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071Y1 - 수동식 면도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071Y1
KR910000071Y1 KR2019880005021U KR880005021U KR910000071Y1 KR 910000071 Y1 KR910000071 Y1 KR 910000071Y1 KR 2019880005021 U KR2019880005021 U KR 2019880005021U KR 880005021 U KR880005021 U KR 880005021U KR 910000071 Y1 KR910000071 Y1 KR 910000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handle
gro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818U (ko
Inventor
최동각
Original Assignee
최동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각 filed Critical 최동각
Priority to KR2019880005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071Y1/ko
Publication of KR890020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26B19/32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providing for mechanical drive, e.g. installation of a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식 면도기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상부캡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세그멘트 기어와 손잡이의 상호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캡 2 : 상부 케이스
3, 3′ : 하부 케이스 4 : 손잡이
5 : 축 7 : 베벨기어
8 : 가동축 9 : 안내홈
10 : 돌기홈 12 : 요홈
13 : 돌기 19 : 작동축
24 : 중간축 27 : 구동축
30 : 세그멘트 기어 32 : 스프링
본 고안은 수동식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으로 손잡이를 가압하여 면도날의 회전력을 얻을수 있고, 면도날이 있는 상부캡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방법으로 방향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도기는 일반적으로 전기식으로서 건전지나 일반가정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면도날의 회전 구동력을 얻게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모율이 커서 자주 건전지를 교체하여야 하고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엔 축전식이나 직접 구동식이 있는바, 축전식은 축적된 전원이 약화될때마다 장시간에 걸쳐 축전시켜야 하며 직접구동식은 전원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사용상의 제한성이 있는등의 문제점이 상존하는 동시에 에너지절약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다.
또한 수동식의 경우에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출원번호 85-10186호가 있었으나, 이는 면도기의 두부가 몸체와 일체로 되어 있어 면도날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였고, 손잡이 자체도 작동시에 외부로 너무 튀어 나오게 되므로 면도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너무 비대해지고 손의 악력이 과도하게 필요하여 사용이 불편한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면도기가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면도기의 상부캡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손잡이도 작동시에 외부로 크게 튀어나오지 않게 구성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면도날이 강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수동식 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수동식 면도기는 상부캡(1)이 나합되는 상부케이스(2), 이 상부케이스(2)가 축설되는 하부케이스(3, 3′), 이 하부케이스(3, 3′)내에 여러 치차의 치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작동부 및 일측의 돌기(4′)가 형성된 손잡이(4)로 구성된다.
상부캡(1)은 다수의 미세공이 뚫려진 망판(1a)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의 회전면도날(1b)이 후술될 가동축(8)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와 나합고정된다.
상부케이스(2)는 축(5)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부중심엔 베어링(6)이 설치되어 하단에 베벨기어(7)가 고정된 가동축(8)이 축설되고, 내측에는 양측에 호형안내홈(9)과 이 안내홈(9)의 중간에 다수의 돌기홈(10)의 각각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축공(11)이 뚫려있어, 축(5)이 끼워질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하부케이스(3, 3′)는 상부에 가동축(8)이 통과할수 있게 이루어진 요홈(12)이 설치되고 외부양측에는 돌기(13)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축공(14)이 설치되어 축(5)이 끼워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일측에는 요홈(15)이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4)가 끼워져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부케이스(3, 3′)의 상부 내측에는 부싱이 내설된 축받이(15, 15′)가 설치되어 베벨기어(7)와 치합되는 베벨기어(16), 소기어(17) 및 플라이휘일(18)이 함께 축설된 작동축(19)이 끼워지고, 내측중앙에는 지지판(20)이 지지대(21)에 나합고정되는 바, 상기 소기어(17)와 치합되는 대기어(22) 및 소기어(33)가 함께 축설된 중간축(24)과 상기 소기어(23)와 치합되는 대기어(25) 및 소기어(26)가 함께 축설된 구동축(27)이 축공(28) 및 장축공(29) 사이에 각각 끼워설치되며, 하부 케이스(3, 3′)의 하부에는 소기어(26)와 치합되는 세그멘트 기어(30)가 축공(31)을 중심으로 축설되는 동시에 스프링(32)에 의하여 탄지되고 이 세그멘트 기어(30)의 후부에 위치한 만곡부(30′)와 서로 가압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요홈(33)속에 내접면(33′)을 가지고 있는 손잡이(4)가 축공(31′)을 중심으로 축설되어 손잡이(4)의 일측은 하부케이스(3, 3′)의 요홈(15)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34는 체결용 볼트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손잡이(4)를 외측에서 축(31′)을 중심으로 〈β만큼 가압회전시키면 손잡이(4)의 내접면(33′)이 최초 가압접점(33′a)과 세그멘트 기어(30)의 만곡부의 접점(30′a)이 서로 가압되어 세그멘트 기어(30)는 축(31)을 중심으로 〈α만큼 회전하고 최종가압접점(33′b, 30′b)까지 가압접촉이 이루어져 세그멘트 기어(30)와 치합되어 있는 소기어(26)를 회전시키고, 이때 구동축(27)은 장축공(29)을 따라 상승하면서 소기어(26)와 연동되는 대기어(25)는 중간축(24)의 소기어(23)와 치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며 소기어(23)와 연동되는 대기어(22)는 작동축(19)의 소기어(17)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베벨기어(16)를 거쳐 베벨기어(7)와 가동축(8)의 일측에 끼워지는 회전면도날(1b)을 회전시키는 한편, 플라이휘일(18) 역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손잡이(4)로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세그멘트 기어(30)는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가압접점(33′a, 30′a)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바, 이때 구동축(27)은 소기어(26) 및 대기어(25)와 함께 장축공(29)의 하부로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소기어(23)와 대기어(25)의 치합은 해제되고, 단순하게 세그멘트 기어(30)와 소기어(26)만이 역회전하여 원위치되며, 또한 중간축(24) 및 가동축(8)은 작동축(19)에 축설된 플라이휘일(18)의 관성력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손잡이(4)의 가압 및 해제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할수록 다른 부품에 비하여 아주 무거운 중량을 갖고 있는 플라이휘일(18)의 관성회전력은 더욱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면도날(1b)의 회전 속도는 빨라지는 동시에 회전력 역시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부케이스(2)는 축(5)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케이스(3, 3′)의 돌기(13)가 상부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9)과 돌기홈(10)을 지나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작동축(19)과 축(5)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므로 가동축(8)은 하부케이스(3′, 3)의 요홈(12) 내측을 따라 움직이고 가동축(8)의 베벨기어(7)는 베벨기어(16)의 치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특히 돌기(13)가 돌기홈(10)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위치고정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에서 이를 위치고정시키면 항상 그 상태에서 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더구나 세그멘트 기어(30)와 손잡이(4)를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분리하여 세그멘트 기어(30)의 만곡부(30′)와 손잡이(4)의 요홈(33)속에 위치한 내접면(33′)이 서로 가압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손잡이(4)가 하부케이스(3, 3′)의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 즉 손잡이(4)의 회전각도(〈β)보다 세그멘트 기어(30)의 회전각도(〈α)가 작은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면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회전면도날(1b)의 필요한 회전력 이상만 유지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손의 악력을 이용하여 이따금씩 반복적으로 손잡이(4)를 가압과 해제를 반복하고 또한 상부케이스(2)의 경사각을 조절하면서 면도를 행하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인 수동식 면도기는 손잡이(4)가 크게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의 악력만을 이용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면도날의 강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고, 면도기의 상부캡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이 전혀 필요없어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ㆍ하부케이스(2), (3, 3′)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작동축(19) 중간축(24) 및 구동축(27)이 서로 치합되어 설치된 수동식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의 상부중심에 베벨기어(7)가 고정된 가동축(8)이 축설되고 내측에 안내홈(9)과 돌기홈(10)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3, 3′)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12)과 양측돌기(13)가 각각 이동자유롭게 끼워지되, 상기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 3′)가 축(5)에 의해 축설되어서 상부캡(1)의 회동각도를 조절되도록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면도기.
KR2019880005021U 1988-04-07 1988-04-07 수동식 면도기 KR910000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021U KR910000071Y1 (ko) 1988-04-07 1988-04-07 수동식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021U KR910000071Y1 (ko) 1988-04-07 1988-04-07 수동식 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18U KR890020818U (ko) 1989-11-01
KR910000071Y1 true KR910000071Y1 (ko) 1991-01-18

Family

ID=192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021U KR910000071Y1 (ko) 1988-04-07 1988-04-07 수동식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18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071Y1 (ko) 수동식 면도기
JPS6318515B2 (ko)
US2851772A (en) Spring operated safety razor with means to rotate or oscillate the inner cutter member
KR880001447Y1 (ko) 수동식 면도기
KR200333827Y1 (ko) 수동식 동력전달구조
KR900001972Y1 (ko) 태엽 구동식 면도기
KR860003148Y1 (ko) 회전식 수동면도기
CN2214279Y (zh) 手动式两用剃须刀
JPS605883Y2 (ja) 電気かみそり
KR930000163Y1 (ko) 수동식 안전 면도기
JPS607649Y2 (ja) 電気かみそり
CA2113508A1 (en) Mechanically-actuated shaver
JPS6245192U (ko)
KR200220828Y1 (ko) 기계식 자동 면도기
KR860001506Y1 (ko) 수동식 면도기
JPH024561U (ko)
JPS639297Y2 (ko)
JPS6231096Y2 (ko)
JPS5929653Y2 (ja) 電気かみそり
JPS5827748Y2 (ja) 電気かみそり
JPS591659Y2 (ja) 回転式カミソリの巻き軸装置
JPS61175274U (ko)
JPH02102938U (ko)
CN2116568U (zh) 手握式惯性储能剃须刀
JPS59231B2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