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233Y1 -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233Y1
KR900010233Y1 KR2019870020945U KR870020945U KR900010233Y1 KR 900010233 Y1 KR900010233 Y1 KR 900010233Y1 KR 2019870020945 U KR2019870020945 U KR 2019870020945U KR 870020945 U KR870020945 U KR 870020945U KR 900010233 Y1 KR900010233 Y1 KR 900010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lens
lens support
optic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299U (ko
Inventor
강현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0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233Y1/ko
Publication of KR890011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제1도는 통상 복사기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광학계 유니트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 광학계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5도는 렌즈지지판의 위치 조절작용을 보인 부분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르는 광학계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7도는 렌즈지지판의 위치 조절작용을 보인 부분단면도.
제8도는 렌즈지지판의 위치 조절용 치구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5, 6 : 제4, 5, 6반사경 9' : 렌즈부
20 : 광학계 유니트 21 : 광학계 프레임
21a : 바닥판 21j : 돌출부
21k : 큰 원형공 51 : 렌즈지지판
51a : 플랜지 51b : 부착공
51c : 장공 51d : 원형공
본 고안은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계 유니트를 해상력, 배율, 광축편심등의 요구되는 성능에 맞도록 정확하고 간단용이하게 조정하고 부품제작 및 조립의 치수공차를 완화할 수 있게한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사기는 제1도와 같이 할로겐광원(7)에서 원고대(8)에 빛을 조여 원고에 형성된 화상을 제1-제3반사경(1)(2)(3), 렌즈(9) 및 제4-제6반사경(4)(5)(6)을 통해 대전기(10)에서 고압의 DC전압이 인가되어 수백 Volt의 표면전위를 가지는 감광드럼(11)에 광화상으로 조사하면 감광드럼(11)의 광전특성에 의하여 화상이외의 부분은 감광드럼(11)의 표면 전위가 방전되어 제거되고 화상부분에는 반사된 빛이 거의 없이 일정한 펴면전위를 유지하여 정전감상을 형성하고 현상기(12)에서 미세분말의 가시화상을 전사시키고 정착틀(13)에서 열로 녹혀 가시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고 배지롤(14)을 통해 복사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복사기에 있어서 렌즈(9) 및 제4- 제6 반사경(4)(5)(6)을 보유하는 광학계 유니트(20)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1a)에 양측판(21b)이 상향 절곡형성된 "ㄷ"자 찬넬형 광학프레임(21)의 바닥판(21a)에서 지지판(21c)이 상향 절곡형성되고 그 지지판(21c)의 중간부에는 원형 고정공(21d)에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렌즈(9)를 암나사공(22a)에 설정된 위치로 나사맞춤하고 육각나사(23)로 체결고정한 렌즈지지구(22)가 상기 고정공(21d)에 삽입되어 고정나사(24)로 체결되어 있으며 양측판(21b)에 형성된 홈에 제4- 제6반사경(4)(5)(6)의 양단부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광학계 유니트(20)를 복사기 본체에 조립하는 작업은 본 고안과 동일하므로 제4도를 참조하여 조립작업을 설명하면 본체 내부의 전후 프레임(31)(32)의 양측부에 지지샤프트(33)(34)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고정나사(35)로 체결하고, 광학 유니트(20)의 선단부를 비스듬히 기울려서 광학프레임(21)의 바닥판(21a)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핀(21e)(21f)이 지지샤프트(33) 아래에서 그 지지샤프트(33)의 양측에 육각나사(36)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링(37)(38)사이로 삽입되게 하고 광학프레임(21)의 양측접촉부(21g)가 지지샤프트(34)의 외주면 상측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동시에 광학프레임(21)의 양측판(21b) 선단돌부(21h)가 지지샤프트(33)의 외주면 상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돌출핀(21e)을 고정링(37)에 밀착되고 돌출핀(21f)은 고정링(38)과 약간의 틈새를 유지한 상태로 광학 유니트(20)의 수평이 유지되고 전후 좌우위치가 설정되어 본체에 취부된다. 또한 광학 유니트(20)가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프레임(21)의 선단부 하면 중간부에 고정스프링(39)을 고정나사(40)로 고정하여 고정스프링(39)의 외팔보 형태의 반형저항 탄성력에 의해 광학프레임(21)의 선단돌부(21h)하면을 지지샤프트(33)의 외주면 상측부에 밀착시키고 광학프레임(21)의 접촉부(21g)측은 지지샤프트(34)의 외주면에 고정스프링(41)의 일단을 걸고 타단을 광학프레임(21)의 양측판(21b)에 형성한 고정홈(21i)에 걸어서 지지샤프트(33)의 외주면 상측부에 밀착되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 복사기의 광학계 유니트(20)는 광학프레임(21)에 렌즈(9)를 렌즈지지구(22)를 직접 고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렌즈(9)가 요구되는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려면 광학프레임(21)의 지지판(21c)이 매우 정밀한 직각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9)를 회전시켜 좌우방향 위치를 맞추도록 되어 있으나 그 조정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좌우방향 위치는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광학계 유니트(20)는 조립후에는 조정이 용이하지 않아 부품의 제작단계에서 매우 엄격한 치수관리가 요구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학계 유니트의 부품정도를 완하여 용이하게 하고 제작단계에서 다소 오차가 있는 부품이라 할지라도 조립시 간단용이하게 조정하여 요구되는 성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자형 렌즈지지판(51)을 마련하고 중앙에 포밍하여 플랜지(51a)를 갖는 부착공(51b)을 형성하고 렌즈부(9')를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여 렌즈부(9')의 단턱(9'a)이 플랜지(51a)에 맞부딪혀 삽입되는 정도에 한계를 정하고 완전 삽입되면 렌즈지지판(51)의 부착공(51b) 내주면과 렌즈면(9')의 외주면 틈새에 강력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고정 하였으며, 렌즈지지판(51)의 하면에 고정나사(52) 체결을 위한 장공(51c)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광학프레임(21)의 렌즈지지판(51)이 맞닿는 부분에는 수평도 유지를 위하여 위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부(21j)를 엠보싱하여 그 돌출부(21j)만이 렌즈지지판(51)의 장공(51c) 부분과 맞닿게 하였다.
그리고, 렌즈지지판(51)을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렌즈지지판(51)에 원형공(51d)을 형성함과 아울러 광학프레임(21)의 바닥판(21a)에도 조정범위 만큼 보다 큰 원형공(21k)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렌즈부(9')를 렌즈지지판(51)에 간단히 체결한 다음 그 렌즈지지판(51)을 광학계유니트(20)의 프레임(21)에 체결하면서 렌즈지지판(51)을 좌우, 전후(제5도 및 제6도 기준)로 이동시켜 장공(51c)의 고정위치를 맞춘후에 고정나사(52)를 체결하여, 렌즈지지판(51)을 이동시킬 때에는 렌즈지지판(51)과 광학프레임(21)에 연통되게 형성한 원형공(51d)(21k)을 이용하여 조정치공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킨다.
이러한 광학계 유니트의 조립 작업을 설명하면 본체 내부의 프레임(31)(32)을 고정한 다음 이것에 지지샤프트(33)(34)를 고정한 후 조정치공구 상에서 해상력, 배율, 집광편차 및 광측편차 챠트가 부착된 투명판을 조정치공구 상에서 제6반사경(6)쪽을 지나 설치하고 제6, 5, 4 반사경 및 렌즈부(6),(5),(4),(9')를 통해 반시되고 투과되어 렌즈부(9')의 반대쪽에 광축선(ℓ)의 진행방향에 직각인 조정치공구상의 면상에 설치된 투명판에 재현되게 하고 재현된 화상챠트가 요구되는 해상력, 배율, 집광오차, 광축편차 범위에 맞도록 고정치공구의 핀을 렌즈지지판(51)의 양측 원형공(51d)에 삽입하여 조정치공구에 세팅 고정된 광학 프레임(21)을 기준으로 하여 렌즈지지판(51)의 위치를 광축방향인 좌우방향, 광축방향에 직각인 전후방향으로 조정치공구 상에서 재현되는 화상챠트를 보면서 핸들을 돌려 이동시켜 맞춘다.
여기서, 렌즈지지판(51)의 위치 조절작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 및 제8도에는 렌즈지지판(5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치공구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조정치공구(60)는 베이스판(61)에 축(62)이 고정되고, 축(62)에는 회동판(6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회동판(63)위에는 핀지지판(64)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핀지지판(64)의 상면에는 한 쌍의 핀(65)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정치공구(60)로 렌즈지지판(51)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고정나사(52)를 약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조정치공구(60)의 핀(65)을 제5도 및 제7도와 같이 광학프레임(21)의 바닥판(21a)에 형성된 큰 원형공(21k)을 통하여 렌즈지지판(51)에 형성한 작은 원형공(51d)에 삽입하고, 조정치공구(60)의 핀지지판(64)을 밀어 좌우로 이동시키면 핀(65)이 좌우로 이동하여 렌즈지지판(51)이 제5도에 회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며 회동판(63)을 축(6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회동판(63), 핀지지판(64) 및 핀(65)이 함께 회동하고 이에 따라 렌즈지지판(51)이 축(62)을 기준으로 제5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지지판(51)의 위치를 화상상태를 보면서 조정치공구(60)상에서 최적위치로 잡고 렌즈지지판(51)의 큰 원형공(21k) 및 장공(51c)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광학 프레임(21)의 렌즈(9') 취부를 위한 직각 벤딩각도, 벤딩면상의 렌즈지지구(22)의 체결공(22a) 치수공차를 완화시키고, 또한 부품치수 공차가 요구하는 범위에서 약간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광학유니트를 성능확인 및 조정장치인 조정치공구상에 장착하여 렌즈부(9')가 고정되어 있는 렌즈지지판(51)의 위치를 좌우전후로 이동시켜 요구하는 성능이 유지되는 곳을 찾아내어 조정세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우 초점거리 조정을 위해 종래에는 렌즈(9)를 손으로 직접 회전시키면서 이동시켰으나, 본 고안은 렌즈지지판(51)의 원형공(51d)에 조정치 공구의 핀을 삽입하고 눈금이 묻어있는 핸들에 의해 정량적이고 기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조정 및 간편한 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복사기를 적절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팩시밀리, 레이저 빔 프린터들의 광학장치에도 적용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기재된 조정치공구 자체의 구성은 본원고안이 권리로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은 아니다.

Claims (1)

  1. 렌즈부(9') 및 제4, 5, 6반사경(4)(5)(6)을 보유하는 광학계 유니트(20)가 본체 내부의 양측프레임(31)(32)에 고정된 지지축(33)(34)에 조립된 것에 있어서, "ㄴ"자형 렌즈지지판(51)의 상면에 플랜지(51a)를 갖는 부착공(51b)을 형성하고 그 부착공(51b)에는 외주면에 단턱(9'a)을 가지는 렌즈부(9')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며, 렌즈지지판(51)의 하면에는 고정나사(52)가 삽입되는 장공(51c)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광학계 프레임(21)의 바닥판(21a)에는 렌즈지지판(51)의 하면이 접촉되고 상기 고정나사(52)가 체결되는 돌출부(21j)을 양측으로 형성하며, 렌즈지지판(51)과 광학프레임(21)에 고정위치 조절용 작은 원형공(51d)과 큰 원형공(21k)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KR2019870020945U 1987-11-30 1987-11-30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KR900010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945U KR900010233Y1 (ko) 1987-11-30 1987-11-30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945U KR900010233Y1 (ko) 1987-11-30 1987-11-30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299U KR890011299U (ko) 1989-07-13
KR900010233Y1 true KR900010233Y1 (ko) 1990-11-05

Family

ID=1926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945U KR900010233Y1 (ko) 1987-11-30 1987-11-30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299U (ko)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9302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900010233Y1 (ko) 복사기의 광학계 고정장치
US6650453B2 (en) Mounting mechanism for a strap member
KR100579491B1 (ko) 멀티-빔 광원 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및 그조립방법
JP6029358B2 (ja) 光ビーム出射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79505B1 (ko) 멀티-빔 광원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
JP3556288B2 (ja) 光学装置
JPS5917408B2 (ja) 複写機の露光光学系の調整装置
KR100492096B1 (ko) 레이저 스캔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레이저 프린터
JPH0865459A (ja) 光源装置
KR100316648B1 (ko) 인쇄기기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
JP2563052Y2 (ja) 端部ミラーの支持装置
KR960009042Y1 (ko) 레이저빔 주사광학계의 빔 위치 조절장치
JPH07219063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3294674B2 (ja) Led書込みヘッドの支持機構
KR200209093Y1 (ko) 프로젝터용광축조정투사렌즈장치
JP325816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該装置に組込まれる露光ユニット
JP2511312Y2 (ja) 原稿照明装置
JP20013121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47347A (ja) レンズ装置
JP3363582B2 (ja) 原稿読取装置
JPS59197009A (ja) 光走査装置
JP2880768B2 (ja) レンズキャリッジ
JPH10285336A (ja) 電子複写機の原稿読取り装置
JP2583154B2 (ja) 光学系のミラー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