 그 상단면 외주면을 테이퍼지게 가공 형성한 테이퍼부와, 상기 못지지체의 내부통로에 삽입되는 위치인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부인 무두못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수직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한 것으로, 종래의 반복되는 도면의 부호 및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상단열재용 나사못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판상단열재용 나사못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a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3b는 도2의 A-A선에 따른 또 다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판상단열재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거푸집에 판상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구(100)는, 거푸집(300)이 탈형될 때, 거푸집(300)과 함께 무두못(200)도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300) 위에 깔아 놓은 판상단열재(400)와 못지지체(10)를 대고 박은 무두못(200)이 판상단열재(400)와 거푸집(300)을 관통하여 지지부재(310)에 박히게 된다.
상기 못지지체(10)는 무두못(200)이 관통되는 내부통로(1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통로(1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수평 원판 형상의 앵카판부(14)와 누름판부(13)가 형성되어 상기 무두못(200)을 거푸집(300)에 박을 때 무두못(200)의 상단면이 앵카판부(14)의 표면과 일치하든지 그 아래에 놓일 때까지 박게 된다. 이러한 무두못(200)의 상단면을 망치로 박아 그 외주면으로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그 상단면 외주면을 테이퍼지게 가공한 테이퍼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220)의 하단부인 무두못(200)의 외주면, 즉, 상기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삽입되는 위치에 다수의 수직돌기(210)가 형성된다. 이 수직돌기(210)는 상단 및 하단 은 높이가 낮고, 중앙에서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수평 단면의 형상은 끝단이 뾰족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접촉되는 면은 적더라도 밀착력이 강하게 되고, 거푸집(300)이 탈형될 때는 빠지기 쉬운 구조이다. 즉, 이 다수의 수직돌기(210)는 상기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밀착되어 무두못(200)의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300)과 함께 탈형될 때는 수직돌기(210)의 상단 및 하단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푸집(300)과 함께 탈형되기 쉬운 구조이다.
또한, 상기 무두못(200)의 최하단은 뽀족하게 형성된 나사부(230)를 구비하되, 이 나사부(230)의 형상은 상기 지지부재(310)에 박힐 때, 박히기는 쉬우나 거푸집(300) 탈형시 잘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뽀족한 나사부(230)는 그 외주면으로 역삼각형 모양이 다수개 연속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브나 벽체의 시공은 거푸집(300)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판상단열재(400)를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거푸집(300)을 떼어 내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과정에서 거푸집(300)을 떼어 내면 슬라브나 벽체의 외관은 판상단열재(400)가 된다. 판상단열재가 슬라브나 벽체의 외관뿐만 아니라 단열재로서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만약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중량에 의해서 판상단열재(400)가 거푸집(300) 위에서 밀리게 되면 외관은 물론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판상단열재(400)가 거푸집(300) 위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못 지지체(10)를 판상단열재(400) 위에 무두못(200)으로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를 통해 박아 판상단열재(400)를 통과시켜 고정하고, 그 하단 나사부(230)가 거푸집(300)을 통과하여 지지부재(310)에 박히게 된다. 상기 무두못(2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수직돌기(210)는 내부통로(12)에 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의하면, 판상단열재의 상면에서 무두못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못지지체와, 판상단열재의 하면에 거푸집과, 거푸집의 하면에 지지부재를 두고, 상기 무두못으로 지지부재에 까지 박아고정할 때, 상기 무두못의 상단을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망치로 두드려 박을 때, 그 외주면을 돌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탈형시 무두못이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못지지체의 내부 통로에 밀착되도록 다수의 수직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무두못의 자중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무두못의 하단에 역삼각형상의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10)에 박힐 때, 박히기는 쉬우나 거푸집(300) 탈형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판상단열재(400)의 상면에서 무두못(20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못지지체(10)와, 판상단열재(400)의 하면에 거푸집(300)과, 거푸집(300)의 하면에 지지부재(310)를 위치시키고, 상기 무두못(200)으로 지지부재(310)에 까지 박아 고정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0)은 그 상단면 외주면을 테이퍼지게 가공 형성한 테이퍼부(220)와, 상기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삽입되는 위치인 상기 테이퍼부(220)의 하단부인 무두못(200)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수직돌기(2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기(210)는 상단 및 하단은 높이가 낮고, 중앙에서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수평 단면의 형상은 끝단이 뾰족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못지지체(10)의 내부통로(12)에 접촉되는 면은 적더라도 밀착력이 강하게 되고, 거푸집(300)이 탈형될 때는 빠지기 쉬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두못(200)의 최하단은 뽀족하게 형성된 나사부(2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230)의 형상은 상기 지지부재(310)에 박힐 때, 박히 기는 쉬우나 거푸집(300) 탈형시 잘 빠지지 않도록 그 외주면으로 역삼각형 모양이 다수개 연속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KR1020070006088A 2007-01-19 2007-01-19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KR10073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088A KR100730643B1 (ko) 2007-01-19 2007-01-19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088A KR100730643B1 (ko) 2007-01-19 2007-01-19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937A KR20070042937A (ko) 2007-04-24
KR100730643B1 true KR100730643B1 (ko) 2007-06-20

Family

ID=3817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088A KR100730643B1 (ko) 2007-01-19 2007-01-19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2015C2 (en) * 2018-01-18 2020-02-11 Eurospacers Ab Insulation nail and method for inserting such an insulation nail
SE542014C2 (en) * 2018-01-18 2020-02-11 Eurospacers Ab Insulation screw and method for inserting such an insulation scre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937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100730643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구
US20100065716A1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device
KR101009478B1 (ko) 개선된 구조의 단열재 고정구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NO325749B1 (no) Fremgangsmate og kjerneelement for tilforming av en apning eller en fordypning for tilforming av en valgfri apning i en betongplate under en glidestopeprosess.
KR20100001615U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KR100675814B1 (ko) 슬라브 매립 앵커볼트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US6840018B2 (en) Elongate bodies for use in pre-cast panel forming systems
KR100632803B1 (ko) 판상단열재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고정구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KR101899297B1 (ko)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1411514B1 (ko) 전통한식 sbr 구조보 서까래, 상기 서까래 제조방법 및 상기 서까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100365985B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371057B1 (ko) 유로폼용 탈형공구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94463B1 (ko) 폼 타이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외단열시공방법
KR200223623Y1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못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KR20110002674U (ko) 판상단열재용 고정부재
JP2010095969A (ja) ボイドスラブ及び中空壁の構築方法、ならびに、その構築方法によって構築されるボイドスラブ及び中空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