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81B1 -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81B1
KR900006581B1 KR1019850000563A KR850000563A KR900006581B1 KR 900006581 B1 KR900006581 B1 KR 900006581B1 KR 1019850000563 A KR1019850000563 A KR 1019850000563A KR 850000563 A KR850000563 A KR 850000563A KR 900006581 B1 KR900006581 B1 KR 90000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heet
conductive pattern
folded
pressure sensitive
long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097A (ko
Inventor
다까오 야마우찌
야스히꼬 아사히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53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 G10H1/055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by switches with variable impedance elements
    • G10H1/0556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by switches with variable impedance elements using piezoelectric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 G10H2220/541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using piezoceramics, e.g. lead titanate [PbTiO3], zinc oxide [Zn2 O3], lithium niobate [LiNbO3], sodium tungstate [NaWO3], bismuth ferrite [BiFeO3]
    • G10H2220/545Barium titanate piezoceramics [BaTiO3]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61Piezoresistive transducers, i.e. exhibiting vibration, pressure, force or movement -dependent resistance, e.g. strain gauges, carbon-doped elastomers or polymers for piezoresistive drumpads, carbon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7Electric key switch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24Piezoelectrical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제 1 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보인 터치 제어장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터치 제어장치의 절연 쉬이트의 전개도,
제 4 도는 압력 크기의 함수로서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 5 도 내지 제10도는 제 1 도에 보인 터치 제어장치의 번형을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반프레임 11 : 건반
20 : 터치 제어장치 22 : 절연쉬이트
23 : 감압(感歷)탄성 전도체 24 : 제 1 전도성 필름
25 : 제 2 전도성 필름 26 : 접착제층
27 : 완충부재
본발명은 전자건반악기용 터치(touch)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건반악기에 있어서, 터치감응제어가 건반 누름터치에 따라서 음색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되는것이 알려져 있다. 터치 감응제어는 일반적으로 건반을 누르는 동안 또는 누르는 순간에 건반 누름의 강도가 감응되어 톤(tone)을 제어하는 초기터치제어와 건반이 눌릴때 또는 눌린후의 강도가 감응되어 톤을 제어하는 후기터치제어로 나뉜다. 초기터치제어는 일반적으로 후기터치제어가 트레몰로 효과, 비브라토효과 및 트레몰로 속도등을 제어하는 반면 일반적으로 건반이 강하게 눌렸을때 음을 크게하는데 사용된다.
그러한 특수한 음의 효과를 얻기위해, 종래의 터치제어장치는 소정의 음을 얻기위해 트레몰로 스위치등과 같은 수종의 제어스위치가 마련되었다. 종래의 다른 터치제어장치에서는 특수한 음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전반의 누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건을 사용하는 그런 터치제어장치는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0-121726호에 공개된 바와같이 전자 건반악기용 건 누름압력 검출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이 검출장치는 수평전극 기저층, 전극기저층에 대향하여 있는 탄성전도체. 탄성 전도체와 전극 기저층의 길이방향으로 그 사이에 삽입된 탄성절연체의 쌍, 및 탄성전도체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전도체의 상면에 도통 되도톡 고정된 가요성 전극판으로 구성되었다. 전반이 눌려질때, 탄성전도체는 아래방향으로 변형되어 눌림력에 따라서 전극기저층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압력이 변화하며 그것에 의하여 후기터치제어동작이 실행된다.
종래의 건반 누름압력 검출장치의 제작 또는 조립에 많은 문제가 있다. 한쌍의 탄성절연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제작과 조립을 번거롭게 한다. 더욱이, 만약 탄성절연체가 서로 평행하게 정확히 장착되지 않으면 변형각도가 길이방향에 따라 다르다. 그결과로, 저항이 변하고 장치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앞에서 기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다른 터치제어장치(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9-9399호)가 제안되었고 그것은 감응기와 완충부재가 한 케이스안에 포함되고 감응기가 탄성저항과 저항의 상하면에 장착된 한쌍의 전도판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터치제어장치에서는 내장된 부재를 정렬하고 내장된 부재를 다른부재와 절연시키기 위해 특별한 게이스가 사용되어야 한다.
본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터치제어장치의 구조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전자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목적은 보다 적은 부품이 사용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 전자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렴한 재료가 사용되어 제조원가를 낮추는 전자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한 한쌍의 전도성 패턴(pattern)필름 또는 층이 긴 절연체쉬이트의 한 주요면에 형성된다. 상기 쉬이트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공간을 헝성하기 위하여 세로로 접힌다. 압력감응요소가 쉬이트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그것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감응기를 구성한다. 감응기는 정렬된 건반과 기대(base)사이에 배치된다. 건반이 눌려질때, 압력감응요소의 전기적 특성은 압력 감응요소에 작용하는 누르는 압력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그래서, 전기신호의 변화는 전도성 패턴필름을 통하여 알아낼수 있다.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긴 절연 쉬이트의 최소한 하나의 주요면상에 한쌍의 전도성 패턴필름을 갖는 긴 절연쉬이트와 접혀진 긴 절연성 쉬이트 및 긴 절연쉬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형성된 전도성 필름의 한쌍을 갖는 감응기, 전도성 패턴필름과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접혀진 긴 절연쉬이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껴워지며 건반이 눌릴때 전기적 특성이 변하여 출력되도록 작동되고 그 출력을 전도성 패턴필름의 쌍에 의하여 끌어내는 압력 감응요소, 및 긴 절연쉬이트에 관계하여 긴 절연쉬이트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진 압력 감응요소의 위치를 조정하기 의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감응기가 악기의 건의 눌림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정렬된 터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제 1 도에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전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를 보인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창조번호(10)은 건반악기의 붕판(self board) 상면에 충분히 수평으로 장착된 건반 프레임을 나타낸다. 다수의 백건(白件)(11a)와 혹건(黑鍵)(11b)으로 구성된 건(11)의 후단부가 건반 프레임(10)상에서 수직으로 피보트(pivot) 지지된다. 스트퍼(stopper)(12)가 일체로 건(11)의 각각의 전단(前端)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었다. 하단 절곡부(12a)는 건반프레임(10)의 수직면(10a)에 형성된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건(11)의 각각은 건반프레임(10)과 건의 후단부 가까운 부분 사이에 배치된 복귀스프링(12A)에 의해 위쪽으로 바이어스(bias)되어 있다. 절곡부(12a)는 관통구 링(13)을 형성하는 상단과 접촉하고 각건은 충분히 수평을 유지한다. 건이 눌릴때, 그 후단부는 피보트측에서 피보트되고, 그 전단부가 하향 피보트된다. 해당 액튜에이터(actuatoer)(15)는 건반프레임(10)의 하면에 배치된 전스위치(16)를 동작시킨다. 건(11)이 통상 압력으로 눌려질때 건의 하면은 터치제어장치(20)의 상면과 접촉하고, 그것은 건의 하향운동을 정지시킨다. 하여튼, 건이 통상 힘보다 큰힘으로 눌릴때 터치제어장치(20)는 요구하는 후기터치제어 및/또는 초기터치제어가 제공되도록 작동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터치제어장치(20)는 주로 절연쉬이트(22), 감압탄성전도체(23),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 절연접착계층(26), 및 완충부재(27)로 구성된다. 터치제어장치(20)는 적당한 수의 건(11)에 대하여 공통이고 건반프레임(10)의 전부(前部)의 상면을 따라 연장된다.
절연쉬이트(22)는 얇은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된 쉬이트로 구성된다. 절연쉬이트(22)는 각 건(11)에 의해 구성된 건반의 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절연쉬이트(22)는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쉬이트(22)의 상면이 압력감응탄성 전도체(23)를 감싸는 내면이 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선(L)에서 접혀진다. 제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이 감압 탄성전도체(23)를 접촉하도록 쉬이트(22)의 내면에 형성된다. 쉬이트(22)의 폭방향을 따른 중첩단부는 전기적 절연과 동시에 기계적 밀봉을 제공하는 절연 접착제층(26)에 의해 일체로 접착된다. 쉬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른 그 단부는 대응하는 접착층등과 같은것에 의해 일체로 밀봉된다. 절연체층(26)은 접착제, 접착성의 두 표면을 갖는 스페이서(spacer)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팰트(felt)등으로 된 완충제(27)는 접혀진 절연쉬이트(22)의 외면(外面)의 상부에 부착된다. 연장부(22a)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연쉬이트(22)의 한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절연쉬이트(22)의 절반의 폭을 갖는다. 연장부(22)의 선단에 코넥터(connector) (31) 가 연결된다. 감압 탄성전 도체(23)는 탄성체(예를들어 감압탄성 전도성 고무) 또는 티탄산 바륨으로 된 왜소자(歪素子)(감압소자) 또는 압전 플라스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된다. 감압탄성전도체(23)는 각 건(11)마다 마련된다. 하여튼, 공통 탄성전도체가 다수의 건 또는모든건에 대하여 사용될 것이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탄성전도체(23)의 두께를 제 1 도와 제 2 도에 비교적 크게 나타냈다. 하여든 실제로 감압탄성전도체(23)는 약 0.5mm의 두께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같이,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감압탄성전도체(23)에 사용될 수 있다. 압전플라스틱으로 된 감압탄성전도체(23)의 저항특성을 제 4 도에 예로 나타낸다. 압전플라스틱의 전기적 저항은 터치제어를 위하여가해진 힘에 따라서 범위 A안에서 변하고 눌리지 않을때는 1MΩ 내지 10MΩ 사이의 값이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쉬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쉬이트(22)의 중심선(L)으로부터 동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고 또한 감압탄성전도체(23)는 그사이에 배치되어, 전극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스크린 인쇄, 피복, 부착 또는 분사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은 절연쉬이트(22)의 전체 길이에 따라 충분히 형성되고 건반의 전체건(11)의 대하여 공통이다. 따라서,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은 공통 전극을 형성한다.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의 한쪽끝은 한쪽끝이 코넥터(31)에 연결된 얇은 리이드(lead)의 다른 끝에 연결된다.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은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에서 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또한 서로평행하다.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는 각 건에 대응하는 다수의 패턴필름(25a, 25b, 25c,… 및 25n)으로 구성되었다. 필름부분(25a, 25b,… 및 25n)은 각각 리이드(32a, 32b,… 및 32n)를 통하여 코넥터(31)에 연결된다. 리이드(32a, 32b,… 및 32n)는 각각 리이드(30)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과 일체로 형성된다. 하여튼, 리이드(30, 32a, 32b, 32c,… 및 32n)는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과 각각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얇은 리이드선은 리이드(30, 30a, 30b,…및 30n)를 구성하기 위해 절연 쉬이트(22)의 내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절연쉬이트(22)가 접혀지거나 접착제층(26)에 의해 그 끝부분에 접착될때 감압탄성 전도체(23)에 가해지는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접착제층(26)으로부터 충분히 먼거리에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쉬이트(22)의 접혀진 부분 근방에 접착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이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감압탄성전도체(23)의 전난(Q1,Q2)과 접촉하도록 넣어지고 쉬이트(22)의 접혀진 근방에 형성될때, 전반의 건(11)은 완충부재(27)와 절연쉬이트(22)를 통하여 경사진 상태로(소정의 각도 θ)감압 탄성전도체(23)를 친다. 따라서, 터치제어장치(20)의 적합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연주자가 보통힘보다 큰힘으로 주어진 건을 누를때, 건의 하면은 완충부재(27)와 접촉한다. 건의 하면에 의해 떼어진 완충부재(27)의 부분은 누르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형되고, 그것에 의해서 감압 탄성 전도체(23)와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 사이의 접촉압력이 변화한다. 두께방향의 감압탄성전도체(23)의 전기저항이 변화한다. 이 변화는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에 의하여 검출되고, 전기신호는 코넥터(31)를 통하여 톤 발생제어회로에 가해진다. 그리고, 톤 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톤 신호는 음량, 음색, 및/또는 다른음의 특성을 변화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건은 주어진 각도(θ)(제 2 도)로 완충부재(27)와 접촉하고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압력(P)은 주로 강압탄성전도체(23)의 단Q1, Q2)에 가해진다.제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이 단(Q1, Q2) 근방에 형성필때, 감압탄성전도체(23)의 저항의 변화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압력은 감압탄성전도체(23)의 후단(Q3,Q4)상의 접착제층(26)에 야기된다. 하여튼,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이 단(Q1,Q2) 근방에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압력은 아무 영향도 없다.
이 실시예의 터치제어장치(20)에 따라서, 전극의 쌍(즉,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이 절연쉬이트(22)상에 형성된다. 절연쉬이트(22)가 접혀서 감압탄성전도체(23)를 감싼다. 그결과로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되고, 정밀한 조립이 필요없어서, 제작과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쉬이트(22)가 비교적 낮은 가격이기 때문에, 제조원가는 더욱 감소된다. 이 장점에 더하여, 절연쉬이트(22)가 접혀서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건의 터치는 개선된다.
본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접혀진 절연쉬이트(22)는 건반프레임(10)의 상면에 직접 고정된다. 하여튼 절연쉬이트(22)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된 판에 의하여 건반프레임(1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은 각 건에 대응하는 다수의 부분으로 나뉜다. 하여튼,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은 다수의 건(예를들어 소프라노 및 베이스부분)에 대응하기 위하여 나뉠 수 있다. 단일(single)건반악기에 있어서,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은 선을 건부분과 반주부분으로 나뉠수도 있다. 더욱이, 제 2 전도성 패턴필름의 쌍과 제 1 공통 패턴필름으로 구성된 다수의 유니트가 단일의 건반에 사용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나의 감압탄성전도체(23)가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5 도에 보인 바와같이, 다른특성을 갖는 다수의 감압탄성전도체(23A, 23B)가 적층되고, 그 결과로 적층한 이 단일의 강압탄성전도체(23)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이들 감압탄성전도체(23A, 23B)의 조합된 특성이 사용되어 터치제어효과를 얻을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쉬이트(22)의 두단이 길이방향으로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접혀진다. 하여튼, 제 6 도에 보인 바와같이 터치감응장치의 길이의 두배인 절연쉬이트(22A)가 사용될 수 있다. 감압탄성전도체(23)는 쉬이트(22A)의 제 1 부분에 위치하고 제 2 부분은 감압탄성전도체(23)위로 접혀 덮힌다. 이경우에 있어서, 조합된 전도성 패턴필름의 하나가 쉬이트(22A)의 제 1 절반부에 형성되고, 다른것은 쉬이트(22A)의 제 2 절반부에 형성된다. 더욱이, 배선층은 쉬이트(22A)의 제 1 절반부의 한만으로 부터 쉬이트(22A)의 제 2 절반부의 대향단부까지 연장될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접혀진 쉬이트(22)의 두단은 접착제층(26)에 의하여 접착된다. 하여튼, 제 7 도에 보인 바와같이 쉬이트(22B)의 두단은 감압탄성전도체(23)의 어깨(P1, P2)에 각각 접착된다. 하여튼, 제 8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도성 페턴필름(24, 25a, 24, 25b…)이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절연쉬이트(22c)의 표면의 절반의 하나에 한선을 따라 서로 교대로 떨어져 배치될 것이다. 이경우에 있어서, 건의 눌림에 따라 감압탄성전도체(23)와 길이를 따른 저항-힘 특성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필름은 절연쉬이트와 표면의 제 2 절반부분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쉬이트의 이 제 2 절반부분은 전도성 필름(24, 25)을 덮도록 선(L)을 따라 접혀지는것이 바람직하다. 가상선(11B)으로 나타낸 부분이 건의 부분이다.
제 8 도의 방법과 같이 제 9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은 절연쉬이트(22D)의 중심선(L)에 관계하여 표면의 절반의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공통 전도성 패턴필름(24)은 쉬이트(2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모든건을 위해 배치되고, 전도성 패턴필름(25a, 25b…)이 공통 전도성 패턴필름(24)과 동일 표면부분에 형성되고 전도성 필름(24)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다.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강화판(50)(예, 알루미늄판)이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절연쉬이트(22)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접착제가 강화판 하면에 가해지고 테이프로 덮혀질 수 있다. 테이프는 건반에 조립될때 제거되고 이것은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되도록 한다.
더욱이, 탄성전도체가 조립작업을 간단히 되도록 하기위하여 접착제로 절연쉬이트상에 고정될수도 있다.
실시예에 대한 기술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터치제어장치는 후기 터치제어에 특별히 적합하다. 하여튼, 이장치를 초기터치제어를 제공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2)

  1. 긴 절연쉬이트와 최소한 하나의 주요면상에 한쌍의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을 갖는 긴 절연쉬이트(22)와 접혀진 긴 절연성 필름 및 긴 펄연쉬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도성필름의 한쌍을 갖는 감응기, 상기 전도성 패턴필름과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혀진 긴 절연쉬이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지고 건반이 눌릴때 전기적 특성이 변하여 출력되도록 작동되고 그출력을 전도성 패턴필름의 쌍에 의하여 끌어내는 압력감응요소(23), 및 상기 긴 절연쉬이트에 관계하여 긴절연쉬이트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진 압력감응요소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26)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응기가 악기의 건의 눌림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정렬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 쉬이트(22)가 길이방향축을 따라 접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 패턴필를(24, 25)이 상기 긴 쉬이트가 접혀질때 상기 압력 감응요소(23)의 대향표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가 옆으로 접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이 다수의 건에 대하여 공통이고,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이 단일의 건에 대응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가 세로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의 쌍이 쉬이트의 접혀진 근방에 위치한 상기 압력 감응요소(23)의 단부(Q1, Q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새로 접혀진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두단부가 절연층(26)을 통하여 접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요소(23)가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에 접착제로 부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로 접혀진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두단이 상기 긴 절연쉬이트의 접혀진 부분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압력감응요소의 단부에 접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의 다수의 쌍이 마련되고, 각쌍이 최소한 제 1 전도성 패턴필름(24)의 하나와 다수의 상기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5)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요소(23)가 사각단면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4)이 상기 압력감응요소의 모서리(Q1,Q2)에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응요소(23)가 다른 특성을 갖는 요소의 적층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외측면의 하부가 강화판상에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외측면의 상부에 건이 눌렸을때 접촉하는 완충부재(27)가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를(24, 25) 상기 압력감응요소(23)의 동일표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의 부분들이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멀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의 부분들이 상기 긴 절연쉬이트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심선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건반(11)의 길이 이하의 어떤 길이를 갖도록 접혀진 긴 절연쉬이트(22), 하나 또는 다수의 건에 상응하고 접혀진 상기 긴 절연쉬이트의 사이에 끼워진 압력감응수단(23), 상기 압력감응수단을 사이에 꺼워넣은 상기 긴 절연 쉬이트의 내면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24, 25)과 상기 긴 절연쉬이트의 2개의 끝단을 부착하는 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필름 사이의 상기 압력 감응수단(23)의 전기저항이 상기 긴 절연쉬이트를 통하여 상기 압력감응수단(23)이 눌려지도륵 건이 눌려질때 누르는 힘의 크기에 따라서 변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용 터치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응수단(23)이 전기전도성 고무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의 외측면의 하부가 강화판상에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연쉬이트(22)가 세로로 접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50000563A 1984-02-01 1985-01-30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KR900006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42 1984-02-01
JP59-11642 1984-02-01
JP1984011642U JPS60125695U (ja) 1984-02-01 1984-02-01 電子鍵盤楽器のタツチコントロ−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097A KR850006097A (ko) 1985-09-28
KR900006581B1 true KR900006581B1 (ko) 1990-09-13

Family

ID=1178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563A KR900006581B1 (ko) 1984-02-01 1985-01-30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15252A (ko)
EP (1) EP0169624B1 (ko)
JP (1) JPS60125695U (ko)
KR (1) KR900006581B1 (ko)
DE (1) DE356590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11B1 (ko) * 2008-04-30 2014-12-10 (주)멜파스 입력 감지 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992A (ja) * 1984-12-04 1986-06-2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スイツチ
US4764717A (en) * 1986-10-27 1988-08-16 Utah Scientific Advanced Development Center, Inc. Touch-sensitive potentiometer for operator control panel
US5187315A (en) * 1989-03-20 1993-02-16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central parameter controller for a musical instrument
US4933807A (en) * 1989-08-23 1990-06-12 Key Concept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pacitive displacement and pressure sensing including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5237125A (en) * 1992-01-17 1993-08-17 Burget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elocity of key motion in a keyboard operated musical instrument
US6222525B1 (en) 1992-03-05 2001-04-24 Brad A. Armstrong Image controllers with sheet connected sensors
US6906700B1 (en) 1992-03-05 2005-06-14 Anascape 3D controller with vibration
US6344791B1 (en) 1998-07-24 2002-02-05 Brad A. Armstrong Variable sensor with tactile feedback
US6347997B1 (en) 1997-10-01 2002-02-19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US5495074A (en) * 1992-05-20 1996-02-27 Yamaha Corporation Keyboard unit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key motion detectors
US5571982A (en) * 1992-08-31 1996-11-05 Yamaha Corporation Keyboard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745376A (en) * 1996-05-09 1998-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excessive keyboard force
US5675329A (en) * 1996-05-09 1997-10-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obtaining a second function from keys on a keyboard using pressure differentiation
US6351205B1 (en) 1996-07-05 2002-02-26 Brad A. Armstrong Variable-conductance sensor
US8674932B2 (en) 1996-07-05 2014-03-18 Anascape, Ltd. Image controller
US6259006B1 (en) * 1996-08-30 2001-07-10 Raoul Parienti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piano
US6415707B1 (en) 1997-10-01 2002-07-09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for coffee makers
US6532000B2 (en) 1997-10-01 2003-03-11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s
US6404584B2 (en) 1997-10-01 2002-06-11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for voice recorders
US6456778B2 (en) 1997-10-01 2002-09-24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for video recorders and cameras
FI19992510A (fi) * 1999-11-24 2001-05-25 Nokia Mobile Phones Ltd Elektroniikkalaite ja menetelmä elektroniikkalaitteessa
DE10031794C2 (de) * 2000-07-04 2003-10-02 Gallitzendoerfer Rainer Klaviatur für elektronische Musikinstrumente
JP4788533B2 (ja) * 2006-09-06 2011-10-05 ヤマハ株式会社 鍵駆動制御システム
WO2015188388A1 (zh) * 2014-06-13 2015-12-17 浙江大学 蛋白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044A (en) * 1973-10-18 1976-06-01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Keyboard arrangement having after-control signal detecting sensor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027569A (en) * 1975-06-19 1977-06-07 Norlin Music,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mploying variable capacitors
JPS5472522U (ko) * 1977-11-01 1979-05-23
US4213367A (en) * 1978-02-28 1980-07-22 Norlin Music, Inc. Monophonic touch sensitive keyboard
US4378721A (en) * 1978-07-20 1983-04-05 Kabushiki Kaisha Kawai Seisakusho Pickup apparatus for an electric string type instrument
JPS595909Y2 (ja) * 1978-10-24 1984-02-2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US4314228A (en) * 1980-04-16 1982-02-02 Eventoff Franklin Neal Pressure transducer
JPS5843039U (ja) * 1981-09-18 1983-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ルスレ−ダ送信機
US4499394A (en) * 1983-10-21 1985-02-12 Koal Jan G Polymer piezoelectric sensor of animal foot pres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11B1 (ko) * 2008-04-30 2014-12-10 (주)멜파스 입력 감지 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25695U (ja) 1985-08-24
JPH0412559Y2 (ko) 1992-03-26
EP0169624B1 (en) 1988-10-26
DE3565902D1 (en) 1988-12-01
KR850006097A (ko) 1985-09-28
EP0169624A1 (en) 1986-01-29
US4615252A (en) 198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581B1 (ko) 전자건반악기의 터치제어장치
US4801771A (en) Force sensitive device
US3976899A (en) Snap action mechanical-electrical piezoelectric transducer
US4261042A (en) Key signal entering device for thin electronic apparatus
US4857887A (en) Laminated piezoelectric keyboard
US4027569A (en) Keyboard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mploying variable capacitors
US4170916A (en) Touch operated capacitive switch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H0544876Y2 (ko)
JPH0447751Y2 (ko)
JP3824040B2 (ja) タッチコントロール機能付き鍵盤装置
JP4441008B2 (ja) 鍵盤装置
JP2574197Y2 (ja) 電子楽器用感圧センサ
JPS6146554Y2 (ko)
JP3110917B2 (ja) 電子楽器のアフタータッチセンサ
JPH0659795A (ja) 入力装置
JP3787830B2 (ja) 電子鍵盤楽器のタッチコントロール用圧力センサ
JPS599262Y2 (ja) 電子楽器のポルタメント装置
JPS6146555Y2 (ko)
JPS6146552Y2 (ko)
JPS6343510Y2 (ko)
JPH0448600Y2 (ko)
JP2737912B2 (ja) 電子管楽器のスイッチ構造
JP2563799Y2 (ja) 電子楽器のアフタータッチセンサ
JP4207364B2 (ja) 鍵盤装置
JPS61465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