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72Y1 - 태엽 구동식 면도기 - Google Patents

태엽 구동식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72Y1
KR900001972Y1 KR2019860017215U KR860017215U KR900001972Y1 KR 900001972 Y1 KR900001972 Y1 KR 900001972Y1 KR 2019860017215 U KR2019860017215 U KR 2019860017215U KR 860017215 U KR860017215 U KR 860017215U KR 900001972 Y1 KR900001972 Y1 KR 900001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utter
drive shaft
shaft
main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597U (ko
Inventor
김동인
Original Assignee
김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인 filed Critical 김동인
Priority to KR201986001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72Y1/ko
Publication of KR880009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26B19/32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providing for mechanical drive, e.g. installation of a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태엽 구동식 면도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대한 면독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중 어 장치에 대한 확대도로
(a)는 정면상태 단면도
(b)는 평면 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타실시 상태 단면도로
(a)는 설치 상태의 단면도.
(b)는 요부 분해 사시도,
(c)는 동작 상태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상태단면도로
(a)는 설치 상태 단면도,
(b)는 요부 분해 사시도,
(c)는 동작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면도기 2 : 캡
3 : 몸체 3c : 노브공
4 : 면도망 5 : 캇터
5a : 절착날 5',5" : 횡형식 캇터
5b,5b" : 보스대 10 : 핸들
11,13 : 톱니턱 12 : 조작판
14 : 압축스프링 20 : 태엽
21 : 구동축 23 : 지지판
30,31,32,33,34,35,36 : 기어 37 : 회동축
40 : 전동장치 41 : 제어대
42 : 제어기어 42a : 치차
42b : 치차홈 43 : 스크류홈
44 : 저항판 45 : 조절노브
50 : 제어장치 60 : 캠대
65 : 인장스프링
본 고안은 수개의 절삭날을 동력으로 유동시켜 면도할 수 있는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태엽과 치차들을 동력 구성원으로하여 수개의 면도날이 회동하거나 좌우진동되어 면도망과 절삭날사이에는 면도 작용이 이루어지기에 면도기들은 그대부분이 전원을 구동원으로 하고, 동력을 모터 또는 진동지로 전달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어 전원이 완전 소모되면 건전지를 교체해 주거나 콘센트에 꽂아 충전시켜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야외에서 건전지의 전원이나 충전된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에는 전원의 공급을 할 수 없기에 면도를 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면도기 내부의 구성 이상으로 예기치 않는 전기사고 등과 건전지의 교체와 전원의 충전으로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절삭날 회전식 면도기의 폐단을 제거하고 경제적이며 사용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 몸체 내부에 설치하는 태엽과 태엽의 구동축에 설치하는 치차를 동력 구성원으로 하여 상기의 캇터를 회동시키거나 좌우 진동시켜 면도망과 절삭날 사이에서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대한 면도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면도기(1)는 캡(2)과 핸들(10)이 몸체(3)의 상하에 구성되어 외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 태엽(20)과 전동장치(轉動裝置)(40) 및 제어장치(50) 그리고 캇터(5)로 구성되어 면도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먼저 몸체(3)의 상단에서 회전식 또는 록크식으로 착탈되게 구성하여 캡(2)에는 면도망(4)을 부착시켜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깨끗이 절삭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면도망(4)에 뚫린 구멍에 의해 수염이 캇터(5)에 공급되는 기능을 갖는다.
몸체(3)의 하단에 설치하는 핸들(10)은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만 기울어지게 형성한 톱니턱(11)을 형성하여 구동력의 총진기능을 이루게하고, 몸체(3)와 핸들(10) 사이에 압축스프링(14)을 설치하여 구동력을 충진시킬때에만 태엽(20)의 구동축(21)과 결합되어 태엽이 풀릴때 핸들(10)은 회동하지 않는다.
몸체(3)의 내부에 설치하는 태엽(20)은 구동축(21)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몸체(3) 내측벽에 돌출시킨 고정턱(3a)에 끼워 이탈되지 않게 하고 구동축(21)의 하단을 몸체(3)하단으로 관통시켜 사각면(21a)에 핸들의 톱니턱(11)과는 경사진 방향을 반대로 형성시킨 조작판(12)을 삽입하여 구동력의 충진기능을 수행토록한다.
따라서 진술한 핸들(10)을 누르면 톱니턱(11)이 조작판(12)의 톱니턱(13)에 맞물려 태엽(20)을 감을 수 있다.
상기의 구동축(21)에 지지판(23)을 삽입하고 몸체(3)의 내벽에 고정시켜서 구동축(21)의 조립상태가 안정화되게하고 선단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30)을 설치하여 이 구동기어(30)와 수개의 기어(30)(31)(32)(33)(34)(35)(36)들로 이루어진 전동장치(40)가 치합되게 한다.
상기의 전동장치(40)에는 제어장치(50)를 형성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력을 정지 및 공급시킬 수 있는 선태기능을 가진다.
전동장치(40)의 선단에는 회동축(37)이 형성되고 이는 캇터(5)의 보스대(5b)와 회수할 수 있게 축 결합하여 면도기(1)의 내부 구성을 이룬다.
상기의 구성중 핸들(10)은 구동축(21)의 사각면(21a)에 조작판(12)을 먼저 축착시킨 상태에서 구동축(21)에 괘지하여 효과적인 조립과 함께 방향이 반대인 톱니턱(11)(13)과 압축스프링(14)으로 필요할 때 태엽(20)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고 태엽(20)이 풀릴 때 핸들(10)은 태엽의 풀림을 방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태엽(20)의 풀림시 발생하는 구동력을 받는 전동장치(40)는 연동기어(31)와 접동기어(32) 감속기어(33) 가속기어(34) 증폭기어(35) 회동기어(36)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속도와 힘이 현저히 증가하여 수염의 절삭시 필요한 힘으로 일정 시간 동안 유동함이 지속되는 기능을 갖다.
또한 전동장치(40)에 설치하는 제어장치(5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기어(34)에 접속하는 제어기어(42)에는 치차(42a)를 형성하고 치차(42a)하단에는 원판상의 치차(42b)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어기어(42)를 형성한다.
이 제어기어(42')에는 제어대(41)가 치합되는 것으로, 제어대(41)는 스크류홈(43)과 저항판(44)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대(41)에는 몸체(3)의 좌우조절용 노브공(3c)에 끼워지며 저항판(44)과 접촉분리되는 조절노브(45)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항판(44)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저항력은 태엽의 풀림속도가 임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천천히 풀려 지속적인 회동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태엽(20)을 감기 위해서 먼저 몸체(3)의 핸들(10)을 누르면 톱니턱(11)(13)이 상호 맞물리게 되고 맞물린 상태에서 핸들(10)을 회전시키면 구동축(21)의 회전과 함께 조여든다.
태엽(20)이 감긴상태(조여진상태)에서 핸들(10)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서 구동축(21)의 조작판(12)과 핸들의 톱니턱(11)(13)을 분리된다.
핸들(10)이 분리되는 순간부터 구동축(21)은 태엽(20)의 풀림작용을 받아 회동하기 시작한다.
회전하는 구동축(21)은 구동기어(30)를 통해 연동기어(31)를 회전시키므로 전동장치(40)는 동작된다.
상기의 구동력이 전동장치(40)를 거쳐 회동축(37)으로 전달되어 회동축(37)에 결합된 캇터(5)를 분당 6000r.p.m이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의 회전 작용에서 사용자가 회전상태를 정지시키고 싶을 때에는 조절노브(45)를 일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밀리는 조절노브(45)의 선단은 저항판(44) 사이로 끼워져 저항판(44)의 회전을 방해하여 제어기어(42)의 회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어기어(42)의 치차(42a)에 맞물린 가속기어(34)의 회동되 정지당해 전동장치(40)의 동력을 끊어주게 된다.
그리고 조절노브(45)를 최초의 위치로 환원시키면 저항판(44)을 회전할 수 있어 동력은 회동축(37)으로 전동되어 캇터(5)의 회전력으로 면도망(4)에 들어온 수염을 절삭하는 것이다.
상기의 절삭 과정에서 본 고안은 회동축(37)에 캠대(60)를 설치하여 캇터의 운동방향을 회전에서 좌우진동으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제3도와 제4도와 같이 회동축(37)의 선단에 편심된 크랭크축(61)를 갖는 캠대(60)를 설치하고, 횡형식 캇터(5')(5")의 지면에 보스대(5b)(5b')(5b")를 세우되 장방형의 홈 또는 인장스프링(65)을 거는 횡형 돌기를 형성하면 좌우 진동용 캇터(5')(5")의 사용도 가능한 것이다. 즉 회동축(37)의 구동력은 캠대(60)에서 편심 회전하여 일정한 회전폭을 갖게되어 캠대(60)의 크랭크축(61)은 보스대(5b")의 접동구에 접촉하여 일정폭까지 이동시키고 벗어나 복원되는 인장스프링(65)에 의해 또 하나의 캇터(5")는 좌우 진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면도기의 캇터 구동을 태엽의 복원력으로 하고 이를 기어의 진동 구성으로 전달받아 절삭작용을 일으켜 전원의 충전이나 건전지의 교체 작업이 필요가 없이 취급하기가가 편리하고 구동중에 조절노브를 움직이므로서 회동 또는 좌우 진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태엽 구동식의 본 고안은 취급이 편리할 뿐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특징이 있으며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편한 면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3) 상부에 수개의 절삭날(5a)을 구성한 캇터(5)를 설치하고, 캇턴 상부에 면도망(4)을 씌운 면도기의 몸체(3) 내부에 태엽(20)과 태엽의 구동축(21)을 설치하고, 구동축(21)에 치차(30)(31)(32)(33)(34)(35)(36)를 설치하여 상기의 캇터(5)를 회동시키거나 좌우 진동시켜 면도망(4)과 절삭날(5a)사이에서 면도가 이루어지게 구성한 태엽 구동식 면도기에 있어서 구동축(21)의 상단에 지지판(23)을 삽입한 다음 구동기어(30)를 축착하고, 가속기어(34)에 치차(42a)와 치차홈(42b)를 형성한 제어기어(42)와 스크류홈(43) 및 저항판(44)이 형성된 제어대(41)와 몸체(3)의 노브공(3c)에 끼워진 조절노브(45)로 구성된 제어장치(50)가 치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구동식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동장치(40)와 치합되는 회동축(37) 선단에 캠대(60)를 설치하고, 횡형식캇터(5')(5")에는 장홈이나 인장스프링(65)이 괘지되는 보스대(5b')(5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구동식 면도기.
KR2019860017215U 1986-11-05 1986-11-05 태엽 구동식 면도기 KR900001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15U KR900001972Y1 (ko) 1986-11-05 1986-11-05 태엽 구동식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15U KR900001972Y1 (ko) 1986-11-05 1986-11-05 태엽 구동식 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97U KR880009597U (ko) 1988-07-23
KR900001972Y1 true KR900001972Y1 (ko) 1990-03-12

Family

ID=1925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215U KR900001972Y1 (ko) 1986-11-05 1986-11-05 태엽 구동식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97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7134B1 (en) Electric hair clipper
US4918818A (en) Multi-purpose massage shaver
US4845847A (en) Dry shaver with a slidable trimmer handle
NL8700752A (nl) Oscillerend scheerapparaat.
KR101040920B1 (ko) 다중 날을 구비하는 전동식 회전 면도기
US20040237308A1 (en) Razor
KR900001972Y1 (ko) 태엽 구동식 면도기
US20040255466A1 (en) Shaving device
JP2001276450A (ja) 剃刀装置
US3774302A (en) Power driven grass shear
US6243955B1 (en) Hair clipper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20080607A1 (en) Shaving apparatus
JPS6012512Y2 (ja) 往復動電気かみそり
KR910000071Y1 (ko) 수동식 면도기
GB1479006A (en) Dry-shaver
JP3732862B2 (ja) 電気かみそり
KR880001447Y1 (ko) 수동식 면도기
KR930000163Y1 (ko) 수동식 안전 면도기
CN213197628U (zh) 一种电推剪具有防发功能的刀头调节装置
JP2001149670A (ja) トリマー刃ヘッドとネット刃ヘッドを選択して交換可能な往復式電気かみそり
WO2024048563A1 (ja) 除毛装置の刃および除毛装置の刃を備える除毛装置
KR0121016Y1 (ko) 전기면도기
KR200426464Y1 (ko) 슬림형 전기면도기의 헤드틸팅장치
KR860001506Y1 (ko) 수동식 면도기
KR200211091Y1 (ko) 반자동식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