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3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33B1
KR910000133B1 KR1019860006789A KR860006789A KR910000133B1 KR 910000133 B1 KR910000133 B1 KR 910000133B1 KR 1019860006789 A KR1019860006789 A KR 1019860006789A KR 860006789 A KR860006789 A KR 860006789A KR 910000133 B1 KR910000133 B1 KR 91000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losed position
vent
ai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430A (ko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박 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준 filed Critical 박 준
Publication of KR87000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냉동실이 제거되고 3개의 서랍(drawer)과 도어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라 취한 냉장고의 측단면도.
제3도는 바람직한 통기구멍 배열의 일부 절취 측단면도.
제4도는 다른 바람직한 통기구멍 배열의 일부 절취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4 : 후방 벽
17 : 냉동실 18 : 냉장실
19 : 음식저장소실 21,22 : 칸막이
26 : 후방판넬 28 : 팬
29 : 냉각요소 33 : 후방판넬
34 : 덕트소실 36 : 공급 통기구멍
38 : 귀환 통기구멍 39 : 귀환덕트 매니포울드
41 : 음식저장서랍 43 : 후방 벽
48 : 입구 통기구멍 49 : 출구 통기구멍
51 : 제1댐퍼 53 : 제1스프링
54 : 개스킷 56 : 제2댐퍼
57 : 제1푸쉬로드 61 : 제3댐퍼
62 : 경첩 64 : 개스킷
66 : 제3푸쉬로드 69 : 보호부
70 : 제4댐퍼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냉장고가 개방되었을 때 냉기 손실량을 최소로 하는 다수의 음식저장 서랍(drawer)을 지닌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기존 냉장고들은 열리면 대형 음식 저장실을 드러내게 되는 여닫이식 도어를 구비한다. 저장실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공기를 증발기위로 그 다음에 실안으로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빙점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많은 양의 냉기가 빠져 나간다. 결과적으로 저장실의 온도를 정상적인 작동온도로 다시 낮추기 위해 도어가 닫혔을 때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어야 한다.
기존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내의 온도는 전체에 걸쳐서 대략 균일하다. 전형적으로 저장실의 온도는 약 38℉(3.3℃)로 유지된다. 그러나 신선한 야채와 육류는 약간 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야채는 약 38℉(1℃)로, 육류는 38℉(-1℃)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냉장실에는 아채, 육류, 치이즈 등과 같은 품목을 위한 서랍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서랍의 온도는 나머지 저장실의 온도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냉장고가 개방되었을 때 빠져나가는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대형 저장실내에서 육류 및 야채등이 담긴 소실(小室)들의 온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냉장고의 출현이 기대되어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바닥, 측방 및 후방 벽으로 한정되는 최소한 1개의 음식 저장실을 지닌 하우징으로 구성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전방, 후방, 측방 및 바닥 벽으로 구성된 음식 저장 서랍이 음식 저장실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서랍의내부가 음식 저장실 안에서 둘러싸이는 폐쇄 위치와 음식 저장실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떨어진 개방위치 사이에서 활주 이동할 수 있다.
냉장고는 냉기류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냉기류를 음식 저장실로 보내는 공기 공급 덕트도 마련되어 있다. 공기 공급 덕트는 음식 저장실내에 있는 공급 통기구멍을 포함한다. 음식 저장실내에 있는 귀환 통기 구멍을 지닌 공기 귀환 덕트가 공기를 음식 저장실에서 냉기 발생수단으로 복귀시킨다.
서랍이 개방위치 즉,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자동으로 봉쇄하는 수단과, 서랍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통기구멍 및 귀환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자동으로 터 주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는 수단은, 공급 통기구멍에 인접하여 공기 공급 덕트에 경첩 부착되었으며 공급 통기구멍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공급 통기구멍을 지나 흐르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1댐퍼(damper)와, 제1댐퍼를 그 폐쇄 위치쪽으로 미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서랍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급 통기구멍을 지나도록 공기 유동을 터주는 바람직한 수단은, 서랍이 개방 위치에서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제1댐퍼와 결합하여 제1댐퍼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서랍에 장착된 푸쉬로드(push rod)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는 수단은, 귀환 통기구멍에 인접하여 공기 귀환 덕트에 경첩 부착되었으며, 귀환 통기구멍을 봉쇄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귀환 통기구멍을 지나 흐르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2댐퍼를 포함한다. 제2스프링 수단이 제2댐퍼를 그 폐쇄 위치쪽으로 민다.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터주는 바람직한 수단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제2댐퍼와 결합하여 제2댐퍼를 그 개방 위치로 움직이도록 서랍에 장착된 제2푸쉬 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서랍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서랍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서랍의 후방 벽은 공급 및 귀환 통기구멍과 인접하여 대략 정렬된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을 포함한다. 그러한 배열에 있어, 냉기 발생 수단에서 나온 냉기는 공기 공급 덕트, 공급 통기구멍과 그리고 입구 통기구멍을 지나 음식 저장서랍안으로 흐른다. 그 다음 음식 저장실에서 나온 공기는 출구 덕트, 귀환 통기구멍 그리고 귀환 덕트를 지나 냉기 발생 수단으로 흐른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서랍은, 서랍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봉쇄 수단이 각각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에 인접하여 서랍에 경첩 부착된채 움직일 수 있는 제3 및 제4댐퍼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들을 봉쇄한다. 제3 및 제4스프링 수단이 제3 및 4댐퍼를 그들의 폐쇄 위치쪽으로 민다.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 때 제3 및 4댐퍼들을 개방하는 바람직한 수단은, 음식 저장실의 뒤에서 바람직하게 각각 공기 공급 덕트와 공기 귀환 덕트에 장착되었으며, 그리고 서랍의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안으로 전방으로 연장하여 제3 및 제4댐퍼와 결합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개방 위치로 움직이는 제3 및 제4푸쉬로드를 포함한다.
발명의 그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댐퍼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통기구멍들을 지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푸쉬로드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가 공기를 공급 통기구멍에서 서랍의 입구 구멍으로 보내며 서랍의 출구 구멍에서 귀환 통기구멍으로 보내는 가요성 관형 개스킷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냉장고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는 상부 벽(11), 바닥 벽(12), 한쌍의 측벽(13) 및 후방 벽(14)으로 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냉장고의 내부는 대략 수평 분할대(16)에 의해 상부 냉동실(17)과 하부 냉장실(18)로 나뉜다. 하부 냉장실(18)은 수직 칸막이(21)와 3개의 수평 칸막이들(22)에 의해 5개의 음식 저장 소실들(19)로 나뉜다. 칸막이(21)과 (22)의 전방 모서리들은 하우징(10)의 상부, 바닥 및 측벽들(11),(12),(13) 각각의 전방 모서리들과 함께 하우징(10)의 대략 납작한 전방면(23)을 형성한다.
여닫이식 서랍(24)은 냉동실(17)의 전방에서 경첩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10)상에 장착되고, 그리고 폐쇄되었을 때 냉동실(17)을 둘러싼다. 전체적으로 수직인 후방 판넬(26)이 냉동실(17)안에서 하우징(10)의 후방 벽(14)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냉각 소실(27)를 형성한다. 팬(28)과, 증발기등의 냉각 요소(29)가 냉각 소실안에 장착되어 있다.
후방 판넬(26)은 수평 분할대(16)위에서 그로부터 이격된 대략 수평인 하부 모서리로부터 하우징(10)의 상부 벽(11) 아래에서 그로부터 이격된 대략수평인 상부 모서리까지 연장한다. 음식등이 놓이는 대략 수평인 바닥 판넬(31)이 후방 판넬(26)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수평 분할대(16) 위에서 이격되어 있다. 바닥 판넬(31)은 냉동실(17)의 전방 끝에서 이격된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한다. 후방 판넬(26)과 바닥 판넬(31)의 뒷부분과 아래 부분의 공간은 팬(28)과 냉각 요소(29)에서 나온 냉기가 냉동실(17)의 전방으로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냉각 요소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는 바닥 판넬(31)의 아래에서 하방으로 냉동실(17)의 음식 저장 소안을 통과하여, 후방 판넬(26)의 상부 모서리와 하우징(10)의 상부 벽(11)사이의 공간을 지나 팬(28)과 냉각 요소로 귀환한다.
하우징(10)의 후방 벽(14)에서 이격된 대략 수직인 후방 판넬(33)이 냉장실(18)안에 마련되어 있다. 후방 판넬(33)은 각 소실(19)의 후방 벽을 형성한다. 후방 판넬(33)과 하우징(10)의 후방 벽(14)사이의 공간은 덕트 소실(34)을 형성한다.
공급 통기구멍(36)과 귀환 통기구멍(37)의 두 구멍들이 후방 판넬(33)을 지나 덕트 소실(34)과 각 소실(19)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공기 공급 덕트 매니포울드(manifold)(38)가 덕트 소실(34)안에 마련되어 있으며, 후방 판넬(33)의 각 공급 통기구멍(36)로부터 수평 분할대(16)를 지나 냉동실(17)의 냉각 소실(27)안에 있는 팬(28)과 냉각 요소(29)로 연장한다. 팬(28)이 냉각 요소(27)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를 공기 공급 매니포울드(38)를 통해 보이기 때문에 공기가 냉장실(18)안의 각 소실들(19)로 공급된다. 공기 귀환 덕트 매니포울드(39)도 덕트 소실(34)안에 마련되어 있으며, 각 귀환 통기구멍들(37)로부터 수평 분할대(16)를 지나 냉동실(17)의 팬(28)과 냉각 요소(29)로 연장되어 있다. 공기 귀환 덕트 매니포울드(39)는 공기를 각각의 저장 소실들(19)로부터 팬(28)과 냉각 요소(29)로 복귀시킨다.
냉장실(18)의 각 소실들(19)은 음식 저장 서랍(41)을 포함한다. 각각의 음식 저장 서랍(41)은 전방 벽들(42),(43), 한쌍의 측벽(44), 바닥 벽(46), 그리고 열린 상부로 구성된다. 각각의 음식 저장 서랍(41)은, 소실(19)의 측벽에 장착된 대략 수평이며 횡으로 이격된 한쌍의 레일(47)을 따라서, 서랍(41)의 전방 벽(42)이 하우징(10)과 면(23)과 접하는 폐쇄 위치와 서랍안에 저장된 음식을 꺼내기 위해 서랍(41)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활주할 수 있다.
서랍(41)의 후방 벽(43)은 한쌍의 통기구멍들 즉, 입구 통기구멍(48)과 출구 통기구멍(49)을 포함한다.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입구 통기구멍(48)은 후방 판넬(33)의 공급 통기구멍(36)와 인접하여 정렬되며, 출구 통기구멍(49)은 후방 판넬(33)의 귀환 통기구멍(37)의 대략 바로 전방 위치와 인접하여 정렬된다.
제3도에서, 공급 통기구멍(36)을 지나는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제1댐퍼(51)가 후방 판넬(33)에 마련되어 있다. 제1댐퍼(51)는 공급 통기구멍(36)보다 더 크며, 공급 통기구멍(36)의 아래에서 후방 판넬(33)상에 경첩들(52)로 장착되어 있다. 제1댐퍼(51)는, 공기가 공급 통기구멍(36)을 거의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폐쇄 위치와, 제1댐퍼(51)가 공급 덕트 매니포울드(38)안으로 연장하며 공기가 공급 통기구멍(36)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경첩 운동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 있어, 개방 위치에서의 제1댐퍼(5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급 통기구멍(36)의 개방 정도, 결과적으로 공급 통기구멍(36)을 흐르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1스프링(53)이 제1댐퍼(51)를 그 폐쇄 위치쪽으로 밀며, 제1댐퍼(51)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1댐퍼(51)와 후방 벽(33)사이에서 밀폐를 형성하도록 개스킷(54)이 제1댐퍼(51)와 후방 판넬(33)사이에서 공급 통기구멍(36)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귀환 통기구멍(37)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제2댐퍼가 마련되어 있다. 제2댐퍼(56)는 제1댐퍼(51)가 공급 통기구멍(36)에 관련하여 장착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귀환 통기구멍(37)과 관련하여 후방 판넬(33)상에 장착된다.
음식 저장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1댐퍼(51)는 서랍(41)의 후방 벽(4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푸쉬로드(57)에 의해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제1푸쉬로드(57)는 서랍(41)의 후방 벽(43)에 있는 나사 구멍과 결합하는 나사 축(58)을 포함한다. 제1푸쉬로드(57)는 후방 판넬(33)의 전달 통기구멍(36)을 지나 후방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제1댐퍼(51)가 결합함으로써 제1댐퍼(51)가 그 경첩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로 축지(軸支)운동하도록 한다.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1댐퍼(51)의 위치는 제1푸쉬로드(57)가 서랍(41)의 후방 벽(4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거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거리는 제1푸쉬로드(57)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서랍(41)이 전방으로 개방 혹은 부분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때, 제1푸쉬로드(57)는 제1댐퍼(51)를 놓아주며 제1스프링(53)은 제1댐퍼를 그 폐쇄 위치로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2댐퍼(56)는, 서랍(41)의 후방 벽(43)으로부터 귀환 통기구멍(37)을 지나 후방으로 연장하며 제2댐퍼와 결합하는 제2푸쉬로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음식 저장 서랍(41)은 또한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들(48),(49)을 지나는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한쌍의 댐퍼들을 포함한다. 또 제3도에서, 입구 통기구멍(48)의 위에서 서랍(41)의 후방 벽(43)의 내측면에 경첩(62)에 의해 축지 장착된 제3댐퍼(61)가 마련되어 있다. 제3댐퍼(61)는 서랍(41)의 후방 벽(43)과 맞닿은 폐쇄 위치와 서랍(41)안으로 연장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경첩 회동할 수 있다. 제3댐퍼(61)는 입구 통기구멍(48)보다 더 크면, 따라서 제3댐퍼(61)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입구 통기구멍(48)을 지나는 공기 통과를 실질적으로 봉쇄하며, 개방 위치에 있을때 공기가 입구 통기구멍(48)을 통과하게 한다. 제3스프링(43)이 제3댐퍼(61)를 그 폐쇄 위치로 밀고, 제3댐퍼(61)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후방 벽(43)과 제3댐퍼(61) 사이에 밀폐를 제공하도록 서랍(41)의 후방 벽(43)과 제3댐퍼(61) 사이에 입구 통기구멍(48)의 원주를 따라서 개스킷(64)이 마련되어 있다.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3푸쉬로드(66)는 후방 판넬(33)에서 입구 통기구멍(48)안으로 전방으로 연장한다. 제1푸쉬로드(57)처럼, 제3푸쉬로드(66)도 후방 판넬(33)의 해당 나사구멍(68)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67)을 포함한다.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제3푸쉬로드(66)는 제3댐퍼(61)와 결합하며 제3댐퍼를 개방 위치로 유지한다. 제3댐퍼(61)의 각도는 제3푸쉬로드(66)를 회전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음식이 제3댐퍼(61)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제3댐퍼(61)를 둘러싸는 보호부(69)가 음식 저장 서랍안에 마련되어 있다. 보호부(69)는 입구 통기구멍(48)을 지나 음식 저장 서랍(41)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그 바닥이 터져있다.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가요성 관형 개스킷(71)은 후방 판넬(33)과 서랍(41)의 후방 벽(43)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 판넬(33)의 공급 통기구멍(36)과 서랍(41)의 후방 벽(43)에 있는 입구 통기구멍(48)사이에서 밀폐된 통로를 형성한다. 개스킷(71)은 전달 통기구멍(36)을 둘러싸도록 그 후방 단부가 후방판넬(33)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개스킷(71)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개스킷(71)의 전방 단부가 입구 통기구멍(48)을 둘러싸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한다.
음식 저장 서랍(41)은 출구 통기구멍(49)을 지나는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제4댐퍼(70)(제2도)를 포함한다. 제4댐퍼(70)은 제3댐퍼(61)가 입구 통기구멍(48)에 관련되어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출구 통기구멍(49)과 관련되어 서랍(41)의 후방 벽에 장착된다.
음식 저장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조정가능한 제4푸쉬로드(도시되지 않음)는 제3푸쉬로드(66)에 대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 판넬(33)로부터 출구 통기구멍(49)을 지나 전방으로 연장하여 제4댐퍼(70)와 결합한다. 제2가요성 개스킷(도시되지 않음)은, 서랍(41)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후방 판넬(33)과 서랍(41)의 후방 벽(43)사이에서 연장하며, 출구 통기구멍(49)과 귀환 통기구멍(37)사이에서 밀폐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열에 있어, 냉기의 유동은 팬(28)과 냉각 요소(29)에 의해 발생된다. 냉기는 공기 공급 매니포울드(38)에 의해 후방 판넬(33)의 공급 통기구멍(36)으로 운반된다. 냉기는 공급 통기구멍(33)을 통과하여 관형 개스킷(71)과 입구 통기구멍(48)을 지나 음식 저장 서랍(41)안으로 들어간다. 공기는 서랍(41)으로부터 출구 통기구멍(49), 관형 개스킷(71), 귀환 통기구멍(37), 그리고 귀환 덕트 매니포울드(39)를 지나 팬(28)과 냉각 요소(29)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 접시(75)가 서랍의 입구 통기구멍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서랍내 습도를 증가시키고 거의 수증기 포화상태를 달성하고자 원한다면 접시(75)를 물로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모든 푸쉬로드가 서랍에 장착된다. 즉, 제1 및 제2푸쉬로드외에 제3 및 제4푸쉬로드로 서랍에 장착되며 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제3 및 제4푸쉬로드는 그들이 제2 및 제3댐퍼들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4도에서, 제3푸쉬로드(81)가 음식 저장 서랍(83)의 제3댐퍼(82)에 장착된다. 푸쉬로드(81)를 회전시킴으로써 푸쉬로드 후방단부의 제3댐퍼(82)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다.
제3푸쉬로드(81)는, 서랍(83)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3푸쉬로드(82)의 후방 단부가 칸막이(84)와 결합하여 제3푸쉬로드(81)를 멈추게 하며, 서랍(83)이 더 후방으로 계속 이동된때 제3댐퍼(82)가 개방되며, 서랍(83)이 칸막이(84)로부터 멀어지게 전방으로 이동된때 스프링(86)이 제3댐퍼(82)를 폐쇄시키도록 위치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단지 서랍을 빼냄으로써 서랍과 연관된 4개의 푸쉬로드 모두가 서랍의 뒤에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들을 그들의 폐쇄 위치로 미는 스프링들은 온도 증가로 인하여 휘거나 구부러지는 합금 혹은 복합재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합금이나 금속 복합재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인데, 예를 들어 임계 온도에 도달했을때 냉간 형상으로부터 열간 형상으로 신속히 변하는 합금과 같은 메모리 메탈이나, 구성 부재들 사이의 열 팽창 차이로 인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구부러지는 금속 복합재 같은 온도 조절 금속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서랍의 개방으로 인하여 통기구멍들에서의 온도가 증가할때 스프링이 휘어져 댐퍼가 폐쇄되도록 금속과 스프링의 형상을 선택한다. 서랍이 폐쇄되고 통기구멍들에서의 온도가 감소될때, 스프링들은 댐퍼들이 개방되는 그들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푸쉬로드 따위가 필요없다. 댐퍼를 개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열전쌍과 솔레노이드에 의한 피드백 조절도 가능한데, 솔레노이드는 스프링 멈춤쇠 기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프링 기구가 도입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독특한 장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저장된 음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냉장고가 개방되었을때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기존 냉장고가 개방되었을때는, 냉장고내 냉기가 냉장고 외부 공기보다 더 차갑고 따라서 더 무겁기 때문에 냉장고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흘러 따뜻한 공기로 대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서랍이 개방되었을때 서랍내 차가운 공기는 서랍의 측방, 전방 및 후방 벽때문에 하방으로 흐르지 못한다. 또한, 서랍이 개방되었을때 서랍의 통기구멍들을 통한 냉기의 누출이 봉쇄된다. 냉기가 주위의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서랍의 개방시 서랍으로부터의 냉기 손실량이 최소로 된다.
더욱이 공급 및 귀환 덕트로의 공기 구멍들을 봉쇄함으로써 냉장고 하우징으로부터의 냉기 손실량이 최소로 된다.
본 발명은 서랍들이 그들의 폐쇄 위치에 있을때 댐퍼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각 음식 저장 서랍내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예를들어, 통기구멍을 통한 개방을 더 크게하도록 댐퍼들의 개방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더 많은 냉기가 통기구멍을 지나게 하여 더 낮은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더 높은 오도는 댐퍼들의 개방 위치를 조정하여 더 적은 공기가 통기구멍들을 지나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은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와 기술에 숙달된 자는 본 발명의 원칙과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기술된 구조에 대하여 변형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에를 들면, 하우징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서랍의 갯수와 크기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랍들이 냉장실내에서 칸막이들에 의해 나뉠 필요가 없다는 것도 분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오직 음식 저장 서랍들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혹은 여닫이식 도어를 지닌 음식 저장실과 조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서랍들을 쓸모없게 할만큼 높은 위치에 저장실이 있는 그러한 냉장고에 특히 바람직하다. 냉동실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저장 서랍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도 명확하다.
서랍들을 냉장실에 장착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이용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람들을 그들의 폐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잠궈주기 위해 적당한 걸쇠 기구가 이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개시된 엄밀한 구조 및 절차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와 일치하도록 또한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8)

  1. 최소한 1개의 음식저장실을 가진 하우징, 냉기발생수단, 냉기발생수단으로부터 음식 저장실로 냉기를 전달하도록 냉기발생수단에서 음식저장실로 연장하는 공기 공그 덕트로서, 음식 저장실내에 있는 최소한 1개의 공급 통기구멍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 덕트, 음식 저장실로부터 냉기 발생수단으로 공기를 귀환시키도록 음식 저장실에서 냉기 발생수단으로 연장하는 귀환 덕트로서 음식 저장실내에 있는 최소한 1개의 귀환 통기구멍을 포함하는 귀환 덕트, 전방, 후방, 측방 및 바닥벽 그리고 음식 저장실내에 미끄러질 수있도록 장착된 열린 상부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음식 저장실에 의해 둘러싸이는 폐쇄 위치와, 그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최소한 1개의 음식 저장 서랍, 및 서랍이 그 개방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되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개방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되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공급 통기구멍을 봉쇄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폐쇄 위치와 공급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저장실내에 장착된 제1댐퍼, 귀환 통기구멍을 봉쇄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폐쇄 위치와 귀환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저장실내에 장착된 제2댐퍼, 제1 및 제2댐퍼들을 그들의 폐쇄 위치쪽으로 미는 스프링수단, 및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 및 제2댐퍼들과 자동으로 결합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 및 제2댐퍼들을 해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 때 제1 및 제2댐퍼들과 자동으로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서랍이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댐퍼와 결합하여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서 서랍상에 장착된 제1푸쉬로드와, 서랍이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2댐퍼와 결합하여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서 서랍상에 장착되 제2푸쉬로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서랍은,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각각 공급 통기구멍 및 귀환 통기구멍과 인접하여 정렬되는 입구 통기구멍 및 출구 통기구멍을 포함하며, 서랍이 그 개방위치에 있을때 입구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입구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을 개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개방위치에 있을때 입구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을 자동으로 봉쇄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입구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을 개방하는 수단이, 입구 통기구멍을 봉쇄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폐쇄 위치와 입구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서랍상에 장착된 제3댐퍼, 출구 통기구멍을 봉쇄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폐쇄 위치와 출구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공기가 그 구멍을 통과하여 흐르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서랍상에 장착된 제4댐퍼, 제3 및 댐퍼들을 그들의 폐쇄 위치로 미는 스프링수단, 및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과 자동으로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놓아주는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과 자동으로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댐퍼와 결합하여 그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서 음식 저장실내에 장착된 제3푸쉬로드, 및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4댐퍼와 결합하여 그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서 음식 저장실내에 장착된 제4푸쉬로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입구 통기구멍사이에서 제1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귀환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 사이에서 제2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 냉장고.
  8. 제2항에 있어서, 제1댐퍼가 공급 통기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경첩으로 공기 전달 덕트상에 장착되고, 제2댐퍼가 귀환 통기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경첩으로 공기 귀환 덕트상에 장착되며, 서랍이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 및 2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1 및 2댐퍼들 각각을 그들의 폐쇄 위치로 미는 제1 및 제2스프링들을 구비하는 냉장고.
  9. 제2항에 있어서, 서랍이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 및 제2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 및 제2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1 및 제2부재들을 포함하는데, 이 부재들 각각은 음식 저장서랍의 개방시 온도 증가의 결과로 제1형상으로부터 제2형상으로 역으로 구부러지는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의 한쪽 단부가 공기 공급 덕트에 부착되어 있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1댐퍼에 폐쇄되고, 그리고 상기 제2부재의 한쪽 단부가 공기 귀환 덕트에 부착되어 있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2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2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2댐퍼가 개방되며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2댐퍼가 폐쇄되는 냉장고.
  10. 제2항에 있어서, 서랍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각각 공급 통기구멍 및 귀환 통기구멍과 인접하여 정렬되는 입구 통기구멍 및 출구 통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이, 입구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입구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3댐퍼, 출구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폐쇄위치와 공기가 출구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4댐퍼,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 및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댐퍼들이 각각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들에 인접한 위치에서 경첩으로 서랍상에 장착되며,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3 및 제4댐퍼들 각각을 그들의 폐쇄 위치쪽으로 미는 제3 및 제4스프링을 구비하는 냉장고.
  12. 제10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이때 제3 및 제4댐퍼들과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움직이도록 음식 저장실내에 장착된 제3 및 제4푸쉬로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3 및 제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3 및 제4부재들로 구성되는데, 이 부재들 각각은 음식 저장 서랍이 개방시 음식 저장 서랍내 이 부재들 각각은 음식 저장 서랍의 개방시 음식 저장 서랍내 온도 증가의 결과로서 제1형상으로부터 제2형상으로 역으로 구부러지는 금속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3부재의 한쪽 단부가 서랍에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가 제3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3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3댐퍼가 개방되고,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3댐퍼가 폐쇄되며, 상기 제4부재의 한쪽 단부가 서랍에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가 제4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4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4댐퍼가 개방되고 제4부재가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4댐퍼가 폐쇄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입구 통기구멍 사이에서 제1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귀환 통기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사이에서 제2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 냉장고.
  15. 최소한 1개의 음식저장실을 가진 하우징, 냉기발생수단, 냉기발생수단으로부터 음식 저장실로 냉기를 전달하도록 냉기발생수단에서 음식저장실로 연장하는 공기 전달 덕트로서, 음식 저장실의 후방에 있는 전달 통기구멍과, 전달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전달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공급 통기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 공급 덕트에 경첩 장착된 제1댐퍼로 구성되는 공기 공급 덕트, 음식 저장실로부터 냉기 발생수단으로 공기를 귀환시키도록 음식 저장실에서 냉기 발생수단으로 연장하는 귀환 덕트로서,음식 저장실의 후방에 있는 귀환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귀환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귀환 통기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 귀환 덕트에 경첩 장착된 제2댐퍼로 구성되는 공기 귀환 덕트, 전방, 후방, 측방 및 바닥벽 그리고 음식 저장실내에 미끄러질 수있도록 장착된 열린 상부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음식 저장실에 의해 둘러싸이는 폐쇄 위치와 그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는 최소한 1개의 음식 저장 서랍으로서, 상기 서랍은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귀환 통기구멍들 각각에 인접하여 정렬된 서랍 후방 벽의 입구 및 출구 통기구멍들, 입구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입구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입구 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후방 벽에 경첩 장착된 제3댐퍼, 그리고 출구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폐쇄 위치와 공기가 출구 통기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출구 구멍에 인접한 위치에서 후방 벽에 경첩 장착된 제4댐퍼로 구성되는 음식 저장 서랍,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공급 통기구멍과 입구 통기구멍사이에서 제1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때 귀환 통기 구멍과 출구 통기구멍사이에서 제2밀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수단,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2,3 및 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 및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2,3 및 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2,3 및 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1-4댐퍼들을 폐쇄 위치로 미는 제1,2,3 및 4스프링들을 각각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2,3 및 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이때 제1 및 제2댐퍼들 각각과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서랍의 후방 벽에 장착된 제1 및 제2푸쉬로드와,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3 및 제4댐퍼들 각각과 결합하여 그들의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공기 긍급 덕트와 공기 귀환 덕트 각각에 장착된 제3 및 제4푸쉬로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서랍이 그 폐쇄 위치로 이동된때 제1,2,3 및 4댐퍼들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수단과 서랍이 그 폐쇄 위치에서 벗어난때 제1,2,3 4댐퍼들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이 제1,2,3 및 4부재들을 포함하는데, 이 부재들 각각은 음식 저장 서랍의 개방시 음식 저장실과 음식 저장 서랍내 온도증가의 결과로서 제1형상으로부터 제2형상으로 역으로 구부러지는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의 한쪽 단부가 공기 공급 덕트에 부착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1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1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1댐퍼가 개방되고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1댐퍼가 폐쇄되며, 상기 제2부재의 한쪽 단부가 공기 귀환 덕트에 부착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2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2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대는 제2댐퍼가 개방되고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2댐퍼는 폐쇄되며, 상기 제3부재의 한쪽 단부가 서랍의 후방 벽에 부착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3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3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3댐퍼가 개방되고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3댐퍼가 폐쇄되며, 그리고 제4부재의 한쪽 단부가 서랍의 후방 벽에 부착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제4댐퍼에 부착되어 있어 제4부재가 제1형상에 있을때는 제4댐퍼가 개방되고 제2형상에 있을때는 제4댐퍼가 폐쇄되는 냉장고.
KR1019860006789A 1985-08-19 1986-08-18 냉장고 KR910000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651185A 1985-08-19 1985-08-19
US766511 1985-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30A KR870002430A (ko) 1987-03-31
KR910000133B1 true KR910000133B1 (ko) 1991-01-21

Family

ID=2507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789A KR910000133B1 (ko) 1985-08-19 1986-08-1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98177A (ko)
KR (1) KR910000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997B2 (ja) * 1988-08-09 1995-09-2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331566B2 (ja) * 2009-05-11 2013-10-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5676917B2 (ja) * 2010-05-24 2015-02-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2677U (ko) * 1971-04-24 1972-12-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30A (ko) 1987-03-31
JPS6298177A (ja) 198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2186A (en) Refrigerator apparatus
EP0881441B1 (en)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refrigerator
AU784622B2 (en) Electric refrigerator
US3793847A (en) Refrigeration apparatus
AU2008262158B2 (en)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unit
JPH10300311A (ja) 冷蔵庫
JP3892015B2 (ja) 冷蔵庫
KR910000133B1 (ko) 냉장고
US2565995A (en)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CA1131925A (en) Household refrigerator air flow control assembly
CA1133265A (en) Household refrigerator movable storage assembly
JP3439981B2 (ja) 冷蔵庫
JP4502998B2 (ja) 冷蔵庫
JP2953771B2 (ja) 冷蔵庫
CN113396307A (zh) 具有直接冷却门内室的冷藏器具
JPH0341264Y2 (ko)
JP2002295953A (ja) 冷蔵庫
JPS588971A (ja) 冷凍冷蔵庫
JP3719914B2 (ja) 冷蔵庫
JP2563445B2 (ja) 冷蔵庫
JPH063341Y2 (ja) 冷蔵庫の冷気調節構造
KR890001329B1 (ko) 냉장고
JP2836627B2 (ja) 冷蔵庫
US2960848A (en) Refrigerating apparatus
JPH0769107B2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