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994Y1 - 수은 혈압계 - Google Patents

수은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994Y1
KR900009994Y1 KR2019900013709U KR900013709U KR900009994Y1 KR 900009994 Y1 KR900009994 Y1 KR 900009994Y1 KR 2019900013709 U KR2019900013709 U KR 2019900013709U KR 900013709 U KR900013709 U KR 900013709U KR 900009994 Y1 KR900009994 Y1 KR 900009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passage
valve
reservoi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찌야스 요꼬즈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스
니시우라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6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944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스, 니시우라 다다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스
Priority to KR2019900013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the pressure transducers comprising a liquid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은 혈압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은 혈압계의 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이 갖는 접속관계를 통로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밸브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제4도는 공기펌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개요(槪要) 구성도.
제6도는 종래의 수은 혈압께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절결)개요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은통로 2 : 수은 저류부
3 : 연통관(連通管) 4 : 코크(COCK)
5 : 핸들 6 :완대(緩帶)
7, 8, 18 : 튜브 9 : 송기(送氣)부
10 : 필터(filter) 11 : 소(小)구멍
12 : 수은 13 : 덮개
14 : 용기 15 : 눈금판
16 : 기부(基部) 17 : 접속구(接續具)
19 : 공기 펌프 20 : 실린더
21 : 구멍 22 : 피스톤
23 : 로드(rod) 24 : 스프링
25 : 레버 26 : 밸브
27 : 돌기부 28 : 경사면
29 : 로울러 30 : 축
31, 32 : 레버 접촉부
본 고안은 수은 혈압계, 특히 용기내에 수납자재한 수은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제6도는 종래의 수은 혈압계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개요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참고부호 1은 수은 통로로서, 수은 저류부(2)와의 사이에 연통관(3)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연통관(3)에는 코크(4)가 형성되고, 이 코크의 개폐는 핸들(5)에 의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
참고부호 6은 완대로서, 튜브(7)를 통하여 수은 저류부(2)와 접속함과 동시에, 튜브(8)을 통하여 송기부(9)에 접속한다. 수은 통로(1)의 상단에는 필터(10)와 소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을 경유하여 수은통로(1)가 외부 공기와 연계(連繫)되어 있다. 참고부호 12는 수은이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완대(6)를 팔에 감고 코크(4)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기부(9)에의하여 공기를 압송(壓送)하면 수은 저류부(2)의 수은(12)는 수은 통로(1)내를 상승하여 혈압이 측정된다.
그리고 사용후에는, 수은의 누출과 오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은 통로를 기울여서 통로내에 남아 있는 수은을 전부 수은 저류부(2)로 되돌려서 코크(4)를 폐로(閉路)하도록 일련의 조작이 취하여 진다.
상기한 구성의 것이외에 수은 통로와 덮개가 일체로 된 구성의 수은 혈압계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덮개를 닫으면 자동적으로 코크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종래 장치중의 전자(前者), 즉, 수은 통로를 기울여서 수은을 되돌리는 방식의 것은 코크의 개폐조작을 그때 그때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으며, 또, 코크조임을 잊고 혈압계를 이동했을 때, 수은 전류부내의 먼지가 수은 통로내에 나와서 수은 통로에 부착하여 오손한다.
또한, 수은주가 짤려서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서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또는 이 공기를제거하기 위하여 두드리거나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후자, 즉, 덮개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코크의 개폐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방식의 것에 있어서는 덮개를 닫았을때 수은이 수은 저루부에 완전히 되돌아 가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룬 것으로서, 덮개를 닫는 조작에 따라서 수은 통로내에 있는 수은이 완전히 수은 저류부에 되돌아 가는 수은혈압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은 통로의 정부(정부)에 튜브를 통하여 공기 펌프를 접속하고 덮개의 폐색조작에 따라서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덮개의 페색조작에 따라서 공기 펌프에 의하여 수은 통로내의 수은을 수은 저류부에 되돌리고 이 되돌린 상태하에 있어서 밸브를 폐로(閉路)하여 수은 통로와 수은 저류부가 차단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은 혈압계의 1실시예의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이 갖는 접속관계를 통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제6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참고부호 13은 덮개로서, 용기(14)에 축착(軸着)되고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용기(14)를 폐색한다. 덮개(13)의 중심위치에는 수은 통로(1)가 있으며, 이 수은 통로를 지지하는 형태로 눈금판(15)이 장착된다.
덮개(13)의 하단에는 기부(16)가 형성되고, 이 기부의 상방에 장착한 수은 통로(1)와 수은 저류부(2)와는 이 기부의 내부에서 연통관(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제2도 참조)
수은 통로(1)의 정부는 접속구(17)을 통하여 튜브(18)에 접속되고, 튜브(18)은 선단은 공기 펌프(19)에 접속된다.
공기펌프(19)에는 실린더(20)와 실린더(20)의 측벽에 형성한 구멍(21)이 있으며, 그 내부에는 피스톤(22)이 삽통되며 단부로 부터는 로드(23)이 돌출해 있다. 그리고 참고부호 24는 스프링이다.
참고부호 25는 레버로서, 밸브(26)의 개폐를 행한다. 그리고참고부호 27은 용기 단부에 형성한 돌기부로서, 레버(25)에 맞닿아서 레버(25)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나타낸다(후술함).
제3도는 밸브(26)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로서, 기부(16)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도의 상태시에는, 레버(25)는 실선과 같이 직립상태에 있으며, 이때에는 밸브(26)은 개방으로 되어서 연통관(3)과 수은 통로(1)을 연결하며, 90°경사진 점선 상태시에는 상기 연통관(3)과 수은 통로를 차단한다.
제4도는 공기 펌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공기 펌프부분만을 취하여 나타내고 다른 부분을 생략하여 나타냈다.
도면에 있어서, 참고부호 28은 경사면으로서, 이 경사면은 덮개(13)을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닫을 때 로드(23)의 선단에 정착한 로울러(29)와 접촉하여 로드를 압상(押上)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참고부호 30은 덮개(13)와 용기(14)의 축착위치를 나타내며, 따라서 덮개(13)의 회동은 30의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행해진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덮개(13)를 연 상태, 즉 사용상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레버(2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힘에 의하여 직립상태(제3도 실선)에 있으므로, 밸브(26)을 개방상태로 하고 수은 통로(1)와 수은 저류부(2)는 연통해 있다.
이때 공기펌프(19)는 스프링(24)에 의하여 로드(23)가 다 뻗은 상태(제4도 참조)에 있으며, 제2도에 명기된 바와 같이, 실린더(20)내에 있어 피스톤은 최하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실린더(20)의 측벽에 형성한 구멍(21)은 개방상태에 있으며, 실린더내부는 외부 공기와 연계되어 있다.
요컨대, 덮개(13)를 연 상태에서는 수은 통로(11)내에 수은주가 상하했을때, 이 통로내의 유통을 방해하는 일은 없으므로 혈압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후에는 덮개(13)를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누이는 조작을 한다. 덮개(13)는 축(30)(제4도 참조)을 중심으로 하여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로울러(29)는 경사면 (28)에 접촉하여 스프링(24)에 반하여 로드(23)를 압상한다. 로드(23)가 압상되면 피스톤(22)은 구멍(21)을 막으면서 펌프작용을 행하여 미리 내부에 있던 공기르 튜브(18)를 통하여 수은 통로(1)내로 압입된다.
그 결과, 수은 통로내에 있던 수은(12)은 연통관(3)을 경유하여 수은 저류부(2)내로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수은이 되돌아 간 상태시에 레버(25)는 돌기부(27)에 맞닿아서 90°절곡(제3도 점선 참조)되어 밸브(26)를 폐로한다.
따라서, 덮개(13)를 페색한 상태에서는 수은은 수은 저류부(2)내로 되돌려서 밸브(26)로 닫혀 있다.
덮개(13)의 개방과정에서는 상기 폐색과정과 전혀 반대의 작용이므로 생략한다.
덮개가 닫힌는 각도에 대한 피스톤의 위치는 그 닫히는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수은의 되돌아 감도 일정하여 덮개를 빨리 닫아도 수은이 통로내에 남는 일은 없다.
그리고, 밸브(26)는 수은이 밸브로 부터 수은 저류부측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닫도록 그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덮개가 완전히 폐색하면 수은은 수은 저류부로 되돌아 가며 그리고 밸브도 폐로하여 이를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개요 구성도로서, 덮개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수은주에 관련하는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의 회동조작기구를 나타내며,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도면중의 부호도 제1도 내지 제4도와 같다.
도면에 있어서, 참고부호 31, 32는 레버 접촉부로서, 덮개의 개방시에는 레버(25)가 레버접촉부(31)에 접촉하여 밸브(26)(이미 설명한 실시예에 나타나 있다)는 개방상태에 있다.
한편, 덮개를 소정의 각도까지 닫으면 레버(25)가 레버 접촉부(32)에 접촉하여 밸브(26)를 닫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덮개가 완전히 닫히면 레버(25)는 '개방'의 위치로 부터 90°회전하여 수은 통로를 완전히 차단한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수은은 펌프(19)에 의하여 사전에 되돌려져 있으며,밸브가 닫힌 때에는 수은 통로내에 수은은 잔존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덮개가 폐색하면 수은은 수은 저류부내로 되돌려져서 밸브가 폐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덮개가 완전히 폐색하기 이전에 공기 펌프에 의하여 수은은 수은 저류부내로 되돌려져서 그 후에 수은의 통로를 구성하였으므로, 수은의 오손이 없을 뿐만아니라 측정 정확도가 개선된 수은 혈압계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압력에 따라서 수은주가 상하하는 수은 통로와, 상기 수은 통로에 접속된 수은 저류부와, 상기 수은 통로내의 수은 정부를 읽기 위한 눈금판과, 상기 수은 저류부에 튜브를 통해 접속된 송기부 및 완대와, 용기내에의 수납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은 통로와 수은 저류부와의 사이의 연통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 수은 혈압계에 있어서, 튜브를 통하여 상기 수은 통로의 정부에 연결된 공기 펌프와, 상기 연결 튜브상에 구비된 상기밸브를 개폐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펌프 및 상기 레버는 덮개의 폐색조작에 따라 서로 조화되어 작동하고 또 상기 밸브는 수은이 상기 수은 저류부로 배출된 후에 닫히게 작동함을 특징으로하는 수은 혈압계.
KR2019900013709U 1988-03-22 1990-09-03 수은 혈압계 KR900009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709U KR900009994Y1 (ko) 1988-03-22 1990-09-03 수은 혈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65696A JPH0669441B2 (ja) 1988-03-22 1988-03-22 水銀血圧計
KR1019880005193A KR890014061A (ko) 1988-03-22 1988-05-04 수은 혈압계
JP65696/1988 1989-03-22
KR2019900013709U KR900009994Y1 (ko) 1988-03-22 1990-09-03 수은 혈압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193A Division KR890014061A (ko) 1988-03-22 1988-05-04 수은 혈압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994Y1 true KR900009994Y1 (ko) 1990-10-29

Family

ID=2729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709U KR900009994Y1 (ko) 1988-03-22 1990-09-03 수은 혈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9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796B1 (en) Bottle neck vacuum pump
CA2444403A1 (en) Improved medical instrument flow stop interface
CA1054304A (en) Sealing apparatus for toilet
ATE68083T1 (de) Getraenkezubereitungsmaschine.
KR900009994Y1 (ko) 수은 혈압계
ATE61988T1 (de) Einwegverpackung fuer sirup mit integriertem ventil.
US4942879A (en) Mercury sphygmomanometer
JPH03119341U (ko)
JPH0762626B2 (ja) 流量検出器
JPH0871005A (ja) 液体容器の栓体
KR200413420Y1 (ko)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KR910000231B1 (ko) 수은 혈압계의 개폐기구
KR890007411Y1 (ko) 쌀 통
JPH08252511A (ja) トリガ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S5930224Y2 (ja) 液体定量注出器
JPH0355407Y2 (ko)
JPS6212958Y2 (ko)
JPH0128456Y2 (ko)
JPS6355068A (ja) 定量吐出機構付きキヤツプ
JPS6329486Y2 (ko)
JPH10286184A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0209977Y1 (ko) 정량배출장치
JPH0318362Y2 (ko)
JPS6046274B2 (ja) 油回転式真空ポンプにおける油逆流防止装置
KR940001938Y1 (ko) 쌀통의 쌀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