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03B1 -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03B1
KR910000503B1 KR1019870007478A KR870007478A KR910000503B1 KR 910000503 B1 KR910000503 B1 KR 910000503B1 KR 1019870007478 A KR1019870007478 A KR 1019870007478A KR 870007478 A KR870007478 A KR 870007478A KR 910000503 B1 KR910000503 B1 KR 91000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panel
vehicle
vehicle body
d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82A (ko
Inventor
요시카즈 이데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화살표 Ⅱ-Ⅱ 및 Ⅲ-Ⅲ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휘일에이프런 3 : 서스펜션타워
4 : 앞 프레임 5 : 대시로우어 패널
7 : 카울패널 8 : 상부개구
9 : 페단면부 10 : 보강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픈카울구조를 가진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open cowl type front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는 차 전체의 형상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차량 전체의 중량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강도, 강성이 요구되는 것을 당연함과 동시에, 연료비, 주행성능의 면에서 가능한한 경량화동 요구된다.
그러므로,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차체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체 앞부분에 있어서는 앞휘일에이프런의 안쪽에 따라 전후로 뻗는 폐단면 형상의 앞프레임을 배치하고, 이 앞프레임의 후단부를 차실과 엔진실을 칸막이하는 대시패널에 접합시켜서 차체구조의 강화를 도모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8-115468호).
한편, 대시패널의 상부에는 카울 패널이 접합되어서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 형상의 카울 구조가 형성되고, 이 카울구조에 의하여 앞창유리의 하단부의 지지나, 와이퍼 기구의 지지를 행하는 부분의 강화를 도모하는 것도 잘 행해지고 있다. 다만, 카울 구조부에 있어서의 와이퍼 기구에 있어, 이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차체 안쪽편에 수납하여 주행저항의 감소, 외관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일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카울부에 윗쪽 개구를 성형시킨 오픈 카울구조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이 오픈 카울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대로는 폐단면 구조가 없어지게 되어 카울부의 강도, 강성이 저하하므로, 카울구조를 형성하는 대시패널의 상부에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부를 형성시켜서 강도, 강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차체 앞부분에 있어서의 휘일에이프런의 주변은 앞프레임에 의하여 강화되고, 앞창유리의 하단부의 지지부는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을 가진 오픈카울 구조에 의하여 강화되는 것이나, 각 부분은 각각 독립하여 강화되어 있는 것 뿐이고, 차체전체로서 보면, 카울부와 알프레임의 주변부의 강도, 강성에 비하여 이들 양부분 사이의 부분의 강도,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사항에서, 본 발명은, 상기 오픈 카울 구조 및 휘일 에이프런에 따라 배치된 앞 프레임부의 강성을 이용하여, 양 부분의 중간부의 강화를 도모하고, 차체전체로서 강도, 강성을 높이고 저하는 것으로서,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앞부분 차체구조는, 오픈 카울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대시패널의 상부에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부를 형성시키고, 이 대시 패널의 앞쪽편에 위치하는 엔진실내에 있어서, 이 엔진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휘일에이프런에 전후로 뻗은 앞프레임을 장착하고, 또한 이 앞프레임과 상기 대시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폐단면부를 폐단면 형상 보강재에 의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휘일에이프런에 따라 배치된 앞프레임과 앞창유리를 지지하는 호픈카울구조의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부를, 보강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차체 전체로서의 강도,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앞부분 차체구조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 제1도의 화살표 Ⅱ-Ⅱ 및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며, 이하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체 앞부분은 차폭방향으로 뻗어서 수직으로 배치된 대시로우어패널(5)에 의하여 이 패널(5)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차실(11)과, 이 패널(5)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엔진실(12)로 칸막이 되어 있다.
엔진실(12)의 측벽은 앞휘일을 덮도록 배치된 휘일에이프런(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휘일에이프런의 외측단부(1a)에는 2개의 에이프런 보강재(2a),(2b)가 접합되어서 차체 측방향을 전후로 뻗는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휘일에이프런(1)에는, 앞 휘일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서스펜션 타워(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앞창유리(15)의 하단을 지지하는 카울부(16)는, 카울패널(7)과 대시업퍼패널(6)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양패널(6),(7)의 접합에 의하여 차폭방향으로 뻗은 카울구조가 형성되고, 이 구조에 의하여 앞방풍유리의 지지를 하는 것이되나, 이 카울부구조는 카울패널(7)의 전단부(7a)와 대시업퍼패널(6)의 전부(6a)의 플랜지(6c)의 사이가 차폭방향으로 휘일에이프런(1) 쪽으로 접근함에 따라 넓어지는 상부개구(8)를 형성하는 오픈카울 구조이므로, 이 상태로는 그 강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대시업퍼패널(6)의 플랜지(6c)와 대시로우어패널(5)의 상부(5a)의 상단부(5c)를, 대시업퍼패널(6)의 전부(6a)의 하부(6d)와 대시로우어패널(5)의 절곡부(5d)를 각각 접합시켜 대시업퍼패널(6)과 대시로우어 패널(5)과의 사이에 폐단면부(9)를 형성하여 오픈카울구조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면, 앞부분 차체에 있어서의 카울부 및 휘일 에이프런 외측단부에서의 강도강성과, 앞프레임부 주변의 강도, 강성은 각각 높아지게 되는 것이나, 양부분은 독립하여 강화되어 있으므로, 양부분의 중간부의 강도,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프레임(4)과 대시업퍼 패널(5)의 상부에 형성된 폐단면부(9)를 보강재(10)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보강재(10)는 그 하단부(10a)가 앞프레임(4)의 후단부에는 접합되고, 상단부(10b)가 폐단면부(9)를 형성하는 대시로우어 패널(5)의 상부(5a)에 접합되고, 양측부(10c),(10d)는 대시로우어 패널(5) 및 휘일에이프런(1)에 각각 접합되어 보강재(10)와 휘일에이프런(1)과 대시로우어패널(5)에 의하여 상하로 뻗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이 폐단면에 의하여 앞프레임(4)과 대시로우어 패널(5)의 상부에 형성된 폐단면부(9)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 카울구조에 형성된 폐단면부와 앞프레임을 보강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오픈 카울부 및 앞프레임부 뿐만 아니라, 양부분의 중간부의 강화도 도모할 수가 있고, 차체 전체의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Claims (1)

  1. 차실 앞쪽에 있어서의 앞창유리(15) 하단을 지지하는 카울부(16)가 오픈 카울구조로 되어있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픈 카울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상부에 상기 오픈 카울구조에 따라 차폭방향으로 뻗는 폐단면부(9)를 가진 대시패널(5)과 이 대시패널(5)의 앞쪽편에 형성되는 엔진실의 측벽을 구성하는 휘일에이프런(1)과 상기 엔진실 내에서 상기 휘일 에이프런(1)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뻗는 앞프레임(4)과 이 앞프레임(4)과 상기 폐단면부(9)를 연결하는 폐단면 형상 보강재(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1019870007478A 1986-07-11 1987-07-11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910000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3378A JPS6319075A (ja) 1986-07-11 1986-07-11 凹領域凸閉包方式
JP61-163378 1986-07-11
JP163373 1986-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82A KR880001482A (ko) 1988-04-23
KR910000503B1 true KR910000503B1 (ko) 1991-01-26

Family

ID=1577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478A KR910000503B1 (ko) 1986-07-11 1987-07-11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9075A (ko)
KR (1) KR9100005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9075A (ja) 1988-01-26
KR880001482A (ko) 198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0025A (e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KR100306840B1 (ko) 자동차의상부차체구조
US5102187A (en) Reinforced floor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900000621Y1 (ko) 자동차의 전부(前部) 차체 구조
US4789198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US5772277A (en) Front portion of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KR910000502B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US4976491A (en) Cowl and dash panel assembly for a front body construction of a motor vehicle
KR910001478B1 (ko) 자동차의 전부차체구조
KR880000174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JP3182938B2 (ja) 自動車のフロアトンネルの補強構造
JP2531718Y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910000503B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100216920B1 (ko) 자동차 프론트 도어 프레임의 미러 패치 보강재
JP4503776B2 (ja) 車両の側部構造
JPS6210846B2 (ko)
KR960005857B1 (ko)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JPS62113653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KR100445876B1 (ko) 자동차 카울부의 보강구조
KR910002795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0114415Y1 (ko) 자동차의 카울구조
JPH0111948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960005406Y1 (ko)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JP296449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S612498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