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14B1 -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14B1
KR900006514B1 KR1019840004793A KR840004793A KR900006514B1 KR 900006514 B1 KR900006514 B1 KR 900006514B1 KR 1019840004793 A KR1019840004793 A KR 1019840004793A KR 840004793 A KR840004793 A KR 840004793A KR 900006514 B1 KR900006514 B1 KR 90000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sect repellent
plate
package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887A (ko
Inventor
야스하루 다게이
도시유끼 사사끼
사도시 오오이
후미도시 호시데
아쯔요시 오꾸다
Original Assignee
후마기라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모 다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145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62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89146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96068U/ja
Application filed by 후마기라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모 다까아끼 filed Critical 후마기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방충시트의 사시도.
제2도는 약제가 포장시트로 이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a도 내지 3g도는 각종형태의 함침체(含浸體)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4도 내지 제12도는 각종형태의 내부포장과 밀봉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방충시트를 보여주는 전면도(前面圖).
제14도는 방충제의 유효기간을 표시하기 위한 종래의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사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유효기간 표시장치가 부착된 방충시트의 전면도.
제17도는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부분이 은폐되어 있는 제16도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정면도.
제18도는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모든 표시부가 나타나 있는 제16도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정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은폐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정면도.
제20도는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모든 표시부가 나타나 있는 상기 표시장치의 정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다른 표시장치의 교환시기를 은폐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2도는 교환시기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3도 내지 제27도는 각종형태의 방충시트에 의한 식해저지율(食害沮止率)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제28도는 방충시트에 비교하여 함침체속에 있는 잔존약제(殘存藥劑)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제29도 및 제30도는 상자속으로 부터 밖으로 나온 좀유충의 수가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제31도 및 제32도는 다른 형태의 방충시트에 의한 식해저지율이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는그래프.
본 발명은 옷장, 벽장, 화장실 및 기타 각종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방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방충제와 그밖에 살충제, 방향제(芳香劑), 탈취제(脫臭劑), 구산제(驅散劑), 유인제(誘引劑) 및 살균제와 같은 휘발성 또는 승화성 약제의 포장제품의 약효정지시기를 표시하여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해충, 특히 의류해충의 구제(驅除)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두가지의 약제[살충제, 방충처리된 방향제(芳香劑) 및 구산제(驅散劑)를 포함하여]가 사용되고 있다. 한가지 약제종류로는 파라디클로로벤젠, 나프타린 및 장뇌(楣톄呂)와 같은 승화성 고체약제이며, 다른 약제로서는 유기인화합물(예를들어 DDVP, 스미토모화학회사의 스미치온)과 합성피렌트로이드[예를들어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디메칠-3-(2',2'-디크로로비닐)-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및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디메칠-3-)2'-메칠-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그리고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3,3,-테트라메칠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휘발성액상약제이다.
승화성 고체방충제는 프라스틱용기에 넣거나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 싸서 사용한다.
이와같이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 포장하는 목적은 고체방충제의 결점이 되는 승화에 의한 짧은 시일내에 약효의 상실과 약제가 의류에 직접 접촉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 포장하므로서 방충제의 승화를 최소화시켜서 약제의 방충효과기간을 연장하여주고, 의류와의 직접접촉을 방지하여 의류의 손상을 희피하게 된다.
액상방충제는 종이, 프라스틱 또는 다공성 물질에 함침시켜서 직접 또는 프라스틱용기에 넣어 사용한다 상기 액상방충제를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 포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액상방충제의 효과를 고상(剛大)방충제의 효과보다 크며, 적은량으로서도 요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액상방충제의 증기압은 고상방충제에 비하여 낮으며, 사용초기단계에 있어서 증발량은 너무 적어서 초기의 살충효과가 작다는 것이다. 따라서 액상방충제를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 싸서 증발을 억제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반대로 증발을 촉진시킬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초기부터 높온 살충효과를 얻기 위하여 방충제의 항침체의 형상을 복잡하게 형성시켜 증발표면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합침체의 두께를 감소시켜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증발표면을 넓게하고 함침체를 얇게하여 증발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초기단계부터 높은 방충효과가 기대되는 반면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설치장소 내의 약제농도가 유효농도에 도달하고,그후에는 분해 또는 설치장소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약제의 소모분을 보충할 정도의 증발량으로 족함에도 불구하고 증발면적을 넓게하고 항침체를 얇게 만든 방충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계속적으로 약제가 다량으로 증발하여 함침체 속에 있는 약제가 단시간에 소모되고 유효기간이 단축되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시 온도, 습도 및 바람과 같은 환경조건의 영항으로 약제의 증발량이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약효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함침체의 크기를 제한하면, 휘산면적이 작아져서 약제의 증발량이적어지고, 초기의 방충효과가 감소되고 그후에 있어서도 증발량이 억제되므로 만족할 만한 방충효과를 달성할수 없다.
이와같은 문제는 함침체가 방충제의 보지체(保持體) 및 공급체로서 뿐만아니라 증발체로서의 역할을 하는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초기단계로부터 계속적으로 충분한 방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함침체를 다공성재료로 만들고 면적도 넓게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때 함침체는 악제의 보지능력이 적어지는 반면에 약제의 공급이 과잉이 되어 방충제는 단시간에 소모된다.
한편 장기간에 걸쳐 방충효과를 유지하고자 하면 항침체를 약제보지력이 강하고 과잉공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밀한 조성물로 만들 필요가 있으며, 또한 항침체의 증발면적을 작게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상과 같이 초기부터 약제의 충분한 증발량을 보장하고 장기간동안 증발을 계속시키기 위해서는 액상방충제로 항침시킬 항침체의 재질, 크기 및 형상을 적절히 절충하여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이 액상방충체를 항침시킨 함침체를 직접 사용하거나 프라스틱용기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시트 또는 기타 적합한 포장재료로 싼 방충제 및 기타 휘발성약제의 효과정지(만료)시기를 표시하여 주는장치가 있다. 예를들어 옷장 속에 걸어둔 양복들 사이에 매달아 놓은 방충시트에 장치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방충시트의 한쪽 측연부에 미싱바늘구멍 점선으로 형성된 12개의 절취부로 이루어져서 그 절취부는 각각 1월부터 12읠까지의 사용이 시작되는 달을 표시하며, 상기 절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7월부터 시작하여 6월로 끝나는 교환할 달을 표시하는 난(欄)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1월에 사용개시할 경우에는 1월의 표시가 되어있는 절취부를 떼어내면 교환할 달은 7읠이라는 것을 알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사용만료시기 표시장치는 동일한 표면에 ''사용개시월''과 ''교환월"이 나란히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틀리기 쉽고, 또는 이해하기 어려워서 사용법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절취부를 잘못 절취하였을 경우에는 원상복구가 불가능해지고, 또한 절취부가 너무 작아서 취급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액상방충제를 사용하여 사용초기단계부터 충분한 방충효과를 나타내고 장기간에 걸쳐 효과를 유지하며, 제조 및 사용이 편리한 방충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충제, 방향제, 탈취제, 구산제, 유인제 및 살균제와 같은 휘발성 및 승화성 방충제의 유효기간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있고, 또한 잘못하여 표시부를 표출하였을 경우에도 쉽게 원상복구시킬수 있는 방충제 유효기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충시트는 하나의 동일한 항침체가 사용초기부터 충분한 약제를 증발시키고, 계속적으로 적절히 조절하면서 증발을 지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함침체를 두부분으로 나누어 하나는 방충제의 보지체 및 공급체로 하고, 다른 하나는 증발체로 하였다. 사용시 초기에는 증발체가 필요한 량의 약제를 신속히 증발시켜 준다. 그다음에는 방충제 보지체 및 공급체가 필요한 량의 약제를 적절한 속도로 증발체에다가 공급하여 준다
이와같은 이중구조의 항침체를 사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액상방충제를 함침시킨 작은 증발면적을 갖는 항침체를 일본종이 등으로 싸거나 접촉시켜 일정한 기간(약 1주일)동안 놓아두었을때는 항침체 자신의 증발표면으로부터의 증발량보다 많은 량의 액체가 증발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일본종이의 크기를 크게하면 증발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의 파라디클로로벤젠과 같은 승화성 고형방충제를 일본종이 등으로 포장하였을 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액상방충제에 특유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고형방충제를 일본종이등과 같은 것으로 싸주는 것은 증발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흥미있는 현상을 기초로하여 연구를 계속한 결과 액상방충제를 항침시킨 함침체를 보다 큰 일본종이 등으로 싸줄경우 항침체중의 방충제가 먼저 일정량이 일본종이로 침투이행(浸透移行)하고, 그 일본종이로부터 방충제가 증발하게 되며, 방충제의 증발소모량은 함침체로부터 계속적으로 보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방충시트의 장점은 보지체의 표면적이 그 보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포장(일븐종이)의 전체 표면적과 특정한 비율을 성립할 때만 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방충제(살충제, 방충방향제 및 구산제를 포함)를 항침시킨 두께 1-1Omm의 항침체를 그 항침체 자체의 표면적이 포장물의 전체표면의 5-6096가 되도록 일본종이, 부직포, 헝겊 또는 종이와 같은 공기 투과성 포장재료로 포장하여 방충시트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방충시트는 초기단계로 부터 충분한 방충효과를 나타낼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유효한 방충효력을 지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실시태양에 따라 기체 비투과성용기속에 상기 방충시트를 포장 밀폐한 방충시트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포장원 방충제 또는 기타 휘발성화학약제 또는 포장원 승화성약제의 유효기간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를 제공하며, 그 장치는 특정한 교환시기를 나타내는 최소한 하나이상의 표시부를 갖고 있는 표시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시판은 접어서 상기 표시부를 은폐하여 주고, 상기 표시부가 있는 표시판은 내측판을 형성하며, 상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외측판은 절곡부를 중심으로 벗겨 젖힐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박기부(剝離部)에는 "사용개시시기"라는 글자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一樣相)에 마른 방충시트의 각종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상방충제를 항침시킬 항침체의 재료는 면(綿) 및 모(毛)와 같은 천연섬유, 나이론섬유 및 포리에스터섬유와 같은 합성섬유,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또는 석면과 같은 무기섬유, 실리카젤(silica gel) 및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다공질재료, 포리에치렌, 에치렌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포리염화비닐과 같은 프라스틱, 한천 및 제라틴과 같은 겔화제(ge1 化劑), 그리고 사이크로덱스트린 및 불석과 같은 공동(空洞)들을갖고 있는 화합물(분자들은 액상방충제를 분자로서 공동속에 결합시켜 방충제가 화합물속에 함유된다.)중에서 선택한다. 이와같은 재료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재료들은 종이, 필름, 매트 또는 성형판과 같은 모양으로 적절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함침체는 마이크로캅셀로 만든 액상방충제로대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침체는 또한 다른 방충제, 살충제, 향료, 곰팡이방지제, 공력제[Synergist), 살균제 및 건조제를 본 발명에 따라 함침시킬 액상방충제와 함께 함유시킬수도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액상방충제로 함침시킨 함침체는 상기 공동약제 성분들로 함침시킨 다른 함침체와 항께 하나의 동일한 포장 속에 넣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상방충제"라는 용어는 또한 액상살충제, 액상구산제 및 액상방충방향제도 의미한다. 선호하는 액상살충제의 예로서는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디메칠-3-(2',2'-디크로로비닐)-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및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디메칠-3-(2'-메칠-1'-프로페닐)-시크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및 1-에치닐-2-메칠-2-펜테닐-2,2,3,3-데트라 메칠시크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등이 있다. 선호하는 액상구산제의 예로서는 N,N-디에칠-m-롤루아마이드,2,3,4,5-비스(△2-부치렌)-테트라하이드로 푸르푸랄, 디-n-프로필 이소신코메론에이트 및 디부칠프타레이트 등이 있다. 선호하는 액상방충방향제의 예로서는 시트로넬롤, 유지놀 및 이소샤프롤 등이 있다.
함침체의 두께는 1 내지 10미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미리이다. 한개의 포장속에 수용할 함침체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함침체의 표면적이 포장전체표면의 60%가 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범위가 되도록 여러개의 함침체를 하나의 포장 속에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두말할것도 없이 여러개의 함침체의 전체면적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해야하고, 개개의 함침체의 표면적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아니다. 또한 포장의 전체표면이라 함은 포장의 상하 외측표면의 면적을 의미하며 내측면의 면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정의는 포장의 밀봉부분과 밀봉되지 않은 부분에 모두 적용된다. 또한 측면을 연하여 밀봉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포장의 내면이 대기와 접촉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내측면은 포장의 표면적에 가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함침체의 표면적을 포장전체 띤적의 60%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정하는 기술적의의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설명된다.
함침체를 넣을 포장은 약제를 함침시킬수 있으며, 신속한 증발을 가능하게하는 공기투과성 시트재료로 만들수 있다. 다시말해서 포장재료는 공기투과성 뿐만 아니라 약제의 신속한 방산성(放散性)도 가지고 있어야한다. 이러한 적합한 재료로서는 일본종이, 부직포, 헝겊 및 크래프트종이와 같은 보통의 종이들을 들수 있다. 이러한 시트재료들은 열융착성수지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종이 및 부직포와 같은 기체투과성 재료를 열융착성수지가루 또는 섬유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열융착성 처리를 한 시트재료는 포장용 시트재료의범위에 포함된다. 열밀봉이 가능한 일본종이와 부직포가 선호되고 있다.
약제로 함침시키고 포장속에 넣은 함침체로 이루어지는 방충시트는 알루미늄은박지 또는 알미늄을 입힌프라스틱시트로 만든 겉포장으로 밀봉하여 시중에 판매된다. 이와같은 형태의 포장이 선호되고 있지만, 프라스틱통과 같은 다른 헝태의 용기속에 방충시트를 넣고 밀봉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방층시트를 겉포장 또는 용기속에 밀봉하여 저장했다가 꺼내서 요망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시트의 한 실시예로서, 먼저 액상방충제를 소형 함침매트(함침체)(1)에 함침시킨다. 이 함침매트(1)를 통기성을 갖는 일본종이, 부직포 등에 가열밀봉할 수 있도록 수지로 처리한 포장지(2) 속에 넣고, 그 포장지(2)의 주변부 및 함침매트(1)의 주위를 둘러싼 부분을 가열밀봉(밀봉부분은 3번으로 표시)하여 방충시트를 완성한다. 이때 도면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함침매트(l)위의 포장지(2)는 일부분을 절개하였지만 실제로는 연속된 포장지로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포장원 방충시트에 있어서 표면적이 작은 함침체(1)에 함유된 방충제가 함침매트(1)와 포장지(2)가 접촉하므로서 포장지(2)로 이행한다 즉, 포장지(2)는 함침매트(1)의 포장지가 되는 동시에 제2의 함침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포장지(2)는 일본종이 및 부직포와 같은 얇은 포장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방충제를 보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포장지 속에 함유된 약제가 일정한 농도에 달하면 약제가 포장지로 이행하는 것이 정지되거나 억제된다. 그다음 포장지(2)로 이행한 약제가 포장지(2)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한다. 증발에 따른 약제 소모분은 함침매트(1)로부터 공급되어 보충되고, 이렇게 하므로서 약제의 계속적인 증발이 이루어 진다.
상기 방충제가 포장지로 이행하는 시간적인 상태를 제2도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함침매트(l)로 부터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 속으로 이행한 (R, S) -1-에치닐-2-메칠펜트-2-에닐(lR)-시스, 트란스크리산테에이트(스미토모 화학회사에서 제조한 특수화합물의 명칭으로서 이하 "베이퍼스린"이라 칭힘)의 량을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 속에 함유된 포화량을 100%로 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함침매트(1)에 접촉된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 속에 함유된 약제의 량은 1주일이내에 7의 포화량에 달하였고,약제의 일본종이 또는 부직포로의 신속한 이행을 보여 주고 있다.
함침매트(1)의 각종형태를 제3(a)도 내지 제3(g)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함침매트(1)는 직사각형(제3a도) 또는 원형(제3b도), 또는 제3도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형태로 만들수도 있다. 함침매트(1)는 제3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운데에 사각형구멍을 뚫거나, 제3d도와 같이 양쪽측연부를 반원형 또는 V자형으로 따낼수도 있고, 또는 제3e도와 같이 두개의 원형 관통구멍을 뚫어놓을 수도 있다. 함침매트(1)의 두께는제3f도와 같이 점차로 얇아지게 하거나 제3g도와 같이 계단식으로 할수도 있다. 이와같은 모양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므로서 약제의 증발량, 즉 유효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4도 내지 제12도는 함침매트(1)를 포장속에 넣고 포장을 밀봉하는 각종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들의 실시태양은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결코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전기 제1도에도시한 바와같이 함침매트(1)는 포장(2) 중간에 위치시킨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함침매트(1)를 포장(2)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위치시킬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함침매트(la,la,…)들을 단일 포장빽(2a)안에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넣어서 개개의 함침매트(la) 주위를 가열밀봉하여 밀봉주위(3a)를 형성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방충시트는 외부포장 또는 용기를 제거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내측포장(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침매트(1)들을 둘러싼 밀봉부위에 바늘구멍점선을 만들어주어서 포장된 함침매트(1)들을 하나의 사용단위로서 분리하기 용이하게 할수도 있다.
내측포장(2)은 제1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개 또는 그이상의 함침매트(1)를 둘러싼 주위부분을 밀봉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포장(2c)을 다만 사방연부만을 밀봉(3c)할수도 있으며, 이매 다수의 함침매트(1c,1c)들이 포장 속에서 자유로이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봉부위(3d)에 밀봉되지 않은 부분(4)을 형성시킬수도 있다
또한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께가 서로 상이한 두개의 함침체(le및 1f)들을 동일한 포장(2e) 속에 넣을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기가 작은 함침매트(lg)와 큰 함침매트(1h)를 동일한 포장(2f)속에 넣을 수도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이 필요시에는 포장(2g및 2h)의 요망하는 일정한 부위[힘침체(li또는 1J)가 포장된 부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5a또는 5b)을 뚫어놓을 수도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충시트는 액상방충제(살충제, 곰팡이 방지방향제 또는 구산제를 포함)를 보지하는 일정한 두께의 함침체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함침체는 그의 표면적이 포장전체표면적의 일정한 비율을 점유하도록 포장 속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같이 수배되어 있기 매문에 항침체 속에 있는 약제는그 항침체와 접촉되어 있는 포장 속으로 신속히 이행하고, 그 다음 상기 포장은 약제로 함침된 제2함침체의 역할을 하면서 일정한 량의 약제를 포장표면으로 부터 증발시킨다. 이와같이 증발함에 따라 포장자체속에 함유되어 있는 약제의 증발손실량은 함침체로부터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보충되므로서 약제의 지속적인 증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충시트를 외부포장 또는 저장용기로 부터 꺼낼때 비교적 다량의 약제가 함침체로 부터 면적이 넓은 내부포장표면으로 이행하고, 그 내부포장으로 부터 주위공간속으로 신속히 증발하므로서 사용초기단계에 충분한 량의 약제가 증발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부터 방충시트는 주위조건의 번화에 영향을 거의받지 않고 약제를 내부포장에 공급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포장으로 약제의 공급(이송)은 약제의공급과 증발과정의 율속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약제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므로서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여 요망하는 방충효과를 장기간 유지하게 된다 공급되는 약제의 량은 함침체의 수량과 각함침체에 최초 함침시킬 약제의 량을 가감하므로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두말할것도 없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부포장의 기능은 증발매체로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내부포장은 함침체 자체를 보호하고 함침체가 의복에 직접 접촉하여 일어나는 의복의 손상을 방지하여준다.(약제가 내부포장에 함침되지만그의 이송량이 크지 않기 매문에 의복을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내부포장의 또다른 기능은 방충시트의 미관과 상품가치를 증가시켜 준다.
본 발명의 방층시트는 또한 제조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효력발생에 필요한 액상방충제의 량은 통상매우 작은 것이며, 종래의 대형 함침체나 표면적이 크고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는 함침체에 있어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개량된 일정한 량의 약제를 항침체의 전체표면에 균등히 바른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노즐을 통한 약제용액의 동시적인 적하(滴下), 용제속에 액침(液浸) 및 인쇄기에 의한 피복등과 같은 간단하지 않는 복잡한 기술을 필요로 하며, 함침체를 만들기 위한 가용한 재료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서 적당한 제조방법 및 그 규모의 선택뿐만 아니라 중간생산물의 취급에 있어서 커다란 곤란성을 수반한다.그러나 본 발명의 방충시트는 종래의 제품보다 작은 함침체를 사용하며, 약제의 필요량에 관계없이 함침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점에 약제를 첨가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함침체의 전반적인 크기와 표면적은 전체 함침체에 충분하고 균일한 약제의 함침을 달성할 만큼 작다. 도포방법은 간만하며, 약제의 캐량원 량을용이하게 도포할수 있게 한다. 대형 항침체는 수송 및 사용시 취급이 불편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충시트는 함침체를 내부포장으로 포장하고 작게 접어서 부피를 작게하여 값이 저렴한 소형외부포장 또는 용기에.넣어 둘수 있다. 접혀진 방층시트는 간단히 펴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방충시트 및 포장된 기타 휘발성 약제의 유효기간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 상기 장치의 장점을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방충시트의 유효기간을 표시하여 주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장치는 시트(11)의 측연부에 바늘구멍점선(12)으로 형성된 12개의 절취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절취부(13)들은 1월부터 12월까지 "사용개시월"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13)에 인접하여 "교환할 달"을 표시하기 위하여 7월부터 6월까지의 월을 표시한 월난(月欄)이 인쇄되어 있다. 방충시트를 1월에사용개시할때 사용자는 "1월"이라고 표시한 절취부(13)를 절취하면 방충시트(11)를 7월에 교환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사용개시월"과 "교환할 달"의 표시가 시트(11)의 동일한 측연부에 나란히 인접하여 인쇄되어 있으므로서 사용자는 때때로 달표시를 잘못 읽을수 있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의 사용법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절취부(13)를 잘못 절취하였을 때에는 원상복구가 곤란하다. 또한 절취부(13)가 너무 작아서 취급이 불편하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이러한 단점을 제거한 것으로서 내측판과 의측판으로 접혀지는 단일시트(sheet)로 되어 있고, 의측잔은 상단부의 파단부와 좌우측에 바늘구멍점선부가 만들어져 있어서 절곡부(접히는 부분)의 윗부분을 벗겨서 젖히게 되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충시트의 유효기간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16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6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충시트를 문자 A로 표시하였다. 상기 방충시트에 있어서 액상방층제로 합침시킨 다수의 항침매트(21)가 시트 모양의 포장(22)으로 포장되어 있다. 상기 포장시트(22)의 상하만에 두꺼운 종이와 같은 재료로 만든 지지부(23 및 24)가 부착되어 있다. 상만의 지지부(23)에는 걸고리(25)가 말려 있다.제17도 및 제18도에 있어서 포장시트(22)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24)는 인쇄 가능한 단일 시트판(20)으로 두겹으로 접어서 포장시트(2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판(20)의 의측판(26)에는 4개의 파단부(28a,28b,28c,28d)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중 하나의 파단부(28a) 양쪽에는 바늘구멍점선부(30a,30a')가 필곡부(29)까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파만부[28b,28c,28d)에도 각각 바늘구멍 점선부(30b,30b'),(30c,30c') 및 (30d,3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와 바늘구멍점선부들은 4개의 절개부(31,32,33,34)를 형성하고 각각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의 "사용개시시기"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31,32,33,34)의 이면에는 각각 또다른 표시부(35,36,37,38)를 형성하며, 이 표시부에는 절개부에 표시한 "봄","여름", "가을" 및 "겨울"의 "사용개시시기"에 각각 대응하는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교환시기"가 표시되어 있다. 만약 필요시에는 상기 "교환시기"의 표시부(35,36,37,38)에다가 해망교환시기를 상징하는 꽃의 그림을 인쇄하고 "교환시기"란 글자를 표시할수도 있다.
만약 방충시트를 봄에 사용개시 할때 사용자는 파단부(28a)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바늘구멍점선부(30a 및30a')를 따라 벗겨 젖히면 표시부(35)에 표시된 "가을"이 나타나게 된다. 이 "가을"표시를 보면 사용자는방충시트를 가을에 교환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포장시트(20) 하단의 지지부(24)에 부착하지 않고 상단의 지지부(23)에 부착할 수도 있다.
제19도 및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방충시트(a)의 상하단의상단 지지부(23) 또는 하단 지지부(24)의 한쪽에 두겹으로 접은 시트판(2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판(20)의 의측판(26)에는 3개의 파단부(40)가 절곡부까지 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판(26)의 상단부에는 수평바늘 구멍점선부(41)가 상기 3개의 파단부(40)를 가로질러 시트판(20) 양측연부(緣部)까지 형성하므로서 4개의 절개부(31,32,33,34)를 형성한다. 이들 절개부에는 "봄", "여름", "가을","겨울"의 "사용개시시기"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31,32,33,34)의 이면의 내측판(27)에는 각각 또다른 표시부(35,36,37,38)가 형성되어 이들표시부에는 절개부에 표시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용개시시기"에 각각 대응하는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교환시기"가 표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계절표시 앞에 "교환"이란 글자를 표시하여 준다. 만약 방충시트를 봄에 사용개시할때 사용자는 절개부(31)를 바늘구멍점선부(41)를 따라 절취하여 젖혀내리면 "가을"이란 표시가 나타난다.
제21도 및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정방형의 시트판(20)을 사방으로 부터 안쪽으로 접어서 가운데는 접지 않는 정방형부분(43)이 생기고, 각 모서리에 두장이 겹쳐지는 외측판은 서로 접착시킨다. 이와같이 접은 시트간에는 중앙정방형부분(43)의 각변으로부터 사방으로 이들절개부에는"봄", "여름", "가을", "겨울"이란 "사용개시시기"를 표시한다. 상기 절개부(31,32,33,34)의 이면의 내측간(27)에는 각각 또다른 표시부(35,36,37,38)가 형성되어, 이들 표시부에는 절개부에 표시한 "봄", "여름","가을", "겨울"의 ·사용개시 시 기 "에 각각 대응하는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교환시 기 "가 표시되어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계절표시앞에 "교환"이란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정방형부분(43)에는 중앙에 핀(46)이 꽂혀 있어서 방충시트(a)의 상부지지부(23) 또는 하부지지부(24)에다가 시트판(20)을 부착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시기를 정상위치에서 읽을 수 있도록 시트판(20)을 회전시켜서, 예를들어 "봄"표시를 한 절개부(31)의 바늘구멍점선부(45)를 절취하여 젖혀내리면·가을"이란 표시가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3가지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개부와 표시부의 수는 각각 4개씩이다. 그러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절개부의 수는 사용될 방충제의 유효기간에 따라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3가지의 실시예를 액상방충제로 함침되는 함침매트를 싸주는 포장시트로 이루어지는 방충시트에 상기 표시장치를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는 또한 프라스틱용기에 넣거나 종이 또는 부직포에 포창되는 방충제, 살층제, 방향제, 탈취제, 유인제 및 살균제를 망라하는 액상 또는 고형 휘발성약제와 같은 기타 각종 포장제품의 유효기간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휘발셩 약제의 포장제품"이란 용어는 용기속에 넣거나 종이 또는 부직포에 포장된모든 종류의 액상 또는 고형 휘발성 약제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휘발성약제의 포장제품의 유효기간을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외측판 및 내측판으로 접는 단일 시트판으로 이루어지며, 전자의 외측판은 "사용개시시기"라는 표시가 되어 있는 최소 한개이상의 절개부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절곡부까지 벗겨 젖힐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에 대응하는 내측판에는 "교환시기"라는 표시가 되어 있다. 종래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동일한 면에 "사용개시시기"와 "교환시기"의 표시들이 나란히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때때로 사용자는 시기를 정확하게 분별하지 못하거나, 그 표시장치의 사용법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외측판에"사용개시시기"만이 표시되어 있기 매문에 종래의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하게 되었다. 또 하나의 장점으로서는 표시장치에 형성된 절개부(31,32,33,34)들은 쉽게 벗겨 젖힐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하는·절개부를 간단히 벗기므로서 정확한 "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설사 잘못 절개부를 벗기드래도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시트판(20)의 외측판(26)에 다시 부착하므로써 원상복구가 가능하다.
방충제로 함침되는 함침매트의 표면적이 그 항침매트를 포장하는 내부포장의 전체표면적에 대한 특정비율의 한계를 보여주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충시트의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아래 표 1에 열거한 크기를 갖는 두계 2mm의 펄프매트를 600mg의 베이퍼스린(Vapolthrin)으로 함침시켰다. 그 다음 상기 매트를 3측면을 연하여 가열밀봉시킨 부직포로 되는 사각형 포장(33cm×8cm) 속에넣었다. 나머지 측면을 가열밀봉한 후에 상기 베어퍼스린으로 함침시킨 함침매트가 들어있는 방충시트를 옷장(용량:약 750리터)속에 매달았다. 또하나의 방충시트샘플을 똑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옷장속에 매달았다.의복좀 10마리와 양모모스린포 조각을 함께 넣은 철망구(鐵網球)옷장 속에 넣었다. 상기 모스린천조각을 2주일간 상기 의복좀이 먹도록 방치한 다음에 상기 철망구를 옷장으로 부터 꺼내서 모스린천조각의 무게를측정하있다. 상기 노출시험은 매회마다 두개의 방충시트를 한조로 매달고 반복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내지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표 1에 열거한 함침매트의 크기들은 포장시트의 전체표면적에 대한 각 함침매트의 표면적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각 방충시트의 방충효과는 다음식으로 계산된 식해저지울로 평가되었다.
Figure kpo00003
시험결과는 제23도 내지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3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함침체표면적이 포장시트의 전체표면적에 대하여 2%밖에 않되는 매우 작은 함침매트를 사용한 비교예 1에 있어서는 함침매트로부터 포장시트로 이행된 방충제의 량이 적기 때문에 방충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제24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면적율 20%에 상당하는 충분한 크기의 함침매트를 사용하더라도 포장하지 않고 사용한 비교예 2에 있어서도 방충효과가 낮다 또한 면적율 80%의 크기를 갖는 함침매트를 사용한 비교예 3 및 4에 있어서는 제25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포장된 함침매트를 사용한 비교예 3은 함침매트로부터 포장시트로의 약제이행에 의하여 약제의 증발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포장하지 않은 함침매트를 사용한 비교예 4 보다 유효기간이 길다. 그러나 양쪽 비교예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 보다는 지속적 효과가 못하며, 사용된 함침매트의 면적율이 포장시트의 전체표면적의 60% 이상이기 때문에 약제의 과도한 증발을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결과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포장시트의 전체표면적에 대한 함침매트의 표면적 비율은 5 내지 60%범위로 해야 된다는 것이며, 특히 면적율이 5 내지 40%범위일때 가장 좋은 효과를얻을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5 와 6]
표 2에 열거한 각종 두께의 펄프함침매트(8cm×7cm)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 1의 시험절차를 반복하면서 식해저지시험을 실시하었다.
[표 2]
Figure kpo00004
각종 두께의 함침매트(펄프제,8cm×7cm)에 일정량의 베이퍼스린을 함침시켜서 부직포로 포장하여 방충시트(33cm×8cm)를 준비하여 각각 두장을 옷장(용적 약 750리터) 속에 매달았다. 그리고 옷좀 유층 10마리와 양모모슬린천조각(2cm×2cm)을 넣은 철망상자를 상기 옷장속에 위치시키고 모슬린천조각의 피식해상황을 관찰하였다.
시험결과는 제26도 및 제27도에서 전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식해저지율로 나타내었다. 제26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매우 얇은 함침매트(0 5mm)를 사용한 비교예 5에 있어서는 약제의 부직포시트 속으로의 신속한 이행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매우 짧아진다. 한편 매우 두꺼운 항침매트(15mm)를 사용한 비교예 6에 있어서는 함침매트의 약제브지능력이 너무 높기 때문에 약제의 포장시트로의 충분한 이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방충효과가 낮다.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방충제로 함침시킬 함침체의 두께는 1 내지 1Omm의 범위이어야 하며, 특히 2 내지 10mm일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10]
포장하였다. 똑같은 방법으로 방충시트샘플을 두개 더 만들어 그중 하나에는 3개의 함침매트를 넣었고, 다른 하나에는 5개의 항침매트를 넣었다. 각 방충시트샘플의 베이퍼스린 약제의 전체량은 동일(600m9)하였다. 상기 3개의 방총시트샘플를을 동일한 옷장(용적:약 750리터) 속에 함꼐 매달아 놓았다. 각 샘플마다 두개의 방충시트를 한 세트로 하여 실험하었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에 방충시트 속에 남아있는 약게의 량을 분석하있다. 매시험기간마다 동일한 실험과 분석을 반복하였다. 시험결과는 제28도에 도시되어있으머, 이매 액체의 증발량, 즉 함침매트로부터 포장시트로 이행하는 약제의 량은 포장시트로 포장할 항침애트의 수를 가감하므로서 조절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7 내지 10]
다음 표 3에 열거한 크기를 갖는 두께 2mm의 펄프매트에 500mg의 N,N-디에칠-m-롤루아마이드(구산제)를 함침시켰다. 그다음 세측면을 가열밀봉한 사각형의 부직포포장시트(33cm×8cm)속에 상기 매트를 넣었다. 나머지 측면을 가열밀봉한 다음에 베니아판으로 만든 상자(용적:약 750리터)속에 매달았으며,그 상자는 상자 밑판으로부터 1mm의 간격을 띄우고 경첩으로 결합된 두쪽문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구산제시트샘플을 똑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서 같은 상자 속에 매달았다. 양모로 된 의복 10벌을 옷좀유층 40마리와 함께 상기 상자 속에 넣었다.2주일 후에 상자로부터 밖으로 나온 유충의 수를 계산하였다. 매실험 기간마다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즉 매번마다 두개의 방충시트를 한세트로 하여 매달았으며, 실시예 12 및13 그리고 비교예 7 내지 9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0에 있어서는 구산제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옷좀유충을 옷과 함께 상자 속에 넣었다.
[표 3]
Figure kpo00005
시험결과는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요망하는 구산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약제로 함침시킨 함침체의 표면적은 포장시트 전체 표면적의 5 내지 60%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실시예 14 내지 16 및 비교예 11 내지 13]
다음 표 4에 열거한 크기를 갖는 두꼐 2mm의 펄프매트에 1g의 시트로넬롤(citronel1이)(좀방지방향제)을 함침시켰다. 그다음 세측면을 가열밀봉시킨 사각형의 부직포포장시트(33cm×8cm)속에 상기 매트를 넣었다. 나머지 측면을 가열밀봉한 후에 그 포장시트를 옷장(용적 약 750리터)속에 매달았다. 다른 방충시트샘플을 똑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여 옷장 속에 매달았다 옷좀유충 10마리와 양모모슬리천조각(2cm×2cm)을 함께 항꼐 넣을 철망상자를 상기 옷장 속에 넣었다
상기 모슬린천조각을 2주일동안 좀이 먹도록 내버려 두었다. 그다음 철망상자를 옷장에서 꺼내서 모슬린천조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매 시험기간 마다 상기 노출시험(좀이 먹도록 내버려둠)마다 반복하였다. 즉 매회마다 두개의 방충시트를 한세트로 하여 매달았다.
[표 4]
Figure kpo00006
시험결과는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요망하는 방충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약제로 함침시킨 함침체의 표면적은 포장시트의 전체표면적에 대하여 5 내지 60%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Claims (21)

  1. 함침체의 표면적이 포장의 전체표면적의 5 내지 60%가 되도록 얇은 시트형태의 포장으로 포장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함침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함침체는 두께가 1 내지 10mm이고, 액상방충제(살충제, 좀방지방향제, 또는 구산제를 포함)로 함침시키며, 상기 포장은 양호한 방기(放氣)능력을 갖는 통기성 시트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2. 청구범위 1에서 상기 액상구충제는 1-에치닐-2-에칠-2-페테닐-2,2-디에칠-3-(2',2'-디클로로비닐 ) - 시콜로프로핀 -1- 카르복실레이트, 1- 에치닐 -2 - 메칠 -2 - 펜테닐 -2,2 - 디에칠 -3- (2' - 에필 -1'-프로페닐)-시콜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및 1-에치닐-2-에칠-2-펜테닐-2,2,3,3-데트라메필시콜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액상휘발성 살충제로 되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3. 청구범위 1에서 상기 액상방층제는 N,N-디에칠-m-롤루아마이드,2,3,4,5-비스(△z-부치렌)-테트라하이드로프르프랄, 디-n-프로필 이소신코메로네이트 및 디부칠프타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액상구산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4. 청구범위 1에서 상기 액상방충제는 시트로넬롤, 유지놀 및 이소사프롤 중에서 선택되는 액상 좀방지방향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5.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함침체는 자연섬유, 합성섬유, 무기섬유, 프라스틱필름, 무기다공성물질, 겔화제 그리고 공동(空洞)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의 분자들이 액상방충제를 분자로서 그 공동속에 결합시켜 방충제를 함유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6.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함침체는 종이, 필름, 시트, 판, 직포, 부직포 또는 매트와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7.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함침체는 마이크로캡슐에 넣은 액상방충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8. 청구범위 l에서 상기 함침체는 두께가 2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9.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함침체의 도면적은 상기 포장의 전체표면적에 대하여 5 내지 40%가 되며, 상기 포장은 양호한 방기성 능력이 있는 통기성 시트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10.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통기성재료는 종이, 부직포 또는 직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11.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통기성 시트재료는 열융착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층시트.
  12.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포장은 열융착이 가능한 통기성 시트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포장속에 다수의 함참체를이 서로 접촉함이 없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함침체를 사이의 상하 포장시트 부분이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시트.
  13. 청구범위 1 내지 12중의 하나에 의한 방충시트를 비통기성재료로 되는 용기속에 넣어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4. 청구범위 13에서 상기 용기는 비통기성 시트재료로 되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5. 청구범위 14에서 상기 비통기성시트재료는 알미늄은박지, 알미늄층을 갖고있는 엷은판 및 알미늄으로 침착된 프라스틱시트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6. 청구범위 13에서 상기 용기는 프라스틱통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7. 포장된 휘발성약제제품의 유효기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교환시기"의 표시가 되어있는 최소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갖는 만일 인쇄시트판으로 이루어지는 장치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판은 접어서 외측판과 내측판을 형성케하므로서 상기 표시부를 은폐하여 주고, 상기 표시부를 갖고있는 시트판부분은 내측판을 이루어,상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접혀진 시트판의 외측판부분은 "사용개시시기"의 표시가 되어 있고 절곡부를 중심으로 벗겨젓힐수 있는 박리부(剝離部)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은 서로 상단부를 접합하거나 전체를 상기 포장제품에 부착하므로서 서로 분리할 수 없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휘발성약제제품의 유효기간 표시장치.
  18.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박리부는 윗쪽으로 볼록하게 절단되고, 그 양쪽에 바늘구멍점선부가 형성되며,상기 절단부는 접혀진 시트판의 외측판에 절곡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셩되고, 상기 바늘구멍점선부를 상기 절곡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절단부 양단으로 절곡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휘발성 약제제품의 유효기간 표시장치.
  19.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접혀진 시트판의 외측판은 상기 절곡부로 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절곡부에 평형하게 상기 외측판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는 바늘구멍점선부와 상기 외측판에 상기 점선부로 부터 절곡부까지 직각으로 절단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절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측판의 양쪽에 형성된 박리부(剝離部)는 상기 외측판의 한쪽측면과 상기 점선부 및 절단부로 구획되며, 단, 다수의 절단부가 형성될때는 상기 외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두개의 박리부를 제외한 다른 박리부들은 각각 상기 점선부와 두개의 절단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휘발성 약제제품의 유효기간 표시창치.
  20.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표시판은 정방형의 형태를 이루고, 이때 사방을 접어서 중앙에는 접혀겹치지않는 정방형부분을 형성하며, 각 모서리에 두겹으로 겹쳐진 외측안은 서로 접착시키고, 겹쳐진 표시판에는중앙정방형부분의 각변으로부터 상기 절곡부에 직각방향으로 뚫은 바늘구멍 점선부를 형성하므로서 각각 두개씩의 점선부와 상기 중앙정방형부분의 한면을 이루는 상기 외측판의 상단연부에 의하여 구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원 휘발성 약제제품의 유효기간 표시장치.
  21.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포장제품은 청구범위 1 내지 l2중 어느 하나에 의한 방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장된 휘발성 약제제품의 유효기간 표시장치.
KR1019840004793A 1983-12-09 1984-08-10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KR900006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9146 1983-12-09
JP231450 1983-12-09
JP23145083A JPS60126202A (ja) 1983-12-09 1983-12-09 防虫シ−ト
JP18914683U JPS6096068U (ja) 1983-12-09 1983-12-09 使用終期表示体
JP?231450 1983-12-09
JP189146 198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887A KR850004887A (ko) 1985-08-19
KR900006514B1 true KR900006514B1 (ko) 1990-09-03

Family

ID=2650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93A KR900006514B1 (ko) 1983-12-09 1984-08-10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6514B1 (ko)
IT (1) IT1206454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421326A0 (it) 1984-06-08
KR850004887A (ko) 1985-08-19
IT1206454B (it) 198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8423A (en) Insect combatant controlled/prolonged delivery device
JPH0423414Y2 (ko)
JP6374875B2 (ja) 自己粘着型調湿ラベル
GB2150834A (en) Pest control sheet and device for indicating the ter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KR900006514B1 (ko) 방충시트 및 그 유효기간 표시장치
WO1994019043A1 (en) Medicament presentation
AU617931B2 (en) Composite insecticide and package thereof
PT645081E (pt) Dispositivo para efectuar tratamentos insecticidas e sua utilizacao em habitacoes
JP2602500Y2 (ja) 蒸散材包装体
JP2539602B2 (ja) 複合防虫材
JP4004633B2 (ja) 揮散性物質収納体及び揮散性物質の薬剤移行防止方法
JP3903232B2 (ja) 防虫消臭脱臭シート
JPH0425242B2 (ko)
JPH09154470A (ja) 虫よけ具
JP4641857B2 (ja) 薬剤保持体の包装体
JP2597878Y2 (ja) 蒸散剤パックおよび蒸散材包装体
JPH092528A (ja) 包装袋
CA2040851C (en) Container
JPH02166075A (ja) 保存袋
JP2601805Y2 (ja) 蒸散材包装体
JPH0231143Y2 (ko)
JP4167466B2 (ja) 蒸散液収容袋、加熱蒸散方法および装置
JP2002284603A (ja) 揮散体
JPH0530623Y2 (ko)
JP3825837B2 (ja) 衣類害虫用防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