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66Y1 - 치약 취출기 - Google Patents

치약 취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66Y1
KR930001966Y1 KR2019910000951U KR910000951U KR930001966Y1 KR 930001966 Y1 KR930001966 Y1 KR 930001966Y1 KR 2019910000951 U KR2019910000951 U KR 2019910000951U KR 910000951 U KR910000951 U KR 910000951U KR 930001966 Y1 KR930001966 Y1 KR 930001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othpaste
discharge port
toothbrus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722U (ko
Inventor
정홍대
Original Assignee
정흥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흥대 filed Critical 정흥대
Priority to KR2019910000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966Y1/ko
Publication of KR920014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약 취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치약 취출기 구조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취출기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제1단계시의 상태도이고, b)는 제2단계시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결합구
3 : 토출구 4 : 회동판
5 : 핀 6 : 개폐판
7 : 섹터부재 8 : 가압판
9 : 수평부 10 : 치솔판
11 : 수직 연장부 12 : 판 스프링
13 : 직선부 14 : 코일 스프링
A : 치약용기 B : 치솔
본 고안은 치약 취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 용기의 뚜껑을 여닫는 불편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약 취출기에 관한 것이다.
치약용기는 용기체를 눌러서 내용물을 자내는 튜브방식과, 진공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나오도록 하는 피스톤 방식이 있다.
상기한 용기중에서 튜브방식은 출구측에 뚜겅을 나사결합등으로 설치하여 열고 닫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또 뚜껑을 열고 닫을때 마다 나사산의 마찰에 의해 불순물이 생성되어 용기입구가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방식은 사용의 간편함은 있으나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소모품의 용기체로서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용기체는 모두 양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인 경우나, 한쪽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취약 취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약용기와 연결되는 결합구와 토출구를 보유함과 아울러 일측에 직선부가 형성된 원통상의 본체와, 상기한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회동판과, 이 회동판과 동축설치되며 상기한 토출구를 여닫는 수평부 및 치솔판을 보유하는 개폐판과로 구성되는 치약취출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치약 취출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은 취출기 본체를 지칭한다.
취출기 본체(1)는 위쪽에 치약용기(A)의 출구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구(2)를 갖고 있으며, 아래쪽에 토출구(3)를 갖고 있다.
상기한 본체(1)는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심점에 회동판(4)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판(4)은 토출구(3)로 부터 연장되는 판상에 핀(5)에 의해 설치되며 이 핀(5)에는 개폐판(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동판(4)은 본체(1)의 내면에 밀착되는 원호상의 섹터부재(7)와 이 섹터부재(7)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판(8)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개폐판(6)은 토출구(3)를 여닫는 수평부(9)와, 치솔(B)이 위치하는 치솔판(10), 그리고 힌지점 위쪽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1)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회동판(4)과 수직 연장부(11)사이에는 판스프링(12)이 탄압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에는 평판상의 직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직선부(13)에는 회동판(4)의 일단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회동판(4)의 섹터부재(7)는 원호상으로 되어 본체(1)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코일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직선부(13)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는데, 직선부(13)가 회전반경내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벽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판을 지칭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치약 취출기는 먼저 취약용기(A)의 출구와 본체(1)의 결합구(2)를 결합시킨다음, 치약용기(A)를 눌러 짜게되면 용기내의 내용물의 내용물이 본체(1)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치솔(B)를 치솔판(10)에 대고 밀게 되면 개폐판(6)은 핀(5)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구(3)를 막고 있던 수평부(9)도 함께 이동함에 의해 토출구(3)가 개방상태가 되면서 본체(1)내의 내용물이 서서히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이때 치솔(B)을 더욱 밀게되면 회동판(4)과 개폐판(6)의 수직 연장부(11) 사이에 위치하여 있는 판 스프링(12)이 압축되다가 압축력이 코일 스프링(14)의 탄성한도를 넘게되면 코일 스프링(14)이 인장되면서 회동판(4)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와같이 회동판(4)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섹터부재(7)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치약용기(A)와 연결되는 결합구(2)가 섹터부재(7)에 의해 막히게 된다.
즉 제2도 b)의 도시와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가 진행되면 가압판(8)에 의해 본체(1)내의 내용물이 압축되면서 토출구(3)를 빠져나가 치솔(B)위에 묻혀지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치솔(B)위에 일정량이 묻혀지는 상태에서 치솔(B)에 가하던 힘을 해지하게 되면 회동판(4)은 더이상 회전을 하지 않게 되므로 내용물의 유출이 중지된다.
이 상태에서 치솔(B)을 뒤로 하게되면 판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6)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수평부(9)가 토출구(3)를 막게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판(4)이 코일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처음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면 본체(1)의 토출구(3)는 막힌 상태가 되고 치약용기(A)와 연결된 결합구(2)는 열린 상태가 되는데, 치약용기(A)에는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고, 본체(1)는 내용물 유출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진공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치약용기(A)내의 내용물이 본체(1)내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체(1)내에는 내용물이 가득차게 되므로 처음의 상태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치약 취출기는 치약용기와 연결한 상태에서 벽등에 부착시켜 놓고 치솔만 대고 밀게 되면 치약이 유출되기 때문에 뚜겅을 열고 닫는 불편이 없으며, 또 한손으로도 치약을 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치약용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치약용기와 연결되는 결합구(2)가 위쪽에 형성되며 그 반대측에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구(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직선부(13)를 갖는 원통상의 본체(1)와, 상기한 본체(1)의 내측에 핀(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탄지되는 원호상의 섹터부재(7)와 이 섹터부재(7)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판(8)과로 이루어지는 회동판(4)과, 상기한 회동판(4)과 동축설치되어 회전하며 일측에 토출구(3)를 여닫는 수평부(9)와 치솔판(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판 스프링(12)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직 연장부(11)가 형성된 개폐판(6)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취출기.
KR2019910000951U 1991-01-23 1991-01-23 치약 취출기 KR930001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1U KR930001966Y1 (ko) 1991-01-23 1991-01-23 치약 취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1U KR930001966Y1 (ko) 1991-01-23 1991-01-23 치약 취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722U KR920014722U (ko) 1992-08-14
KR930001966Y1 true KR930001966Y1 (ko) 1993-04-19

Family

ID=1931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951U KR930001966Y1 (ko) 1991-01-23 1991-01-23 치약 취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51B1 (ko) * 2017-12-21 2019-05-23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튜브 압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51B1 (ko) * 2017-12-21 2019-05-23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튜브 압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722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18B1 (ko) 경첩 덮개를 갖는 젖은-닦개용 용기
CA2198065A1 (en) Dispensing package for viscous liquid product
KR950014816A (ko) 냉장고 도어개폐장치
JPS6340093B2 (ko)
EP0991352A1 (en) Dispensing system for flowable liquids
AU4915100A (en) Slotted closing valve for openings of containers
CA2378367A1 (en) Urine drain assembly with tube clamp valve
JPH01500645A (ja) 石けん液ディスペンサ
KR930001966Y1 (ko) 치약 취출기
GB2404370A (en) Massaging device with lotion dispenser
US20110174844A1 (en) Closure
CA1104991A (en) Dispenser for pressurized fluid
US5533649A (en) Closure for container
CN210582404U (zh) 一种方便倒垃圾的簸箕
KR870002494Y1 (ko) 쌀통의 쌀 배출장치
ES2045531T3 (es) Dispositivo de apertura-cierre para bolsita de materia sintetica flexible con medio de presion.
JPH0451188Y2 (ko)
KR910006504Y1 (ko) 액체 용기용 캡
JPH0344102Y2 (ko)
KR200189435Y1 (ko) 용기
JPS6236756Y2 (ko)
JPH088877Y2 (ja) 筆型塗抹液容器
CA2486719A1 (en) Nose cleaning device
KR910006884Y1 (ko) 개폐가 용이한 개량형 덮개
KR200289846Y1 (ko) 튜브 용기의 양측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