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28Y1 - 기계식 자동 면도기 - Google Patents

기계식 자동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28Y1
KR200220828Y1 KR2020000018731U KR20000018731U KR200220828Y1 KR 200220828 Y1 KR200220828 Y1 KR 200220828Y1 KR 2020000018731 U KR2020000018731 U KR 2020000018731U KR 20000018731 U KR20000018731 U KR 20000018731U KR 200220828 Y1 KR200220828 Y1 KR 200220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haver
force
flywheel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호
Original Assignee
신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호 filed Critical 신기호
Priority to KR2020000018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28Y1/ko

Links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의 쥐는 힘과 이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날판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면도를 하는 면도기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푸쉬버튼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면서 회전날판의 회전력을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면도성능의 향상과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즉, 면도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마감 케이스 내에 회전 유지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플라이 휠을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고 있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날판에 전달토록 출력 피니언의 대 기어와 플라이 휠 피니언의 양측에 대칭되게 이맞물림 되는 대, 소 피니언을 상, 하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연결축을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자동 면도기{AUTOMATIC RAZOR OF MECHANICAL TYPE}
본 고안은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의 쥐는 힘과 이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날판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면도를 하는 면도기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푸쉬버튼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면서 회전날판의 회전력을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면도성능의 향상과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면도기는 전기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것과 기계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2가지 종류의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종래의 자동 면도기는 AC 전원 방식과, DC 전원 구동 방식을 채택한 2종류가 있고, 이 2 종류에도 모우터의 회전력을 회전날판에 직접 전달시켜 사용하는 회전식과, 모우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이 왕복 운동을 반복 전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왕복날판에 전달시켜 사용하는 왕복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식 자동 면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게 되었다.
즉, 첫째는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전을 사전에 필히 충분히 하여야 함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를 수반하였고,
둘째는 물을 자주 접하는 물품인데 반해 전기식으로 구동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분에 의한 잦은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수반하였으며,
셋째는 충전 능력의 한계에 따라 그 충전량에 비례하는 만큼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항시 충전기를 휴대해야 되는 번거러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자체적인 동력원을 구비하고 있는 상술한 기계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자동 면도기의 개발이 적극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자동 면도기는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일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요부를 절개한 단면도로서, 상부가 개공되어 있고, 전방에는 설치홈(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 내측에는 상부에 나사공(4)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 돌기(6)가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본체(1)와,
상부에 회전날판(16)을 망판 캡(12)을 통해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설치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덮게(10)와,
상기, 본체(1) 내의 연결 돌기(6)에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푸쉬 버튼(22)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랙(24)과 연결을 이뤄 푸쉬 버튼(22)이 눌려질 경우 랙(24)에서 전달되는 직선 운동을 다수개의 피니언을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플라이 휠(26)을 회전시키고, 플라이 휠(26)의 연속적인 회전력에 의해 회전날판(16)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매체 역할 하는 피니언 케이스(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 케이스(20)는 상판(28a)과 중판(28b)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되, 회동력을 회전날판(16)에 전달시켜 줄 수 있는 대, 소 기어(L),(S)를 일체로 구비한 출력 피니언(32)과,
상기, 중판(28b)을 관통하여 상판(28a)과 하판(28c)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되, 회전날판(16)에 회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는 출력 피니언(32)의 소 기어(S)와 대 기어(L)를 통해 이맞물림되어 있고, 소 기어(S)는 중판(28b)과 하판(28c)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는 입력 피니언(36)의 대기어(L)와 이맞물림되어 있는 연결 피니언(34)과,
상기, 연결 피니언(34)의 소 기어(S)와 대 기어(L)를 통해 이맞물림되어 있되, 랙(24)과 소 기어(S)를 통해 이맞물림을 이루고 있으며, 랙(24)이 진입시 상기 연결 피니언(34)과 접동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함은 물론이고, 랙(24)이 후퇴시 상기 연결 피니언(34)과 접동을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입력 피니언(36)과,
상기, 피니언 케이스(20) 내에는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소 피니언(46)은 출력 피니언(32)의 대 기어(L)에 이맞물림되어 있고,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대 피니언(44)은 플라이 휠 피니언(38)에 이맞물림을 이루고 있는 연결축(40)과,
상기, 하판(28c)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되, 하나의 플라이 휠(26)과 플라이 휠 피니언(38)을 일체로 설치 구비하고 있는 회전축(42)의 설치을 이루고 있는 마감 케이스(30)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랙(24) 내측에는 본체(1) 내측과 탄성복원력을 통한 지지를 이뤄 푸쉬 버튼(22)을 항상 전방 일치에 복귀시킬 수 있는 코일 스프링(48)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기계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자동 면도기(1)는 전기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자동 면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전과 같은 사전 준비 작업 없이 바로 사용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분에 의한 고장이 전혀 없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게 되었다.
즉, 첫째로는 회전 날판의 회전이 하나의 플라 휠에 의해서 유지되므로 면도를 이룰 수 있는 회전력의 발생을 순간적으로 밖에는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을 수반하였고,
둘째로는, 그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회전력도 이용 상황에 따라 일정치 않아 균일한 면도를 이룰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으며,
셋째로는 면도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면도를 이루는 회전날판의 회전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버튼을 수회에 걸쳐 지속적으로 눌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 등을 수반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구동 방식을 채택한 자동 면도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전 날판의 회전력이 다수개의 플라이휠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면도기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푸쉬버튼의 조작을 간단히 하면서 그 최소한의 동작으로도 회전날판의 회전력을 장시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구동력의 발생을 이룰 수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면도기의 본체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푸쉬 버튼이 눌리면 푸쉬 버튼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랙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랙과 이맞물림된 입력 피니언의 회전 운동으로 이와 연동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니언이 연동되어 플라이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플라이 휠의 연속적인 회전력으로 면도날이 설치된 회전날판이 회전되어 면도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마감 케이스 내에 회전 유지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플라이 휠을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고 있는 회전축과,
이러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날판에 전달토록 출력 피니언의 대 기어와 플라이 휠 피니언의 양측에 대칭되게 이맞물림 되는 대, 소 피니언을 상, 하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연결축을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일예를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2는 상기 종래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를 조립하여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주요부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도 5는 본 고안의 구동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설치홈
4 :나사공 6 :연결 돌기
10 :덮게 12 :망판 캡
14 :원형 설치부 16 :회전날판
20 :피니언 케이스(PINION CASE) 22 :푸쉬 버튼(PUSH BUTTON)
24 :랙(RACK) 26 :플라이 휠(FLY WHEEL)
28a,28b,28c :상판, 중판, 하판 30 :마감 케이스
32 :출력 피니언 34 :연결 피니언
36 :입력 피니언 38 :플라이 휠 피니언
40a, 40b :연결축 42 :회전축
44 :대 피니언 46 :소 피니언
48 :코일 스프링 50 :샤프트
이하, 본 고안 기계식 자동 면도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기계식 자동 면도기의 요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기계식 자동면도기의 구동부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모든 구성은 상술한 종래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와 거의 동일하나 본 고안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동일한 구성 역시 서술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가 개공되어 있고, 전방에는 설치홈(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 내측에는 상부에 나사공(4)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 돌기(6)가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본체(1)와,
상부에 회전날판(16)을 망판 캡(12)을 통해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설치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덮게(10)와,
상기, 본체(1) 내의 연결 돌기(6)에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푸쉬 버튼(22)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랙(24)과 연결을 이뤄 푸쉬 버튼(22)이 눌려질 경우 랙(24)에서 전달되는 직선 운동을 다수개의 피니언을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플라이 휠(26)을 회전시키고, 플라이 휠(26)의 연속적인 회전력에 의해 회전날판(16)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매체 역할 하는 피니언 케이스(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 케이스(20)는 상판(28a)과 중판(28b)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되, 회동력을 회전날판(16)에 전달시켜 줄 수 있는 대, 소 기어(L),(S)를 일체로 구비한 출력 피니언(32)과,
상기, 중판(28b)을 관통하여 상판(28a)과 하판(28c)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되, 회전날판(16)에 회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는 출력 피니언(32)의 소 기어(S)와 대 기어(L)를 통해 이맞물림되어 있고, 소 기어(S)는 중판(28b)과 하판(28c)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는 입력 피니언(36)의 대기어(L)와 이맞물림되어 있는 연결 피니언(34)과,
상기, 연결 피니언(34)의 소 기어(S)와 대 기어(L)를 통해 이맞물림되어 있되, 랙(24)과 소 기어(S)를 통해 이맞물림을 이루고 있으며, 랙(24)이 진입시 상기 연결 피니언(34)과 접동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함은 물론이고, 랙(24)이 후퇴시 상기 연결 피니언(34)과 접동을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입력 피니언(36)과,
상기, 피니언 케이스(2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소 피니언(46)은 출력 피니언(32)의 대 기어(L)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이맞물림되어 있고,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대 피니언(44)은 플라이 휠 피니언(38)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이맞물림을 이루고 있는 연결축(40a),(40b)과,
상기, 하판(28c)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적어도 두게 이상의 플라이 휠(26)과 플라이 휠 피니언(38)을 일체로 설치 구비하고 있는 회전축(42)의 설치을 이루고 있는 마감 케이스(30)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랙(24) 내측에는 본체(1) 내측과 탄성복원력을 통한 지지를 이뤄 푸쉬 버튼(22)을 항상 전방 일치에 복귀시킬 수 있는 코일 스프링(48)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본체(10)를 권취하여 면도를 가할 부위에 망판 캡(22) 부위를 밀착시킨 후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푸쉬 버튼(32)을 누르면 망판 캡(22) 내에 위치한 회전날판(26)의 회동이 실행되어 면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먼저, 푸쉬 버튼(32)에 밀려 내측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이동하는 랙(34)은 입력 피니언(46)을 연결 피니언(44)에 접동시킴은 물론이고, 직선 운동 에너지를 전달시키고, 직선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은 입력 피니언(46)은 직선 운동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켜 연결 피니언(44)에 전달시킨 후 연결 피니언과(44)의 이맞물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입력 피니언(46)이 연결 피니언과(44)의 이맞물림 상태를 해제한 시점에서 랙(34)은 코일 스프링(5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피니언(44)은 입력 피니언(46)을 통해 전달받은 회전 운동 에너지를 통해 출력 피니언(42)과 연결축(50) 그리고 대,소 피니언(L),(S) 및 플라이 휠 피니언(48)을 순차적으로 연동시켜 회전날판(26)과 플라이 휠(36)의 회동을 이루게 되며, 상기, 회동을 하는 회전날판(26)은 플라이 휠(36)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인 회전을 하게되어 면도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플라이 휠(36)에 의해 회전이 지속되는 회전날판(26)은 하나의 플라이 휠(36)에 의해 회전날판(26)의 회전력을 유지시켜 주었던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 속도는 약 1500 R.P.M의 스피드를 취하지만 그 회전 유지력은 상당히 증가된 형태를 취한다.
즉,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플라이 휠(36)에 의해 발생된 다소 강력해진 회전력을 하나 이상의 연결축(50)을 통해 상기 회전날판(26)과 접동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출력 피니언(42)의 양측으로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전달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비해 상당히 증가된 회전 유지력을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회전 유지력의 증가에 따른 균일한 면도를 이룰 수 있음에 따른 면도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면도시 한 두번 만의 푸쉬 조작만으로도 1회의 면도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날판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증대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면도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마감 케이스 내에 회전 유지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플라이 휠을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고 있는 회전축과, 이러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날판에 전달토록 출력 피니언의 대 기어와 플라이 휠 피니언의 양측에 대칭되게 이맞물림을 이루고 있는 대, 소 피니언을 상, 하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연결축을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하여 주어, 면도시 한 두번 만의 수동 조작만으로도 면도를 이루는 회전날판의 회전력을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동력을 발생되게 함으로써, 면도 성능의 향상과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면도기의 본체(10) 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푸쉬 버턴(32)이 눌리면 푸쉬 버턴(32)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랙(34)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랙(34)과 이맞물림된 입력 피니언(46)의 회전 운동으로 이와 연동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피니언이 연동되어 플라이 휠(36)을 회전시키고, 상기 플라이 휠(36)의 연속 적인 회전력으로 면도날을 착설한 회전날판(26)이 회전되어 면도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마감 케이스(40) 내에 회전 유지력을 증대되게 하는 플라이 휠(36)이 적어도 두개 이상 중첩하여 설치된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날판(26)에 전달토록 출력 피니언(42)의 대 기어(L)와 플라이 휠 피니언(48)의 양측에 대칭되게 이맞물림 되는 대, 소 피니언(54),(56)을 상, 하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연결축(50a),(50b)을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자동 면도기.
KR2020000018731U 2000-06-30 2000-06-30 기계식 자동 면도기 KR200220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1U KR200220828Y1 (ko) 2000-06-30 2000-06-30 기계식 자동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1U KR200220828Y1 (ko) 2000-06-30 2000-06-30 기계식 자동 면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544A Division KR20020002098A (ko) 2000-06-29 2000-06-29 기계식 자동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828Y1 true KR200220828Y1 (ko) 2001-04-16

Family

ID=7308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31U KR200220828Y1 (ko) 2000-06-30 2000-06-30 기계식 자동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398A (en) Shampoo or massage device
EP0552224B1 (en) Oscillating shaver
EP2180983B1 (en) Personal care apparatus
NL8700752A (nl) Oscillerend scheerapparaat.
US20040237308A1 (en) Razor
RU2508981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гиенического уход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KR200220828Y1 (ko) 기계식 자동 면도기
JPS60212188A (ja) ひげ剃りユニツト
CN212072030U (zh) 一种多功能剃须刀
KR20020002098A (ko) 기계식 자동 면도기
US2244321A (en) Shaving clipper
JP2602383B2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JP2007307078A (ja) 携帯用t字型振動カミソリ器
CN218255286U (zh) 剃毛装置
KR200333827Y1 (ko) 수동식 동력전달구조
CN216030962U (zh) 一种复合转动的刀头组件和电动剃须刀
CN217395001U (zh) 储能驱动控制装置及剃须刀
JP3141116B2 (ja)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GB2324060A (en) Clockwork shaver
JP4155369B2 (ja) 水洗式の電気かみそり
JP2576763Y2 (ja) 電気かみそり
KR200211091Y1 (ko) 반자동식 면도기
CN113635357A (zh) 一种复合转动的刀头组件和电动剃须刀
KR0125490Y1 (ko) 전기 면도기
CN2379267Y (zh) 手动刮胡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