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15Y1 -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15Y1
KR900008215Y1 KR2019880010129U KR880010129U KR900008215Y1 KR 900008215 Y1 KR900008215 Y1 KR 900008215Y1 KR 2019880010129 U KR2019880010129 U KR 2019880010129U KR 880010129 U KR880010129 U KR 880010129U KR 900008215 Y1 KR900008215 Y1 KR 900008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obbin
bobbin
coil
low pressure
igni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687U (ko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0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215Y1/ko
Publication of KR900001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제 1 도는 통상의 점화코일용트랜스에서 그 고압보빈의 참고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관련된 저압보빈의 참고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점화코일용트랜스에서 그 고압보빈의 참고도.
제 4 도는 제 3 도와 관련된 저압보빈의 참고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저압보빈에 금속필름의 코일막이 권회되는 상태의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압보빈 2 : 저압보빈
21 : 재치편 22 : 스리트환
22a : 단자핀홈 23 : 코일필름
24 : 절연필름 25 : 평단자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점화코일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점화플러그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을 발생시켜 주는 트랜스인 점화코일은 근래까지 습식방식으로 절연물질로 절연유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전기적 절연관계와 1차측코일의 발열, 코어의 발열등을 고려하여 케이스내에 내장된 형태였다.
그러나, 고분자물질의 발달에 따라 전기적 절연특성이 뛰어난 에폭시수지등의 복합물을 사용하여 절연을 시켜줌으로써 급식형보다 전기적 특성 및 구조적 특성이 개선되었다.
이를 건식형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화코일용 건식형트랜스는 일예로 제 1 도 및 제 2 도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제 1a 도와 같이 장방통형 고압보빈(3)과 제 2a 도와 같은 장방통형 저압보빈(4)이 상기 고압보빈(3)의 저압보빈홀로 삽입중첩되어지는 관련구성으로 되고, 상기 고압보빈(3)의 외주면측에는 제 1b 도와 같은 횡단면 구성에서 복수의 스롯트환(31)과 상측 장방면에는 출력봉(32)이 형성되어지며, 저압보빈(4)측에는 상측부 횡단면구조인 제 2b 도 및, 하측부횡단면구조인 2c 도와 같이 상, 하측부돌륜(42, 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에 의해 구성되는 트랜스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연속 운행에 따른 장시간의 점화코일동작과 이에 의한 1차측발열, 전류등을 고려하여 1차측코일을 0.71이상의 굵은 와이어가 사용되어지고 여러층을 저압보빈(4)측에 감이하여 적층하고 있다.
또, 그 점화방식에 있어서도 축전지식, 고압자석식등으로 부터 트랜지스터식으로 발전되어감에 따라 그 권선수도 각기 감소케 되어졌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점화방식의 경우에는 턴수가 적게된 저압보빈측에서 고주파수의 동작에 따른 큰 전류가 흘러 그 1차코일자체의 표피효과와 발열이 더욱 심화되어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제문제점등을 개선하고져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이러한 트랜스의 보빈체가 원통형으로 되고 그 저압보빈측엔 금속박막에의 코일 필름 및 절연필름에 의한 코일구성과의 관련구성으로 되는 점화코일용 트랜스를 제공코져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압보빈(1)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고압보빈(1)이 제 3b 도와 같이 원형홀(1a)을 가진 원통형보빈체로 되고 그 외주벽엔 복수의 그 포트환(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4 도에선 본 고안에 의한 저압보빈(2)을 횡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상기 저압보빈(2)이 제 4b 도와 같이 그 중심부에 코어진입을 위한 장방홀(2a)을 가진 원통형 보빈체로 된다.
그리고, 그 상측엔 필름재치용 재치편(21)이 한쌍으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그 하측엔 단자핀홈(22a)을 가진 스피트환(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저압보빈(2)에 금속박막의 코일필름(23)이 절연필름(24)과 겹쳐져서 권회되어질 때 코일필름(23)표층과 접면고정되는 평단자핀(25)이 결합된다.
이 평단자핀(25)은 상축은 비교적 박편으로 되고 하측에는 두껍게 되는 직선형 금속부재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저압보빈(2)의 하측에 구비된 단자핀홈(22a)측으로 평단자핀(25)의 두꺼운 부위가 현출되도록 하여 위치시킨 후 코일필름(23) 및 절연필름(24)을 소정회수 적층권회시킨다.
이때는 저압보빈(2)측 상부에의 재치편(21)으로 상기 코일필름(23) 및 절연필름(24)의 권회를 용이하게 한다.
이후, 제 3 도에의 고압보빈(1)을 저압보빈(2) 외곽으로 적층조립한다.
그리고, 저압보빈(2)의 중앙장방홀(2a)에는 자심재료로 되는 코어를 삽입한다.
이렇게 조립된 점화코일용트랜스의 저압보빈(2)측에 고정된 단자핀(25)에는 자동차밧데리측의 전원에 연결한다.
그리고, 보빈체가 원통형으로 되므로서 그 2차측의 세선코일이 권선되어질 때 장방체로 인한 코일의 단선형상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점화코일의 트랜스가 장방형에서 원통형으로 되고 그 1차측 저압보빈엔 코일필름으로 권회되어지는 보빈으로 되어 이러한 물품에서의 전기적 특성을 양호히 유지하고 그 제작에의 용이성도 보장케 되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압보빈과 저압보빈과의 관련구성으로 되는 점화코일용 트랜스에 있어서, 상기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은 원통형으로 되고, 상기 저압보빈측은 평단자핀(25)을 삽입고정하는 단자핀홈(22a)을 가진 하부측스리트환(22)과 코일필름(23) 및 절연필름(24)감이의 안내용 상부측재치편(21)을 구비하며 그 중앙에는 장방홀(2a)이 형성되는 저압보빈(2)과의 관련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점화코일용 트랜스.
KR2019880010129U 1988-06-28 1988-06-28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KR900008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129U KR900008215Y1 (ko) 1988-06-28 1988-06-28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129U KR900008215Y1 (ko) 1988-06-28 1988-06-28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687U KR900001687U (ko) 1990-01-19
KR900008215Y1 true KR900008215Y1 (ko) 1990-09-03

Family

ID=1927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129U KR900008215Y1 (ko) 1988-06-28 1988-06-28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2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687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259A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49320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7196606B2 (en) Ignition coi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35751A (en) Device for inducing an electrical voltage
US6522232B2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reduced electric field HV terminal arrangement
US5128646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991371B2 (en) Ignition coil
US5128645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032522A (ko) 초크 코일
JP3550643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900008215Y1 (ko) 자동차 엔진 점화코일용트랜스
US5585773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3491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S5814059B2 (ja) 放電点火用トランスの製造方法
EP0638971B1 (en) Ignition coil with reduced transverse size
US6483410B2 (en)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JPS56146211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138126A (ja) 点火コイル
US1908798A (en) Ignition coil
US20010050604A1 (en)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JPS6012257Y2 (ja) 電磁誘導巻線
JPS6121581Y2 (ko)
SU174469A1 (ru) КАТУШКА ЗАЖИГА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ЬСГОРАНИЯ
JP3200796B2 (ja) 内燃機関の点火コイル
JPS608420Y2 (ja) 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