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74Y1 - 회전 점도계 - Google Patents

회전 점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74Y1
KR900006574Y1 KR2019870000874U KR870000874U KR900006574Y1 KR 900006574 Y1 KR900006574 Y1 KR 900006574Y1 KR 2019870000874 U KR2019870000874 U KR 2019870000874U KR 870000874 U KR870000874 U KR 870000874U KR 900006574 Y1 KR900006574 Y1 KR 900006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rotating
viscosity
rotational viscometer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637U (ko
Inventor
마나부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마르콤
마나부 하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마르콤, 마나부 하라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마르콤
Publication of KR870012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1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 G01N11/1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by using rotary bodies, e.g. v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 점도계
제1도는 스크린 인쇄기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스퀴지(squeegee) 직전의 페이스트 도포부위 부분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의 회전 점도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 제2실시예로서의 회전 점도계의 종단면도.
제5도는 페이스트의 점도를 구하는 경우의 설명도.
제6도는 의소성유체(擬塑性流體)의 유동곡선.
제7도는 소성유체의 유동곡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인쇄기 2 : 기판설치면
3 : 기판 4 : 스퀴지
5 : 지지부재 6 : 공급파이프 고정부재
7 : 이동대 8 : 페이스트
9 : 스크린 10,10' : 회전 점도계
11 : 점도 센서 본체 12 : 윗 뚜껑판
13 : 아랫 뚜껑판 14 : 축받이 하우징
15,16 : 볼베어링 17 : 회전축
18 : 회전원동체 16 : 고정판
20 : 기어드 모우터 21 : 회전축
22,23 : 기어 24 : 샤프트
25 : 볼베어링 26 : 원주체
27 : 페이스트 유통용 공간 28 : 뚜껑
29 : 페이스트 유입구멍 30 : 페이스트 배출구멍
31,32 : 나선형 홈 33 : 축받이 하우징
34 : 잘라낸 부분 35 : 스프링축
36 : 볼베어링 37 : 상하 제지링
38 : 판스프링 39 : 회전토오크 ~ 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
40 : 볼베어링 41 : 축받이 하우징
42 : 정지측 원통체 43 : 페이스트 배출구멍
44 : 페이스트 유입구멍 45 : 축받침 하우징
46,47,60 : 볼베어링 48 : 스프링축
49 : 회전원 주체 50 : 페이스트 유통용 공간
51,52 : 나선형 홈 53,56,58 : 고정판
54 : 고정부채 55 : 잘라낸부분
57 : 투명구멍 59 : 축받이 하우징
61 : 스프링축 상하 방향 진동방지체 56,63 : 유동곡선
64,66 : 회전토오크~회전 수곡선
본 고안은, 소량의 페이스트 등의 유체일지라도, 또는 비뉴톱 유체의 성질이 있는 유체일지라도, 그의 정확한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전 점도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크린 인쇄기에 적합하고, 더우기 인쇄기 상에서 기판에 도포되기 직전의 페이스트 등의 유체의 점도를 측정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페이스트등의 유체를 계속 혼련(混練)하면서, 밀려 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점도를 특정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따라서 페이스트 등의 점도치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정교한 스크린 인쇄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일렉트로니크스 시대인 오늘날, 전자기기의 고밀도화, 복합화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같은 요구에 응답하는 하이브리드, 마이크로, 일렉트로니크스 기술로는, 기판 상에 각종 기능을 구비한 능동소자나, 저항, 콘덴서 등의 소동소자를 조합, 장치에서, 경박단소(輕薄短小)의 하이브리드 모듀울(hybrid module)을 실현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IC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그의 최초단계에서 기판상에서의 인쇄공정이 있다. 인쇄는, 스크린 인쇄기를 사용한다.
스크린 인쇄기에 의하여, 각종의 페이스트(도전 페이스트, 저항 페이스트, 도전 페이스트, 납땜 페이스트 등)나, 레지스트잉크, 키타 기능재료, 잉크가, 주로 스크린 인쇄법에 의하여 기판 상에 인쇄된다.
이 인쇄는, 하이브리드 IC의 성질상, 고정도화(高精度化)가 요구된다. 이와같은 인쇄에 있어서, 인쇄막 두께의 정도, 인쇄 패턴의 정도는, 스크린 인쇄기의 각 기능의 관리정도(精度)에 의존하는 바가 크고, 스크린 인쇄기의 정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곳에서, 인쇄정도를 높이는데 가장 중요하고, 더우기 곤란하다는 관리요소로서는, 페이스트(잉크) 자체의 점도관리가 있다.
이 페이스트의 점도관리의 곤란성은, 대개의 경우, 인쇄기술자의 경험이나, 실험적인 계측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페이스트의 정도관리의 곤란성은, 대개의 페이스트가 비뉴톤 유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더우기 틱소트로피(thixotropy)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온도, 습도 등의 주위조건에 좌우될뿐 아니라, 페이스트의 혼련(混練)중이나, 혼련후에도 일정하지 않는데에 기인한다.
따라서, 페이스트 혼련후, 점도계를 사용하여 페이스트에 점도를 계측하고 조정의 점도치고된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기에 공급하고, 기판상에 인쇄하여도 점도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인쇄시의 페이스트의 점도는 일정하지 않고, 정교한 스크린 인쇄를 할 수 있다.
더우기, 인쇄중에 페이스트 스퀴지(페이스트를 발르기 위한「주걱」에 해당)에 의하여 다시 뒤섞이기 때문에, 페이스트의 점도는 가일층 일정해지지 않게되며, 정교한 스크린 인쇄를 할 수 없게된다.
더우기, 종래부터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 사용되는 점도계는, 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스트의 점도를 뒤섞이게 하기 위하여, 회전계로 되어 있으며, 이 회전저항을 점도치로 간주해서 끄집어 내도록한 것으로서, 비교적 대형화되고, 또한 가격이 비싼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회전식 점도계에 의하면 탱크내의 페이스트의 점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서,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직접 측정할 수는 없으며, 페이스트의 점도를 정확히 측정, 관리할 수 없으므로, 정교한 스크린 인쇄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페이스트는 비 뉴톤 유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이 뉴톤 유체는 온도에 의하여 점도치가 크게 변화하는 외에, 회전체와 페이스트가 밀리는 속도(밀려올라가는 속도) 밀려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의하여 페이스트의 점도치가 크게 변화 한다.
이때문에, 종래에는 스톱, 워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3분이라는 단위시간을 정해서, 항시 페이스트의 점도측정을 하도록 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얼핏 보기에 정확한 점도 측정이 가능한 것처럼 생각되나, 다량이 뒤섞이게 되어있는 페이스트 전체의 점도치를 측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렇지 않을때에는, 정확한 점도치를 할수가 없다. 또한 몇번이고 되풀이해서 점도치를 측정해야 하므로, 페이스트의 연속측정이 곤란하여, 자동화 측정이 불가능하고, 점도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같은 사실은, 밀려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점도를 통정시킬수 없다는데 기인한다.
또한, 측정자, 외계조건 등의 각종 요인 때문에, 비 뉴톤 유체인 페이스트등의 유체의 정확한 점도관리를 할수가 없었다.
이와같은 점에서, 밀려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페이스트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서, 이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하려고 하는 방법도 시도되었으나, 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결점이 생긴다.
1) 강제 순화시키기 위한 기구가 복잡화하고, 장기 그 자체가 커지고 비싸게 되는 결점이 생긴다.
2) 상기 1)의 결점은, 당해 페이스트의 점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결점을 수반한다.
3) 강제 순환에 의하면, 이에 따르는 강제력이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하려고 하는 회전 토오크에 영향을 미치고, 정확하고도 점도가 양호하도록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할 수 없다는 결점이 생긴다.
4) 또한 낙하방식의 강제 순환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밀려 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없으며, 상기와 같은 정확한 점도 측정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다.
5) 또한 강제 순환방식에 의하면, 페이스트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로가 커지고, 따라서 회전 점도계 그 자체로 대형 및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인체의 고점도화 요구에 응답하기 위하여, 스퀴지에 의하여 기판 상에 도포되기 직전의 페이스트의 정확한 점도를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측정 관리할 수 있는 소형, 고점도로, 더우기 값싸도록, 구성할 수 있는 회전 점도계를 얻도록 하고 또한 비 뉴톤 유체의 성질을 갖는 페이스트라 하더라도, 그의 뒤섞이는 중에서도, 항상, 페이스트등의 유체의 밀려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페이스트의 점도를 특정할 수 있으며, 그때그때 스톱, 워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페이스트 등의 유체의 정확한 점도치를 측정, 관리할 수 있도록 회전 점도계를 얻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이다.
특히 페이스트 등 비 뉴톤 유체는, 일반적으로 밀려올라가는 시간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점도가 변화하고, 회전 점도계의 밀림에 의해서도 점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특정해서 계측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같은 점에 대해서 본 고안의 회전 점도계에서는, 페이스트를 뒤섞이게 하기 위한 통의 회전에 의하여, 페이스트를 스스로 흡수하고, 밀리는 속도가 일정(회전이 일정)한 상태하에서는 일정시간후 배출해서 페이스트를 계속 순화토록 하고, 회전 점도계 본체내에서, 페이스트가 밀림을 받는 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하고, 밀림시간이 일정하다는 특성을 부여하고, 밀려올라가는 시간의 존성이 있는 페이스트등의 유체일지라도,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점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인쇄기에 과제, 즉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이동 및 뒤섞이는 중인 페이스트의 점도계측이 가능한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유용한 점도계의 기능은(1) 이동 및 뒤섞임에 따르는 페이스트의 유동에 기인하여, 점도계측이 영을 받지 않을것, (2)페이스트의 틱소트로피(thixotropy) 성이나 유동곡선을 보기 위하여 회전체를, 예컨대 1[rpm]-100[rpm]처럼 회전수위 가변폭을 크게 취할 수 있도록 할 것. (3) 회전체 전체를 페이스트 중에 파묻히게 하지 않고서도, 페이스트의 점도계측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 (4) 엄지 손가락 정도의 소량의 페이스트일지라도, 그의 페이스트의 점도계측이 가능할 것. (5) 견고해야 할 것. (6) 소형이어야 할 것. (7) 안가해야 할 것. (8) 페이스트의 뒤섞이는 중에 있어서도, 페이스트의 밀려올라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상반되는 기능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능중(1)은,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의 페이스트의 점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스크린 인쇄 특유의 성질로부터의 요구이다.
기능의 (2)는,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비 뉴톤 유체의 성질을 구비한 고전도의 페이스트의 성질로부터 요구되는 것이다.
기능의 (3) 및 (4)는 스크린 인쇄상의 소량의 페이스트의 점도를 당해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정확히 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이다.
기능의 (5)는,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점도를 측정하면서 빈번히 움직여지게 된다는 점에서 요구되는 것이다.
기능의 (6)은, 기능(5)와 같이, 스크린 인쇄기 상에서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크린 인쇄기상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페이스트 상의 제약에서 요구되는 것이다.
기능의 (7)은, 상품을 만드는데 있어 당연히 요구되는 것이지만, 특히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값나게 형성 할 수 있는 것은,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제조하기 쉽다는 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자타상품 식별력, 즉 세일즈효과를 구비한 스크린 인쇄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능의 (8)은, 피 측정물인 페이스트를 계속 뒤섞이게 하면서, 페이스트의 밀려올라가는 시간, 즉 측정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점도의 특성이 가능하고, 자동적으로 정확, 신속 및 용이하게 페이스트의 점도측정 및 관리를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과제는, 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정지측(靜止側) 부재와, 이 정지측 부재에 대향해서 설치된 회전체와, 정지측부재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미소한 공간부와, 미소공간부에 페이스트를 유입시키기 위한 페이스트 유입부와,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페이스트 유입부를 통하여 미소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페이스트 배출부와,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므로써 미소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의 점도에 의하여 정지측부재에 주어지는 회전 토오크를 스프링의 휘어짐으로 검출하는 회전 토오크~전기신호검출수단을 마련해서 구성한 회전점도계를 얻음으로써 달성된다.
(실시예)
제1도는 스크린 인쇄기(1)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부호(2)는 기판설치면, (3)은 기판을 표시하고, 이 기판(3)은 도시하지 않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설치면(2)에 고정된다. (4)는 스퀴지를 표시하고, 지지부재(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5)는, 공급파이프겸 고정부재(6)에 의하여 이동대(7)에 고정되어 있다.
더우기, 이 경우의 스퀴지(4)는, 페이스트 뒤집는 판 까지도 겸하도록 되어 있다. 스퀴지(4) 페이스트 뒤집는 판으로 가능할때에는, 뒤집는 점에서, 스퀴지(4)를 들어올려서, 페이스트를 뒤집는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의 위치에서 밑으로 내려놓게 된다. 그리하여, 스퀴지(4)가 되돌아오게 됨으로써 페이스트가 뒤집어진다.
더우기,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퀴지(4)와는 별도로 페이스트 뒤집는 판을 설치한 것도 있다.
제2도는, 페이스트(8)를 스퀴지(4)에 의하여 도표하는 부분의 확대도를 보여주고 있다.
스퀴지(4)는, 이동대(7)가 화살표 A방향으로(도시하지 않음) 모우터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같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전진하고, 기판(3)에 상에 스크린(9)를 통해서 페이스트(8)를 도포한다.
페이스트(8)은, 인쇄기(1)의 본체내의 탱크에 저장되고, 적당한 점도로 되도록 뒤섞여지며, 공급파이프겸 고정부재(6) 및 지지부재(5)를 통해서 스퀴지(4)의 바로 앞에(화살표 A방향) 적정량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스퀴지(4)의 직전에 있는 페이스트(8)내에는, 후술하는 본 고안의 회전 점도계(10)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있다. 이 점도센서(10)는 선단부를 페이스트(8)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부착시키고 있다.
예컨대, 스퀴지(4)의 전면에 설치하거나, 스퀴지(4)의 근방의 부재에, 예컨대 지지부재(5), 고정부(6) 혹은 이동대(7) 또는 페이스트 뒤집는 판에 부착하면 좋다.
또한 스퀴지(4)는 콘트로울러로 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그의 각도나 기판면으로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회전 점도계(10)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도센서(10)는, 직경방향 공간형의 회전 점도계로 되어 있다.
점도계로서는, 「비스코데스터」나 「브로크필드」라고 하는 회전 점도계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스크린(9) 상의 페이스트(8)의 점도계측이, 페이스트(8)의 이동 및 뒤섞이는 중에서의 계측이기 때문에, 그의 성질상, 이와같은 통상의 회전 점도계를 사용할 수가 없다.
더우기, 시판되어 있는 공지에 통상적인 회전 점도계는, 다량의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형식인 것이므로, 예컨대 탱크 내의 유체를 뒤섞이게 하고, 이 뒤섞여 있는 유체 그 자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스크린 인쇄기(1)상의 페이스트(8)처럼, 소량이면서 점도변화가 현저한 경우의 유체의 점도를 알수가 없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시판되어 있는 회전 점도계를 사용하고 있을뿐이므로, 미리 페이스트(8)를 저장하는 탱크 내의 페이스트(8)을 뒤섞이고, 이 뒤섞인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하고, 페이스트(8)를 스퀴지(4)의 바로 앞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공급할 뿐이었다.
그러나, 페이스트(8)는 고점도의 비 뉴톤 유체이므로, 스크린 인쇄기(1)상에서도, 그의 점도가 초를 다투어 변화하기 때문에, 페이스트(8)를 정확한 점도치로 유지할 수 없고, 정교한 스크린 인쇄를 할수 없었다.
이와같이, 스크린인쇄기(1)에서는, 종래의 회전점도계로서는 정교한 인쇄가 불가능할 뿐아니라, 대형이면서도 값비싸다는 점에서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스크린인쇄기(1)의 페이스트(8)의 점도측정에 적합하고, 페이스트(8)가 뒤섞이는중 및 소량의 페이스트(8)일지라도 점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소형이며 값싼 직경방향 공간형의 회전점도계(10)를 개발하였으므로, 통상(종래)의 회전점도계와는 원리를 달리한다. 이 회전점도계(10)에 대하여, 이하 제3도를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 기둥형상인 회전점도계 본체(11)는, 상부 구멍 끝단을 윗뚜껑판(12)으로 폐쇄하고, 하부구멍 끝단을 투명구멍이 있는 아랫뚜껑판(13)으로 폐쇄하고 있다. 이 아랫뚜껑판(13)에는 원통형상인 축받침 하우징(14)을 고정하고 있다. 이 축받침 하우징(14)의 상하 양쪽구멍 끝단을 볼베어링(15),(16)을 설치하고, 이 볼베어링(15),(16)에 의하여 속이빈 중공형상의 회전축(17)을 좌우로, 회전하도록 축받침하고 있다. 회전축(17)의 하단부는, 아랫쪽 뚜껑판(13)에 형성된 투명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된 회전축(17)의 하단부의 외주부에 회전원통체(18)를 고정시키고, 회전축(17)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축받침 하우징(14) 위에는, 고정판(19)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판(19)에 기어모우터(20)를 고정시키고 있다. 기어모우터(20)의 회전축(21)에는, 기어(22)를 고정시키고, 회전축(17)에 고정시킨 기어(23)와 맞물리도록 해두고 있다.
회전축(17)의 중공부에는, 샤프트(24)가 삽입되어 있다.
샤프트(24)의 하단부는, 회전원통체(18)의 상부 내주부에 설치된 볼베어링(25)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어 있다.
샤프트(24)의 하단부네 정지(精止) 즉 원주형체(26)를 고정시키고, 이 원주형체(26)와 회전원통체(18)와의 사이에 이 작은갭의 페이스트 유통용공간(27)을 형성해 두고 있다. 회전원통체(18)의 하단 구멍부에는, 이 구멍부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28)을 고정시키고 있다. 회전원통체(18)의 하단부에는, 공지(27)에 페이스트(8)를 유입하기 위한 페이스트 유입구멍(29)을 형성해 두고 있다.
뚜껑(28)을 생략하고, 공간(27)의 하단부로부터 페이스트(8)를 빨아들이도록 해도 무방하다.
회전원통체(18)의 상단에는, 페이스트 유입구멍(29)를 통해서 공간(27)에 유입된 페이스트(8)를 회전원통체(18)의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페이스트(8) 배출구멍(30)을 형성하고 있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는, 원주체(26)가 고정축으로 되어 있으며, 이 원주체(26)와 대향하는 회전원통체(18)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페이스트(8)의 외부유동에 의하여 원주체(26)에 회전원통체(18)의 회전방향의 응력(應力)이 움직이지 않도록 바깥쪽의 회전원통체(18)로, 보호할 역할을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바깥쪽의 회전원통체(18)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제4도에서와 같이 회전원통체(18)를 고정측으로 하고, 안쪽의 원주체(26)를 회전체로 해도 좋다.
더우기, 상기 원주체(18)는, 반드시 원통이어야할 필요는 없으며, 요컨대 원주체(2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페이스트 유통용공간(27) 내의 페이스트(8)를 이 회전원통체(18)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고점도의 페이스트(8)가 상승해가며, 페이스트(8)가 페이스트 배출구멍(30)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좋다.
똑같이, 원주체(26)도, 반드시 원주나 원통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 유통용공간(27)은, 단순한 레이디알 캡(radial gap)이면 된다는 것이 아니라, 회전원통체(18)가 회전함으로써 페이스트(8)가 공간(27)을 상승할 수 있는 레이디알 갭인 공간(27)을 필요로 한다.
이와같이, 페이스트(8)의 고점도성을 이용해서, 페이스트(8)이 공간(27)을 상승해가는 성질을 이용한 점이 본 고안의 회전점도계(10)의 특징이며, 더우기 측정후는 공간(27)을 상승한 페이스트(8)가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페이스트(8)을 배출하고 있는 점이 회전점도계(10)의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페이스트(8)가 미소한 갭(길이)인 공간(27)일지라도 상승해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원통체(18)의 공간(27)과 대향하는 면에는 축방향에 따라서 충분히 그 깊이를 얕도록 형성한 나선형상인 홈(31)을 형성하고 있다. 나선형홈의 깊이는 미소하다.
나선형홈(31)의 나선형 진행각도는 충분히 작은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회전원통체(17)의 공간(27)과 대향하는 내면에 나선형 홈(31)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주체(26)의 외주에 점선으로 표시하는 나선형홈(32)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혹은, 양 내선형홈(31),(32)를 형성해 두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판(19)에는, 원통형상인 축방이 하우징(3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축받이 하우징(33)의 일부에는, 잘라낸 부분(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24)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축(35)이 고정되어 있으며, 축받이 하우징(33)의 상단 구멍부위 안쪽 둘레에 설치한 볼베어링(36)에 의해서 스프링축(35)을 자유로 회동하도록 축받침하고 있다.
축방이 하우징(33)의 상부에는, 스프링축(35)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저지링(37)을 고정해 두고 있다.
이와같이 스프링축(35)의 상하방향(축방향)의 움직임을 어떠한 수단으로, 규제하지 않으면, 후술하는 회전 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39)로부터 정확한 신호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부호(38)는 판스프링을 표시하고, 이 판스프링(38)의 한쪽 끝단부는 적절한 고정측부재(예컨대 34)에 강력하게 압접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단부는, 스프링축(35)에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38)의 다른쪽 끝단부위 스프링축(35)과 반대면에는,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39)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화 센서(39)로서는, 압전소자, 감압소자, 찌그러진 게이지등 적당한 것을 사용하면 좋고, 이 실시예에서는, 찌끄러진 게이지를 사용하고 있다.
제4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회전점도계(10')로서, 제1실시예의 회전점도계(10)와 달리 외측의 부재가 정지측 부재로 되어 있으며, 이 정지측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부재가 회전체로 되어 있다.
이 회전점도계(10')는, 고정측을 구성하는 점도센서 본체(11)의 윗쪽구멍 끝단부를 윗쪽뚜껑판(13)으로 폐쇄하고 있다. 아랫쪽 구멍판(13)에는 축받이 하우징(41)이 고정되어 있으며, 축받이 하우징(41)에 설치된 볼베어링(40)에 의하여 정지측원통제(42)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정지측원통체(42)의 하단은 동일부재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정지측원통체(42)의 상단부에는 페이스트 배출구멍(43)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페이스트 유입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정지측원통제(42)의 상단부에는, 원통형상의 축받이 하우징(45)이 고정되어 있다. 축받이 하우징(45)의 상하 양구멍 끝단부에는, 볼베어링(46)(47)에 의하여 스프링축(48)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축(48)의 하단부에는, 회전원주체(49)가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원주체(49)의 정지측원통체(42)와의 사이에는, 페이스트 유통용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페이스트 유통구멍(44)을 통해서 페이스트 유통용공간(50)에 유입된 고점도의 비뉴톤 유체의 성질을 갖는 페이스트(8)를, 상기 회전원주체(49)가 회전함으로써 이 페이스트 유통용공간(50)을 상승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원주체(49)의 외주에 축방향에 따라서 나선형홈(51)을 형성하고 있다. 스파이랄홈(51)의 나선형 진전각도는 충분히 작은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이 나선형홈(51)에 대신해서 정지측원통체(42)의 내주에 점선과 같이 축방향에 따라서 나선형홈(52)을 형성해도 좋고, 혹은 양 나선형홈(51)(52)을 설치해 두어도 좋다.
이랫쪽 뚜껑판(13) 위에는, 고정판(53)이 고정되고, 이 고정판(53)에는 판스프링(38)의 한쪽 끝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4)가 고정되고, 이 고정부재(54)에 상기 판스프링(38)의 한쪽 끝부가 고정되고 있다.
상기 축받침 하우징(45)의 측면 일부분에는, 잘라낸부분(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38)의 다른쪽 끝단부는, 잘라낸부분(55)을 통해서 판스프링(38)의 다른쪽 끝단부가 탄력적으로 압접되어 있다.
판스프링(38)이 스프링축(48)과 반대면에는 회전토오크~저항 변화 신호변환 센서(39)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판(53)과 본체(11) 사이에는, 고정판(56)이 옆쪽으로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56)에는, 기어드모우터(20)가 고정되어 있다. 기어드모우터(20)의 회전축(21)에는, 기어(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기어(22)는 스프링축(48)에 고정된 기어(23)와 맞물려지고 있다.
기어(22),(23)의 상부위 본체(11)의 내면에는, 투명구멍(57)을 갖는 고정판(58)이 옆쪽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58)에는, 투명구멍(57)과 동심형상으로 축방이 하우징(59)을 고정, 설치하고 있다.
축받이 하우징(59)의 내주부에는, 볼베어링(60)에 의하여 스프링축(48)의 상단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축받침 하고 있다. 축받이 하우징(59)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축 상하 방향 진동 방지체(61)가 축받이 하우징(59)에 나선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 제2실시예의 회전점도계(10')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곳에서, 상기 점도센서(10),(10')에 있어서, 상하 제지링(37), 스프링축 상하방향 진동방지체(61)를 설치하여 정지측원주체(26), 회전원주체(49)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은, 이 센서(39)로 부터 점도가 좋다는 신호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회전점도계(10),(10')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1)에 적용하면, 이동대(7)를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고, 스퀴지(4)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기판(3) 상에 스크린(9)를 통해서 도포되는 페이스트(8)에 점도센서(10),(10')의 선단부를 삽입해두고(이경우, 페이스트(8)에 페이스트 유입구멍(29),(44)를 삽입해 둘 필요가 있다.) 기어드모우터(20)를 회전시켜두면, 기어(22)가 회전하고, 이 기어(22)외 맞물리는 기어(23)도 회전하므로, 기어(23)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17), 스프링축(48)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17), 스프링축(48)이 회전하면, 이 회전축(17), 스프링축(48)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원통체(18), 회전원주체(49)가 각각 정지축원주체(26), 정지측원통체(42)에 상대해서 회전한다.
회전원통체(18), 회전원주체(49)가 회전하면, 고점도의 비 뉴톤 유체의 성질을 갖는 페이스트(8)는, 페이스트 유입구멍(29),(44)로부터 윗쪽으로 흡수되는 페이스트 유통용공간(27),(50)에 들어가고 나선형홈(31)(또는/및 32), (51)(또는/및 52)의 도움을 받아 상기 공간(27),(50)으로 밀려 올리게 된다.
이와같이, 수시로, 페이스트(8)이 공간(27)(50)을 상승해가면, 회전원통체(18), 정지측원통체(42)의 윗쪽으로 설치된 페이스트 배출구멍(30),(43)으로부터 페이스트가 배출되며, 회전원통체(18), 정지측원통체(42)의 외주를 따라서 아랫쪽으로 가게되며, 원위치(페이스트(8)이, 이 점도측정시에 위치하는 위치를 말함)로 되돌아 간다.
또한 페이스트(8)이, 공간(27),(50)으로 밀려 올라갈 때에, 그때의 페이스트(8)의 점도를 따라서 정지측원주체(26), 정지측원통체(42)에 회전방향의 회전토오크가 부여되므로, 스프링축(35), 축받이 하우징(45)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하여 판스프링(38)이 같은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때 한쪽 끝단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른쪽 끝단이 압접되어, 토오크가 균형이 무너져버리기 때문에 회전토오크~저항변환 신호변화 센서(39)로 부터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가 출력된다.
이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가 소위 페이스트(8)의 점도치 신호로 된다.
이제 제3도의 회전점도계(10)의 경우를 사용해서 페이스트(8)의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5도에서와 같이, 정지측원주체(26)의 반경을 R2, 회전원통체(18)의 내주의 반경을 R1, 정지측원주체(26)의 높이를 h, 회전원통체(18)의 회전소를 N(rpm), 페이스트(8)이 페이스트 유통용공간(27)을 이동해가는 속도의 수평방향 분지속도의 변화분(수직분은 충분히 작은것으로 간주한다.)(이를 밀려 올라가는 속도라고 한다.)를 D[sec-1], 정지측원주체(26)의 페이스트(8)에 의하여 받는 회전토오크를 M, 페이스트(8)의 점도를 n이라고 하면 다음 방정식이 성립한다.
D=[(4NR1 2)/(R1 2-R2 2)]·(1/60) …………………………… (1)
n=[7.5·M(R1 2-R2 2)]/(R1 2·R2 2·x2·h·N) ………………………(2)
상기식으로부터 회전토오크 M를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39)에 의하여 측정하면, 페이스트(8)의 점도 n가 판명된다.
다만, 상기식은, 나선형의 진전 각이 극히 작으며, 공간(27) 및 나선형홈(31)의 깊이도, 원주형체(26)의 직경에 대해서 매우 작다는 전제하에 결정된다. 따라서, R2는 나선형홈(31)의 능선부와 골짜기부의 표면적 비를 고려한 등가치로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분석 방법으로서, 스크류펌프의 유체역학적 분석에 의하여도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M1………… 외통과 내통 골짜기부 간 토오크
M2………… 외통과 내통 능성부 간 토오크
D1………… 외통과 내통 골짜기부 간 밀려가는 속도
D2………… 외통과 내통 능성부 간 밀려가는 속도
합성토오크 M=M1+M2…………………………… (3)
252525합성 밀려가는 토오크……………(4)
(4)식은 A1……………… 내통 골짜기부 전표면적
A2……………… 내통 능선부 전표면적
A=A1+A2라고 하면 내통에 작용하는 점성력 F는
F=n1D1A1+n2D2A2= ……………… (5)
이곳에서 (5)식은, 뉴톤 유체라면 당연이 상이한 D1,D2에서 n1=n2이며, 비뉴톤 유체일지라도, 공간이 극히 작은 것이라면, D1,D2의 차이는 매우 작아서 n1=n2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에 의거한다. (4)식은 n을 없애버림으로써 얻어진다.
더우기, 회전점도계(10')에 대해서도 거의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이곳에서는 생략한다.
다시, 실제로 페이스트(8)의 점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점도계(10)에 대해서 설명해 간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잉크:8)는, 고점도의 비뉴톤 유체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점도치는 유동곡선을 그리고, 측정했을 때의 점도는, 그때의 회전원통체(18)의 회전수(밀려지는 속도) D에 있어서의 외견상의 점도이다.
이곳에서, 페이스트(8)에는, 의소성유체와 소성유체가 있으나, 이들 페이스트(8)는, Y축에 회전토오크(밀리는 응력이라 함) M을, X축에 회전수(밀리는 속도) D를 취하면, 각각 제6도, 제7도에서와 같은 유동곡선(62),(63)을 그리게 된다.
더우기, 점선으로 표시하는 직선(64),(65),(66)은, 뉴톤 유체인 경우의 회전토오크~회전수곡선이다.
이 직선(64),(65),(66)은, 회전수와 회전토오크에 비례해서 상승해간다. 곡선(64),(65),(66)은 각각, 1, 2도로서 직선적으로 뻗어가는데 대해서, 페이스트(8)은, 유동곡선(62),(63)에서와 같이 유동된 곡선으로 되어 있다. 이 곡선(62),(63)으로 부터 판명되는 바와같이, 페이스트(8)의 종류에 의하여 강상치(降狀値) fY가 상이하다.
이곳에서, 점도 n는,
점도 n=(밀리는 응력 τ:히랍문자로 타우 임)/(밀리는 속도 D)=τ/D=tanτ……(6)
으로 표시된다.
뉴톤 유체와 같이, 유동곡선이 영으로 부터 시작하여 직선상으로 뻗어나가는 것이라면, 밀리는 속도 D에 대한 점도 n는,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제6도 제7도에서와 같이 비뉴톤 유체의 페이스트(8)에서는, 점도 n는 밀리는 속도 D로의 의존성이 있으며, 각도, 1, 2인때에는 각각 달라지고 있으므로 유동곡선이 한점만을 구하는 것으로는 별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페이스트(8)의 점도 n을 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점, 예컨대 각도 Q1과 Q2를 취하고, 이 각도 1 2각각의 점도 n를 측정하고, 더우기 그의 비율을 구해서, 틱소트로피(thixotropy)의 비율을 보여주는 틱소지수로서, 그의 유동곡선(63)(곡선:(62)에서도 동일)의 상태를 보여주는 방법을 채용한다.
그리하여, 이 계측 내용의 방법으로서는, 하기 방법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하면 유용하다. 가능하면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 (a) 일정한 회전수(밀리는 속도) D인 때의 점도를 측정한다,…… 이와같은 사실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수인때의 페이스트(8)의 점도치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 (b) 낮은 회전수 D1인 때의 점도를 n1, 높은 회전수 Du의 점도를 nu라고 할때의 틱소(thixo)지수를 구한다.
틱소지수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틱소지수는=n1/nu…………………………… (7)
더우기, 통상의 스크린인쇄기(1)로는, 상기 (1) 및 (2)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마이콤의 보급하고 있는 오늘날에는, 스크린인쇄기(1)에 마이콤을 내장하고 있으며, 보다 고점도화 하기 위하여, 다음의 (c) 방법을 채용하면 효과적이다.
(c)마이콤을 사용하여, 유동곡선(62),(63)등 그 자체를 도형화해서 계측표시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점도계로서, 직경방향 공간형인 회전점도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 공간형, 기타의 구조라도 좋고,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그의 구조는 적절히 설계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은 더말할 것도 없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이스트(8)의 온도측정을 하는 경우를 표시하지 않는 것은, 코스트 절감화 및 온도측정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특정 페이스트등의 유체를 선택했을때에는, 온도측정 및 그의 온도보정을 하고자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회전점도계(10),(10')의 페이스트(8)에 삽입되는 근방부, 예컨대 그의 선단부 근방에(이경우, 온도센서를 내장해도 좋다.) 페이스트(8)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해두면 좋다. 온도센서로 부터의 페이스트(8)의 온도치 신호는, 증폭기에 의하여 회전점도계(10),(10')에 설치한 페이스트의 온도 표시부에 그때의 온도 및 그때의 페이스트(8)의 점도치를 표시하도록 해두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소정의 온도로 되었을 때의 점도치를 보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온도 보정회로에 의하여 온도보정한 점도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해두면 편리한 것이 된다. 혹은, 그때의 점도 및 온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설치한다든가, 밀려올라가는 시간 가변속 기능을 구비해서, 각종의 측정등을 할 수 있도록 해두어도 좋다.
본 고안의 회전점도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실용상이 효과가 있다.
(1) 예컨대, 스크린인쇄기를 예로 든다면, 종래의 스크린인쇄기에서는, 페이스트의 점도관리에 있어서는, 인쇄기술자가 실험이나 실험적인 계획에 의존하고 있으며, 더우기 페이스트가 비뉴톤 유체의 성질을 갖는다는 점에서 정확한 점도치를 알수가 없으며, 정확한 점도관리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점도가 좋은 스크린인쇄를 할 수 없었다.
이것은, 페이스트가 상기와 같이, 비뉴톤 유체의 성질을 가지며, 더우기 틱소트로피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인쇄기상의 페이스트의 량이 소량이기 때문에 정확한 페이스트의 점도를 알수 없었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나,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에 의하면, 스크린 인쇄상의 페이스트의 량이 소량인 경우에도, 또한 페이스트가 비뉴톤 유체인 성질 및 틱소트로피성을 가지고 있어도, 페이스트의 점도를 정밀하게, 더우기 인쇄직전인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고점도인 스크린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2) 상기 (1)과 같이, 스크린인쇄기 상에서의 인쇄직전인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회전점도계를 스크린인쇄기에 사용하면, 종래와 같이, 스크린인쇄기 본체내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스트의 점도만을 측정하는 것과는 달리, 인쇄직전의 페이스트의 점도까지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고점도의 스크린인쇄가 가능하다.
이경우, 종래와 같이, 스크린인쇄기 본체내의 탱크에 저장된 페이스트의 점도까지도 측정하고, 미리 어느정도의 점도로 관리해둘 수 있으므로, 보다 고점도인 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코스트 절감화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탱크내의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하는 기구가 생략되고,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만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값싼 스크린인쇄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점도관리기구를 구비하지 않았던 스크린인쇄기에 다만,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와 소요의 콘트로울러를 부착하기만 하면, 고점도의 스크린인쇄기를 값싸게 실현할 수 있다.
(3)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는, 그의 일부, 예컨대 그의 선단부를 피측정유체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유체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상기와 같이, 스크린인쇄기 상의 소량의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등, 종래의 회전점도계로서는 곤란하였던 소량인 유체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를 스크린인쇄기에 사용하면, 종래의 스크린인쇄기와 같이, 스크린인쇄기 본체에 고가이면서 대형인 회전점도계를 내장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페이스트 자체를 스크린인쇄기의 내부에 내장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해서, 자유스러운 배치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인쇄기 자체를 여러가지 형태로 그리고 가격면에서도 다양한 것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4) 소량의 페이스트 등의 유체의 점도계측을 가능케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회전점도계와 비교해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된 여러가지 페이스트 등의 피측정유체의 점도측정이 가능하다.
(5) 소량의 페이스트 등의 유체의 점도계측을 가능케하고 있으므로, 이동중이나 뒤섞이는 중의 페이스트 등의 피측정유체의 유동으로 인하여, 점도계측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6) 회전체의 가변폭이 1[rpm]-100[rpm]처럼 대폭적으로 큰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페이스트 등의 피측정 유체의 틱소트로피성이나, 유동곡선을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고점도인 점도관리가 가능하다.
(7)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뒤섞이게 되어 있는 피측정용 페이스트 등의 유체는, 회전점도계에 삽입된후 배출되기 까지의 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즉 밀려가는 시간을 일정하게 할수 있으므로, 그의 점도치를 정확하게 측정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페이스트등 비뉴톤 유체는, 일반적으로, 밀려가는 시간에 따라서 점도가 변화하고, 회전점도계의 밀림에 의해서도 점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특정해서 계측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본 고안인 회전점도계로는, 페이스를 뒤섞이게 하기 위한 통의 회전에 따라, 페이스트를 스스로 흡수하고, 밀려가는 속도가 일정(회전이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일정시간 후에 배출되어서, 페이스트 순환을 계속하기 때문에, 페이스트가 회전감도계 본체 내에서 밀려가는 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밀려가는 시간이 일정하다는 특성이 주어지고, 밀려가는 시간 의존성이 있는 페이스트 등의 유체라 할지라도, 점도를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8) 기타 본 고안이 회전점도계에 의하면, 소형이고 값이 싸며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8)

  1. 회동이 지유롭게 지지된 정지측(精止側)부재와, 이 정지측부재에 대향해서 설치된 회전체와 정지측부재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공간부와, 이 미세한 공간부에 페이스트를 유입하기 위한 페이스트유입부와 회전체가 정지측부재에 대향해서 회전하므로 페이스트 유입부를 통해서 미세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페이스트 배출부와, 회전체가 회전하므로, 미세공간에 유입된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라 정지측 부재에 주어지게 되는 회전토오크~전기신호 검출수단과를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는 회전점도계.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토오크~전기신호 검출수단은, 정지측부재에 회전토오크~저항변화신호 변환센서를 접촉지지해서 이루어지는 회전점도계.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토오크~저항변화신호 변환센서는, 정지측부재에 접촉지지된 스프링부재에 부착해서 구성되어 있는 회전 점도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는, 한쪽 끝단이 고정측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단이 탄력적으로 정지측부재에 접촉지지된 판스프링의 다른쪽 끝단에 부착해서 구성되는 회전점도계.
  5.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회전토오크~저항변화 신호변환 센서는, 비뚤어진 게이지로 되어 있는 회전점도계.
  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미세공간부를 통해서 대향하는 정지측부재와 회전체의 적더오 한쪽면에는, 페이스트 유입부를 통해서 미세공간부에 유입되는 페이스트를, 페이스트배출부에 유도 하기 위한 페이스 안내홈을 형성한 회전점도계.
  7. 제6항에 있어서, 페이스트안내홈은, 나선형으로 되어 있는 회전점도계.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점도계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정지측기둥형상체와 정지측 기둥형상체와 이 기둥형상체에 대향해서 이 외측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원통형상체와, 회전원통상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공간부와, 이 미세공간부에 페이스트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부와, 회전원통형상체가 회전함으로써 페이스트 유입부를 통해서 미세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페이스트 배출부와, 회전원통형상체가 회전함으로써 미세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의 점도에 의하여 정지측 기둥형상체에 주어지게 되는 회전토오크를 저항변화로서 검출하는 회전토오크~저항변화검출수단과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회전 점도계.
  9. 제8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유입부는 회전원통형상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페이스트 유입구멍인 회전점도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배출부는 회전원통형상체의 페이스트 유입구멍보다도 윗쪽위치에 형성된 페이스트 배출구멍인 회전점도계.
  11. 제8 또는 9항에 있어서, 회전원통형상체는, 미세공간부와 대향하는 면에 축방향에 따라 나선형홈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회전점도계.
  12. 제8 또는 9항에 있어서, 정지측기둥형상체는, 미세공간부와 대향하는 면에 축방향에 따라 나선형홈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회전점도계.
  1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회전점도계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정지측원통형상체와, 이 정지측원통형상체의 안쪽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기둥형상체와, 정지측원통형상체와 회전기둥형상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공간부와, 이 미세공간부에 페이스트를 유입하기 위한 페이스트 유입부와, 회전기둥형상체가 회전함으로써 페이스트 유입부를 통하여 미세공간에 유입된 페이스트를 외부에 배출하는 페이스트 배출부와, 회전기둥형상체가 회전함으로써 미세공간부에 유입된 페이스트의 점도에 의하여 정지측 원통형상체에 주어지는 회전토오크~저항변화검출수단과를 설치해서 구성되는 회전점도계.
  14. 제13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유입부는, 정지측원통형상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페이스트 유입구멍인 회전 점도계.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배출부는 정지측원통형상체의 페이스트 유입구멍보다도 윗쪽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페이스트 배출구멍인 회전 점도계.
  16. 제15항에 있어서, 회전기둥형상체는, 미세공간부와 대향하는 면에 축방향에 따라 나선형홈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회전점도계.
  17. 제15항에 있어서, 정지측원통형상체는, 미세공간부와 대향하는 면에 축방향에 따라서 나선형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회전점도계.
  18. 제1 또는 8항에 있어서, 회전점도계는 회전토오크~저항변화검출수단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회전 점도계.
KR2019870000874U 1986-01-29 1987-01-28 회전 점도계 KR9000065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1422 1986-01-29
JP1142286 1986-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637U KR870012637U (ko) 1987-08-05
KR900006574Y1 true KR900006574Y1 (ko) 1990-07-26

Family

ID=1177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874U KR900006574Y1 (ko) 1986-01-29 1987-01-28 회전 점도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78378A (ko)
EP (1) EP0231873B1 (ko)
KR (1) KR900006574Y1 (ko)
DE (1) DE377151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108A (en) * 1990-03-13 1993-05-11 Halliburton Company Rheological tes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helical screw rheometer
US5301541A (en) * 1992-06-19 1994-04-12 Joseph Daniel D Drag determining apparatus
US5503002A (en) * 1994-11-08 1996-04-02 Tannas Co. Sensitive rotating viscometer instrument
US5571952A (en) * 1995-04-06 1996-11-05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Electronic viscometer
US5600058A (en) * 1995-09-08 1997-02-04 Appa Systems, Inc. Rotating consistency transmitter and method
US5627330A (en) * 1995-09-08 1997-05-06 Appa Systems, Inc. Leverage insertion assembly
US5684247A (en) * 1995-09-08 1997-11-04 Appa System, Inc. Rotating consistency transmitter impeller and method
US5677481A (en) * 1996-03-08 1997-10-14 Markem Corporation Viscosity maintenance
US5708197A (en) * 1996-05-07 1998-01-13 Polymer Processing Institute Helical barrel rheometer
US6036084A (en) * 1997-02-06 2000-03-14 Tdk Corporation Scre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nd electronic component soldering method using screen printing and apparatus therefor
US6571609B1 (en) * 2001-05-09 2003-06-03 Hongfeng Bi Digital viscometer with arm and force sensor to measure torque
JP4825791B2 (ja) 2004-03-11 2011-11-30 レオセン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的に集積された圧力センサを備えた微小スロット粘度計
DE102004050753B4 (de) * 2004-10-16 2013-08-01 Thermo Electron (Karlsruhe) Gmbh Rheometer
US7730769B1 (en) 2006-05-24 2010-06-08 Kwon Kyung C Capillary viscometers for use with Newtonian and non-Newtonian fluids
US20100011841A1 (en) * 2008-07-17 2010-01-21 Mogawer Walaa S Apparatus and methods for testing asphalt mix workability
US8230723B2 (en) * 2008-09-19 2012-07-31 Chandler Instruments Company, LLC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viscometer
SG195555A1 (en) * 2008-12-24 2013-12-30 Emd Millipore Corp Caustic stable chromatography ligands
EP2564181B1 (en) 2010-04-26 2021-08-25 RheoSense, Inc. Portable viscometer
US8794051B2 (en) 2011-11-10 2014-08-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mbined rheometer/mixer having helical blades and methods of determining rheological properties of fluids
US9702799B2 (en) * 2011-11-10 2017-07-1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tatic gel strength testing
RU2530457C1 (ru) * 2013-03-06 2014-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ОУ ВПО "ВГ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вязкости материала
CN106415236B (zh) 2014-04-11 2021-04-20 电流感应器公司 粘度计和使用该粘度计的方法
EP3526580B1 (en) 2016-10-11 2024-03-27 Rheosense Inc. Viscomet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AT521097B1 (de) 2018-03-26 2022-05-15 Anton Paar Gmbh Rotationsviskosimeter zur Messung der Viskosität von Stoffen
JP7346070B2 (ja) * 2018-04-30 2023-09-19 アントン パー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回転式粘度計を用いて物質の粘度を特定する方法
KR102142013B1 (ko) * 2019-07-11 2020-08-06 김명호 고점도 물질의 유변학적 물성 측정 장치
US11698330B2 (en) * 2019-10-15 2023-07-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heological measurement of yield stress fluids using fractal-like fixtures
CN116660100B (zh) * 2023-07-26 2023-10-10 辽宁华普环保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润滑油用添加剂调剂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1423A (en) * 1947-09-20 1949-12-13 Wingfoot Corp Package
US2953682A (en) * 1956-11-29 1960-09-20 Du Pont Liquid mass and viscosity determination
US2992651A (en) * 1957-07-02 1961-07-18 Krofta Milos Stock consistency indicator
US3229506A (en) * 1961-11-18 1966-01-18 Herbert K Bruss Viscosity measuring instrument
DE1254887B (de) * 1962-08-09 1967-11-23 Basf Ag Rotationsviskosimeter zur kontinuierlichen Messung der Viskositaet von Substanzen relativ hoher Zaehigkeit
US3115769A (en) * 1962-10-10 1963-12-31 Jr Richard Le Baron Bowen Viscometer spindle
DE1498820A1 (de) * 1964-02-14 1970-04-09 Interatom Durchfluss-Rotationsviskosimeter
DE1798201A1 (de) * 1968-09-07 1971-09-30 Schenkel Gerhard Prof Dr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rheologischer Stoffwerte (Simultan-Rheometer)
DE1951710A1 (de) * 1969-10-14 1971-04-29 Karmann Gmbh W Fensterhebeeinrichtung mit variabler Antriebslagerung,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7233586U (de) * 1972-03-13 1973-12-20 Parke D & Co Rotationsviskosimeter
DE2601487C3 (de) * 1976-01-16 1980-02-14 Horst Henning Dr.-Ing. 7000 Stuttgart Winter Viskosimeter
DE2962888D1 (en) * 1978-06-21 1982-07-08 David A Brookfield Viscometer
FR2449879A1 (fr) * 1979-02-22 1980-09-19 Kepes Andre Rheometre biconique
SU823977A1 (ru) * 1979-07-03 1981-04-23 Среднеазиат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Ирригации Им. B.Д.Журина Вискозимет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71513D1 (de) 1991-08-29
KR870012637U (ko) 1987-08-05
US4878378A (en) 1989-11-07
EP0231873A2 (en) 1987-08-12
EP0231873A3 (en) 1988-01-13
EP0231873B1 (en) 199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574Y1 (ko) 회전 점도계
US6988405B2 (en) Device for measuring levels
Shankar et al.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kinematic viscosity of glycerol-water mixtures
DE3884619T2 (de) Digitaler neigungsmesser.
DE3223648C2 (ko)
US4658207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ink samples
US7188426B2 (en) Inclination sensor
AU735475B2 (en) Apparatus for capacitive electrical detection
DE1911502B2 (de) Torsionsviskosimeter
US6169407B1 (en) Water content metering apparatus
JPS6326551A (ja) 回転粘度計
Moorman Motion of a spherical particle in the accelerated portion of free fall
JPS63317744A (ja) 回転粘度計
RU2155953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вязкости и вискозиметр
JPH0658864A (ja) 流動体の粘度を求める方法
CN213987977U (zh) 一种器壁旋转模式下的液体实验仪
JPS62174151A (ja) スクリ−ン印刷機
DE19715796C2 (de) Kalibriereinrichtung für Geschwindigkeitssensoren
WO2006115392A1 (en) Apparatus of generating torsional deflection, apparatus of measuring the properties of fluid, and integrated system of monitoring the properties of fluid having the same
JPS63317745A (ja) 回転粘度計
DE112020002417T5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Integrität und Leistungsfähigkeit eines mechanischen Systems
JPS5812111Y2 (ja) 浮子式可変抵抗型液面計の液面検出装置
RU2456576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вяз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792840B2 (ja) 単センサ式密度計測装置および方法
Ellenberger et al.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a cone-and-plate rheogoniometer with air bea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