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49B1 - 금속판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금속판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49B1
KR910000949B1 KR1019870001708A KR870001708A KR910000949B1 KR 910000949 B1 KR910000949 B1 KR 910000949B1 KR 1019870001708 A KR1019870001708 A KR 1019870001708A KR 870001708 A KR870001708 A KR 870001708A KR 910000949 B1 KR910000949 B1 KR 91000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late
piece
opening
sea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287A (ko
Inventor
도시아끼 에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나미 세이끼
도시아끼 에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나미 세이끼, 도시아끼 에나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나미 세이끼
Priority to KR10198700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949B1/ko
Publication of KR88001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판의 접합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접합구조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절기편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트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1절기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2금속판을 제1금속판의 제1절기편과 제1개구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1도의 접합구조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1절기편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제3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접합구조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제1금속판과 제2금속판을 사용하여 형성한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합구조를 사용하여 구성한 조리기기의 내부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한 조리기기의 내부상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
제16도는 제14도의 조리기기의 내부상자에서 제1절기편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17도는 제14도의 예에서 접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제18도는 제14도의 조리기기의 내부상자에서 접합구조의 정면도로서, 특히 윗판과 뒷판의 접합구조의 정면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XIX-XI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0도는 제18도의 XX-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1도 및 제22도는 각각 윗판에 도파관(Wave guide)을 접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소성 가공(塑性 加工)을 이용하여 형성한 금속판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속판끼리의 접합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용접에 의한 것, 리벳트(Rivet)를 사용하는 것, 코킹 또는 컬링(curling)에 의한 것 등 각종 접합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품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도장된 강판을 사용함으로서 도장작업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용접에 의한 접합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비능률적이다. 그 이유는, 용접후에 용접부분을 재도장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한편, 리셋트를 사용하는 접합구조에 있어서는, 접합하려고 하는 금속판 이외의 리셋트를 필요로 하며, 또한 접합작업시 리셋트를 삽입하는 구멍의 형성, 리셋트의 삽입 및 리벳트의 코킹 등의 번잡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고, 더구나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코킹 또는 컬링가공 등의 소성변형을 이용한 접합구조의 경우에는, 도장강판을 사용하여 도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접합시 특수한 금형과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접합하려고 하는 금속판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는 금속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판의 접합구조에서 제1금속판에 개구를 갖도록 절기편(cut-up piece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금속판에 겹쳐지는 제2금속판의 끝부분의 일부가 제1금속판의 개구와 절기편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속으로 압입되도록 절기편과 함께 프레스 성형된다. 따라서, 개구속으로 압입된 제2금속판의 부분은 개구의 내부벽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합시에 제1금속판에 개구를 갖도록 절기편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제2금속판에는 일체의 예비가공이 필요없으며, 또한 접합시에는 단순한 프레스장치에 의해 제2금속판의 일부가 제1금속판의 개구속으로 압입되도록 형성하는 것만으로 강고한 접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접합구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간의 접합에 있어서 복수개의 접합부분(3)이 구성되어 잇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부분(3)에서는 제1금속판(1)에 형성된 절기편(4)이 제2금속판(2)쪽으로 뻗어있고, 또한 제2금속판(2)는 절기편(4)에 접하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밀어넣어져 있으므로, 제2금속판(2)이 제1금속판에 의해 마치 봉인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 제2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접합구조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접합구조를 구성하는데에 있어서, 우선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을 준비한다. 제2금속판(2)에는 일체의 예비가공이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제1금속판(1)에는 개구를 갖도록 절기편(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절기편(4)이 세워진 이전의 상태를 제3도에 부분 평면도로 도시한다. 제3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절기편(4)으로 되는 부분(4a)은 개구(5)보다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절기편(4)과 개구(5)를 형성할 때, 제3도의 슬릿트(6)에 상당하는 부분의 금속판이 제거된다.
제3도에 도시한 절기편으로 되는 부분(4a)은 끊어 세워져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5)의 윗쪽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제5도에서 화살표 Z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판(2)이 개구(5)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절기편(4)을 아래쪽으로 압축하여, 개구(5)를 향하는 제2금속판 부분을 개구(5)로 압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도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절기편(4)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5)의 윗쪽에서 개구(5)와 소정의 거리를 대향하도록 제1금속판(1)으로부터 절곡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절기편(4)의 아랫면과 개구(5)의 상단, 즉 제1금속판(1)의 윗면 사이의 거리는 제2금속판(2)의 두께보다 크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기편(4)과 개구(5)와의 사이에 제2금속판(2)을 삽입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2도의 화살표 X방향으로 제2금속판(2)을 이동시켜, 제2금속판(2)의 단부(7)를 절기편(4)의 아랫면과 개구(5) 사이에 끼워넣는다. 이러한 상태를 제5도에 단면도로 도시한다. 그후, 제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절기편(4)을 아래쪽으로 압축시키며, 이렇게 하여 제2금속판(2)의 개구(5)를 향하는 부분, 즉 단부(7)부분을 개구(5)로 압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1도에 도시한 접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2금속판(2)을 놓는 방법으로서, 제5도에서 도면의 뒷면에서 표면방향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접합후의 구조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제6도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실시예에서는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의 두께가 동일하게 때문에, 절기편(4)의 윗면은 제2금속판(2)의 윗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절기편(4)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들어간 제2금속판(2)의 윗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절기편(4)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들어간 제2금속판(2)의 개구로 압입된 부분(7a)의 아랫면은 제1금속판(1)의 아랫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내에 있도록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합상태에서 제2금속판의 개구로 압입된 부분(7a)의 후단(11)은 개구(5)의 주변 가장자리의 전단(12)에 걸려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도, 압입된 부분(7a)의 후단(11)과 개구내의 주변벽의 전단(12)이 걸려서 양금속판(1 및 2)은 견고하게 접합되여, 가해진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상술한 압입된 부분(7a)의 "후단" 및 "전단"에서 앞과 뒤는 각각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의 상대방 금속판에 가까운 쪽을 앞으로, 상대방 금속판으로부터 먼쪽을 뒤로 표현한 것임을 지적해둔다.
또한, 다른 각도로부터 접합구조를 보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판(2)의 개구(5)에 압입된 부분(7a)의 폭방향 양쪽단부는 개구(5)의 주변벽의 일부, 즉 측벽(15 및 16)에 의해 걸려있다. 따라서,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은, 상기한 전후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어긋나지 않으며, 따라서 견고한 접합이 실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8도에서 거리 R을 짧게하면, 제1금속판(1)과 제2금속판(2)이 제8도의 횡방향에서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9도에서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기편으로 될 금속편(14a)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편(14a)의 연장방향에서 슬릿트의 폭 Y를 제2금속판의 두께보다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2금속판(2)의 한쪽 끝 가장자리에서 접합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제10도에서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판(2)의 다른쪽 끝 가장자리에서도 동일한 접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금속판(22)의 다른쪽 끝 가장자리에서도 제1금속판에 제1절기편(24A)을 형성시켜 두면, 각각의 제1절기편(24 및 24A)의 연장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제2금속판(22)를 삽입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제2금속판(22)의 양쪽 끝 가장자리를 본 발명의 접합구조에 따라 제1금속판(21)에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금속판(22)의 양쪽 끝 가장자리에서 접합되는 금속판은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접합구조에 따라 제2금속판(22)의 한쪽 끝 가장자리를 제1금속판과 접합시키고, 다시 다른쪽 끝 가장자리를 도시하지 않은 제3금속판과 접합시킬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의 접합구조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제1금속판(31)과 제2금속판(32)를 사용한다.
제1금속판(31)에는 제1개구를 갖도록 복수개의 제1절기편(31a,31a,31a)이 제1금속판(3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금속판(32)에도 제2개구를 갖도록 복수개의 제2절기편(32a,32a)이 제2금속판(32)이 끝 가장자리(33)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절기편(32a)은 제2금속판(32)의 아래쪽을 향하여 절기되어 있다.
제1금속판(31)과 제2금속판(32)을 접합시키는데 있어서는, 제2금속판(32)의 끝 가장자리(33) 근처의 일부가 제1절기편(31a)과 제1금속판(31)의 주표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1금속판(31)위에 제2금속판(32)이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이러한 경우, 제2금속판(32)에서는 제2절기편(32a)과 제2금속판(32)의 뒷면 사이에 제1금속판(31)의 끝 가장자리(34) 근처 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합된 상태에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면, 제12도에서 사시도로 도시한 접합구조가 얻어진다.
제12도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XⅢ-XⅢ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나타낸 접합부분, 즉, 제1금속판(31) 및 제1개구와 제2금속판(32)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분은 제7도에 도시한 접합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절기편(31)과 제1개구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분에 대해서는 제7도를 참조하여 언급한 이전의 설명을 인용한다.
제12도의 XⅢ-XⅢ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나타낸 접합부분은 제13도에 도시한다. 제1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제1절기편(31a)에서 형성된 접합구조와 상하 반대방향의 접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금속판(31)의 끝 가장자리(34) 근처의 일부(34a)가 제2금속판(32)에 형성된 제2개구(35)속으로 들어가고, 제2절기편(32a)과 함께 프레스 성형되어, 제2개구(35)의 주변벽(35a)에 의해 걸려져 있다.
즉, 제12도에 도시한 접합구조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접합구조 뿐만 아니라, 제2금속판(32)에 형성된 제2절기편(32) 및 제2개구(35)와 제1금판(32)의 끝 가장자리(34) 근처 부분도 이용하여 동일한 접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금속판(31)과 제2금속판(32)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더욱 더 분리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제1금속판(31)과 제2금속판(32)를 보다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금속판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내부상자의 실시예를 제14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이러한 조리기기의 내부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내부상자(111)는 개구(112)를 갖는 앞판(113), 통모양의 몸체(114) 및 뒷판(115)을 갖추고 있다. 통모양의 몸체(114)는 U자형으로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몸체판(117)과 윗판(118)이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내부상자(111)의 특징은 몸체판(117)과 윗판(118)간의 접합구조, 윗판(118)과 뒷판(115)간의 접합구조 및 몸체판(117)과 뒷판(115)간의 접합구조에 있다. 앞판(113)과 통모양의 몸체(114)간의 접합은 미합중국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컬링가공으로 수행한다.
이어서, 내부상자(111)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굴곡된 몸체판(117)을 준비한다. 몸체판(117)은 윗판(118)과 접합되어 통모양의 몸체(114)(제14도 참조)를 구성한다. 몸체(117)의 뒷쪽 끝 가장자리에 프렌지(121 내지 12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윗판(118)의 뒷쪽 끝 가장자리에도 프렌지편(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17)의 윗쪽 끝부분에도 윗판(118)의 접합에 기여하는 제2프렌지편(125 및 1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판(117)및 윗판(118)과 접합되어 뒷판(115)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1)이 통모양의 몸체(114)의 뒷쪽 개구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구멍(131)은, 제5도에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뒷판(115)으로부터 앞쪽으로 관통구멍(31)보다 작은(즉, 끊어 세울때 절기편(32)의 주위는 약간 절취되어 있음) 절기편(132)을 형성한 결과로서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제15도에서 복수개의 관통구멍(131)부분에서는 모든 절기편(132)이 앞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런, 후술하는 접합을 실시하기 위해, 각각의 절기편(132)은 관통구멍(131)의 외부 가장자리 주변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6도에 도시한 절기편(132)은 제15도의 뒷판(115)의 윗변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기편(132)의 앞부분은 관통구멍(131)쪽으로 되돌아오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5도로 돌아가서, 윗판(118)에서 복수개의 관통구멍(141)이 절기편(142)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다. 여기서도 절기편(142)은 윗판(118)의 외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끊어세워져 있다. 또한, 제15도에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절기편(142)의 앞쪽 끝부분도 절기편(132)과 동일하게 관통구멍(141)쪽으로 약간 되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내부상자에서는 상술한 절기편(131,141)과 프렌지편(121,122,123,125 및 126)을 이용하여 윗판(118)과 몸체판(117)간의 접합, 윗판(118)과 뒤판(115)간의 접합 및 몸체판(117)과 뒷판(115)간의 접합을 실시한다.
이들의 각 접합구조 자체는 모두 동일하게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윗판(118)과 뒷판(115)간의 접합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제17도를 참조하며, 윗판(118)의 프렌지편(124)이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뒷판(115)의 관통구멍(131)부분에 겹쳐져 합해진다. 이때 프렌지편(124)이 관통구멍(131)에 맞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절기편(132)의 앞부분(132a)의 끝과 프렌지편(124)의 끝이 거리 X를 유지하도록 미리 위치를 졀정해둔다. 또한 제1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기편(132)의 앞부분(132a)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131)쪽으로 약간 돌려져서 연장되어 있다[앞부분(132a)은 프렌지편(124)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의 기부(基部) 끝에서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뒷판(115)에 프렌지편(124)을 겹쳐서 합한 상태에서 주형을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하면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한 접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기편(132)의 앞면(132b)과 프렌지편(124)의 앞면(124a)이 거의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프렌지편(124)의 끝부분(124b)은 관통구멍(131)안으로 압입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7도에서 상상선 Z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렌지편(124)의 끝을 굴곡시켜두면, 쌍방의 접합할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겹쳐서 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기에 의한 조립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한 접합 구조에 있어서, 프렌지편(124)이 압입된 부분(124b)의 기단(127)은 관통 구멍(131)의 주변벽 하단(131a)에 걸려있다. 따라서, 제10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윗판(118)과 뒷판(115)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도 압입된 부분(124b)의 기단(127)과 관통구멍 주변벽의 하단(131a)이 걸려서 윗판(118)과 뒷판(115)은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으므로, 극히 떨어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다른 각도에서 접합구조를 보면,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렌지편(124)이 압입된 부분(124b)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분은 관통구멍(131)의 주변벽의 일부, 즉 측벽(131b 및 131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윗판(118)과 뒷판(115)은 내부상자의 좌우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어긋나지 않으며, 따라서 견고한 접합이 실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0도에서 거리(R)를 짧게하면, 윗판(118)과 뒷판(115)이 제20도에서 횡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절기편(132)의 폭과 관통구멍(131)의 폭의 차이는 1/2을 윗판(118)의 두께보다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내부상자(111)에서 윗판(118)과 뒷판(115)간의 접합을 실시하고 있다. 윗판(118)과 몸체판(117)간의 접합과 몸체판(117)과 뒷판(115)간의 접합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내부상자(111)에서도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도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각 구성부재로서 도장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의 내부상자(111)에서는 각 구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전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장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도성의 확보가 문제로 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내부상자(111)에서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렌지편(124)이 절기편(132)의 끝 가장자리(끊어세움으로써 노출된 것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표면에 도막이 없는 부분)에 의해 상처가 생긴다. 따라서 프렌지편(124)과 절기편(132)간의 전도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접합부분에서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상자(111)에서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판(118), 몸체판(117) 및 뒷판(115)에 복잡한 예비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즉 몸체판에 각 프렌지편(121 내지 126)을 형성시키는 한편 윗판(118)과 뒷판(115)에 절기편(131 및 141)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 프레스 성형시켜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렌지의 내부상자(111)에서는 몸체판 또는 윗판의 외부에 도파관을 설치한 것이 많으나, 이러한 종류의 도파관도 상술한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제21도와 제22도를 참조하여 이러한 예를 설명한다. 제21도 및 제22도에서는 윗판(118)[윗판(118)의 중앙부분만이 도시됨]에 개구(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35)을 덮을 수 있도록 도파관을 형성하는 상자형의 금속부재(136)가 윗판(118)에 접합된다. 여기서도 윗판(118)에는 관통구멍(151)이 있도록 끊어세워진 절기편(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부재(136)의 주위 가장자리에는 프렌지편(153 내지 155)과 절기편(152)간의 접합이 실시되며,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4도에 도시한 내부상자(111) 본체 뿐만 아니라, 그 주위에 부착되는 금속부재도 동일하게 상술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시 실시예에서는 몸체판(117)과 윗판(118)에 의해 통모양의 몸체(114)가 구성되어 있으나, 미리 통모양으로 형성된 금속부재를 사용하여 통모양의 몸체(114)를 구성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2)

  1. 제1금속판(31)의 끝부분과 제2금속판(32)의 끝부분을 접합시킨 두 금속판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개구를 갖도록 제1금속판(31)에 제1절기편(31a)을 형성하고, 개구(35)를 갖도록 제2금속판(32)에 제2절기편(32a)을 형성하고, 제1금속판(31)의 끝 가장자리(34)를 제2금속판(32)의 개구(35)와 제2절기편(32a)사이에 끼워넣는 동시에 제2금속판(32)의 끝 가장자리(33)를 제1금속판(31)의 개구와 제1절기편(31a)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1금속판(31)의 절기편(31a)에 의해 압입된 제2금속판(32)의 끝 가장자리(33)의 일부가 제1금속판(31)의 개구속으로 밀어넣어지고 제2금속판(32)의 절기편(32a)에 의해 압입된 제1금속판(31)의 끝 가장자리(34)의 일부가 제2금속판(32)의 개구(35)사이에 밀어넣어져 있는 접합구조.
  2. U자 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몸체판(117), 몸체판(117)의 뒷쪽 끝에 배치된 뒷판(115) 및 몸체판(117)의 개구로 되어 있는 윗쪽 끝에 배치된 윗판(118)을 접합시켜 이루어진 조리기기용 내부상자(111)에 있어서, 몸체판(117)은 이의 윗쪽 끝 가장자리에 프렌지편(121,122,123)을 구비하고 있고, 뒷판(115)에는 관통구멍(131)을 갖도록 복수개의 절기편(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판(117)의 프렌지편(121,122,123)의 일부가 뒷판(115)의 관통구멍(131)과 절기편(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구멍(131)속으로 압입됨으로써, 몸체판(117)과 뒷판(115)이 접합되어 있으며, 몸체판(117)은 이의 윗쪽 두 가장자리에 프렌지편(125,126)을 구비하고 있으며, 윗판(118)에는 관통구멍(114)을 갖도록 복수개의 절기편(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판(117)의 프렌지편(125,126)의 일부가 윗판(118)의 관통구멍(141)과 절기편(142)에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구멍(141)속으로 압입됨으로써, 몸체판(117)과 윗판(118)이 접합되어 있는 조리기기용 내부상자.
KR1019870001708A 1987-02-27 1987-02-27 금속판의 접합구조 KR910000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708A KR910000949B1 (ko) 1987-02-27 1987-02-27 금속판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708A KR910000949B1 (ko) 1987-02-27 1987-02-27 금속판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7A KR880010287A (ko) 1988-10-08
KR910000949B1 true KR910000949B1 (ko) 1991-02-19

Family

ID=1925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08A KR910000949B1 (ko) 1987-02-27 1987-02-27 금속판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53B1 (ko) * 2019-03-08 2019-08-28 이동춘 스틸 방수 패널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53B1 (ko) * 2019-03-08 2019-08-28 이동춘 스틸 방수 패널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7A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5592A (en) Joint construction for metal sheets
EP0709582A2 (en) Cubic connector structure for connecting frame bar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7121635B2 (ja) Icカード
KR20020051830A (ko) 전기기구의 박스형 단자
KR20090006300A (ko) 풀 박스 제조방법
JP2583201B2 (ja) 金属板間の接合構造
KR910000949B1 (ko) 금속판의 접합구조
KR100349615B1 (ko) 금속판재의접합구조및접합방법
JPS6013274B2 (ja) フレキシブルサ−キツトに於ける端子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4912741A (en) Heating box for a microwave oven
EP087887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or
JPH0562241B2 (ko)
JP2986874B2 (ja) 端子装置
US5558458A (en) Connector
JPS61123430A (ja) 板状部材間の接合方法
US4542582A (en) Relay assemblage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JPH065726U (ja) 結合部の構造
US5560081A (en) Joining sleeve assembly for joining metal cookware with a cookware handle
JPS63174736A (ja) 金属板の接合構造
JP3296752B2 (ja) 基板どうし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構造
JP3003691B1 (ja) コネクタカバー
JPH0612176B2 (ja) 調理機器の内箱
JPS584198Y2 (ja) はとめ部材
JPH02164599A (ja) 薄形電子機器
JPS62138232A (ja) 樹脂含浸性の基板に樹脂部品を溶着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