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84B1 -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84B1
KR900008184B1 KR1019860005347A KR860005347A KR900008184B1 KR 900008184 B1 KR900008184 B1 KR 900008184B1 KR 1019860005347 A KR1019860005347 A KR 1019860005347A KR 860005347 A KR860005347 A KR 860005347A KR 900008184 B1 KR900008184 B1 KR 900008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circuit
voltage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711A (ko
Inventor
세이지 사까시다
기요다께 후꾸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끼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550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6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551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64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끼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4Automatic detu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33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for voltage synthesis with a D/A conver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91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means for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06Arrangements for obtaining constant bandwidth or gain throughout tuning range or ran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245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채널대역내에서 발진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준신호를 이용하는 수신장치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 및 국부발진기의 발진적분신호에 의해서 소정 채널대역내에서 발생하는 신호로 구성되는 기준신호를 이용하는 수신장치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l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연속동작에 대한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동일주파수특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 및 신호레벨제어 회로로 구성되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의 개략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 주발진기 및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로 구성되는 회로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중 2개의 다이오우드유닛으로 구성되는 신호레벨제어회로의 개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중 2개의 트랜지스터유닛으로 구성되는 신호레벨제어회로의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중 4개의 트랜지스터유닛으로 구성되는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의 개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중 4개의 트랜지스터유닛으로 구성되는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의 개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프신호발생수단중 3개의 트랜지스터유닛과 1개의 다이오우드로 구성되는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의 개략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소정채널대역내에서 발진할때의 각종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파생된 다른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소정채널대역내에서 발진할때의 각 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중간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함과 동시에 국부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고정되었을때의 각 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다른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국부발진기의 발진주파수와 소정채널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할때의 각 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중간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함과 동시에 국부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스위핑동작을 행할때의 각 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생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발진기가 국부발진기의 발진주파수와 소정채널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대역의 주파수를 발진함과 동시에 상기 국부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스위핑동작을 행할때의 각 신호의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
제18도는 샘플링필터, 검출기 및 A/D변환기로 구성되는 중간 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을 포함하는 다른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19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샘플링필터가 서로 평행하게 접속된 주파수고정형필터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0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샘플링필터가 주파수고정형 필터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1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샘플링필터가 주파수가 변형필터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2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샘플링필터가 복수의 톱니모양 필터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3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샘플링필터가 복수의 톱니모양 필터로 구성되는 다른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4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이 샘플링필터가 권선 및 버랙터다이오우드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5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이 A/D 변환기 및 디지탈 필터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6도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이 CCD필터 및 A/D변환기로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7도는 동조전압발생수단의 D/A변환기는 동일한 수의 동조회로의 D/A변환기와 서로 병렬로 접속된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8도는 1개의 D/A변환기유닛으로 구성되는 동조전압발생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29도는 제1신호절환회로가 2개의 다이오우드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0도는 제1신호절환회로가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1도는 제2신호절환회로가 2개의 다이오우드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2도는 제2신호절환회로가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3도는 AGC전압홀드수단이 2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콘덴서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4도는 AGC전압홀드수단이 D/A변환기, 저항 및 A/D 변환기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개략블록도.
제35도는 채널선택제어수단을 구성하는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
제36도는 주발진기를 다른 국부발진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일실시예에 의한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회로 2 : 스위프신호발생수단
3,4 : 신호절환회로 5 : AGC전압홀드수단
6 :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 7 : 동조전압발생회로
8 :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 9 : 채널선택제어수단
10 : 채널 선택지령수단 12 : 입력동조회로
13 : 고주파증폭기 14 : 단간동조회로
15 : 혼합기 16 : 국부발진기
32 : 신호레벨제어회로 33 : 주발진기
34 :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
본 발명은 동조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상당히 유용한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신장치중 특히, 버랙터다이오우드를 사용하는 동조회로로 구성되는 수신장치는 각 동조회로에 동일전압을 인가함에 따라서, 버랙터다이오우드간의 용량차로 인하여 각 동조회로의 주파수특성간에는 상단한 차가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중에서 하나는 상기 주파수 특성간의 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동조전압을 각 버랙터다이오우드에 인가함으로써 중간주파수의 출력이 최대화되도록 각 동조회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최적주파수 특성을 가진 동조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특정 구조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 기술은 일본국 특허공보 소 58-18008호에 개시되어 있고, 다니엘듀몽(Daniel Dumont)와 아노닐렌(Arno Neelen)에 의해 쓰여진 IEEEICCE 85 SESSION V-TV SIGNAL PROCESSING II, DIGEST OF TECHICAL PAPERS에 각각 "COMPUTER CONTROLLED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AND TUNER ALIGNMENT"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한 회로구성은 중간주파수의 출력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만 제어하고 출력신호대역내의 최대출력만 추종한다. 결과적으로 각 동조회로의 주파수특성이 출력신호대역내의 이상적 특성과 정확히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없다. 상기 기술이 출력이득과 신호와 잡음의 비(S/N)을 개선한다. 하더라도, 출력신호대역내의 경사진 주파수특성때문에 신호가 왜곡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득제어에 의한 수신가능한 신호대역내의 수신장치의 주파수특성변화와 복수의 주파수에 의한 채널간의 상기 주파수 특성변화를 검출하고, 이어서 주파수특성을 제어하여 최적주파수특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편, 동조소자의 착오를 방지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당히 개략된 성능과 생산성을 가진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소정채널대역의 스위프주파수인 기준신호를 발생하고, 소정채널신호와 기준신호를 절환시키는 신호절환회로를 통해서 수신장치의 입력단자로 상기 기준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수신장치는 상기 기준신호의 출력단자에 출력된 복수의 중간주파수을 신호강도를 검출한 후에, 검출된 신호데이타를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수신장치는 검출된 신호데이타를 목적주파수특성과 비교한다. 그리고, 수신장치는 각 동조회로의 동조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비교에 의해 나타난 차를 최소화시킨다. 동조전압결정후에, 이 전압을 각 동조회로에 출력하고, 기준신호와 소정채널신호간의 절환동작을 행하므로써 상기 수신장치는 절환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시스템을 실현하므로써,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목적 주파수특성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수신가능대역내의 신호의 주파수특성이 상당히 개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장치는 동조소자의 착오, 이득제어중의 주파수특성변화, 및 채널간의 오차에 의한 수신가능대역내의 주파수특성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당히 개략된 성능과 생산성을 특징으로 하는 극히 유용한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는, 소정채널의 신호를 특정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 수단인 수신회로(1)(이하 R-회로로 약칭함)를 도시한다. 상기 R-회로(1)는 입력동조회로(12), 고주파(RF)증폭기(13), 단간 동조회로(14), 혼합기(15) 및 국부발진기(16)로 구성된다. 소정채널 대역의 신호는 입력동조회로(12)를 통해서 고주파증폭기(13)로 출력되고, 이 고주파증폭기(13)에 의해서 신호이득은 AGC전압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증폭신호는 영상대역신호를 제거하는 단간동조회로(14)로 출력되고, 혼합기(15)는 상기신호를 국부발진기(16)의 방진신호와 혼합하고, 이 결과로서 중간주파수신호가 혼합기(15)의 출력단자에서 발생된다. 상기 단간동조회로는 이중동조회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어도 두종류의 동조전압장치가 필요하다.
채널선택지령수단(10)과 채널선택제어수단(9)를 작동하여 동일 동조전압을 입 력동조회로(12), 단간동조회로(14) 및 국부발진기(16)에 인가하므로써 소정채널을 선택한 후에, 선택채널의 신호를 수신한다. 소정채널신호는 단자(11)로부터 수신되고, 이어서 신호절환회로(3)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하여금 R-회로(1)의 신호를 그 다음 R-회로(1)의 입력동조회로(12)로 출력하도록 한다. R-회로(1)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이어서 이 신호는 신호절환회로(4)로 출력된다. 신호절환회로(4)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하여금 R-회로(1)의 신호를 그 다음 중간주파수(IF)증폭기/복조기(6)로 출력하도록 한다. 신호절환회로(4)를 통과한 중간주파수신호는 증폭되어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 의해 검출된 후에 그 다음 신호처리 회로로 출력된다.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서 발생된 AGC전압은 AGC전압홀드수단(5)으로 출력된 후, 고주파증폭기(13) 및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대응하는 AGC전압을 특정시간동안 보유하고, 이어서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하고,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의 신호는 절환되어 R-회로(1)의 입력동조회로(12)로 출력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의해 발생된 소정채널대역의 기준신호는 R-회로(1)로 출력된다. 동시에, AGC전압홀드수단(5)의 전압에 대응하는 특정레벨의 기준신호가 R-회로(1)로 출력된다. R-회로(1)에 출력된 후, 기준신호는 주파수변환되어 신호절환회로(4)로 출력된다. 신호절환회로(4)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써 중간주파수신호가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으로 보내지도록 절환시키고, 중간주파수신호는 검츨신호레벨에 대응하는 DC신호로 변환된다. DC신호는 이진화된 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로 출력된다. 이진화된 DC레벨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선택제어수단(9)는 R-회로(1)에 존재하는 복수의 주파수의 신호레벨을 산정하여 주파수특성을 검출한 후에, 목적주파수특성과의 차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입력동조회로(12)와 단간동조회로(14)의 동조전압을 미소변환시키고, 최종적으로, 변환시킨 동조전압을 동조전압발생회로(7)를 통해서 출력한다.
상기 R-회로(1)의 주파수특성이 목적주파수특성과 여전히 다른 경우에는, 주파수특성이 서로 일치할때까지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계속해서 동조전압을 변화시킨다. 상기 주파수특성이 목적주파수 특성과 정확히 일치하게 되면, 신호절환회로(3) 및 (4)는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방향으로 절환된다. 한편, AGC전압홀드수단(5)은 AGC전압의 보유를 중지하고, AGC전압을 보유하는일 없이 직접 고주파 증폭기(13)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로 출력하고, 이 상태는 소정채널 선택이 다시 시작될때까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장치는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전계강도에 대응하는 특정 AGC전압을 유지하여 복수의 주파수간의 레벨이탈을 비교하기때문에, 단순히 중간주파수신호레벨의 최대점만을 추종하는 종래의 동조전압시스템과 비교할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상당히 개략된 성능으로 소정채널신호를 정확히 수신함은 물론, 각 동조소자가 오차성분과 작용할때 동조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다음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주파수변환수단으로서 소정채널신호를 특정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R-회로를 도시한다. R-회로(1)는 입력동조회로(12), 고주파증폭기(13), 단간동조회로(14), 혼합기(15) 및 국부발진기(16)로 구성된다. 소정채널신호는 입력동조회로(12)를 통해서 고주파 증폭기(13)로 출력된다. 증폭된 후에, 단간동조회로(14)는 영상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한편, 주신호성분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와 혼합기(15)에 의해서 혼합되고, 이 결과 특정중간주파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단간동조회로는 이중동조회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어도 두종류의 동조전압장치가 필요하다.
채널선택지령수단(10)과 채널선택제어수단(9)을 작동하여 동일동조전압을 입력동조회로(12), 단간동조회로(14) 및 국부발진기(16)에 인가하므로써 소정채널을 선택한 후에, 선택채널의 신호를 수신한다.
소정채널신호는 단자(11)로부터 수신되고, 이어서 신호절환회로(3)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하여금 R-회로(1)의 신호를 그 다음 R-회로(1)의 입력동조회로(12)로 출력하도록 한다. R-회로(1)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이어서 이 신호는 신호절환회로(4)로 출력된다. 신호절환회로(4)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하여금 R-회로(1)의 신호를 그 다음 중간주파수(IF)증폭기/복조기(6)로 출력하도록 한다. 신호절환회로(4)를 통과한 중간주파수신호는 증폭되어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 의해 검출된후에 그 다음 신호처리회로 출력된다.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서 발생된 AGC전압은 고주파증폭기(13) 및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대응하는 AGC전압을 특정시간동안 보유하고, 이어서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하고,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의 신호는 절환되어 R-회로 (1)의 입력동조회로(12)로 보내지고, 최종적으로 상기 스위프신호 발생수단(2)에 의해 발생된 소정채널대역의 기준신호는 R-회로(1)로 출력되고, 최종적으로 소정채널대역의 기준신호는 국부발진기의 발진신호의 일부와 R회로(1)에 있는 스위프발진수단(2)인 주발진기의 주파수차를 인가하므로써 발진된다. 동시에, AGC전압홀드수단(5)의 전압에 대응하는 특정레벨의 기준신호가 R-회로(1)로 출력된다. R-회로(1)에 출력된 후, 기준신호는 주파수변환되어 신호전환회로(4)로 출력된다. 신호 절환회로(4)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써 중간주파수신호가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으로 보내지도록 절환시키고, 중간주파수신호는 검출신호 레벨에 대응하는 DC신호로 변환된다. DC신호는 이진화된 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출력된다. 이진화된 DC레벨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R-회로(1)에 존재하는 복수의 주파수의 신호레벨을 산정하여 주파수 특성을 검출한 후에, 목적주파수특성과의 차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입력동조회로(12)와 단간동조회로(l4)의 동조전압을 미소변화시키고, 최종적으로, 변화시킨 동조전압을 동조전압발생회로(7)를 통해서 출력한다. 상기 R-회로(1)의 주파수특성이 목적주파수특성과 여전히 다른 경우에는, 주파수특성이 서로 일치할때까지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계속해서 동조전압을 변화시킨다.
상기 주파수 특성이 목적주파수 특성과 정확히 일치하게 되면, 신호절환회로(3) 및 (4)는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방향으로 절환된다. 한편, AGC전압홀드수단(5)은 AGC전압의 보유를 중지하고, AGC전압을 보유하지 않고 직접 고주파증폭기(13)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하고, 이 상태는 소정채널선택이 다시 시작될때까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전장강도에 대응하는 특정 AGC전압을 유지하여 복수의 주파수간의 레벨이탈을 비교하기 때문에, 단순히 중간주파수신호레벨의 최대점만을 추종하는 종래의 동조전압시스템과 비교할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상당히 개량된 성능으로 소정채널신호를 정확히 수신함은 물론, 각 동조소자가 오차성분과 작용할때 동조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제3도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연속동조제어동작의 설명도이다. R-회로(1)는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한편, 채널선택지령수단(10)으로 부터의 채널(Ch)선택지령수신을 대기하는 시스템인 확인루틴(17)내에 있다. 소정채널신호가 변화되는 경우, 즉 다른 채널로 변화되는 경우에 채널선택지령수단은 이진화된 채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확인 루틴(17)에서 상기 신호를 검출한 후에, 루틴(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소정채널에 대응하는 특정동조전압을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로 출력한다. 루틴(19)으로 들어가면, 채널선택 제어수단(9)은 상기 국부발진기(16)에 인가된 동조전압과 동일한 특정전위를 가지는 동조전압을 입력동조회로(12) 및 단간동조회로(14)에 입력한다. 이로인해 R-회로(1)는 소정채널을 수신하게 되고, 이 결과 혼합기(15)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신호절환회로(4)를 통과하여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 의해서 복조된다. 상기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는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정 AGC전압을 AGC전압홀드수단(5)으로 출력한다.
루틴(20)에 들어가면, AGC전압은 고주파증폭기(13)의 이득과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의 출력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유된다. 이것은 루틴(21)을 동작시켜서, 신호절환회로(3)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절환되고, 마찬가지로 신호절환회로(4)는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으로 절환된다. 루틴(22)에 들어가면, 동조전압발생수단(7)은 특정 동조전압을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출력하여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의 스위프주파수를 발생한다.
이것은 루틴(23)을 동작시키므로써, 입력동조회로(12) 또는 단간동조회로(14)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장치는 입력동조회로(12)를 선택하여 루틴(24)으로 이어진다. 루틴(24)로 들어가면, 입력동조회로(12)로 출력된 동조전압만 소정채널주파수내의 대략 최저주파수레벨로 변화된다. 루틴(25)에 들어가면, 중간주파수신호레벨 검출수단(8)은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는 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소정채널주파수내의 복수의 주파수의 신호레벨을 검출한다. 루틴(26)에 들어가면, 입력동조회로(2)로 출력된 동조전압만 미소 변화되어 루틴(25)에서 행해진 것과 동일한 공정으로 신호레벨이 검출된다.
루틴(25)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을 N-th데이타로 지정하고 루틴(26)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을(N+1)-th데이타로 지정하여, 루틴(28)에서 목적주파수특성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목적주파수특성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루틴(29)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목적주파수특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루틴(25)에서부터 루틴(26)및 (27)을 행한 후에 루틴(28)을 다시 행한다. 루틴(29)에 들어가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입력동조회로(12)에 인가된 이진화동조전압데이타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므로써 입력동조회로(12)용 동조전압의 준비가 완료된다. 그러나, 단간동조회로(14)는 여전히 동조전압을 제공해야하기 때문에, 동작모드는 루틴(30)에서 루틴(23)으로 돌아가고, 단간동조회로(14)의 한 회로를 선택하여 루틴(24)에서 루틴(29)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또,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 동조전압데이타를 메모리에 충분히 기억시킨후에, 확인루틴(30)에서부터 신호절환회로(3) 및 (4)와 AGC전압홀드수단(5)을 소정채널신호수신상태로 하여 각각 소정채널신호를 수신가능하도록 하는 루틴(31)으로 동작을 행하므로써 루틴(17)으로 돌아가게되고, 이 결과,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다음 채널선택지령이 발생될때까지 시스템으로 하여금 준비상태로 있게 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동조제어수단의 확인루틴(28)을 행할때 동일성기준을 지정하는 일실시예에 관한 도표이다. 루틴(25) 및 (26)에서 검출된 N-th데이타 및 (N+1)-th데이타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출력되고,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의 각 중간주파수중 최대치비교 및 두유닛 이상의 주파수의 평탄도 비교를 행한다. 특히, R-회로(1)의 주파수특성의 평탄도 비교는 N-th데이타와(N+1)-th데이타의 최대치로서 독립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N-th데이타의 평탄도가 양호하면 시스템은 N-th데이타를 도입한다. 그러나, N-th데이타의 평탄도가 불량하다고 판정되면, 확인(ID)스텝(2)으로 들어가고, (N+l)-th데이타의 평탄도가 양호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시스템은 N-th 및 (N+1)-th중의 하나를 최대치로 지정하여 도입한다. 그러나, 상기 ID스텝(2)에서도 (N+1)-th데이타가 여전히 불량하다고 판정되면, N-th 및 (N+1)-th데이타는 사용할 수 없는 데이타임이 확인되고, 시스템은 루틴을 계속 행하여 동조전압이 미세변동을 하게 한다.
제5도 내지 제11도는 각각 수신장치의 스위프신호발생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에 도시한 스위프신호발생수단은 주발진기(33)와 신호레벨제어회로(32)로 구성된다. 동조전압발생수단(7)은 특정동조전압을 스위프신호발생수단에 출력하여 주발진기(33)가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의 정확한 스위프주파수를 발진할 수 있게 한다. 발진기(33)의 발진신호는 상기 신호 레벨제어회로(32)로 출력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상기 신호레벨제어회로(32)에 AGC전압을 인가하여 발생신호를 AGC전압에 대응하는 소정레벨로 세트하여 기준신호로서 신호절환회로(3)에 출력한다. 제5도에 도시한 시스템에 의하여 기준신호는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수신장치의 스위프신호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것은 주발진기(33)와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로 구성된다. 동조전압발생수단(7)은 특정동조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주발진기(33)가 중간주파수대역 혹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주파수와 소정채널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는 각각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로 출력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상기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로 특정 AGC전압을 인가하고, AGC전압레벨에 대응하는 특정신호레벨로 세트시켜서 기준신호로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한다. 제6도에 도시한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중간주파수신호를 고정주파수 혹은 스위핑주파수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구조를 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주발진기(33)는 콘덴서(39) 및 코일로 이루어진 평행공진회로(39)를 통해서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전극의 탱크회로로 이루어진 버랙터다이오우드(37)를 가지며, 각각은 접지되어 서로 연결된다. 버렉터다이오우드(37)의 음극은 콘덴서(36)에 의해 접지되는 한편, 동조전압발생수단(7)은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되는 특정동조전압을 저항(35)을 통해서 음극콘덴서접속점에 인가한다. 콘덴서(43) 및 (44)는 실제로 귀환콘덴서이고, 발진주파수는 버랙터다이오우드(37), 콘덴서(43),(44) 및 (39) 그리고 코일(38)에 의해서 결정된다. 저항(41) 및 (45)는 각각 상기 트랜지스터(40)와 바이어스로 걸리게하는 한편,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은 콘덴서(42)를 통해서 접지된다. 발진신호는 DC-저지콘덴서(46)를 통해서 신호레벨제어회로(32)의 다이오우드(48)의 음극으로 인가된다. 다이오우드(48) 및 (49)의 양극은 서로 접속되는 한편, 다이오우드(49)의 음극으로부터의 발진신호는 콘덴서(51)를 통해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55)의 콜렉터전극은 저항(52)를 통해서 다이오우드(48) 및 (49)의 양극의 접속점에 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55)의 베이스전극에는 저항(54)를 통해서 AGC전압홀드수단(5)으로부터 출력된 AGC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55)의 에미터전극은 저항(54)을 통해서 전원에 접속된다. 다이오우드(48) 및 (49)의 음극은 각각 저항(47) 및 (50)을 통해서 접지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으로 부터의 AGC전압에 응동하여, 트랜지스터(55)의 콜렉터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다이오우드(48) 및 (49)의 삽입손실도 변화시키는 결과, 상기 신호절환회로(3)에 출력된 발진신호의 레벨도 변화한다. 제7도에 도시한 시스템의 특징은 간단한 회로구성을 하여 주발진기(33)의 고레벨신호발진시의 효과적인 기능에 있다.
제8도에 도시한 주발진기는 상술한 제7도의 구성 및 기능과 상당히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진신호는 제일 먼저 콘덴서(46)를 통해서 신호레벨제어회로(32)로 출력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61)의 베이스전극으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61)의 에미터 전극은 접지되기 때문에, 저항(60)은 베이스 및 콜렉터전극과 저항(58)과의 사이 및 콜렉터전극과 전원과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트렌지스터(61)의 콜렉터전극은 트랜지스터(56)의 콜렉터전극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6)의 에미터전극은 저항(57)을 통해서 접지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AGC전압을 저항(5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56)의 베이스전극에 인가한다. AGC전압이 증가하면, 트랜지스터(56)의 콜렉터전위는 저하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61)의 전압도 낮아져서 이득이 저하되고, 결국 발진신호는 레벨이 저하되어 신호절환회로(3)으로 출력된다. AGC전압이 높은 경우에, 고주파증폭기(13)의 이득이 증가되어 발진신호의 레벨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AGC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고주파증폭기(13)의 이득도 저하되기 때문에 고레벨의 발진신호가 인가된다. 이 레벨은 소정채널의 신호레벨에 비례한다. 상술한 시스템은 증폭기능을 가진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의 레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방사 및 전파방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9도에 도시한 주발진기(33)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발진기보다 높은 특정주파수대역에서 발진한다. 트랜지스터(66)의 베이스전극은 콘덴서(68)를 통해서 접지되어 콘덴서(67), 동조선(71) 및 버랙터다이오우드(69)로 구성되는 공진회로에 접속된다. 동조전압발생수단(7)은 특정동조전압을 저항(35)을 통해서 콘덴서(67) 및 (68)과 동조선(71)의 접촉점에 출력하고 상기 동조전압은 중간주파수대역 혹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주파수와 소정채널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한다. 콘덴서(64) 및 (65)는 실제로 귀환콘덴서이다. 저항(62) 및 (65)는 각각 트랜지스터(66)와 바이어스로 걸리게하는 한편,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은 콘덴서(63)를 통해서 접지된다. 발진신호는 자기장결합에 의해 동조선(71)으로부터 선(70)에 인가된 후에 DC저지콘덴서(46)를 통해서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73) 및 (74)의 에미터전극은 서로 접속되고, 그 접촉점은 트랜지스터(81)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된다. 한편, 트랜지스터(81)의 에미터전극은 트랜지스터(80)의 에미터전극에 접속되는 반면, 트랜지스터(80)의 콜렉터전극은 접지된다. AGC전압홀드수단(5)은 AGC전압을 저항(5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80)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하여 AGC전압에 대응하는 에미터전류로 하여금 트랜지스터(80)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1)로 흐르게 한다. 국부발진기(16)는 발진신호를 DC저지콘덴서(78)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한다. 트랜지스터(74)의 베이스전극은 콘덴서(72)를 통해서 접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 발진신호와 상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된 국부발진기의 발진신호는 각각 트랜지스터(73) 및 (74)에서 함께 혼합된후에 소정채널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74)의 콜렉터전극으로부터 DC저지콘덴서(51)를 통해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80) 및 (81)의 에미터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는 AGC전압에 의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73) 및 (74)의 에미터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도 변화함에 따라서, 결국 상기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변환이득도 변화한다. 이 결과, AGC전압이 높으면, 에미터전류는 낮아지고, 이로 인해서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변환이득이 저하되는 결과, 기준신호의 레벨도 낮아져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그러나, AGC전압이 낮으면, 기준신호의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서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저항(75) 내지 (77)과 (82) 내지 (84)는 각각 바이어스저항이고, 콘덴서(79)는 고주파수접지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시스템은 평형상태의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방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0도의 주발진기(33)는 제9도에 설명한 발진기와 상당히 동일한 동작을 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는 선(70)으로부터 DC저지콘덴서(46)를 통해서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트랜지스터(74)의 베이스전극에 출력된다. 트랜지스터(73)와 (74)의 에미터전극은 서로 접속되는 한편, 트랜지스터(81)의 콜렉터전극은 상기 에미터전극의 접촉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1)의 에미터전극은 접지되는 한편, 상기 에미터전극은 트랜지스터(73) 및 (74)의 콜렉터전극간의 트랜지스터(85)의 에미터/콜렉터전극에 접속된다. AGC전압홀드수단(5)는 AGC전압을 저항(5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85)의 베이스전극에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85)의 에미터 및 콜렉터의 전위와 상기 트랜지스터(73) 및 (74)의 콜렉터의 전위가 출력된 AGC전압에 응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국부발진기(16)는 발진신호를 콘덴서(78)를 통해서 상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74)의 베이스전극은 콘덴서(72)를 통해서 고주파성분에 접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상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된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73) 및 (74)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 후에 소정채널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특정신호를 발생한다. 이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74)의 콜렉터전극으로부터 DC저지콘덴서(51)을 통해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85)의 에미터 및 콜렉터의 전위는 AGC전압에 의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73) 및 (74)의 콜렉터전위도 변화함으로써, 결국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변환이득이 변화된다. 이 결과, AGC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및 에미터간의 전압이 전방으로 상당하게 바이어스로 걸리기때문에 트랜지스터(74)의 콜렉터전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변환이득이 저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준신호의 레벨이 증가된 후에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그러나 AGC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기준신호레벨이 증가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저항(75) 내지 (77)과 (82) 내지 (84)는 각각 바이어스저항이다. 상술한 시스템은 평형상태의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방해방지에 효과적이다.
제11도의 주발진기(33)는 제9도의 발진기와 상당히 동일한 동작을 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는 선(70)으로부터 DC저지콘덴서(46)을 통해서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의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73)과 (74)의 에미터전극은 서로 접속되는 한편, 트랜지스터(81)의 콜렉터전극은 상기 에미터전극의 접촉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1)의 에미터전극은 접지되는 한편, 트랜지스터(73)의 콜렉터전극은 다이오우드(87)의 음극에 접속된다. 콘덴서(86)은 상기 다이오우드(87)의 양극과 상기 트랜지스터(84)의 콜렉터전극간에 접속된다. AGC전압 홀드수단(5)은 AGC전압을 저항(53)을 통해서 상기 다이오우드(87)의 양극으로 출력하므로써 상기 다이오우드(87)의 양극전위가 인가된 AGC전압에 응하여 변화하도록 한다. 한편, 국부발진기(16)는 발진신호를 DC저지콘덴서(78)를 통해서 상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한다. 상기 트랜지스터(74)의 베이스전극은 고주파성분에 접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된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상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된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73) 및 (74)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다. 이 결과, 소정채널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트렌지스터(74)의 콜렉터전극으로부터 DC저지콘덴서(51)를 통해서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제11도에 도시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AGC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다이오우드(87)는 전방으로 상당하게 바이어스가 걸리게되어 상기 다이오우드(87)를 통해서 흐르는 신호의 손실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서, 혼합에 의해서 발생된 트랜지스터(74)의 콜렉터전극의 소정채널주파수대역의 신호는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결국 기준신호는 레벨이 저하되어 신호절환회로(3)로 출력된다. 그러나, AGC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기준신호의 레벨이 상승하기 때문에, 시스템으로 하여금 소정채널신호레벨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저항(75) 내지 (77)과 (82)내지 (84)는 각각 바이어스저항이다. 제11도에 도시한 시스템은 평형상태 신호레벨제어형 혼합기(34)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파방해방지에 효과적이다.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이용되는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신호(89)는 R-회로(1)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를 표시한다. 신호(90)는 상기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서 출력된 기준신호를 표시한다. 신호(91)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를 표시하고, 신호(88)는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를 표시한다.
주발진기(33)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의 신호를 발진한다. 발진신호레벨은 AGC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기준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는 고정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위핑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는 중간주파수대역에서 나타난다. 스위핑주파수신호의 폭 및 속도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동일하지만, 주파수는 역방향으로 스위핑된다. 제12도에 도시한 주파수관계는 소정채널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직접 발진하기 때문에 전파방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신호(88) 내지 (91)에 의거한 도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소정채널주파수대역내의 신호를 발진한다. 발진신호의 레벨은 AGC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이 신호는 기준신호로 이용된다.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발진하기 때문에 고정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는 중간주파수대역에서 나타난다.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동일한 폭, 속도 및 방향의 스위핑주파수를 가진다. 제13도에 도시한 주파수관계는 소정채널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직접 발진하기 때문에 전파방해가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중간주파수신호는 고정주파수를 포함하기 때문에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의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제14도 내지 17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대한 주파수관계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제14도에서, 신호(88)는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를 표시한다. 신호(89)는 R-회로(1)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를 표시한다. 신호(90)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서 출력된 기준신호를 표시하고, 신호(91)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를 표시한다.
주발진기(33)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중간주파수대역내의 신호를 발진한다.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는 고정주파수의 인가에 의해서 발진한다. 두 발진기의 발진신호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다. 본 시스템은 적용된 주파수의 특이한 신호를 상당히 포함하는 기준신호를 이용한다. 이 결과, R-회로(1)는 스위핑 주파수를 포함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발진한다. 상기 중간주파수신호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동일한 폭, 속도, 및 방향의 스위핑주파수를 가진다.
상술한 시스템은 중간주파수대역의 소정채널대역내의 임의주파수를 주발진기(33)의 발진주파수와 대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주파수를 중간주파수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제15도의 신호(89) 내지 (91)은 제14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는 소정채널주파수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주파수대역의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발진한다.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는 고정주파수의 인가에 의해서 발진한다. 두 발진신호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다. 본 시스템은 인가된 주파수의 특이한 신호를 상당히 포함하는 기준신호를 이용한다. 이 결과, R-회로(1)은 스위핑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중간주파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간주파수신호는 주발진기(33)의 발진신호와 동일한 폭, 속도 및 방향의 스위핑주파수를 가진다. 그러나, 주파수는 발진기(33)의 발진주파수와 반대방향으르 스위핑된다.
제15도에 도시한 주파수관계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중간주파수대역의 소정채널대역내의 임의주파수를 주발진기(33)의 발진주파수와 대치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5도에 도시한 시스템은 주발진기(33)의 발진주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단편대역의 폭이 좁아져서 상기 발진기(33)의 구성이 용이해진다.
제16도의 신호(88) 내지 (91)은 제14도에 도시한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는 특정중간주파수대역의 고정주파수인가에 의해서 발진한다. R-회로(1)의 국부발진기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발진한다. 두 발진신호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다. 본 시스템은 인가된 주파수의 특이한 신호를 상당히 포함하는 기준신호를 이용한다. 이 결과, R-회로(1)는 스위핑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중간주파수신호를 발진한다.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와 기준신호의 스위핑주파수의 폭, 속도 및 방향은 서로 동일하다.
제16도에 도시한 주파수관계에 있어서, 주발진기(33)는 고정주파수에 의해 발진하고 채널선택에 사용된 국부발진의 주파수를 스위핑하므로써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주발진기(33)와 국부발진기(l6)의 신호발진이 반드시 동시에 일어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중간주파수신호로서 고정주파수가 이용되기 때문에 스위프신호발생수단(2)과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의 구성이 용이 하다.
제17도의 신호(88) 내지 (91)은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발진기(33)은 소정채널주파수와 국부발진기(16)의 발진주파수의 합에 대응하는 특정주파수대역의 고정주파수인가에 의해서 발진하고, R-회로(1)의 국부발진기(16)는 스위핑주파수에 의해서 발진한다. 두 발진신호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의해서 함께 혼합된다. 이 특이한 주파수신호는 기준신호로서 이용할 수있다. 이 결과, R-회로(1)는 스위핑주파수를 포함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출력한다.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와 기준신호의 스위핑주파수의 폭 및 속도는 동일하고 스위핑방향만 반대이다. 중간주파수신호의 스위핑주파수의 폭과 속도는 기준신호의 2배인 한편, 스위핑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제17도에 도시한 주파수관계에 있어서, 주발진기(33)는 고정주파수에 의해서 발진하고 채널선택에 이용된 국부발진기(16)의 주파수를 스위핑하므로써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주발진기(33)와 국부발진기(16)의 신호발진이 동시에 일어나야하는 필요성이 제거되는 결과,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의 구성이 용이하다. 또한, 중간주파수신호의 스위핑주파수의 폭이 2배로 넓어지기 때문에,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의 주파수해상도가 상당히 개량된다.
제18도 내지 제26도는 각각 본 발명의 수신장치의 단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주파수가 변환된 기준신호에 의해 발생된 특정중간주파수신호는 제일먼저 신호절환회로(4)로부터 추출되어 샘플링필러(93)로 출력되고, 이어서 목적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주파수만 여파된다. 이 신호는 검출기(94)로 출력된 후에, 중간주파수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정 DC전압으로 전환된다. 이 전압은 A/D변환기(92)로 출력된 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 처리가능하도록 이진화신호로 변환된다.
목적주파수가 발생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변환기(92)로 출력하여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탈부호신호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8도에 도시한 회로는 A/D변환기(92)의 제어에 의해서 목적주파수에 도달되었을 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한 회로는 샘플링필터를 절환하는 기구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9도는 제12도, 제14도, 제15도 및 제17도에서 설명한 주파수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된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개략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서로 평행하게 접속된 목적주파수에 접합한 복수의 주파수고정형필터(95)로 구성되고, 연속적으로 목적주파수를 여파한다. 여파주파수는 검출기(94)로 출력되고, 이어서 필요한 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징 DC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DC전압은 A/D변환기(92)로 출력된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 처리가능하도록 이진화신호로 변환된다.
목적주파수에 도달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변환기(92)로 인가하여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을 행한다. 제19도에 도시한 회로는 샘플링필터를 절환하지 않고 A/D변환기를 제어하므로써 목적주파수에 도달하였을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간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도는 제13도 및 제1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 주파수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된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개략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고정주파수의 신호를 샘플링하는 주파수고정형 필터(96)로 구성된다. 여파된 주파수는 검출기(94)로 출력되고, 이어서 필요한 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정 DC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DC전압은 A/D변환기(92)로 출력된 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서 처리가능한 이진화신호로 변환된다. 기준신호주파수가 목적주파수에 도달하면, 채널선택제어(9)는 제어신호를 A/D변환기(92)로 출력하여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을 행한다. 제20도에 도시한 회로는 A/D변환기의 제어에 의하여 목적주파수에 도달되었을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은 샘플링필터의 절환기구보다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또한, 샘플링필터는 주파수고정형 필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회로는 상당히 간단하다.
제21도는 제12도 내지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 주파수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된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목적주파수에 적합한 복수의 주파수가 변형필터(97)로 구성되고, 목적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샘플링한다. 여파된 샘플신호는 검출기(94)로 출력된고, 이어서 필요한 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정 DC전압으로 변환된 후에 수신된 신호를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 처리가능한 이진화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출력된다.
목적주파수에 도달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변환기(92)로 출력하여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을 행한다. 제21도에 도시한 회로는 기준신호가 A/D변환기의 제어에 의해 정확히 목적주파수가 되었을 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샘플링필터절환수단보다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샘플링필터(93)는 주파수가 변형필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중간주파수신호로서 고정주파수와 스위핑주파수중 어느것을 사용하더라도 완전히 동일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22도는 제1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 중간주파수신호레벨검출수단(8)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복수의 톱니모양필터(95)로 구성되고, 각각은 목적하는 복수의 주파수만을 여파하는 특성을 가진다.
신호절환회로(4)는 특정중간주파수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으로 출력한다. 이 신호는 샘플링필터(93)으로 인가된후에 비교신호의 목적하는 복수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특정중간주파수신호가 여파된다. 여파신호는 검출기(94)로 출력되고, 다이오우드(100) 및 (101)에 의해 정류된 중간주파수신호는 콘덴서(102) 및 저항(98)에 의해서 특정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DC 변환신호는 A/D 변환기(92)에 의해서 상기 DC 전압에 대응하는 이진화신호로 전환된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출력된다. 목적주파수는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특정동조전압을 인가하는 상기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서 내부적으로 검출된다. 목적주파수에 도달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 변환기(92)에 인가한후, 중간주파수신호레벨에 대응하는 특정 DC 전압을 수신하여 이진화신호로 변환시킨다. 제22도에 도시한 회로는 샘플링필터를 절환하지 않고 A/D 변환기를 제어하므로써 목적주파수에 도달되었을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당히 간단한 회로구성이 가능하다.
제23도는 제20도에 도시한 회로에 의거하여 설명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중간주파수대역의 고정주파수를 여파하는 특성을 가지는 톱니모양필터(96)로 구성된다. 신호절환회로(4)는 고정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중간주파수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의 샘플링필터(93)로 출력한다. 샘플링필터(93)는 목적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기준신호에 적합한 모든 중간주파수신호를 여파한다. 여파신호는 검출기(94)로 출력되고, 다이오우드(100) 및 (101)에 의해서 정류된 중간주파수신호는 콘덴서(102) 및 저항(98)에 의해서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DC 변환신호는 A/D 변환기에 의해서 DC 전압에 대응하는 이진화신호로 변환된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출력된다. 목적주파수는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동조전압을 인가하는 상기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서 내부적으로 검출된다.목적주파수에 도달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 변환기(92)로 출력하고, 이어서 중간주파수신호레벨과 일치하는 수신된 DC 전압을 이진화신호로 변환된다. 제23도에 도시한 회로는 샘플링필터를 사용함과 동시에 A/D 변환기제어에 의해서 목적주파수에 도달되었을때의 특징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회로구성이 상당히 간략화 될수 있다.
제24도는 제21도에 도시한 회로에 의거하여 설명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샘플링필터(93)는 동조동작용코일(104) 및 버랙터다이오우드(105)를 사용하여 동조회로를 구성하는 주파수가변형필터(97)로 구성된다. 상기 주파수가변형필터(97)는 특정동조전압을 버랙터다이오우드(105)의 음극에 인가한후에 목적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여파한다. 여파신호는 검출기(94)로 출력되고, 다이오우드(100) 및 (101)에 의해서 정류된 중간주파수신호는 콘덴서(102) 및 저항(98)에 의해서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DC 변환신호는 A/D 변환기(92)에 의해서 DC 전압에 대응하는 이진화신호로 변환된후에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출력된다. 기준신호의 목적주파수는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동조신호를 인가하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에 의해서 내부적으로 검출된다. 목적주파수에 도달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A/D 변환기(92)로 출력하고, 중간주파수신호레벨과 일치하는 수신된 DC 전압은 이진화신호로 변환된다. 제24도에 도시한 회로는 A/D 변환기(92)의 제어에 의해서 기준신호가 목적주파수에 근접할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회로의 구성이 샘플링필터절환수단보다 상당히 간단하다. 또한, 샘플링필터(93)는 주파수가변형필터(97)이기때문에, 중간주파수신호로서 고정주파수와 스위핑주파수중 어느것을 사용하더라도 회로를 동일하게 구성할수 있다.
제25도는 제12도 내지 제17도에서 설명한 주파수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A/D 변환기(107)는 신호절환회로(4)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를 이진화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틀필터(108)은 기준신호의 목적주파수에 대응하는 중간주파수대역의 특정주파수만을 샘플링하여 채널선택제어회로(9)로 출력한다. 제25도에 도시한 회로는 목적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샘플링하는 디지틀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회로시스템에 반도체도입이 가능하고, 또한 목적주파수는 회로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변화시킬수 있다.
제26도는 제12도 내지 제17도에서 설명한 주파수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신호절환회로(4)가 중간주파수신호를 출력하면, CCD 필터(109)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한후에 기준신호의 목적주파수에 대응하는 중간주파수대역의 특정주파수를 샘플링한다. A/D 변환기(107)는 목적주파수의 도달이 확인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샘플링된 신호를 이진화신호로 변환시켜서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출력한다. 제26도에 도시한 회로는 목적주파수신호를 샘플링하는 CCD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반도체도입이 가능하고, 또한 목적주파수는 회로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변화시킬수 있다.
제27도 및 제28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동조전압발생수단의 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제27도를 참조하면, 동조전압발생수단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채널선택제어수단(9)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레지스터(112)로 하여금 동조전압에 의한 이진화신호를 홀드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제어신호는 레지스터(112)로 하여금 동조전압에 의한 이진화신호를 홀드하도록 한다. 레지스터(112)가 홀드상태에 있을때 상기 신호가 D/A 변환기(111)로 출력되면, 시스템은 이진화신호와 정확히 일치하는 특정동조전압을 발생하여 이 동조전압을 트랜지스터(114)의 베이스전극에 출력시킨후 트랜지스터(114)로 하여금 에미터폴로워로서의 기능을 하게하여 저항(116)을 통해서 동조회로에 출력한다. 레지스터(112), D/A 변환기(111) 및 트랜지스터(114)로 구성되는 회로(117)는 각 동조회로에 접속된다. 각 회로는 레지스터(112)로 하여금 동조전압에 의한 이진화신호를 홀드하게 하여서 이 신호가 각각 동조전압을 출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제27도에 도시한 참조번호(110)는 전원단자를 표시하고, 참조번호(113) 및 (115)는 각각 바이어스저항을 표시한다. 제27도에 도시한 회로는 각 동조회로용 레지스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레지스터(112)에 의해서 이진화신호가 일단 홀드되면, 동조전압은 그 다음과정에서 변화시킬때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7도에 도시한 회로구성은 반도체수단도입에 충분히 적합하다.
다음은 제28도에 도시한 동조전압발생수단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트랜지스터(120)를 온 및 오프하는 제어신호와 레지스터(112)로 이진화동조전압을 출력하는 한편, 레지스터(112)로 하여금 이진화동조전압데이타를 홀드하게 한다. 이 홀드상태중에 상기 데이타가 D/A 변환기(111)로 출력되면, 이진화신호와 일치하는 동조전압이 발생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114)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이로인해서 트랜지스터(l14) 및 (120)의 에미터전극이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119)는 콜렉터전극과 트랜지스터(120)의 접지간에 접속된다. 콘덴서(119)는 트랜지스터(l20)가 온상태에 있을때 충전되고, 트랜지스터(120)이 오프상태에 있을때는 상기 충전된 전압이 보유된다. 이결과, 상기 전압은 동조전압으로서 저항(116)을 통해서 동조회로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120)와 콘덴서(119)로 구성되는 회로(118)는 각 동조회로에 접속된다. 이진화동조전압데이타는 레지스터(112)로 출력되고, 이이서 D/A 변환기(111)에 의해서 특정DC 전압으로 변환된후에, 이 DC 전압은 이 DC 전압에 대응하는 특정동조전압이 필요한 동조회로에 접속된 회로(118)의 트랜지스터(120)를 일시적으로 활성화시키므로서 콘덴서(119)에 충전된다. 특정동조전압이 각 동조회로에 출력된 후에, 동조전압은 콘덴서(119)보다 방전상수가 작은 각 동조회로에 출력되어서 동조전압의 변동이 방지된다. 참조번호(113),(115) 및 (121)은 각각 바이어스저항을 나타낸다. 제28도에 도시한 회로는 특정동조전압을 각 동조회로에 연속적으로 출력할수 있도록 한다. 이결과, 동조전압이 레지스터수단에 의해서 확실하게 홀드되기만 하면, 동조전압을 다시 변화시킬때까지 그 변동량을 최소로 유지할수 있다. 또한, 제28도의 회로는 각각 필요한 수만큼의 레지스터 및 D/A 변환기를 사용함은 물론, 각 동조회로는 극히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트랜지스터 및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28도에 도시한 회로의 구조를 반도체수단의 도입에 충분히 적합하다.
제29도 및 제30도는 각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신호절환회로(3)의 개략블록도이다. 제29도의 회로도에 있어서, 소정채널신호는 입력단자(11)에서 수신되고, 이어서 DC 저지콘덴서(123)을 통해서 다이오우드(124)의 양극으로 출력된다. 한편,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부터의 기준신호는 DC 저지콘덴서(131)를 통해서 다이오우드(122)의 양극으로 출력된다. 바이어스전류는 저항(132), 초우크코일(126) 및 (127)을 통해서 다이오우드(124)로 출력된다. 저항(128)은 초우크코일(127)과 저항(132)의 접속점 및 트랜지스터(129)의 베이스전극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29)의 콜렉터전극은 초우크코일(130)을 통해서 다이오우드(122)의 양극에 접속된다. 다이오우드(122) 및 (124)의 음극은 각각 서로 접속되는 한편, 초우크코일(126)은 두음극 및 접지의 접촉점간에 접속된다. 이 접촉점은 DC 저지콘덴서(125)를 통해서 R-회로(1)에 접속된다. 따라서, 채널선택제어회로(9)가 트랜지스터(129)를 오프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면, 다이오우드(124)는 접속되고 다이오우드(122)는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단자(11)로부터 소정채널신호를 R-회로(1)에 인가하도록 한다. 그러나, 채널선택제어회로(9)가 트랜지스터(129)를 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다이오우드(122)는 접속되고 다이오우드(124)는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은 기준신호를 R-회로(1)로 출력하여 신호를 절환하도록 한다. 제29도에 도시한 시스템은 2개의 다이오우드유닛만을 사용하여 신호를 효과적으로 절환하는 간단한 회로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제30도에 도시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소정채널신호는 입력단자(11)에서 수신되고, 이어서 DC 저지콘덴서(123)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8)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한편,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은 기준신호를 DC 저지콘덴서(131)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7)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한다. 트랜지스터(137) 및 (138)의 에미터전극은 서로 접속되고, 이 전극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141)의 콜렉터전극과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일정한 바이어스전류가 일정전압조정전원(143)과 바이어스저항(142)을 통해서 트랜지스터(141)로 출력됨에 따라서, 일정전류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저항(139)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7)의 베이스전극에 인가한다. 채널선택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도 저항(140)을 통해서 트랜지스터(133)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되는 한편, 트랜지스터(133)의 콜렉터전극은 트랜지스터(138)의 베이스전극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133)의 콜렉터전극은 저항(134)를 통해서 전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1)의 콜렉터전극은 DC 저지콘덴서(125)를 통해서 R-회로(1)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채널선택제어수단(9)이 트랜지스터(133)을 오프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트랜지스터(133)의 콜렉터전위가 증가하여 트랜지스터(138)을 온하고 트랜지스터(137)을 오프함에 따라서, 소정채널신호가 입력단자(11)로부터 R-회로(1)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채널선택제어수단(9)이 트랜지스터(129)를 온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면, 트랜지스터(138)는 오프하고 트랜지스터(137)를 온함에 따라서, 기준신호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부터 R-회로(1)로 출력되도록 하여서 신호를 절환시키도록 한다. 제30도의 회로시스템은 단지 트랜지스터와 저항만으로 전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본 시스템은 반도체수단을 도입하여 집적회로를 구성하는데 충분히 적합하다.
제31도 및 제32도는 각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신호절환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제31도에 있어서, R-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는 DC 저지콘덴서(125)를 통해서 다이오우드(122)의 음극으로 출력된다. 다이오우드(124)의 양극은 DC 저지콘덴서(123)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 접속되고, 다이오우드(122)의 양극은 DC 저지콘덴서(131)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에 접속된다. 다이오우드(124)는 저항(132)과 초우크코일(126) 및 (127)로부터의 바이어스전류를 수신한다. 저항(128)은 초우크코일(127)과 저항(132)간의 접속점 및 트랜지스터(129)의 베이스전극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29)의 콜렉터전극은 초우크코일(130)을 통해서 다이오우드(122)의 양극에 접속된다. 다이오우드(122)및 (124)의 음극은 서로 접속되고, 초우크코일(126)은 상기 음극의 접속점과 접지간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채널선택제어수단(9)이 트랜지스터(129)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다이오우드(124)는 접속되고, 다이오우드(122)는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R-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를 DC 저지콘덴서(123)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채널선택제어수단(9)이 트랜지스터(129)를 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다이오우드(122)는 접속되고 다이오우드(124)는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R-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를 DC 저지콘덴서(131)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으로 출력하도록 하여서 신호를 전환시키도록 한다. 제31도에 도시한 회로시스템은 단지 2개의 다이오우드유닛을 사용하여 신호절환을 행하므로써 극히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2도에 있어서, 수신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는 DC 저지콘덴서(14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41)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138)의 콜렉터전극은 DC 저지콘덴서(146)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 접속된다. 한편, 트랜지스터(137)의 콜렉터전극은 DC 저지콘덴서(147)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137) 및 (138)의 에미터전극은 서로 접속된다. 이 에미터전극의 접속점은 일정전압조정전원(143)과 바이어스저항(144)로부터의 바이어스전류를 일정하게 수신하는 트랜지스터(141)의 콜렉터전극에 접속되어 일정한 전류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제어신호를 저항(139)을 통해서 트랜지스터(137)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하는 한편, 채널선택제어수단(9)의 제어신호는 저항(140)을 통해서 트랜지스터(133)의 베이스전극으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133)의 콜렉터전극은 트랜지스터(138)의 베이스전극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3)의 콜렉터전극은 저항(134)을 통해서 전원에 접속된다. 한편, 트랜지스터(141)의 베이스전극은 DC 저지콘덴서(145)를 통해서 R-회로(1)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채널선택제어수단(9)은 트랜지스터(133)를 오프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콜렉터전위가 증가하여 트랜지스터(138)를 온하고 트랜지스터(137)를 오프함에 따라서, R-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를 DC 저지콘덴서(146)를 통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채널선택제어수단(9)이 트랜지스터 (133)를 온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면, 트랜지스터(138)은 오프하고 트랜지스터(137)은 온하게 됨에 따라서 R-회로(1)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를 DC 저지콘덴서(147)을 통해서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으르 출력하도록 하여 신호절환동작을 행하게 한다. 제32도에 도시한 회로시스템은 트랜지스터와 저항만을 사용하여 전체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본 회로시스템은 반도체수단을 도입하여 집적회로를 구성하는데 충분히 적합하다.
제33도 및 제34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AGC 전압홀드수단의 개략블록도이다. 제33도에 있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에서 출력된 AGC 전압은 채널선택제어수단(9)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온 및 오프하는 트랜지스터(153)의 에미터전극으로 출력된다.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동안, 트랜지스터(153)는 온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 트랜지스터는 채널선택수단으로부터 채널선택제어수단(9)로의 채널선택신호의 출력이 완료된후에는 동조전압이 세트될때까지 온프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153)가 온상태로 유지되는동안, 콘덴서(151)는 AGC 전압에 비례하는 특정 DC 전압으로 충전된다. 트랜지스터(153)이 오프상태로 되면, AGC 전압홀드수단은 트랜지스터(153)이 오프상태로 되기직전의 전압을 홀드한다. 콘덴서(151)는 그 전압을 트랜지스터(148)의 베이스전극에 출력하는 한편, 이 전압은 에미터폴로워로서 작용하는 상기 트랜지스터(148)의 에미터전극으로부터 저항(149)를 통해서 고주파증폭기(13)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되는 반면에, 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9)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변하는 AGC 전압은 고주파증폭기(13)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인가한다. 트랜지스터(153)가 오프상태로되면, AGC 전압홀드수단은 트랜지스터(153)가 오프상태로 되기직전의 전압을 홀드한다. 이로 인해서 시스템은 일정한 전압을 고주파증폭기(13)와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에 인가한다. 제33도에 도시한 회로시스템은 2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콘덴서를 이용하여 특정 AGC 전압을 확실하게 홀드하기 때문에 회로구성의 간략화에 극히 효과적이다.
제34도에 있어서, 중간주파수증폭기/복조기(6)로부터 출력된 특정 AGC 전압은 A/D 변환기(156)에 의해서 이진화신호로 변환되고, 이어서 레지스터(155)로 출력되어 레지스터(155)의 내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AGC 전압이 일정하게 홀드되면, 상기 레지스터(155)의 데이타가 유지된다. 레지스터(l55)로부터 출력된 데이타신호는 D/A 변환기(154)에 의해서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된후에, 고주파증폭기(13) 및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된다. 제34도에 도시한 회로시스템은 이진화 AGC 전압데이타를 홀드하는 레지스터수단을 이용한다. 본 회로는 외부조건의 변화로인한 AGC 전압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35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채널선택제어수단의 개략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의한 수신장치를 동작하는 동조제어공정은 이진화데이타로 변환되어 비소멸성메모리(164)에 기억된다. 상기 데이타에 따르는 시스템의 전소자는 기억된 동조제어공정에 관계한다. 채널선택지령수단(10)으로부터 출력된 이진화채널제어신호는 입력완충게이트(157)를 통해서 데이타수신레지스터 1(159)로 출력된다. 한편, 동조제어공정에 따르는 동작회로(163)는 데이타수신레지스터 1(159)의 데이타를 판독한후에 2진화동조전압데이타신호를 신호출력레지스터 2(1 62)로 출력하고, 이어서 이 데이타신호를 출력완충게이트(158)을 통해서 국부발진기(16), 입력동조회로(12) 및 단간동조회로(14)로 출력한다. 이들 회로에 출력된 동조전압데이타는 소멸성메모리(165)에 기억된다. 그다음에, 채널선택제어수단은 이진화제어신호를 신호출력데이터 1(1 61)로 출력한다. 이것은 AGC 전압홀드수단(5)을 제어하여 AGC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채널선택제어수단(5)은 이진화제어신호롤 신호출력레지스터 1(161)로 출력하여 신호절환회로(3) 및 (4)를 절환시킨다. 또, 채널선택제어수단은 동조전압을 신호출력레지스터 2(162)로 출력하여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선택제어수단은 제어신호를 신호출력레지스터(1)로 출력하여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을 제어한다. 채널선택제어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신호들은 각각 출력완충게이트(158)를 통해서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된다. 각 동조회로의 선택, 동조전압의 출력 및 미세변동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행한다.
그다음에, R-회로(1)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는 중간주파수신호 레벨검출수단(8)에 의해서 이진화신호로 변환된후에 입력완충게이트(157)를 통해서 신호입력레지스터 2(160)로 출력한다. 동작회로(163)는 이진화중간주파수신호를 목적주파수특성과 비교하여 동조전압을 변화시키므로써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한 순차적인 동작을 수행하여 최적주파수특성을 발생시킬수 있다. 최적주파수특성이 성취되면, 채널선택제어수단은 비소멸성메모리(164)로 하여금 각 동조회로에 출력된 동조전압에 의한 데이타를 기억하게 한다. 이어서 채널선택제어수단은 소정채널신호를 정확히 수신하는 상태로 신호절환회로(3) 및 (4)와 AGC 전압홀드수단(5)을 세트한다.
제35도에 도시한 회로시스템은 비소멸성메모리의 데이타를 변화시키므로써 동조제어공정을 용이하게 변화시킨다. 본 회로시스템은 반도체수단을 도입하여 직접회로를 구성하는데 충분히 적합하다.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신장치 전회로의 개략블록도이다. 단자(166)는 입력단자(11)로부터 출력된 채널대역과 구별되는 특정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절환회로(3) 및 (167), 입력동조회로(12) 및 (168), 고주파증폭기(13) 및 (169), 단간동조회로(14) 및 (17 0), 및 혼합기(15) 및 (171)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제공한다. 국부발진기(16)의 발진신호에 의한 단자(11)로부터의 소정채널신호는 혼합기(15)에 의해서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스위프신호발생수단(2)의 발진기의 발진신호에 의한 단자(166)으로부터의 소정채널신호는 혼합기(171)에 의해서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된다.
결과적으로, 단자(11)로부터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국부발진기(16)는 소정채널선택용으로 이용할수 있다. 그러나, 단자(166)으로부터 소정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스위프발생수단(2)의 발진기는 그 자체가 국부발진기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국부발진기(16)는 스위프신호발생수단의 발진기로서 이용할 수있다. 제3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회로구성은 복수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유닛의 동조전압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부가발진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채널선택용이 아닌 국부발진기를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제2실시예의 회로와 비교할때 제36도의 회로구성은 상당히 간략화될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다양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그러한 모든 수정은 후술하는 청구범위 포함되도록 시도하고 있다.

Claims (7)

  1.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신호의 주파수를 동조하는 적어도 한개의 동조회로(12),(14)와, 상기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기(13)와,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기(16)와, 주파수동조된 고주파신호와 상기 국부발진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발생하는 혼합기(15)로 구성하고 있는 수신부(1)와,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6)과,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신호발생수단(2)과,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상기 고주파신호로서 출력하는 수단(3)과, 상기 동조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수신부의 주파수특성을 변환시키는 전압발생수단(7)과,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복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수신부의 주파수특성을 얻는 검출수단(8)과, 그리고 상기 전압발생수단(7)을 통하여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과 상기국부발진기(16)를 제어하므로서 수신장치의 작동을 조정하는 주파수특성으로, 상기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국부발진신호중에서 하나의 주파수를 스위프하며, 상기 기준신호와 다른 국부발진신호중에서 다른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서 상기 수신부의 주파수특성이 상기 수신부로부터 스위핑주파수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주파수신호의 응답으로 나타나며,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수신부의 주파수특성과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비교하여 오차를 검출하며, 상기 수신부의 주파수특성을 변환하는 상기 전압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오차를 충분히 제거할때까지 상기 오차를 감소시키는 채널선택제어수단(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채널선택신호를 수신할때에 복조수단(6)에서 발생하는 AGC 전압을 유지하며, 주파수특성을 조정하는 동안 유지된 AGC 전압신호를 상기 고주파증폭기(13)로 출력하여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이득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AGC 전압홀드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주파수특성을 조정하는 동안에 상기 AGC 전압홀드수단(5)이 유지된 AGC 전압신호를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으로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상기 채널선택신호와 동일한 레벨로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은 상기 채널선택신호의 주파수대역내에서 상기 전압발생수단(7)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는 발진기(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은 상기 전압발생수단(7)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주파수를 제어하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33)와, 상기 발진신호와 상기 국부발진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얻을수 있는 혼합기(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내에 있는 상기 발진기(33)가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대역내에서 발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발생수단(2)내에 있는 상기 발진기(33)가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대역과 상기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와의 합계의 범위내에서 발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860005347A 1985-07-02 1986-07-02 수신장치 KR900008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550585A JPH067645B2 (ja) 1985-07-02 1985-07-02 受信装置
JP60-145513 1985-07-02
JP60-145505 1985-07-02
JP14551385A JPH067646B2 (ja) 1985-07-02 1985-07-02 受信装置
JP145505 1985-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711A KR870001711A (ko) 1987-03-17
KR900008184B1 true KR900008184B1 (ko) 1990-11-05

Family

ID=2647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347A KR900008184B1 (ko) 1985-07-02 1986-07-02 수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0909A (ko)
EP (1) EP0208470B1 (ko)
KR (1) KR900008184B1 (ko)
CN (1) CN1009890B (ko)
DE (1) DE367862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720A (en) * 1987-09-17 1992-07-28 Amskan Limited Signal locating apparatus
KR930007300B1 (ko) * 1989-11-29 1993-08-04 삼성전기 주식회사 더블 콘버젼(Double Conversion) 튜너의 자동 동조방법
EP0540908B1 (en) * 1991-11-04 1997-01-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uning calibration of electronically tuned filters
US5842119A (en) * 1993-02-05 1998-11-24 Emerson; Harry Edwin Radio scanner and display system
US5621767A (en) * 1994-09-30 1997-04-15 Hughes Electronics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on a carrier signal by dividing frequency band into segments for segment signal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ng better signal quality segment
US5613230A (en) * 1995-06-09 1997-03-18 Ford Motor Company AM receiver search tuning with adaptive control
US5701600A (en) * 1995-07-17 1997-12-23 Motorola, Inc. Radio receiver and method of calibrating same
JPH09181572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機の自動同調装置
KR100201836B1 (ko) * 1996-09-30 1999-06-15 전주범 튜닝 포인트 제어장치 및 튜닝 포인트 제어 기능을갖는 동조회로
US7050778B1 (en) 2000-09-18 2006-05-23 Broadcom Corporation Direct conversion turner
DE10106071C1 (de) * 2001-02-09 2002-07-1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Fernsehempfänger
JP2003064593A (ja) * 2001-08-24 2003-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抄紙用フォーマ
KR100423400B1 (ko) * 2001-11-21 2004-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Cmos 소자를 이용한 직접변환방식 튜너
KR100446078B1 (ko) * 2002-07-08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자동이득 제어장치
US7702306B2 (en) 2003-08-28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 oscillator calibration in mixer circuits
US7620382B2 (en) * 2005-06-09 2009-11-17 Alps Electric Co., Ltd. Frequency converter capable of preventing level o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rom lowering due to rise in tempera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6397C2 (de) * 1978-12-28 1983-06-0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chaltungsanordnung zur Erzielung eines Gleichlaufs zwischen der Oszillatorfrequenz und der Resonanzfrequenz des Eingangskreises eines Überlagerungsempfängers.
JPS5643809A (en) * 1979-09-19 1981-04-22 Hitachi Ltd Automatic gain controller
US4334323A (en) * 1980-09-08 1982-06-08 Zenith Radio Corporation Self tracking tuner
JPS5818008A (ja) * 1981-07-27 1983-02-02 Dowa:Kk 熱発電素子気化バ−ナ
DE3242965C1 (de) * 1982-11-20 1984-05-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Abstimmeinheit fuer Geraete der Nachrichtentechnik
DE3303711C2 (de) * 1983-02-04 1985-01-2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Abstimmeinheit für Geräte der Nachrichtentechnik
US4654884A (en) * 1984-05-10 1987-03-31 Alps Electric Co., Ltd. Radio receiver with switching circuit for elimination of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8470A2 (en) 1987-01-14
US4780909A (en) 1988-10-25
EP0208470B1 (en) 1991-04-10
DE3678629D1 (de) 1991-05-16
CN1009890B (zh) 1990-10-03
KR870001711A (ko) 1987-03-17
EP0208470A3 (en) 1988-12-14
CN86104232A (zh) 1987-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184B1 (ko) 수신장치
US6731349B1 (en) Tuner with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frequency band
US6392715B1 (en) UHF/VHF turner
JPH0210604B2 (ko)
KR960008953B1 (ko) Am 라디오 수신기
KR940005371B1 (ko) 국부 발진기
US5841326A (en) Integrated oscillation circuit used for frequency conversion circuit
US5203032A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US3946329A (en) Electronic automatic frequency tuning system
KR960009970B1 (ko) 트랙킹 특성이 개선된 동조 장치
US4056787A (en) Self-oscillating mixer circuit
US3949306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with frequency conversion
US4731592A (en) Voltage controllable oscillator
US7088984B2 (en) Electronic tuner
KR960003169B1 (ko) 발진기 장치
KR900005463B1 (ko) 위상 고정루프 동조시스템
US6914639B2 (en) Combination tuner capable of receiving television signal and FM signal
US3886467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US7177622B2 (en) Digital tuner
US3548315A (en) Compensated vhf-uhf automatic gain control delay system
US2811636A (en) Frequency converter and local oscillator with series connected space current paths
JP3120909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US3094662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S3792359A (en) High frequency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JPS6174412A (ja) テレビジヨンチユ−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