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483Y1 - 팰리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팰리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483Y1
KR900010483Y1 KR2019880018671U KR880018671U KR900010483Y1 KR 900010483 Y1 KR900010483 Y1 KR 900010483Y1 KR 2019880018671 U KR2019880018671 U KR 2019880018671U KR 880018671 U KR880018671 U KR 880018671U KR 900010483 Y1 KR900010483 Y1 KR 900010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drive
chain
fixed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816U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8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483Y1/ko
Publication of KR900009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02Driving working spindles
    • B23Q2705/04Driving working spindles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팰리트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팰리트가 설치된 상태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2' : 유압실린더
3, 3' : 랙크 4, 4' : 피니언
5, 5' : 피니언축 6 : 구동스프로켓
7 : 피동스프로켓 축 8 : 피동스프로켓
9 : 체인 10 : 롤러
11 : 훅크 12, 13 : 도그
14, 15 : 리미트스위치 16 : 가이드레일
17 : 롤러 18 : 가이드플레이트
19 : 스페이서 20 : 드라이브블록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 있어서 팰리트를 교환하기 위한 팰리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체인을 구동시켜 팰리트를 테이블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린더의 스트로우크(stroke)의 끝을 팰리트의 구동스토퍼로 이용하는 팰리트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시닝 센터에 의한 기계가공에 있어서는 공작물이 고정된 팰리트를 순차적으로 가공지역에 공급 및 교환함으로서 연속적인 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같은 연속적인 가공작업을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팰리트 교환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머시닝센터에 있어서 자동팰리트 교환장치의 팰리트 구동장치는 구동동력을 브레이크가 설치된 전기모터로 부터 얻기 때문에 그 동력의 감속을 위해서는 기어박스를 설치해야되며 그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었다.
다른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팰리트의 교환을 위한 구동 동력을 유압모터로 부터 얻은 경우가 있었으며 이 경우 모터의 파워나 속도는 좋으나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팰리트를 일정한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인 유압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팰리트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실린더의 스트로우크의 끝을 팰리트의 구동 스토퍼로 이용할 수 있게하며, 또한 스프로켓과 체인을 이용한 동력전달 구간을 넓히기 위해 스프로켓의 축간거리 전체를 동력전달 구간에 포함되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팰리트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인 기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유압실린더와, 각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랙크와, 상기 랙크에 맞물려 구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축에 고정된 한쌍의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쌍의 피동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에 연결된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고정되고 롤러를 가지는 훅크와, 상기 체인에 고정된 도그와, 상기 도그와 접촉될수 있고 기대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와, 팰리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팰리트 구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팰리트(P)가 기대(1)에 설치된 상태와 설치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기대(1)의 하부에 설치된 일부의 실린더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기대(1)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2),(2')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제1도 및 제2도). 상기 실린더(2),(2')의 피스톤 로드에서는 랙크(3),(3')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랙크(3),(3')에는 피니언(4),(4')이 결합되어 랙크(3),(3')의 좌우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피니언(4),(4')의 축(5),(5')에는 각 구동스프로켓(6)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4')의 축(5')에는 실제로 구동스프로켓이 고정되어 있으나 피니언(4)의 축(5)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켓(6)과 동일하므로 제1도에서 생략되어 있으며, 랙크(3),(3')에 의해서 구동이 되는 팰리트 구동장치는 상호 대응하여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측에 설치된 팰리트 구동장치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6)의 타측에는 축(7)에 피동스프로켓(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6),(8)에는 체인(9)을 설치하여 구동스프로켓(6)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체인(9)에는 롤러(10)가 설치된 훅크(1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인(9)에는 도그(12),(13)를 설치하여 기대(1)상에 고정된 리미트스위치(14),(15)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대(1)상에는 브라켓트를 개재하여 팰리트(P)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6)이 상기 체인(9)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6)에는 팰리트(P)를 지지하는 롤러(17)가 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팰리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18)가 고정되어 있다.
팰리트(P)에는 스페이서(19)를 개재하여 드라이브블록(2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브블록(20)은 요홈(21)을 형성하여 훅크(11)에 설치된 롤러(10)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19)는 팰리트(P)와 드라이브블록(20)사이에 설치되어 팰리트(P)의 위치조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대(1)상에 팰리트(P)가 가이드레일(16)의 롤러(17)와 가이드플레이트(18)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되면 일측의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킨다. 유압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전진함에 따라서 랙크(3)가 전진하게 되어 피니언(4)이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4)의 회전에 따라 구동스프로켓(6)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체인(9)이 구동되고 피동스프로켓(8)이 회전하게 된다. 체인(9)의 구동이 시작되면 훅크(11)에 설치된 롤러(10)가 팰리트(P)의 드라이브블록(20)에 형성된 요홈(21)에 끼워지게 되고, 계속해서 체인(9)의 회전에 따라 팰리트(P)는 가이드레일(16)의 롤러(17)와 가이드플레이트(18)를 따라서 테이블(도시되어 있지않음)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유압실린더(2)의 피스톤로드가 최대로 전진하여 종단위치에 오게되면 유압실린더(2)의 구동은 정지하게되고 체인(9)에 고정된 훅크(11)는 테이블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기대상에서 이동되는 팰리트는 테이블로 이동하여 설치된다. 이경우 체인(9)의 이동범위는 유압실린더(2)에 의해서 이동되는 랙크(3)의 이동범위에 의존하게 되며, 랙크(3)의 최종 전후진위치는 유압실린더(2)의 최대 이동거리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즉, 유압실린더(2)의 구동에 의한 랙크(3)의 최대전진 위치에서 체인(9)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체인(9)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된다.
체인(9)의 구동이 시작되기 전에는 체인(9)에 고정된 도그(12)가 리미트스위치(14)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 경우 기대(1)상에 팰리트(P)가 비어 있음을 알려주게 되어 팰리트(P)의 공급을 지령하게 되며, 체인(9)이 계속 구동되어 도그(13)가 리미트스위치(15)에 접촉하게 되면 팰리트(P)가 테이블로 이동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적재한 팰리트는 타측의 체인구동장치에 의해서 즉, 유압실린더(2')의 구동에 의해서 테이블로 부터 기대(1)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타측의 체인구동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동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의 팰리트를 이동시키고자 할때에는 유압실린더(2)를 후퇴시켜 체인(9)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기계가공 동안 대기상태에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체인을 구동시켜서 팰리트를 이송하도록 하며 또한, 유압실린더의 스트로우크의 끝을 체인 구동의 정지위치가 되도록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스토퍼를 장착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산업상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기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각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랙크와, 상기 각 랙크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과, 상기 각 피니언의 축에 고정된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각 구동스프로켓에 대향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켓과, 상기 각 구동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에 결합되어 있는 체인과, 상기 각 체인에 고정되고 롤러를 가지는 훅크와, 팰리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기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리트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롤러와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리트 구동장치.
  3. 제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에는 2개의 도그를 고정하여 기대에 설치된 각 리미트스위치와 상호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리트 구동장치.
KR2019880018671U 1988-11-16 1988-11-16 팰리트 구동장치 KR900010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671U KR900010483Y1 (ko) 1988-11-16 1988-11-16 팰리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671U KR900010483Y1 (ko) 1988-11-16 1988-11-16 팰리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816U KR900009816U (ko) 1990-06-01
KR900010483Y1 true KR900010483Y1 (ko) 1990-11-19

Family

ID=1928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671U KR900010483Y1 (ko) 1988-11-16 1988-11-16 팰리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4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730B1 (ko) * 2000-07-13 2003-03-19 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공작물 유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816U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730A (en) Press line with workpiece feeding device
US4968214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a molded product
US6679369B2 (en) Machine tool and associated pallet changer
KR900005908B1 (ko) 트랜스퍼프레스용 피이드바아를 클램프 및 언클램프하는 장치
EP0356216B1 (en) Automatic pallet changer
EP0807482B1 (en) Combination tool changer and storage device for die cutter
KR950007235B1 (ko) 공작기계의 팰릿교환장치
US5370212A (en) Automatic pallet changer method and apparatus
KR900010483Y1 (ko) 팰리트 구동장치
KR950008320A (ko) 자동 반송장치
US5189774A (en) Automatic pallet switching mechanism
CN215698376U (zh) 一种用于农机配件加工用切割机的滑动机构
CN218015351U (zh) 一种冲压线零件自动翻转机构
KR950006349Y1 (ko) 자동팰리트 교환장치
SU13067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в пильные станки
JPH0711871Y2 (ja) 自動パレット交換装置
KR900008419B1 (ko) 갱헤드(gang head)의 자동교환장치
KR100246302B1 (ko) 공작기계의 팔렛트 교환장치
JPH0312418Y2 (ko)
KR900010484Y1 (ko) 머시닝 센터의 링크식 파렛트 교환장치
SU1632888A1 (ru) Шаговый конвейер
KR960004197B1 (ko) 공작기계의 파레트 교환장치
KR870002070B1 (ko)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의 팔레트(pallet) 교환장치
JPH0318435A (ja) トランスファー装置
JPS6040343B2 (ja) パレツトチエンジ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