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938Y1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쌀통의 쌀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1938Y1 KR940001938Y1 KR2019910019585U KR910019585U KR940001938Y1 KR 940001938 Y1 KR940001938 Y1 KR 940001938Y1 KR 2019910019585 U KR2019910019585 U KR 2019910019585U KR 910019585 U KR910019585 U KR 910019585U KR 940001938 Y1 KR940001938 Y1 KR 94000193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curved plate
- outlet
- plate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a는 종래 드럼식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종래 포트식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 a,b는 본 고안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 a,b는 본 고안 배출장치에서 곡면판의 개폐 자공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출구 11 :경사판
12 : 곡면판 13 : 가이드대
14 : 피니언 14a : 롤러
16 : 모터 18 : 배출 스위치
19 : 플러그
본 고안은 쌀통에 담겨져 있는 쌀을 정량으로 배출하는 쌀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쌀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상, 하부위를 하나의 곡면판이 원호 운동하여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므로써 쌀통에 담겨진 쌀이 정량만큼 외부로 자동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재래의 뒤주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쌀통은 쌀통의 내부에 쌀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단부에는 쌀을 정량으로 계량한뒤 외부로부터 배출신호를 받아 쌀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연이어서 설치하며, 상기 배출장치를 동력원이나 수동으로 작동시켜 배출장치가 배출구의 일측다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므로써 쌀을 외부로 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배출장치는 드럼식과 포트식이 있으며, 드럼식은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쌀통의 경사판(5)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5a)에 원통형의 계량원통(6)을 설치하고 계량원통(6)의 내부에 모터(8)와 연결된 회전축(12a)을 끼워넣고, 회전축(12a)에는 계량흡되판(12)을 연결하여 계량흡되판(12)이 계량원통(6)의 내부공간을 등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쌀의 배출신호가 전기적으로 모터(8)에 전달되면 모터(8)가 회전하여 회전축(12a)을 회전시키므로써 인접한 두개의 계량흡되판(12) 사이에 담겨진 쌀이 배출통으로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포트식은 제1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판(2)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의 하단부에 계량기(3)를 설치하고, 계량기(3)의 내부에는 계량기(3)의 내벽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흡되(4)를 설치하며, 흡되(4)는 솔레노이드(8)와 링크(7)에 의해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 기술은 솔레노이드(8)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솔레노이드(8)가 흡되(4)를 잡아당기면 흡되(4)의 상단부가 배출구의 하단부를 개방시켜 흡되(4)내에 쌀이 떨어지고, 흡되(4)가 스프링(5)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하면 흡되(4)에 내부에 쌓여있는 쌀이 아래방향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출장치 중에서 드럼식 배출장치는 계량원통의 내부에서 회전축과 계량흡되판이 회전하면서 쌀을 밀어내야하므로 모터가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고, 계량흡되판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틀림이 발생하므로 1회당 배출되는 쌀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포트식 배출장치는 흡되(4)를 솔레노이드(8)에 의해 직선이동시키게 되므로 흡되(4)가 닫힐때에 계량기(3)의 내벽과 충돌하여 흡되(4)가 계량기(3)의 내벽에 밀착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흡되(4)가 솔레노이드(8)의 작동시에 소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동력을 사용할 수 있고 동작이 빠른시간 내에 이루어지며 쌀의 계량이 정확한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통상의 경사판중에서 하단부인 배출구에 슬릿을 형성하고, 임의의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곡면형태의 곡면판이 배출구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하되 곡면판의 일측이 상기 슬릿에 끼워지고 타측이 배출구의 하단부를 막도록 하며, 곡면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는 워엄기어와 연결하고 워엄기어는 피니언과 연결하며 피니언에는 롤러를 설치하고, 곡면판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대에 롤러를 끼워넣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과 롤러가 원운동하므로써 롤러가 가이드대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밀어 곡면판이 원호상으로 회전하고, 이로인해 곡면판의 일측이 배출구의 상단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폐쇄하거나 곡면판의 일측이 상단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개방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제2도는 본 고안 배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배출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제4도 a,b는 본 고안 배출장치 중에서 곡면판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5도 a,b는 본 고안에서 곡면판의 개폐작동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이들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경사판(11) 하단부인 배출구(10)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곡면판(12)의 일단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인 슬릿(10a)을 형성한다.
곡면판(12)은 곡면형태로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회전대(12a)를 형성하여 회전대(12a)의 단부를 배출구(10)의 브라켓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힌지로 연결하되 곡면판(12)의 일단부가 배출구(10)의 슬릿(10a)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배출구(10)의 내면(10d)에 밀착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대(12a)에는 상판(13a)과 하판(13b)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 하판(13a, 13b) 사이에 롤러(1a)가 끼워지는 가이드대(13)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10)의 일측에 연결된 브라켓트(10b)에는 피니언(14)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피니언(14)에는 롤러(14a)를 설치하여 롤러(14a)가 가이드대(13)에 내부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4)에는 워엄기어(15)를 연결하며, 워엄기어(15)는 모터(16)와 연결하되 워엄기어(15)와 모터(16)에는 풀리(15a, 16a)를 각각 설치하고, 양 풀리(15a, 16a) 사이에는 벨트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0)의 측면에는 리미트스위치, 위치센서등과 같은 곡면판(12)의 이동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재(17)를 설치한다.
상기 구성중에서 상기 곡면판(12)의 회전대(12a)는 배출구(10)의 측면에 연결하였으나 별도의 브라켓트등과 같은 다른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모터(16)의 동력을 워엄기어(15)를 통해 피니언(14)에 전달되도록 하였으나 모터(16)와 피니언(14)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 모터(16)와 워엄기어(15)와는 벨트 이외의 다른 동력전달요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터(16)와 워엄기어(15)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피니언(14)이 배출구(10)와 연결된 브라켓트(10b)에 설치되어있으나 별도의 브라켓트나 후레임등과 같은 다른 부재에 연결할 수도 있고, 감지부재(17)는 배출구(10)의 측면에 위치하나 곡면판(12)의 이동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배출구(10)의 측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성부재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는 다음과 같다.
플러그(19)는 제3도에서와 같이 모터(16) 및 감지부재(17)와 연결하고, 모터(16)는 상기 감지부재(17)와 연결하며 배출스위치(18)는 감지부재(17)와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쌀통에서 쌀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 배출스위치(18)를 눌렀다 놓으면 감지부재(17)는 회전대(12a)에 의해 눌러져 오픈된 상태에 있으나 배출스위치(18)의 접속에 의해 모터(16)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16)의 회전력은 벨트를 통해 워엄기어(15)에 전달되고, 워엄기어(15)에 전달된 동력은 피니언(14)에 전달되어 피니언(14)의 회전과 함께 롤러(14a)가 원운동하게 된다.
이때, 롤러(14a)는 가이드대(13)의 상, 하판(13a, 13b) 내부에서 원운동하므로 가이드대(13)의 상판(13a)을 상방향으로 밀게되어 곡면판(12)의 회전대(12a) 및 배출구(10)의 라켓이 힌지를 중심으로 원호운동하게 되며 감지부재(17)는 곡면판(12)의 원호운동에 의해 접속되게 된다.
원호운동하는 곡면판(12)은 제4도의 a와 같이 슬릿(10a)에 끼워진 일단이 배출구의 상단부를 개방하고 타단이 배출구의 하단부를 밀폐하고 있던 상태에서 제4도 b와 같이 내면(10d)이 상단부와 밀착하여 내면(10d) 상단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타단은 내면(10d)이 하단부로부터 떨어져 배출구 하단부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배출구(1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담겨져 있던 쌀이 아래방향으로 쏟아진다.
이때 경사판(11) 상에 쌓여 있는 쌀을 슬릿(10a)을 통과한 곡면판(12)의 일단에 의해 배출구(10) 내부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곡면판(12)은 롤러(14a)의 계속적인 원운동에 의해 상기와 역방향인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즉, 롤러(14a)가 가이드대(13)의 하판(13b)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곡면판(12)은 아래방향으로 원호운동하므로서 슬릿(10a)을 관통하여 배출구(10)의 상단부를 밀폐하고 있던 곡면판(12)의 일단은 배출구(10)의 내면(10d) 상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배출구(10)의 상단부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배출구(10)의 하단부를 개방하고 있던 곡면판(12)의 타단은 배출구(10)의 내면(10d) 하단부와 밀착하게 되어 배출구(10)의 하단부를 폐쇄시키게 되며, 곡면판(12)의 타단이 배출구(10)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부위까지 원호이동하면서 감지부재(17)가 회전대(12a)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17)를 작동시키면 전기적으로 오픈되므로써 모터(16)의 회전이 정지되어 곡면판(12)은 더이상 전진하지 않게 된다.
이때 경사판(11)을 통해 쌓여있는 쌀은 배출구(10)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곡면판(12)의 일단에서부터 쌓여지게 된다.
그리고 배출스위치(18)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곡면판(12)의 원호운동이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쌀이 여러차례 배출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쌀을 배출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생산원가가 저렴하여지므로써 사용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게 되며, 장시간 사용을 하여도 곡면판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항상 정확한 계량이 이루어지고,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양풀리(15a, 16a)의 일측에는 피니언(1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워엄기어(15)와, 상기 피니언(14)의 소저위치에는 롤러(14a)가 형성되어 상하판(13a, 13b)이 형성된 가이드대(13)와 결합되어 배출구(10)의 상, 하단을 개방 또는 폐쇄 시킬 수 있도록 한 곡면판(12)과, 상기 곡면판(12)의 양단중 일측은 감지부재를 작동시키어 곡면판을 원운동 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대(12a)와, 상기 배출구(10)의 상부에는 상기 곡면판(12)의 상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 슬릿(10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의 쌀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9585U KR940001938Y1 (ko) | 1991-11-15 | 1991-11-15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9585U KR940001938Y1 (ko) | 1991-11-15 | 1991-11-15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373U KR930010373U (ko) | 1993-06-23 |
KR940001938Y1 true KR940001938Y1 (ko) | 1994-03-30 |
Family
ID=1932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9585U KR940001938Y1 (ko) | 1991-11-15 | 1991-11-15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193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776B1 (ko) * | 2008-02-22 | 2009-02-18 | 배창석 | 진공쌀통 |
-
1991
- 1991-11-15 KR KR2019910019585U patent/KR940001938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776B1 (ko) * | 2008-02-22 | 2009-02-18 | 배창석 | 진공쌀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373U (ko) | 1993-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27495A (ko) | 세탁기도어 자동개폐장치 | |
KR860002423A (ko) | 펠릿분배 방법 및 장치 | |
CA2378367A1 (en) | Urine drain assembly with tube clamp valve | |
US4508242A (en) | Toothpaste extractor | |
KR940001938Y1 (ko)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
CN1257684A (zh) | 茶壶 | |
CN211657996U (zh) | 一种食品处理装置 | |
CN112842105B (zh) | 一种食品处理装置 | |
CN211140305U (zh) | 一种出料机构具有自动闭锁功能的储米箱 | |
KR100403025B1 (ko) |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 |
CN214298078U (zh) | 一种自动分叉进料装置 | |
RU2000126392A (ru) | Устройство возврата монет торгового автомата | |
JPS6231086Y2 (ko) | ||
KR870002494Y1 (ko) | 쌀통의 쌀 배출장치 | |
KR930001966Y1 (ko) | 치약 취출기 | |
JPS6139272Y2 (ko) | ||
JP2866991B2 (ja) | ガス置換包装機におけるガス制限装置 | |
KR100694185B1 (ko) | 자동판매기용 원료정량공급 장치 | |
KR200159741Y1 (ko) | 드럼용 수동식 액체펌프 | |
KR890002801A (ko) | 원판형 물품의 송출장치 | |
JPH0739734U (ja) | 計量米びつ | |
KR200163209Y1 (ko) | 고추연속분쇄기용고추공급통의밑판자동개폐장치 | |
WO2000055099A1 (en) | A lid for a liquid container | |
KR0142010B1 (ko) | 쌀통의 쌀토출장치 | |
KR890004037Y1 (ko) | 식기 세척기의 세제 자동 투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