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88Y1 -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 Google Patents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88Y1
KR910000188Y1 KR2019880001371U KR880001371U KR910000188Y1 KR 910000188 Y1 KR910000188 Y1 KR 910000188Y1 KR 2019880001371 U KR2019880001371 U KR 2019880001371U KR 880001371 U KR880001371 U KR 880001371U KR 910000188 Y1 KR910000188 Y1 KR 910000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plate
loading
chain conveyor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575U (ko
Inventor
손진석
Original Assignee
손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석 filed Critical 손진석
Priority to KR2019880001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88Y1/ko
Publication of KR890017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제1도 본고안의 사시도.
제2도 본고안 적재부분의 사시도.
제3도 본고안 접착판 부분의 측면도.
제4도 외측 체인콘베어의 단부에 이송되어 온 보도블록을 밀대가 밀기 직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제5도 적재부 부분의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적재기 A : 공급부
B : 이송부 C : 적재부
3,4 : 내, 외측 체인콘베어 10 : 전자식
17 : 자석판 18,18 : 안내봉
19,19′: 만곡편 20,20′ : 리밋트 스위치
본 고안은 성형된 보도블록을 파렛트 상에 적재하여 양생시키기 위한 보도블록의 자동적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자동적재기가 있었으나 이는 주로 벽돌의 적재를 위한 것이었고 보도블록의 적재에는 적합하지 아니하므로 성형기로부터 성형된 보도블록을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파렛트 상에 적재함에 따라 적재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제품의 양산에도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안출한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도블록 적재기(가)를 공급부(A)와 이송부(B) 및 적재부(C)로 분리 구성하고 공급부(A)는 레일(1)과 이 레일(1)위를 활주하는 이동차(2)로 구성하고 이송부(B)는 모터(도시안됨)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두 개의 체인콘베어(3)(4)와 내측체인콘베어(3)저부에 형성된 레일(5)위를 유압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이동하는 이송구(6)와 체인콘베어(3)(4)에 의하여 이송되오온 보도블록(7)을 유압실린더(8′)에 의해 적재부(C)로 밀어주는 밀대(8)와 밀대(8)가 보도블록(7)을 밀어줄 때 파렛트(9)가 같이 밀려가지 않도록 자력으로 잡아주는 자석판(17)이 형성된 전자석(10)으로 구성되고 적재부(C)는 프레임(11)내로 승강하는 승강구(12)와 레일(13)을 따라 프레임(11)내에 출몰하는 평판(14)으로 구성된다.
내측 체인콘베어(3)는 외측 체인콘베어(4)보다 약간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이송구(6)의 포크(15)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리밋트스위치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토록 하였으며 외측 체인콘베어(4)의 아래에 설치된 전자석(10)은 유압실린더(16)상에 착설된 자석판(17)과 자석판(17)저면 좌우에 착설된 안내통(18)(18′)으로 구성되고 안내봉(18)(18′)의 하단 내측에 만곡편(19)(19′)을 착설하여 리밋트 스위치(20)(20′)와 접리케하되 일측 만곡편(19′)은 만곡면이 위로 향하고 타측 만곡편(19)은 만곡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였으며 안내봉(18)(18′)은 고정판(21)에 착설된 안내관(22)에 유삽되어 승강한다.
적재부(C)의 승강구(12)하단에는 적재판(23)이 재치되고 이승강구(12)는 레일(13)상에 고정설치된 횡간(24)에 고정된 유압실린더(25)에 의하여 적재부(C)의 레일(11)내를 승강토록 하고 평판(14)은 레일(11)의 좌우에서 활주하는 롤러(26)에 의하여 지지되고 레일(13)의 단부 고정간(27)에 착설된 유압실린더(28)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토록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29)는 이동차(2)의 적재구, (30)은 접촉판, (31)(35)는 걸림판, (32)는 미끄럼판, (33)은 안내롤러, (34)는 리밋트 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도블록(7)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된 이동차(2)의 적재구(29)가 레일(1)을 따라 이송하여 이송구(6)의 포크(15)와 일치하는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이송구(6)가 전진하여 포크(15)가 적재구(29)내의 파렛트(9)아래에 위치토록하고 유압실린더(도시안됨)가 포크(15)를 약간 상승시키면 보도블록(7)과 함께 파렛트(9)가 포크(15)상에 얹히게 되고 이때 이송구(6)를 일정거리 후퇴시켜 포크(15)가 적재구(29)를 이탈케하여 내측체인콘베어(3)상에 위치케한후 다시 포크(15)를 하강 시켜 파렛트(9)가 내측에 인콘베어(3)상에 얹히게 하면 내측 콘베어(3)의 회전에 의해 파렛트(9)는 외측콘베어(4)상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파렛트(9)는 다시 적재부(C)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송구(6)는 다시 다른 보도블록(7)을 운반키위해 이동차(2)의 적재구(29)상으로 이송한다.
이때 포크(15)의 상승과 하강은 수광감지기(도시안됨)리밋트스윗치에 의해 통상의 방법과 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측 체인콘베어(3)의 회전속도가 외측 체인콘베어(4) 회전속도 보다 빠르므로 앞쪽의 보도블록(7″)이 외측 체인콘베어(4)상에 위치하여 천천히 이송될 때 뒤쪽보도블록(7′)은 내측 체인콘베어(3)에 의하여 보다 빨리 이송되어 앞쪽보도블록(7″)을 약간 밀게되므로 결국 앞 뒤 보도블록(7″)(7′)이 빈틈없이 서로 밀착되어 이동한다.
서로 밀착된 보도블록(7″)(7′)이 외측 체인콘베어(4)의 단부에 설치된 접촉판(30)에 접하면 정지스위치가 감지하여 내외측 체인콘베어(3)(4)를 정지시키고 동시에 전자석(10)의 유압실린더(16)가 자석판(17)을 상승케하고 자석판(17)이 상승하면 안내봉(18)(18′)도 상승하므로 자석판(17)의 좌측 리밋트 스위치(20)는 만곡편(19)과 이탈하고 우측 리밋트 스위치(20′)가 만곡편(19′)과 접하여 전자석(1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자석판(17)은 자력을 얻어 일시 저석이 되고 유압실린더(16)도 정지한다.
동시에 외측 체인콘베어(4)측부에 설치된 밀대(8)가 작동하여 파렛트(9)상의 보도블록(7)을 옆으로 밀어 적재부(C)의 평판(14)상으로 이송시키게되며 이때 금속 파렛트(C)는 전자석(10)의 자력에 의하여 일시자석이 된 자석판(17)에 흡착되어 밀대(8)의 미는 힘에 밀리지 않고 제자리에 정지하여 있을뿐아니라 자석판(17) 일측에 같은 높이로 돌출설치된 갈림판(35)에 의해 서로 파렛트(9)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밀대(8)가 물러나 원복하면 유압실린더(16)가 하강하므로 안내봉(18)(18′)도 하강하고 상승때와는 반대로 우측 리밋트 스위치(20′)가 만곡편(19′)과 이탈하고 좌측 리밋트스위치(20)가 만곡편(19)과 접하여 전원을 차단하므로 자석판(17)이 자력을 잃게 되고 동시에 유압실린더(16)도 하강을 정지한다.
자석판(17)이 자력을 잃는것과 동시에 체인콘베어(3)(4)가 회전하여 다시 다른 보도블록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송해오고 빈파렛트는 접촉판(30)과 외측 체인콘베어(4)사이로 빠져 미끄럼판(32)으로 미끌어져 내려와 다음 적재를 위하여 애기한다.
이송구(6)의 반복작업으로 계속 이동되어온 다음 보도블록이 밀대(8)에 의하여 다시 평판(14)위로 밀려오면 처음 평판(14)입구에 적재되었던 보도블록은 다음 보도블록에 의하여 평판(14)의 내측(화살표(가)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되고 이러한 작용이 반복되어 평판(14)위에 보도블록이 만재되면 맨 바깥쪽 보도블록이 수광감지기(도시안됨)의 빛을 차단하무로 유압실린더(28)가 작동하여 평판(14)을 옆으로 (화살표(나)방향)당겨 승강구(12)로부터 이탈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보도블록은 걸림판(31)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고 평판(14)만 유압실린더(28)에 의해 이송되므로 적재판(23)또는 적재판(23)위에 이미 쌓여 있는 다른 보도블록 위에 적재되고 평판(14)이 승강구(12)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롤러(26)가 리밋트 스위치(34)에 접하므로 유압실린더(28)가 정지함과 동시에 적재된 보도블록이 승강구(12)를 작동시키는 수광감지기의 빛을 차단하므로 승강구(12)가 하강하고 보도블록의 두께만큼 하강하면 수광감지기의 빛이 다시 램프에 감지되어 승강구(12)의 하강을 정지시켜 평판(14)의 진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유입실린더(28)가 평판(14)을 반대로 밀어 적재부(C)에 적재된 보도블록 위로 원복케하고 다음적재를 대기하는 적용을 반복하여 자동으로 적재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벽돌과는 크기가 다른 보도블록을 자동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급부(A)와 이송부(B) 및 적재부(C)로 구성되는 적재기(가)에 있어서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체인 콘베어(3)(4)를 연설하고 외측 체인콘베어(4) 아래에 자석판(17)과 안내봉(18)(18′)과 만곡편(19)(19′)과 리밋트 스위치(20)(20′)로된 전자석(10)을 승강자재토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KR2019880001371U 1988-02-04 1988-02-04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KR910000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371U KR910000188Y1 (ko) 1988-02-04 1988-02-04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371U KR910000188Y1 (ko) 1988-02-04 1988-02-04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75U KR890017575U (ko) 1989-09-08
KR910000188Y1 true KR910000188Y1 (ko) 1991-01-18

Family

ID=1927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371U KR910000188Y1 (ko) 1988-02-04 1988-02-04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890B (zh) * 2021-03-22 2021-11-19 苏州冠鸿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接曲装置、智能化酒曲搬运生产线、酒曲曲块搬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75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12030A (ja) パレットの積み重ね装置
KR910000188Y1 (ko) 보도블록용 자동적재기
CN210048041U (zh) 一种物料运转机构
JP2003104541A (ja) コンテナ昇降装置
CN212374371U (zh) 送料装置
KR920006660B1 (ko) 프레스의 소재 자동공급 장치
JPH01181617A (ja) 昇降機との移載装置
CN111846835A (zh) 一种手推式传送升降机
KR910002790Y1 (ko) 블럭성형기용 제품 파렛트 운반장치
CN212952761U (zh) 一种自动上落板机
CN219858988U (zh) 托盘自动装载机
JPH0133256B2 (ko)
CA1135736A (en) Device for automatic delivery and removal of sheet stacks within a processing machine
JPH0447157Y2 (ko)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CN216613429U (zh) 一种纸品提升输送装置
CN219859286U (zh) 一种运输效率高的连续式提升机
CN218402703U (zh) 一种陶瓷生产转运装置
CN117342246B (zh) 升降装置、输送线及输送方法
KR950004030Y1 (ko) 벽돌 이송장치
CN211495559U (zh) 一种药品包装箱输送装置
CN213444963U (zh) 一种取放料装置
KR930001881B1 (ko) 벽돌 이송 조적장치
KR930009893A (ko) 벽돌 적재장치
CN216736123U (zh) 一种排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