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07Y1 -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07Y1
KR900007107Y1 KR2019880001632U KR880001632U KR900007107Y1 KR 900007107 Y1 KR900007107 Y1 KR 900007107Y1 KR 2019880001632 U KR2019880001632 U KR 2019880001632U KR 880001632 U KR880001632 U KR 880001632U KR 900007107 Y1 KR900007107 Y1 KR 900007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casing
terminal
resistance
resistan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175U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 주식회사
이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 주식회사, 이우용 filed Critical 동아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07Y1/ko
Publication of KR890018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8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R.P.M)조정용 저항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 저항기의 외관 사시도.
제3도 (a)는 제2도의 Ⅰ-Ⅰ선 단면도, (b)는 (a)도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항기 2 : 저항기케이싱
5 : 지지클램프 6 : 방열휜(FIN)
8a,8b : 저항코일 일측단자 8a',8b' : 저항코일 타측단자
12,12' : 저항코일 14 : 공간구획부
16 : 판상휴즈 18 : 솔더
본 고안은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 회전(R.P.M)조정용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저항기 외부케이싱을 외표면에 방열휜(FIN)을 갖는 구조의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함과 아울러, 케이싱내에 매설되는 저항코일에는 일정 온도에서 용융되는 솔더를 융착시켜 단락부를 형성하여, 저항기 과열시 솔더에 의한 단락부를 사건 단락되게 함에 의해 냉갈휀 구동용 모우터의 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휜에 의한 저항기의 방열효과를 개량한 자동차 냉각 휀 구동모우터의 회전조정용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항기는, 외부 케이싱이 열보존율이 매우 높은 세라믹 재질의 유기 물질로 되어 전표면이 매끄럽게 구성됨과 아울러, 그 케이싱내에 매설되는 저항코일에는 단락부가 없이 전원선과 직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장시간 사용으로 저항기 자체에 과열(Over Hent) 형상이 일어날시에는 그 고열이 저항기가 부착되는 수지재의 라디에이터지지율을 녹게하며, 또한 저항기 자체가 열에 의해 녹은 지지틀에 달라붙게 되므로 인해, 지지틀과 아울러 저항기가 손상을 입게된다고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저항기의 코일에는 저항기가 심하게 과열될시 이를 사전방지하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를 않아서, 저항기 과열시 그 열이 저항기와 직속된 라디에이터 냉각휀 구동용 모우터에 전달되어져, 모우터를 소손(燒損)시킨다고 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밖에 저항기를 과열상태로 방치하면 주변 배치된 부품들까지에도 악영향을 주어 정상적인 차량주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케 한다고 하는 문제들도 유발되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 제반결점들을 해소코져 안출한 것으로, 저항기의 과열을 사전 차단하여 과열로 인한 모우터 소손방지와 아울러, 인접 배치된 자동차 부품들에게도 전연 악영향을 비치지 않도록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저항기 케이싱 몸체의 방열 효과를 개선하여 저항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저항기 지지틀에 전연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그밖에, 저항기에 매설된 저항코일과 접속되는 전원선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토록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파손이 잘되고 열보존율이 높은 유기질의 세라믹재로 성형한 케이싱과, 그 케이싱내에 매설되는 저항코일로 부터 구성되는 통상의 저항기에 있어서,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후면을 제외한 전표면에 걸쳐서 일정 간극을 두고 다수개의 빙열휜을 돌설한 알루미늄재의 케이싱 몸체를 형성하고, 케이싱 몸체 내측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저항코일을 절연물로 매설하며, 절연물이 충전되지 않은 구획공간내로 연장된 저항코일의 일측단자에 걸쳐 판상휴즈를 반구상으로 하여 위치시킨후, 일측은 단자에 고착하되 타측은 고온에서 용융점을 갖는 솔더로서 융착하여 단락부를 이루게 접속하며, 케이싱 몸체 전면상단에는 전원선 지지용 클램프를 착설한 저항기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고안의 기술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후면을 제외한 전표면에 걸쳐서 방열휜(6)…을 일정간격을 두고 돌설한 알루미늄재의 케이싱(2) 몸체를 형성하고, 그 케이싱(2) 몸체 내측에는 한쌍의 저항코일(12)(12')을 간격을 두고 위치 시킨 후 절연물(10)을 충전하여, 그 절연물(10)이 저항코일(12)(12')의 양측단자(8a)(8a), (8b)(8b')일부만을 제외하고 완전히 감싸도록 하였다.
상기 케이싱(2)몸체내의 절연물(10)이 충전되지 않은 공간구획부(14)내로 연장된 저항코일(12)(12')의 일측 단자(8a)(8b)에 걸쳐서는 판상휴즈(16)를 이용하여 단자(8a)와 (8b)를 연결 접속하되, 판상휴즈(16)의 일측은 저항코일(12')의 일측단자(8a)와 완전 고정 접속하는 반면, 판상휴즈(16)의 타측은 저항코일(12)의 일측단자(8b)에 위치 시킨후 고온(대략 230℃)에서 용융되는 용융점(Melting Point)를 갖는 솔더(18)을 사용하여 융착함에 의해 단락부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저항코일(12)(12')의 일측 양단자(8a)(8b)를 연결하는 판상휴즈(16)는 반구상을 이루도록하여 접속한다. 이는 단자(8b)와 판상휴즈(16)를 접속케하는 솔더(18)가 용융될 시 판상휴즈(16)가 단자(8b)로 부터 신속하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탄력성을 부여키 위해서이다.
또한, 케이싱(2)몸체 전면측 상단 부위에는 고정나사(3)로서 착탈가능케 고정되는 지지클램크(5)를 착설하여, 저항코일(12)(12')의 타측단자(8a')(8b')와 접속되어 외부로 길게 연장되는 전원선(20)(20')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튜브(22)(22')를 견고하게 지지토록 함에 의해, 전원선(20)(20')이 좌.우로 요동되어 저항코일(12)(12')의 타측단자(8a')(8b')로 부터 용이하게 단락되는 일이 없도록 한 저항기(1)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7)(27')는 저항기(1)를 라디에이터(23)의 지지틀(25)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나사(미도시) 체결용 구멍, (28a)(28a), (28b)(28b')는 단자 지지플레이트, (30)은 열감지센서, (32)는 열감지센서(30)와 상호관련작동되게 접속시킨 바이메탈, (34)는 센서(30) 및 바이메탈(32)에 의해 작동되는 절환스위치, (35)는 구획판, (36)은 엔진, (37)(37')(37")는 전원 연결선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 저항기(1)는 일반적으로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내에 연결되어져 사용된다.
자동차의 저속으로 장시간 주행은 저항기(1)자체에 걸리는 과부하로 인해, 저항기(1)로 하여금 과열현상을 유발케하는 원인으로 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 저항기(1)는 케이싱(2)몸체를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외표면에 다수개의 방열휜(6)…을 돌설배치하고 있으므로, 종래 저항기 케이싱을 열보존성이 높은 유기질의 세라믹 재질로 하여 외표면 또한 매끄럽게 성형고 있으므로 인해, 저항기가 과열시 그 고열이 직접 라디에이터(23)의 지지틀(25)에 용이하게 전열되어져서 그 수지재의 지지틀(25)를 녹이게 하는 등의 악영향을 끼치었던 것에 비하여, 방열휜(6)…으로써 케이싱(2)몸체가 라디에이터 지지틀(25)을 과 직접 접촉됨이 없도록 간격을 유지케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을 적게하여 주며, 한편으로는 방열휜(6)…을 통해 저항기(1)의 코일(12)(12')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신속하게 방열토록 하기 때문에, 저항기(1)로 부터의 고열로 인해 수지재의 지지틀(25)이 녹거나 또는 저항기(1)가 지지틀(25)에 달라붙거나 하는 폐단이 전연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저항기(1)가 심하게 230℃ 이상으로 과열될시에는, 케이싱(2)몸체에 매설된 저항코일(12)의 일단부측에 접속된 판상휴즈(16)에의 솔더(18)가 저항코일(12)(12')로부터 전열되는 고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용융된다. 따라서 반구상으로 형성하여 융착시키었던 판상휴즈(16)는 복원력에 의해 제3도 (a)에 표시한 일점쇄선위치(10)로 신속하게 떨어져서, 저항기(1)에서의 더이상 과열을 사전 방지하는 바, 종래의 저항기에 단락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 저항기에 걸리는 열부하가 저항기와 접속된 모우터측으로 전달되어져서 모우터를 소손되게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케이싱(2)몸체 전면에 착설된 클램프(5)는 전원선(20)(20')의 일측부위를 요동되지 못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요철도로를 주행할시에도 전원선이 용이하게 단락될 염려가 없으며, 케이싱(2)의 몸체가 금속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종래 유기질의 세라믹재질로 제조된 것에 비해 강도면에서 내구성이 양호하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고안 저항기(1)는 단락된 판상휴즈(16)를 솔더(18)를 이용하여 융착시키어 놓는 것에 의해, 얼마든지 재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 저항기는 과열로 부터 사전방지토록함에 의해 저항기 주변에 배치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와 아울러, 방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었다고 하는 실용성을 갖는 고안이다.

Claims (1)

  1. 파손이 잘되고 열보존율이 높은 유기질의 세라믹재로 성형한 외부 케이싱과, 케이싱내에 매설되는 저항코일로 부터 구성된 통상 구조의 저항기에 있어서,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후면을 제외한 전표면에 걸쳐 다수개의 방열휜(6)을 일정간격을 두고 돌설한 케이싱(2)몸체를 형성하고, 케이싱 몸체 내측에는 한쌍의 저항코일(12)(12')의 양측 단자(8a)(8a'), (8b)(8b')일부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하여 매설하며, 케이시(2)몸체내의 구획공간(14)내로 연장된 저항코일(12)(12')의 일측단자(8a)(8b)에 걸쳐서 판상휴즈(16)를 반구상으로하여 위치시킨후, 휴즈일측은 단자(8a)에 완전 고착하되 타측은 고온에서 용융점을 갖는 솔더(18)로서 융착하며, 케이싱 몸체 전면 상단에는 전원선 지지용 클램프(5)를 착설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조정용 저항기.
KR2019880001632U 1988-02-11 1988-02-11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KR900007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632U KR900007107Y1 (ko) 1988-02-11 1988-02-11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632U KR900007107Y1 (ko) 1988-02-11 1988-02-11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175U KR890018175U (ko) 1989-09-09
KR900007107Y1 true KR900007107Y1 (ko) 1990-08-06

Family

ID=1927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632U KR900007107Y1 (ko) 1988-02-11 1988-02-11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175U (ko) 198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2002B2 (ja) ヒューズ
JPH0430130B2 (ko)
KR100603222B1 (ko) 모터 보호 장치
KR900007107Y1 (ko) 자동차 냉각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US5652562A (en) Thermally fused resistor having a portion of a solder loop therm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ly insulated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resistor
KR20170037752A (ko) 모터제어용 레지스터
KR920006511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냉각휀용 저항기
JP5681389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H08214505A (ja) 温度に応答する構造素子を具える電動機
JPH09134654A (ja) 自動車用空調機の送風機制御用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KR0125056Y1 (ko) 블로우어 레지스터
KR19990078374A (ko) 모터 보호장치
JP2751548B2 (ja) 温度ヒューズ内蔵形抵抗器
JPH08268045A (ja) 電気自動車用ptcヒータの保護装置
KR200141319Y1 (ko) 블로우어 레지스터
JP3991581B2 (ja) Ssr
JPH0528721Y2 (ko)
KR920007513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KR870002047Y1 (ko) 히터용 모우터 저항기(Heater Motor Resistor)
KR910003574Y1 (ko) 자동차 냉각 휀 구동모우터의 회전 (r. p. m) 조정용 저항기
JP3596503B2 (ja) 電気湯沸し器
KR200144733Y1 (ko) 블로워모터의 제어장치
JPH0924560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用抵抗器
JPH0618805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制御装置
KR920008358Y1 (ko) 송풍기 제어용 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