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402Y1 -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 Google Patents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402Y1
KR900011402Y1 KR2019880011890U KR880011890U KR900011402Y1 KR 900011402 Y1 KR900011402 Y1 KR 900011402Y1 KR 2019880011890 U KR2019880011890 U KR 2019880011890U KR 880011890 U KR880011890 U KR 880011890U KR 900011402 Y1 KR900011402 Y1 KR 90001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lder
plate
cylind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694U (ko
Inventor
김해영
Original Assignee
성보산업 주식회사
박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산업 주식회사, 박광식 filed Critical 성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1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402Y1/ko
Publication of KR900002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3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movement of moulds or mould parts, e.g. opening or closing, actu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요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횡바를 일부절단한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에 의해 금형이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븐고안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피스톤에 의해 중간금형이 상승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결 종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이동판과 작동간의 연결상태를 확대한 일부절결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결 측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과 중간금형의 분리 회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작동측면도.
제12a도와 제12b도는 걸림편에 의해 금형이 고정되는 상태를 제5도의 "A'부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B-B'선을 절단하여 단속간만을 확대한 단면도.
제14도는 금형과 홀더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일부확대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형프레스본체 E : 상부급형
F : 중앙금형 G : 하부급형
8 : 레일 10 : 금형개폐기
11 : 로울러 13 : 저판
14 : 기판 16 : 중간판
18 : 상판 20 : 수직벽
24 : 내측수직벽 30 : 상부홀더
31, 36 : 레버 32, 37 : 로드
35 : 중간홀더 40 : 하부홀더
47 : 지지관 48 : 스프링
49 : 축봉 50 : 작동간
55 : 프레이트 56 : 단속간
56a : 수직요홈 56b : 안내요홈
60 : 이동판 62 : 작동레버
64 : 회동레버 67 : 스크류
70 : 걸이핀 75 : 고정편
75a : 단속면 76 : 축핀
77 : 압축스프링 800, 81 : 해지편
본 고안은 고무재의 성형가공을 위해 가열압착하는 프레스에 있어서 상, 중, 하로 구분된 각각의 금형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이루워지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각종 산업재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 인력의 낭비없이 모든 동작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항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고무성형 프레스는 그대개가 작업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상, 하 금헝을 들어서 분리한후 성형고자 하는 고무부재를 금형내에 위치시키고, 다시 금형을 정확한 위치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고무부재를 소성변형시키기 위해서는 금형을 고무가 소성변형가능한 온도까지 가열시킨후 프레스로서 압착시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제품으로 소성변형되어 완성된다.
따라서 뜨겁게 가열되어 있는 프레스금형을 압착하기 직전에 분해시키고, 다시 가열압착후 완성된 고무가공제품을 금형에서 이탈시킨 다음 각각의 금형을 정위치에 조립하는 과정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행하는 과정중 부주의로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이러한 금형 분해 조립하는 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워지지 못하고 항시 수시로 작업자가 비숙련자로 교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있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 상기의 작업기피현상이 가중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어 경영자로 하여금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하였으며, 많은 인건비가 투자되어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므로 경영인과 많은 작업인들이 상기 수작업과정을 자동으로 이루워지게 하는 장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인이 선출원된(국내특허출원 제87-4606호와 87-4703호)것을 좀더 자동화하여 수개의 고무성형 프레스를 1대의 기계장치로 신속히 분해 및 조립할수 있도록 하되 특히 강한 압력으로 압착된 3단의 금형을 원활히 분해한 후 고무부재의 고체를 손쉽게하기 위한 위치로 회동시킬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프레스 본체(1)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유압피스톤(2)이 상, 하 작동되어 금형(C)을 상부고정판(3)과 압판(4)사이에서 압착시켜 고무부재(도시없음)를 3단으로 분리되는 상부금형(E), 중앙금형(F), 하부금형(G)의 내부형태에 따라 가공완성품을 가열압착케 된다.
상부고정판(3)과 압판(4)의 내부에는 연설(D)이 배선되어 항시 고무부재가 일정온도로 가열되게 하므로서 소성변형이 가능케 한다.
이러한 3단부리가 되는 금형(C)은 주로 신발류의 밑창을 가공 완성되는데 이용되는 것이고, 상기 성형프레스 본체(1)의 구조는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그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워진다.
따라서 유압피스톤(2)이 1회작동할때 도시한 바와 같이 1대의 성형프레스본체(1)에 놓여진 3개의 금형(C)이 동시에 압착되며 고무성형재품을 완성시킨 후에는 다시 유압피스톤(2)이 후퇴되어 첨부도면 제1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금형(C)이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다.
금형(C)을 이루고 있는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의 선단에는 요홈부(5)(6)가 양측으로 파여지고, 하부금형(G)의 정면부로는 고정공(7')이 횡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7)이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성형프레스 본체(1)는 2-4대가 연접되어 있고 그 전면으로는 지면에 레일(8)이 설치되어져 금형개폐기(10)가 레일(8)의 안내로 성형프레스본체(1)의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케 된다.
금형 개폐기(10)의 일측하단으로는 구동모터(M)가 고정설치되어 체인(9)으로서 로울러(11)의 중심축(12)에 형성된 스프라켓(13)을 치차결합된 상태로 연결하여 구동모터(M)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면, 스프라켓(13')이 체인(9)의 동력전달로서 중심축(12)을 회전시켜 로울러(11)가 레일(8)위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필요로 한 위치까지 좌,우 이동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금형개페기(10)의 중앙내부로는 저판(13)에 제1실린더(P1)가 고정되어 있어 피스톤의 끝면으로 위치된 기판(14)이 상, 하 이동케하고. 저판(13)의 양측으로는 가이드(15)를 수직으로 고정설치하여 기판(14)의 상, 하 이동을 안내케 한다.
그리고 기판(14)의 양측으로는 첨부도면 제7도 내지 제8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2개의 제2실린더(P2)를 기판(14)저면에 설치하여 중간판(16)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 하로 작동가능케 하고, 또한 그 양측으로는 4곳에 또다른 가이드(17)를 기판(14)에 고정설치한후 제3실린더(P3)을 기판(14)에 고정시켜 상판(18)을 상, 하 구동케 할 때 중간판(16)과 상판(18)의 작동을 가이드(17)의 안내로 상, 하 이동을 원활히 이루워지게 하였다.
가이드(15)(17)와 접하는 위치로는 부시(19)를 상간(18)과 중간판(16), 기판(14)에 설치하여 왕복운동의 안내를 부드럽게 한다.
중간판(16)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수직벽(20)이 고정되어 중간판(l6)과 함께 상. 하 작동케 하고, 그 상단에는 중심핀(21)을 중심으로 상부홀더(30)를 회전가능케 유설시킨다.
중심핀(21)에 유설된 상부홀더(30)의 중간위치로는 레버(31)가 위치되어 로드(32)와 연결되고, 로드(32)의 중간절곡부는 수직벽(20)에 핀(22)으로 축설된다.
로드(32)의 하부끝단에는 내측을 향하도록 원형돌기(33)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판(18)에도 중간판(16)과 거의 동일하게 내측수직벽(24)이 양측에 고정되어 그 상부로 중간홀더(35)를 중심핀(25)으로 유설시키고, 레버(36)와 로드(37)가 연결되며, 로드(37)의 중간절곡부는 핀(26)으로 내측수직벽(24)에 축설시킨 상태에서 로드(37)의 외측에는 또다른 원형돌기(38)가 돌출되어 있다.
금형개폐기(10)의 저면과 배면에는 기간(14)에 측벽(39)이 고정설치되어 종방향으로 포스트(45)(46) 가열로 측벽사이에 형성되어져 상부의 포스트(45)는 작동간(50)의 이동을 안내하고, 하부의 포스트(46)는 프레이트(55)의 이동을 안내케 된다.
프레이트(55)의 중심부로는 제4실린더(P4)가 정면의 측벽(39)사이에 고정설치되어져 프레이트(55)를 전,후로 작동케 하고, 프레이트(55)의 양측단의 위치, 즉 수직벽(20)과 내측수직벽(24)사이로 단속간(56)이 고정설치된다.
단속간(56)은 외측으로 수직요홈(56a)이 파여지고, 내측으로도 수직요홈(56a)과 약간 어긋난 위치로 또다른 안내요홈(56b)이 수직으로 길게 파여져 있어 로드(32)(37)의 원형돌기(33)(38)가 수직요홈(56a)과 안내요홈(56b)에 끼워진 채로 전후진 할 때 레버(31)(36)와 로드(32)(37)가 회동케 하므로서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를 첨부도면 제11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회동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의 포스트(45)에 안내되는 작동간(50)은 그 저면 중앙부가 너트간(51)이 형성되어져 후면의 측벽(39)내측의 브라켓트(65)에 의해 고정되는 모터(M')의 동력으로 체인(66)이 구동됨에 따라 스크류(67)가 회전할 때 작동간(50)이 종방향에서 나사진행 방향에 따라 전후진 된다.
작동간(50)의 윗면에는 이동판(60)이 위치되어 수개의 축봉(49)을 지지관(47)내부에 끼워지게 하여 스프링(48)으로 탄력설치시키고 작동간(50)과 이동판(60)의 사이 중앙에는 제5실린더(P5)를 위치시켜 이동판(60)을 상승시키는게 되는데, 제5실린더(P5)는 단식구동방식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시키는 데만 외력을 가하게 하고 복원되는 외력은 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사용하는바, 그 이유는 작동간(50)과 이동판(60)사이의 간격이 좁아 실린더가 왕복작동될 수 있는 작동길이가 불충분하므로 일측작동 실린더를 이용하여 에어 또는 유압으로 제5실린더(P5)의 피스톤이 상승시켜 이동판(60)을 상승이동한후 복원시킬 때는 유압 또는 에어압을 제거하여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67)가 회전되며 작동간(50)을 이동시키면 축봉(49)과 지지관(47)이 조립연결되어져 있으므로 이동판(60)은 함께 전후진 이동된다.
이동판(60)의 상부로는 첨부도면 제9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61)이 조립되어져 작동레버(62)의 중심부를 유설시키고, 작동레버(62)의 좌측으로는 안내핀(63)이 끼워지며 우측단에는 또다른 중심축(61')이 ""형으로 절곡되어진 회동레버(64)의 중심부를 유설시켜 작동레버(62)와 회동레버(64)를 연동되게 한다.
그리고, 회동레버(64)의 좌측으로 걸이판(70)이 상부로 노출되게 조립되어지고, 우측단에는 원형볼트(71)가 너트(72)에 의해 체결된 채로 원형볼트(71)의 머리부가 이동판(60)에 횡으로 길게 뚫어진 장공(60')에 위치되어 회동레버(64)가 작동될때 장공(60')을 따라 좌, 우로 이동가능케 되어 있다.
정면과 배면으로 위치된 측벽(39)의 양측에는 하부홀더(40)가 종방향으로 길게 고정설치되어져 있게 한다.
상, 중, 하로 구분된 각각의 금형(E)(F)(G)의 정면형상은 상부금형(E)의 좌측단 형상이 "" 형으로 되고, 중앙금형(F)의 좌측단 형상 또한 ""형으로, 또한 하부금형(G)의 좌측단 형상이 비교적 중앙금형(F)의 약간 내측면으로 "" 형으로 되어져 있으므로 "" 형으로 된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 그리고 그 내측 하부에 위치된 하부홀더(40)에 첨부도면 제14에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끼워질수 있도록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형프레스 본체(1)의 유압피스톤(2)이 작동되어 고무제품을 성형하고 다시 유압피스톤(2)이 원위치되면 첨부도면 제3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대의 성형프레스 본체(1)중 그 작업이 끝난 성형프레스 본체(1)의 정면으로 금형개폐기(10)가 위치이동된다.
금형개폐기(10)의 이동은 구동모터(M)에 의해 로울러(11)가 회전되며 레일(8)의 안내로 정확한 위치에서 좌, 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자동콘트롤박스(도시없음)에 이미 설정된 작업완료시간에 맞춰 전기적 신호가 구동모터(M)에 인가되면 금형개폐기(10)가 이동된후 다시 정지되는 것이다.
고무제품을 성형한후 복귀된 다음에는 각각의 금형(C)이 첨부도면 제1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위치되므로 금형개폐기(10)의 길이핀(70)이 3단으로된 금형(C)중에 최하단에 위치된 금형(C)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걸이핀(70)은 하부금형(G)에서 전면으로 노출된 고정편(7)의 고정공(7')하부에 위치되어져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제5실린더(P5)가 상승되게 작동되면 걸이핀(7)이 고정공(7')에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이동판(60)위로 설치된 회동레버(64)의 걸이핀(70)과 하부금형(G)이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자동콘트롤박스에서 보내여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터(N')가 회전되면 체인(66)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면 스크류(67)를 일정속도로 회동케하여 너트간(51)의 나사결합 진행방향으로 작동간(50)을 첨부도면 제5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실선의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은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동판(60)이 제5실린더(P5)에 의해 작동간(50)에서부터 일정거리 상승되면 축봉(49)이 스프링(48)을 압축한 상태로 작동간(50)과 이동판(60)을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작동간(50)의 이동과 동시 이동판(60)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또한 이동판(60)윗면으로 위치되어져 있는 작동레버(62)와 회동레버(64)가 하부금형(G)을 고정시킨 상태로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레버(62)의 좌축단에 조립되어져 있는 안내핀(63)은 측벽(39)에 종방향으로 고정설치되었던 가이드판(69)의 안내공(69')에 항시 끼워져 있게 되는데, 안내공(69')을 따라 안내핀(63)이 이동되며 "" 형으로된 캠절곡부(69a)의 위치에서 점차 안내핀(63)이 캠절곡부(69a)에 의해 좌측외부로 그위치를 바꿀 때 이동판(60)의 중심에 축설되어 있던 중심축(61)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2)가 서서히 회동되며 회동레버(64)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된다.
이같이 첨부도면 제5도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작동레버(62)와 회동레버(64)가 "" 형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캠절곡부(69a)를 경유하며 상호 수평으로 겹치게 되고 다시 역으로 첨부도면 제6도에서 가상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 형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거치며 작동간(50)과 이동판(60)의 이동범위보다 더 큰 거리로 금형(C)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간(60)에 횡으로 뚫어진 장공(60')은 원형볼트(71)가 회동레버(64)의 위치변형으로 좌,우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금형(C)을 이동시키게 되면 첨부도면 제1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상,중,하 각각의 금형(E)(F)(G)이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 그리고 하부홀더(40)의 파여진 홈을 따라 이동된후 정지되고, 이동판(60)을 상승시키고 있던 제5실린더(P5)가 작동을 정지하여 외력을 제거하는 순간 이동판(60)의 자중과 축봉(49)의 외주변에 지지관 사이로 탄력지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8)의 탄력으로 이동판(60)이 하강되어 원위치되는 순간 고정공(7')에서 걸이핀(70)이 분리되어 금형(G)과 이동판(60)과는 무관한 상태로 되는 것이며, 이 상태는 작동간(50)과 함께 이동간(60)을 이동시켰던 스크류(67)가 금형(C)을 완전히 이동지킨후에 모터(M')의 전원차단으로 회동정지함에 따라 이동작업을 정지하고 있게 된다.
각각의 홀더를 따라 이동된 금형(C)은 압착된 상태이므로 이를 각각 분리하기 위해 기판(14)의 저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2실린더(P2)가 에어압(또는 유압)으로 전진작동되어 그 선단이 중간판(16)을 상승하게 외력을 가하므로서 가이드(17)의 안내로 중간판(16)과 그 양측에 고정설치된 수직벽(20)이 첨부도면 제7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홀더(30)와 함께 상승되고, 동시에 레버(31)와 로드(32)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부홀더(30)는 상부금헝(E)의 양측 돌출부를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부홀더(30)가 상승될 때 상부금형(E)이 중앙금형(F)에서부터 먼저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이며 중앙금형(F)은 중간홀더(35)가 내측 수직벽(24)과 함께 아직 정위치에 있게됨에 따라 상부금형(E)만이 우선 상승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프레이트(55)의 양측단으로 고정되어 수직벽(20)과 내측수직벽(24)사이에 위치되었던 단속간(56)의 수직요홈(56a)으로 로드(32)가 상승될 때 원형돌기(33)가 상승되며 조립된다.
그리고 기판(14)의 상부로 중간판(16)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판(l8)의 저면에 위치되었던 제3실린더(P3)가 작동되어 상판(l8)을 상승시키면, 상판(18)의 양측에 고정설치되었던 내측수직벽(24)과 그 상단에 유설되어 있던 중간홀더(35)가 상승되는데, 이때는 하부금형(G)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홀더(40)의 지지에 의해 정위치에 있게 됨에 따라 중간홀더(35)가 상승할 때 중앙금형(F)이 하부금형(G)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중,하 각각의 금형(E)(F)(G)이 분리하는 작업을 끝내게 된다.
이때 또한 중간홀더(35)의 중간하부에 연결된 레버(36)와 로드(37)가 함께 상승되며 첨부도면 제9도에서 가상선의 상태에서 실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은 상태로 단속간(56)의 안내요홈(56b)으로 원형돌기(38)가 조립되는 것이다.
각각의 금형을 분리시킨 다음에는 프레이트(55)와 정면측벽(39)사이에 위치되었던 제4실린더(P4)가 자동콘트롤 박스의 신호에 작동되면 제4실린더(P4)가 피스톤을 당겨져 있던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진되게 구동하므로 포스트(46)의 안내로 프레이트(55)와 단속간(56)이 첨부도면 제10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전진이동하며 단속간(56)의 양측에서 수직요홈(56a)과 안내요홈(56b)에 조립되어진 원형돌기(33)(38)가 위치이동되는 결과로 레버(31)(36)는 수직벽(20)과 내측수직벽(24)에 핀(22)(26)으로 유설되어 있어 첨부도면 제10도에서 가상선으로 표현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회전되고, 레버(31)(36)에 연결되있던 로드(32)(37)가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는 수직벽(20)과 내측수직벽(24)에 중심핀(21)(25)으로 유실되어 정위치에 있게 되고 중간부에 유실연결된 레버(31)(36)가 로드(32)(37)와 함께 회전이동되며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이 함께 개폐되어 회전된후 작업자는 완성된 고무제품을 제거하고 새로운 고무부재를 공급하는 작동만을 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중앙금형(F)과 상부금형(E)이 수평에서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위치전환됨에 따라 금형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되는데, 이때는 첨부도면 제12b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의 양측단에 동일구조로된 고정편(75)이 압축스프링(77)의 탄력으로 항시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의 양측에 파여진 요홈부(5)(6)를 단속면(75a)이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이 회동되더라도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이 원위치될 때는 제4실린더(P4)가 다시 복귀되며 로드(32)(37)와 레버(31)(36)를 원위치시킬 때 첨부도면 제9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고, 이때는 브라켓트(79)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 형의 해지편(80)(81)이 작동공(30')(35')에 끼워지게 되므로 고정편(75)의 축핀(76)하부우측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로서 고정편(75)은 첨부도면 제12a도에서 이동한후 개폐동작을 완료하여 복귀시킨다음 다시 첨부도면 제1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의 금형(C)위치로 제1실린더(P1)가 또 상승되어 최상단의 금형(C)개폐를 위한 동일작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1대의 성형프레스 본체(1)에서 가공되는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3개의 금형(C)을 개폐하여 고무재품을 교체하는 과정을 할 때 타측에는 또다른 성형프레스 본체(1)에서 유압피스톤(2)이 금형을 가열압착하는 작동을 하여 완제품과 새로운 고무부재의 교체작업이 완전히 끝난다음에는 가열압착가공이 끝난 성형프레스 본체(1)의 위치로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서 레일(8)을 따라 로울러(11)가 회동되며 금형개폐기(10)가 이동된후 정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와 같은 금형(C)의 개폐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자시스템에 의한 자동콘트롤 박스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제1실린더(P1)와 제2실린더(P2), 제3, 제4, 제5실린더(P3)(P4)(P5)의 피스톤 왕복시기를 조절하고 주동모터(M)와 모터(M')의 회동시기를 자동콘트롤 하여 무겁고 뜨거운 금형을 예시한 바와 같이 단속면(75a)이 요홈부(5)(6)로부터 분리되어 압축스프링(77)을 압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부금형(E)과 하부금형(G)이 이동될 때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어서 제2, 제3실린더(P2)(P4)가 복원되며 수직벽(20)과 내측수직벽(24)을 로드(32)(37)와 레버(31)(36)가 동시에 원위치하고, 원형돌기(33)(38) 또한 수직요홈(56a)이 안내요홈(56b)에서 분해되는 복귀동작을 마치면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이 하부금형(G)과 재조립하고 제5실린더(P5)가 다시 작동되어 걸이핀(70)이고 정공(7')에 끼워지게 상승된다음 모터(M')의 구동으로 스크류(67)를 회전시키면 이동판(60)과 작동간(50)이 전기한 바와 역순으로서 작동레버(62)와 회동레버(64)가 회전되며 작동간(50), 이동판(60)이 원위치됨과 동시조립되어진 금형(C)을 성형프레스 본체(1)내의 정위치로 옮기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개단위의 금형(C) 개폐로 제품과 새로운 고무부재를 교환한 다음에는 그 윗단에 위치된 금형(C)을 개폐하기 위해 저판(13)에 고정되어 있는 제1실린더(P1)가 기판(14)을 상승토록하면 기판(14)과 그위에 형성된 중간판(16) 및 상판(18), 프레이트(55), 작동간(50), 이동판(60), 하부홀더(40), 중간홀더(35), 상부홀더(30)등 모든 기구가 일체로 이동되며 2번째의 금형(C)위치로 상승된 후 정지되어 앞에서 밝혀지는 바와 같은 작동으로 금형(C)을 작업자의 노력없이 이동시키고 개폐하는 동작이 기계적 구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워지므로 작업자 단지 완제품과 새로운 고무부재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행하면 여러대의 성형프레스 본체(1)를 왕복해가며 반복작동되어 신속하고 정확히 금형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강하게 압착되어 있는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 그리고 하부금형(G)을 순차적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직선방향으로 분해시켜 위치를 회전시킬 때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원활히 작동케한 후 다시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만을 작업자가 교체작업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로 자동위치전환 하므로서 작업자에게 편안한 자세에서 완성된 제품은 분리하고 새로운 고무제품을 장입하여 교체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적합한 작업상태를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제2실린더(P2)의 상승으로 수직벽(20)의 상단일측에 중심핀(21)에 유설된 상부홀더(30)를 상부금형(E)과 함께 일정거리 상승케 하고 이어서 제3실린더(P3)가 상판(l8)과 내측수직벽(24)을 중심핀(25)으로 유설된 중간홀더(35)와 중앙금형(F)을 동시에 상승시켜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 그리고 하부금형(G)을 각각 분리시킨후 제4실린더(P4)가 프레이트(55)와 단속간(56)을 종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킬 때 로드(32)(37)의 원형돌기(33)(38)가 수직요홈(56a)과 안내요홈(56b)에 조립된 상태로 이동되며 레버(31)(36)가 상부홀더(30)와 중간홀더(35)를 회전케 하므로 이에 지지된 상부금형(E)과 중앙금형(F)이 개방될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프레스금형의 자동 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KR2019880011890U 1988-07-23 1988-07-23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KR900011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890U KR900011402Y1 (ko) 1988-07-23 1988-07-23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890U KR900011402Y1 (ko) 1988-07-23 1988-07-23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94U KR900002694U (ko) 1990-02-06
KR900011402Y1 true KR900011402Y1 (ko) 1990-12-28

Family

ID=1927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890U KR900011402Y1 (ko) 1988-07-23 1988-07-23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4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94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402091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s
EP1156916B1 (en) Compact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900011402Y1 (ko) 고무프레스 금형의 자동개폐기용 홀더회동장치
KR910000058B1 (ko) 고무성형 프레스금형의 자동개폐장치
KR900011404Y1 (ko) 고무프레스금형 자동개폐기의 금형낙하 방지장치
KR900011403Y1 (ko) 고무프레스금형 자동개폐기의 금형이송장치
KR910000040B1 (ko) 금형개폐기를 이용한 고무프레스금형 개폐방법
KR910002494Y1 (ko) 고무프레스 금형 자동 개폐기의 금형 이송장치
CN214163991U (zh) 一种摆杆退弯管模具机构
KR910002495Y1 (ko) 고무프레스 금형 자동개폐기의 중앙금형 유동방지장치
CN210389998U (zh) 一种板材注塑模具
CN2199826Y (zh) 橡胶胀形法金属波纹管成型机构
DE157916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Effnen von Vulkanisierformen an Kautschuk-Spritzmaschinen
CN220995276U (en) Multi-station rubber shoe mold opening structure
CN206416421U (zh) 一种组合型立式注塑模
CN215396485U (zh) 一种可调机构的注塑模具模型
CN209794597U (zh) 一种玻璃包边模具适应移模压机的自动上料机构
CN219292653U (zh) 一种钣金件挤压成型模具
CN215791410U (zh) 高硬度耐磨环保塑料垃圾桶模具
CN220239876U (zh) 钢板冲压接料器
CN220659196U (zh) 一种金属铸件生产模具的开合机构
CN212400065U (zh) 一种便于脱模的装饰板模具
CN220216455U (zh) 一种便于清理废料的汽车冲压模具
CN219052652U (zh) 一种电子元器件加工模具
CN216182001U (zh) 一种洗衣机排水管生产用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