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46Y1 - 경 첩 - Google Patents

경 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46Y1
KR900008946Y1 KR2019860014003U KR860014003U KR900008946Y1 KR 900008946 Y1 KR900008946 Y1 KR 900008946Y1 KR 2019860014003 U KR2019860014003 U KR 2019860014003U KR 860014003 U KR860014003 U KR 860014003U KR 900008946 Y1 KR900008946 Y1 KR 900008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piece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370U (ko
Inventor
히로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870005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3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 첩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 2a, 2b, 2c 도는 본 고안의 조립 순서도.
제 3 도는 조립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회동편 11 : 핀부
13, 14 : 지지부 13a, 14a : 축구멍
13c, 14c : 테이퍼면 15 : 축홈
20 : 제2회동편 21 : 판부
23 : 암판 23a : 원주부
24a, 24b : 회동축
본 고안은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각종 케이스등의 개폐를 위하여 첨부도면 제 4 도에 표시하 바와같은 경첩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금속제의 제1, 제2의 회동편(1)(2)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통부(3)(4)가 엇갈림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통부(3)(4)에 일단이 빠짐 방지부(5a)를 구비한 핀(5)을 관통하고 핀(5)의 타단(5b)을 빠짐이 방지되도록 가공하여 제1, 제2의 회동편(1)(2)이 서로 회동자재롭게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에서는 2장의 회동편(1)(2)의 조합시에는 (a). 서로 통부(3)(4)를 합치시킨다. (b). 핀(5)을 관통시킨다. (c). 핀(5)의 타단부가 빠짐이 방지되도록 가공을 해야 한다는 작업이 필요하여 번잡하였던 것이다.
특히 핀(5)의 빠짐 방지 가공에는 특별한 공구나 기계가 필요하여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고 또 통부(3)(4)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가공을 필요로 하여 부품의 개수로 보아도 비경제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장의 회동편을 특별한 공구없이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내지 제 3 도는 본고안의 경첩의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 제 1 도에 있어서 (10)은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된 제1회동편이고 (11)은 구형 편판상부 판부, (12)는 판부(11)에 형성된 붙임구멍이다.
판부(11)의 일측 가장자리 양측에는 소정폭을 가지고 있고 대체로 원주상으로 된 지지부(13)(14)가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3)(14)의 각 대면측에는 상부가 반원상으로 형성되고 각 외측 방향에 소정 깊이를 갖는 축구멍(13a)(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구멍(13)(14)의 각 대면측에서 상부가 반원상으로 형성되고 각 외측 방향에 소정 깊이를 갖는 축구멍(13a)(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13)(14)내부에서 판부(11)의 하면으로 축구멍(13a)(14a)과 각 구멍(13b)(14b)등에 의하여 지지부(13)(14)를 서로 떨어질 방향으로 강하게 압압된 경우에 외측으로 약간 접어지기 위한 적당한 가요성(可窯性)이 부여된다.
또 지지부(13)(14)의 대면측의 상부에는 내측방향에 내리막 경사로된 테이퍼면(13c)(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부(13)(14)사이의 판부(11)에는 후술하는 제2회동편(20)의 원주부(24)의 하측을 회동자재롭게 수납하기 위한 단면에 원호상으로 된 축홈(15)이 형성되어 있다.
(20)은 제2회동편으로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되며, (21)은 구형 편판상의 판부, (22)는 붙임구멍이다.
판부(2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한 제1회동편(10)의 지지부(13)(14)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폭으로 판부(21)상방에 서게하고 판부(21)와 평행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구형 평판상의 암판(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판(23)의 선단에는 상기 제1회동편(10)의 지지부(13)(14)사이의 축홈(15)에 회동자재롭게 수납될 원주부(23a)가 형성되며 이 원주부(23a)의 양단에는 제1회동편(10)의 지지부(13)(14)이 축구멍(13a)(14a)에 회동자재롭게 삽입하기 위한 원주상 회동축(24a)(24b)이 원주부(23a)와 동심상으로 외측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의 회동편(10)(20)을 조립할때는 먼저 첨부도면 제 2a 도에서와 같이 제1회동편(10)의 일방 지지부(14)의 축구멍(14a)에 제2회동편(20)의 일방 회동축(24a)을 삽입한 다음 제 2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타방 회전축(24b)의 선단을 타방 지지부(13)의 테이퍼면(13c)에 맞닿게 하여 위에서 압압한다.
이 압압으로 제 2b 도에서와 같이 제1회동편(10)의 양 지지부(13)(14)는 약간 꼬인는 듯 하면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므로 회동축(24b)은 테이퍼면(13c)을 하방향에 습동하여 제 2c 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축구멍(13a)에 삽입된다.
이때 양 지지부(13)(14)는 탄성력에 의항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 결과 회동축(24a)(24b)은 축구멍(13a)(14a)에 끼워 맞추어져 원주부(23a)의 하부는 축홈(15)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회동편(10)과 제2회동편(20이 서로 회동자재롭게 연결되어 1개의 경첩이 구성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2회동편(20)을 A방향으로 닫으면 암판(23)의 하면(제 1 도에 있어서)은 제1회동편(10)의 판부(11)상면과 맞닿아서 첨부도면 제 3 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B방향으로 열면 암판(23)의 상면(제 1 도에 있어서)은 제1회동편(10)의 판부(11)상면과 맞닿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회동편(10)의 양 지지부(13)(14)에 테이퍼면(13c)(14c)을 형성한 것을 예시했으나 이것은 일방 지지부에만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 테이퍼면만에 의하여 회동축을 압압 삽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 회동축과 축구멍과의 관계를 반대로 하여 제2회동편(2)에 형성된 암판(23)의 원주부(23a)의 양측에 축구멍을 형성하여 제1회동편(10)에 내측을 향하여 회동축을 돌설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번잡한 조립인 핀의 삽입, 빠짐 방지작업이 모두 불필요하며 또 특별한 공구나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압압하는 것으로 실시되므로서 간단하게 양산할 수 있는 경첩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2개이 회동편(10)(20)으로 되며, 일방의 회동편(20)에는 2개의 회동축(24a)(24b)을 형성하고 타방의 회동편(10)에는 상기 회동축(24a)(24b)을 회동자재롭게 유지하는 2개의 지지부(13)(14)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13)(14)의 적어도 일방의 상면에 테이퍼면(13c)(14c)을 형성하여 일방 회동축을 일방의 지지부에 삽입하고, 타방의 회동축을 상기 테이퍼면에 압압하므로서 상기 타방의 회동축을 타방의 지지부에 압압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19860014003U 1985-09-30 1986-09-10 경 첩 KR9000089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49369U JPH051579Y2 (ko) 1985-09-30 1985-09-30
JP149369 198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70U KR870005370U (ko) 1987-04-23
KR900008946Y1 true KR900008946Y1 (ko) 1990-09-29

Family

ID=3106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003U KR900008946Y1 (ko) 1985-09-30 1986-09-10 경 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579Y2 (ko)
KR (1) KR9000089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309Y2 (ja) * 1989-01-20 1994-10-19 加藤発条株式会社 ヒンジ具
JP4668947B2 (ja) * 2007-04-27 2011-04-13 株式会社藤商事 弾球遊技機
JP5188129B2 (ja) * 2007-09-21 2013-04-24 株式会社平和 パチンコ遊技機の遊技盤取付装置
JP5204628B2 (ja) * 2008-11-12 2013-06-05 豊和化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774U (ko) * 1980-04-11 1981-1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56670U (ko) 1987-04-08
KR870005370U (ko) 1987-04-23
JPH051579Y2 (ko) 199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1396B2 (ja) ヒンジ装置
JP3087332U (ja) 径方向押圧装置を有する回転シャフト
US3991436A (en) Butt hinge with means to prevent the wear of knuckles
EP0961457A3 (en)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KR910003463A (ko) 드럼용 플랜지
KR900008946Y1 (ko) 경 첩
KR970075606A (ko) 전동밸브
KR890012595A (ko) 판형상체의 조립구
US5979017A (en) Fastener system for mounting a furniture fitting
KR910005969A (ko) 공작기계의 공구교환암
KR100426703B1 (ko) 맞춤못 형상 고정부품
EP0833406A3 (de) Einpressstift mit einem elastischen Einpressbereich
US4854744A (en) Bearing assembly for rocking chair
CA2177783A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Housing
KR0142058B1 (ko) 조립식 캠을 사용한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0142059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JPH1025948A (ja) 開閉カバー用回動保持装置
JPS6212340Y2 (ko)
KR200237561Y1 (ko) 피봇힌지의 베어링 고정장치
KR200155708Y1 (ko) 스프링 특성 및 내구력이 향상된 부시
KR200272856Y1 (ko) 도어 힌지
KR890000502Y1 (ko) 문짝용 경첩
JP2602005Y2 (ja) ヒンジ構造体
KR940000845Y1 (ko) 여닫이용 문의 자동닫힘 경첩
JPH0521082U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