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08B1 -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08B1
KR900007108B1 KR1019870006685A KR870006685A KR900007108B1 KR 900007108 B1 KR900007108 B1 KR 900007108B1 KR 1019870006685 A KR1019870006685 A KR 1019870006685A KR 870006685 A KR870006685 A KR 870006685A KR 900007108 B1 KR900007108 B1 KR 90000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phase
spee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093A (ko
Inventor
기요시 오오다
카즈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531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9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05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48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096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9479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8Controlling the angular speed together with angular position or phase
    • H02P23/186Controlling the angular speed together with angular position or phase of one shaft by controlling the prime mo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11B15/473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완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 실시예의 작동을 예시한 타이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 실시예의 작동을 예시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회전검출기 3 : 속도비교회로
4 : 위상비교회로 5 : 위상신호발생회로
6 : 합성회로 7 : 모우터구동회로
8 : 타이밍발생회로 9 : 시각발생회로
11 : 래치회로 17 : 리세트신호 출력회로
18 : 발진회로 19 : 주파수구동회로
20 : 속도검출기 21 : 위상검출기
39,40 : 제한회로 41 : 펄스발생회로
54 : 리세트신호 발생회로 67 : 가산회로
68 : 데이터확인회로 70 : 논리역전회로
71 : 동기카운터회로 72 : 저역필터회로
76 : 인버어터 79 : D형 플립플롭
80 : T형 플립플롭 81 : EX-OR회로
82 : 위상비교회로
본 발명은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이후 VTR로 줄인다) 및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이후 DAT로 줄인다)에 사용되는 실린더모우터와 캡스턴모우터에서 요구되는 초정밀회전제어를 위하여 모우터의 위상제어가 필요하다. 종래의 모우터 위상제어장치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모우터의 회전속도는 회전속도검출기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더우기 속도검출회로에 의해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속도검출회로에서의 전압신호는 모우터를 구동하도록 가산기를 경유하여 직류증폭기에 전송된다. 다시말하면, 속도제어는 모우터에 인가된다. 한편, 모우터의 회전위상은 회전위상검출기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가산기를 경유하여 위상검출회로에 전송된다. 위상검출회로는 증폭기에 의해 종폭된 회전위상신호와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전압신호는 보상회로를 경유하여 가산기에 전송된다. 이러한 단계에 의해, 모우터는 위상기준신호로 위상제어를 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위상이 인입되도록 요구되는 시간이 위상제어시스템의 응답시간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더욱 빠른 위상인입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모우터의 위상제어에 있어서 위상인입시간을 짧게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하기 적합한 모우터와, 모우터의 속도신호와 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전검출기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속도신호와 목표값 사이의 속도차이신호를 생성하기위한 속도비교회로와, 기준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리세트할 수 있는 위상신호발생회로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위상신호와 위상신호발생회로에서의 기준위상 사이의 위상차이신호를 발생하고, 모우터의 회전속도가 전술한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 위상신호 발생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 신호에 응하는 위상비교회로와, 위상비교회로에서의 위상차이신호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회로와, 합성회로의 출력에 응하여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구동회로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언급된 구조의 수단에 의해, 모우터의 위상에 따른 기준위상신호를 리세트함에 의해 위상제어 인입시간을 짧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위상제어장치가 VTR 또는 DAT의 실린더모우터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경우, 한가지 모우드에서 다른 모우드로 전이한 후 빠르게 소리를 끄집어 내는 것이 가능하고, VTR 또는 DAT의 캡스턴모우터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경우, 궤도변위없이 스톱 또는 플레이모우드 후 연속적인 기록이 실현되는장점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모우터(1)의 회전속도와 회전위상은 회전검출기(2)에 의해 검출되어 속도신호와 위상신호로서 각각 출력된다. 속도비교회로(3)는 회전검출기(2)에서의 속도신호와 목표값을 비교함에 의해 속도차이신호를 생성하여 합성회로(6)에 출력한다. 위상비교회로(4)는 회전검출기(2)에서의 위상신호와 위상신호발생회로(5)에 의해 발생된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이를 검출하고, 합성회로(6)에 위상차이신호를 출력한다. 위상비교회로(4)는 또한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에 응하여 위상신호발생(5)를 리세트하기 위한 리세트신호를 출력한다. 합성회로(6)는 구동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속도차이신호와 위상차이신호를 합성한다. 모우터구동회로(7)는 구동명령신호에 응하여 모우터(1)를 구동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한 회로구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회전검출기(2)는 모우터(1)의 회전사이클에 비례하는 주기를 가지는 펄스, 즉 속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속도검출기(20)와, 모우터(1)의 일회전사이클당 일펄스, 즉 위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검출기(21)로 구성된다.
속도비교회로(3)는 타이밍발생회로(8), 시각발생회로(9), 카운터회로(10) 및 래치회로(11)로구성된다.
타이밍발생회로(8)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22), AND회로(23) (24) (25) 및 RS플립플롭(26)으로 이루어 진다. 카운터회로(10)는 초기값 발생회로(27), AND회로(28) 및 부하단자가 있는 카운터회로(29)로 이루어진다.
시프트레지스터회로(22)는 제3도 c 및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검출기(20)에서의 속도신호(제3도a)를 시프트하도록 시각발생회로(9)의 출력시간(제3도b)에 의해 작동된다. AND회로(23)(24) 및 (25)는시프트레지스터회로(22)의 출력으로부터 각각 래치신호(제 3도e), 부하신호(제 3도f) 및 개시신호(제 3도g)를 생성한다.
RS플립플릅{26}은 래치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개시신호에 의해 세트된다. 따라서, RS플립플릅(26)의 출력은 제3도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속도신호가 "H"로 되면(이후, 신호의 고레벨은 "H"로 표시되고, 저fp벨은 "L"로 표시), RS플립플롭(26)의 출력은 "L"이 되고, 시각발생회로(9)로부터의 시각을 수용하는 AND회로(28)의 출력 또한 "L"이되어서, 카운터회로(29)의 카운트가 멈추게 된다. 래치회로(11)내에, 카운터회로(29)의 카운트값이 AND회로(23)로부터의 래치신호에 의해 래치된다. 카운터회로(29)는 AND회로(24)에서의 부하신호에 의해 초기값 발생회로(27)의 출력값을 부가한다. RS플립플롭(26)은 AND회로(25)에서의 개시신호에 의해 세트되어서, 카운터회로(29)는 AND회로(28) 출력의 카운트를 다시 개시한다. 제3도i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속도신호의 펄스의 각 경우에, 래치회로(11)는 시각발생회로(9)의 출력에 의해 카운트되는 속도신호의 주기값을 래치한다.
위상비교회로(4)는 위상차이출력회로(82) 및 리세트신호 출력회로(17)로 구성된다. 위상차이출력회로(82)는 타밍발생회로(13), 시각발생회로(14), 카운터회로(15) 및 래치회로(16)로 이루어진다. 리세트신호 출력회로(17)는 제한회로(39) (40) 및 펄스발생회로(41)로 이루어 진다. 타이밍발생회로(13)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30)(31), AND회로(32)(33)(34) 및 RS플립플롭(35)으로 구성된다.
시프트레지스터회로(30)는 위상신호발생회로(5)에서의 위상기준신호(제4도a)를 시프트하도록 시각발생회로(14)의 출력시각에 의해 작동된다. 시프트레지스터회로(30)에서의 출력(제4도b,c)은 RS플립플릅(35)에서 세트한 출력신호(제4도d)를 가지는 AND회로(32)로 입력된다. 제4도e에 RS플립플롭(35)의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AND회로(37)는 플립플롭(35)의 출력에 응하여 카운터회로(38)에 시각발생회로의 출력을 통하여서, 카운터회로(38)는 카운트를 개시한다. 시프트레지스터회로(31)는 위상검출기(21)에서의 위상신호(제4드f)를 시프트하도록 시각발생회로(14)의 출력시각에 의해 작동된다. AND회로(33)(34)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31)의 출력으로부터 제4도g 및 h로 도시된 타이밍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AND회로(33)의 출력은 카운터회로(38)의 시각을 멈추도록 RS플립플롭(35)을 리세트함과 동시에 래치신호(16)로 입력되어서, 래치회로(16)는 카운터회로(38)의 카운트값을 래치한다. AND회로(34)의 츌력에 응하여, 초기값 발생회로(36)에서의 초기값은 카운터회로(38)에 부가된다. 따라서, 래치회로(16)는 위상기준신호와 위상신호 사이의 위상차이에 상당하는 위상차이신호를 래치하고, 합성회로(6) 및 제한회로(40)에 위상차이신호를 출력한다.
제한회로(39)는 두개의 입력단자 DA 및 DB에서의 신호값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회로(43)(44)로 구성되고, DA에서의 신호가 DB, 기준값 발생회로(44) 및 AND회로(45)의 신호보다 커질 경우, "H" 레벨신호를 출력한다. 기준값 발생회로(44)는 비교기회로(42)의 DB단자에 저단제한값 및 비교기회로(43)의 DA단자에 상단제한값을 출력한다.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은 비교기회로(42)의 DA단자 및 비교기회로(43)의 DB단자로 입력되고, 저단제한값과 상단제한값을 비교한다. 비교기회로(42) 및 (43)의 출력을 수용하는 AND회로(45)의 출력은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값이 저단제한값과 상단제한값 사이가 되면 "H"로 된다.
제한회로(40)는 상기 언급한 비교기회로(42)(43)와 동일한 비교기회로(46)(47)와, 기준값 발생회로(48) 및 OR회로(49)로 구성된다. 기준값 발생회로(48)는 비교기회로(46)의 DA단자에 저단제한값 및 비교기회로(47)의 DB단자에 상단제한값을 출력한다. 래치회로(16)의 출력은 비교기회로(46)의 DB단자 및 비교기회로(47)의 DA단자로 입력되고, 저단제한값과 상단제한값을 비교한다. OR회로(49)의 출력은 래치회로(16)의 출력값이 저단제한값보다 작아지거나 상단제한값보다 커질 경우, "H"로 된다.
펄스발생회로(41)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51) 및 AND회로(50)로구성된다. 시프트레지스터회로(51)는 리세트입력이 "L"이 되므로 보통 출력 NQ는 "H"를 유지한다.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이 기준값 발생회로(44)에 의해 세트되는 범위내일 경우와 래치회로(16)의 출력이 기준값 발생회로에 의해 세트되는 범위내일 경우에는, AND회로(50)의 출력은 ''H"로 되어서(제 5도f) 시프트레지스터(51)는 AND회로(33)의 출력(제5도d)에 응하는 시프트작동을 개시한다. 제5도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프트레지스터회로(51)의 출력 NQ이 제2시프트작동에서 "L"이 된다. 출력 NQ는 AND회로(50)를 통하여 시프트레지스터회로(51)의 리세트단자에 리세트된 리세트신호로서 위상신호발생회로(5)에 가해진다.
위상신호발생회로(5)는 리세트단자를 가지는 주파수구동회로(19)와 발진회로(18)로 구성된다. 발진회로(18)의 출력(제5도b)은 주파수구동회로(19)에 의해 분리되고, 분리된 신호는 위상기준신호로서(제5도c)입력된다. 리세트단자에서 리세트신호를 수용한 후, 주파수구동회로(19)에서의 위상기준신호는 모우터(1)의 위상신호와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관계가 위상제어의 목표값이 되도록 세트된다.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과 위상비교회로(4)의 출력은 합성회로(6)에서 합성된다. 합성회로(6)에서 합성된 출력에 의해, 모우터구동회로(7)는 모우터(1)를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모우터(1)가 멈춘상태거나 어떠한 속도에서 회전하는 상태에서 전술한 속도에서 회전하도록 위상이 제어된 상태로 변하고, 속도제어의 인입은 제한회로(39)에 의해 검출되고, 위상제어가 릴리이스된 상태는 제한회로(40)에 의해 검출되며, 위상신호발생회로의 위상기준신호는 모우터(1)의 위상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그러므로, 위상인입은 순간적으로 완성된다.
시프트레지스터(51)의 카운트수가 2로 세트될지라도, 카운트수는 위상시스템의 응답에 의해 임의로 세트된다.
상기의 실시예는 예를 들면 VTR 또는 DAT의 실린더모우터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6도는 제1도의 상세한 회로구조의 제2실시예이고,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회전검출기(2)는 속도신호로서 모우터(1)의 회전사이클에 비례하는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검출기(73)와, 속도검출기(73)의 출력을 분리하고, 위상신호로서 분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분리회로(74)로 구성된다.
위상비교회로(4)는 타이밍발생회로(52)와,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이 상술한 범위내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한회로(53)와, 리세트신호 발생회로(54)와, 래치회로(55)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밍발생회로(52)는 발진회로(56), 시프트레지스터회로(57) 및 AND회로(58)로 구성된다.
제한회로(53)는 두개의 입력단자 DA 및 DB 각각에서 입력되는 신호값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회로(60)(61)로 구성되고, DA에서의 신호가 DB, 기준값 발생회로(59) 및 AND회로(62)보다 클 경우 "H"(고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제한회로의 작동은 상술한 제한회로(39)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리세트신호 발생회로(54)는 위상제어 초기신호에 응하여 "L"을 출력하고 위상제어 멈춤신호에 응하여 "H"를 출력하는 RS플립플롭회로(83)와, AND회로(63)로 구성된다.
VTR 또는 DAT에 있어서, 플레이모우드 동안, 위상제어는 기록테이프에서 재생된 신호를 사용하여 모우터에 영향을 미치지만, 신호가 재생되지 않은 REC(레고드)모우드 동안, 모우터 회전검출의 출력에 의해 위상제어를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빠른 위상인입을 실행하도록 후자의 위상제어를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스톱모우드에서 REC모우드(REC스위치를 누름에 의해)로 시프트되는 경우이거나 플레이모우드에서 REC모우드(연속기록스위치를 누름에 의해)로 시프트되는 경우, 위상인입이 신속하게 완성된다. 위상제어 초기신호 및 위상제어 멈춤신호는 모우터의 회전검출기의 출력을 사용하는 위상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이다. 이러한 두가지 위상제어신호는 VTR 또는 DA'T의 전체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된다. 대안으로, 위상제어 초기신호는 REC 또는 연속기록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스위치 작동 검출신호이고, 위상세어 멈춤신호는 멈춤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스위치 작동 검출신호이다.
위상신호발생회로(5)는 명확한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발진회로(66)와, 초기값 발생회로(64)와, 리세트신호발생회로(54)에서 리세트신호에 응하여 초기값 발생회로(64)의 출력을 부가하고 발진회로(66)의 출력시각을 카운트하는 카운터회로(65)로 구성된다.
시프트레지스터(57)는 발진회로(56)의 출력시각에 응하여 위상신호(제 7도a)를 시프트한다. 제 7도b,c에 시프트레지스터회로(57)의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AND회로(58)는 시프트레지스터회로(57)의 출력에 따라 제7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신호를 출력한다.
제한회로(53)는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값이 상단제한값과 저단제한값 사이에 기준값 발생회로(59)에 의해 세트될 경우 "H" 레벨신호를 출력한다.
회전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한 위상제어상태인 시프트는 위상제어 초기신호에 응하여 발생한다. 먼저, 위상제어 초기신호의 입력전, 즉 위상제어 멈춤신호의 입력 후, RS플립플릅회로(83)의 출력은 "H"이고, AND회로(63)는 제7도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세트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터회로(65)는 위상시스템의 기준사이클과 카운터의 일회전시간이 같은 때에 발진회로(66)의 출력시각의 카운트를 실행한다. 리세트신호에 의해 리세트될 경우, 카운터회로의 카운트값은 위상제어의 작동에 있어서 중간값이 되도록 초기값 발생회로(64)에 의해 세트된다. 즉, 위상제어가 필요없게 되면, 위상신호(제7도a)의 각각의 입력에 응하여 카운터회로(65)의 카운트값은 초기값 발생회로(64)의 출력값에 세트되고 래치회로(55)에 의해 래치되어서 위상비교회로(4)의 출력은 상수값이 된다. 카운더회로(65)의 카운트값은 제7도g에 도시되어 있고 래치회로(55)의 출력값은 제7도h에 도시되어 있다.
위상제어 초기신호(제7도e)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 RS플립플롭회로(83)의 출력은 "L"이 되어서, AND회로(63)의 출력인 리세트신호는 "L"이 되고, 그후 제7도f에 도시된 바와 같이 "L"로 유지된다. 따라서,카운터회로(65)는 초기값 발생회로(64)의 출력값을 부가하지 않고, 발진회로(66)의 출력시각의 카운트를 계속한다. 래치회로(55)는 AND회로(58)(제 7도d)의 출력에 응하여 카운터회로(65)의 카운트값을 래치하고, 합성회로(6)에 래치된 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값은 카운터회로(65)의 일회전주기에서 위상차이를 나타낸다. 카운터회로의 상태는 제7도g에 도시되어 있고, 래치회로의 출력값은 제7도h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위상제어 초기신호에 응하여 위상제어신호에 시프트함에 있어서, 카운터회로(65)의 중간값으로의 인입은 순간적으로 완성된다.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과 래치회로(55)의 출력 이 합성회로(6) 내에서, 가산되고, 펄스폭변조를 받고, 저역필터회로를 통과한다. 이러한 결과의 구성과 작용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합성회로(6)는 가산회로(67)와, 데이타확인회로(68)와, 타이밍발생회로(69)와, 펄스폭변조데이타를 역전하기 위한 논리역전회로(70) 와, 동기카운터회로(71)와, 저역필터회로(72) 로 구성된다.
데이타확인회로(68)는 타이밍발생회로(69)의 출력신호에 응하는 래치회로(73)(74)와, 각각의 값이 다를경우 래치회로(73)(74)의 래치된 값과 출력"L"을 비교하는 비교회로(75)로 구성된다.
속도비교회로(3)의 출력과 래치회로(55)의 출력은 가산회로(67)에서 가산되고, 가산된 값은 동기카운터회로(71)와 데이타확인회로(68)에 입력된다. 제8도a에 가산회로(67)의 출력값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타는 '00'H(16진법)와 'FF'H 사이에 8비트길이의 데이타로 가정한다. 데이타확인회로(68)는 가산회로(67)의 출력데이타가 변할 경우 "L"을 출력하고, 그대로 유지된 경우(제8도b)"H"를 출력한다. 타이밍발생회로(69)는 제8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신호와 부하신호를 출력한다. 8비트길이의 데이타인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신호는 시각의 28주파수이다. 동기카운터회로(71)는 데이타확인회로(68)의 출력이 "H"일 경우만, 제8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ND회로(77)로부터의 부하신호에 응하여 가산회로(67)의 출력값을 부가하고, 제8도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발생회로(69)에서 시각출력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예로 부가된 8비트 데이타는 제8도e에 '40'H(16진법)로 도시되어 있다. 동기카운터회로(7l)의 효과적인 출력때문에, 그 카운트데이타의 비트-9 데이타가 선택되는 것이 제8도f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출력(제 8도f)은 동기카운터회로(71)에 입력된 데이타의 펄스폭변조데이타이고, EX-OR회로(81)에 응답한다.
데이타확인회로(68)의 출력이 "L"이 될 경우, 부가신호는 동기카운터회로(71)에 입력되지 않아서, 동기카운터회로(71)는 카운트 작동을 계속한다. 한편, 데이타확인회로(68)의 출력은 인버어터(76)을 통하여 AND회로(78)에 응답하기 때문에, D형 플립플롭(79)에 의해 래치되는 AND회로의 출력은 "H"로 되어서, T형 플립플롭(80)의 출력논리는 역전된다. 제8도g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제8도h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OR회로(81)의 출력은 역전되고, 앞서의 펄스폭은 유지된다. 그러므로, 펄스폭변조출력신호는 데이터의 변화와 동시에 교란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카운터회로(71)에 입력된 데이타의 비트수는 8비트가 되도록 세트되어 있다. 그러나, 속도비교회로(3)와 위상비교회로(4)의 출력의 데이타 길이로 나타나는 비트수로 제한되는 것은아니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VTR 또는 DAT의 캔스턴모우터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Claims (10)

  1. 모우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속도신호와 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전검출기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속도신호와 속도목표값 사이의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속도비교회로와, 위상기준신호를 발생하기위한 리세트할 수 있는 위상신호발생회로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위상신호와 위상신호발생회로에서의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이신호를 출력하고,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에 따라 위상신호발생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와 위상비교회로에서의 위상차이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회로와, 합성회로의 출력에 따라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구동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2. 모우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속도신호와 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전검출기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속도신호와 속도목표값 사이의 속도차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속도비교회로와, 위상기준신호를 발생하기위한 리세트할 수 있는 위상신호발생회로와, 회전검출기에서의 위상신호와 위상신호발생회로에서의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이출력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에 따라 위상신호발생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신호 출력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와 위상차이출력회로에서의 위상차이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회로와, 합성회로의 출력에 따라 모우터를 구동하기위한 모우터구동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비교회로는 속도신호에서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타이밍발생회로와, 일정한 사이클로 시각을 발생하기 위한 제1시각발생회로와, 제l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제1시각발생회로에서의 시각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는 제1카운터회로와, 제1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제1카운터회로의 카운트값을 래치하는 제1래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위상차이출력회로는 위상신호와 위상기준신호에서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타이밍발생회로와, 일정한 사이클로 시각을 발생하기 위한 제2시각발생회로와, 제2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제2시각발생회로에서의 시각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는 제2가운터회로와, 제2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제2카운터회로의 카운트값을 래치하는 제2래치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신호발생회로는 규정된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발진회로와, 리세트신호에의해 리세트되어 있고, 위상기준신호를 얻도록 발진회로의 출력을 분활하는 리세트할 수 있는 주파수분리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신호 출력회로는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제2차이신호가 규정된 범위내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한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가 위상신호발생회로에 러세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규정된 범위내에 있음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위상인입을 완성하도록 모우터의 위상신호에 위상기준신호를 모우터의 위상신호에 위상기준신호를 새팅하는 제한회로에 의한 검출에 응하는 펄스발생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신호 출력회로는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가 제1규정범위내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1제한회로와, 위상차이출력회로에서의 위상차이신호가 제2규정범위내인지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2제한회로와, 속도차이신호가 제1규정범위내에 있는 제1제한회로 및 위상차이신호가 위상기준신호를 리세트하도록 위상신호발생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규정범위밖에 있는 제2제한회로에 의한 검출에 응하는 펄스발생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창치.
  7. 모우터의 회전사이클에 비례하는 사이클을 가진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전검출기와, 회전검출기에서의 펄스신호와 목표값 사이의 차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속도비교회로와, 명확한 주파수에서 발진하기위한 발진회로와, 초기값을 발진하기 위한 초기값 발진회로와, 초기값 발진회로에서의 초기값을 발진하고, 발진회로의 출력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회로와, 속도검출기에서의 위상신호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차이신호에 따라 카운터회로에 차이신호를 출력하고, 카운터회로의 카운트값을 래치하기 위한 위상비교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차이신호와 래치회로의 출력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회로와, 합성회로의 출력에 따라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구동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비교회로는 회전검출기에서의 펄스신호로부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타이밍발생회로와, 일정한 사이클로 시각을 발생하기 위한 시각발생회로와,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시각발생회로로부터 시각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회로와,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카운트회로의 카운트값을 래치하기 위한 래치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비교회로는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차이신호가 규정범위내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한회로와, 회전검출기에서의 펄스신호로부터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타이밍발생회로와, 한계회로에 의한 검출과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위상제어가 효과가 없을 경우만 카운터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리세트신호 발생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10. 모우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속도신호와 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전검출기와, 속도신호와 속도목표값 사이의 속도차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속도비교회로와, 위상기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세트할 수 있는 위상신호발생회로와, 위상신호와 위상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이 신호를 생성하고,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에 따라 위상신호발생회로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회로와, 속도비교회로에서의 속도차이신호와 위상비교회로에서의 위상차이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회로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타이밍발생회로와,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여 가산회로의 출력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타확인회로와, 부하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된 입력신호를 역전하기 위한 테이타확인회로의 출력과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에 응하는 논리역전회로와, 타이밍발생회로에서의 타이밍신호를 카운트하고, 동기카운터회로의 출력신호가 입력신호로서 입력되는 논리역전회로에서의 부하신호에 응하여 가산회로의 출력값을 부가하는 동기카운터회로와, 논리역전회로의 출력신호를 부드럽게하기 위한 저역필터회로와, 논리역전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구동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제어장치.
KR1019870006685A 1986-06-30 1987-06-30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KR900007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157 1986-06-30
JP61153157A JPS638914A (ja) 1986-06-30 1986-06-30 制御回路
JP170053 1986-07-18
JP17005386A JPH0754894B2 (ja) 1986-07-18 1986-07-18 パルス幅変調回路
JP61210961A JPS6369479A (ja) 1986-09-08 1986-09-08 位相制御回路
JP210961 198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093A KR880001093A (ko) 1988-03-31
KR900007108B1 true KR900007108B1 (ko) 1990-09-28

Family

ID=2732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685A KR900007108B1 (ko) 1986-06-30 1987-06-30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36B1 (ko) * 1999-08-13 2002-06-12 김영우 문합 수술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093A (ko) 198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0546A2 (en) Variable speed playback controller for a video tape recorder
US4278924A (en) Digital servo apparatus
EP0104931B1 (en) A digital capstan servo circuit
KR900007108B1 (ko) 모우터의 위상제어장치
EP0103028A1 (en) Speed control circuit for motor
US4795950A (en) Phase controller for motor
JPH0570982B2 (ko)
US4562394A (en) Motor servo circuit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746727B2 (ja) 位相同期回路、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4238720A (en) Equipment for the electronic speed control of an induction type motor, especially for use with data store motors
KR100294377B1 (ko) 기준신호발생장치
JPH01307317A (ja) Pll回路
KR940007622B1 (ko) 고속 서어치시 드럼회전 방향절환 제어회로
JPH077543B2 (ja) 電子編集サーボ装置
JPS5873049A (ja) 電子編集における位相整合方式
JPS648951B2 (ko)
GB2218829A (en) A circuit for controlling a drive motor in a tape recorder
SU1210139A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 скорости
JPH0319632B2 (ko)
JPS6225256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1917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003471B2 (ja) クロック切替回路
JPS63216113A (ja) デジタルサ−ボ装置
JPH0818052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399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