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42B1 -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42B1
KR900006442B1 KR1019870009981A KR870009981A KR900006442B1 KR 900006442 B1 KR900006442 B1 KR 900006442B1 KR 1019870009981 A KR1019870009981 A KR 1019870009981A KR 870009981 A KR870009981 A KR 870009981A KR 900006442 B1 KR900006442 B1 KR 90000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anganese
cobalt
compoun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892A (ko
Inventor
야스오 사까끼바라
겐이찌 우에다
고오지 도미따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혼고오 무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혼고오 무쓰미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3/307Monocyclic tr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 C07C51/2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51/25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out ring-splitting
    • C07C51/26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out ring-splitting having alkyl side chains which are oxidised to carboxy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엘리트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분자 산소-함유 기체로 수도쿠멘(pseudocumene)을 산화시킴으로써 가소제, 내열성 중합체등에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트리멜리트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리멜리트산은 열안정성 가소제 또는 각종 내열성 중합체용 원료로 유용한 화합물로서, 충분한 고순도의 트리멜리트산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 아세트산 용매내에서 1 또는 그 이상의 중금속 화합물과 1 또는 그 이상의 브롬 화합물로 된 촉매 존재하에 분자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로 수도 쿠멘을 산화시킴으로써 트러멜리트산을 제조하는 몇가지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산화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들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제 23732/70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7l73/71, 2932/81, 167942/82호, 일본국 특허 공고 제5898/83호 등에 설명되어져 있다.
상기한 방법들 각각은 비교적 양호한 품질을 갗는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모든 방법에는 실용화면에서 완전히 층분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7173/7l호에 설명된 방법은 코발트, 망간, 세륨 및 브롬으로 된 4원 촉매의 조성을 단계별로 바꿔서 다단계 작업으로 산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방법 뿐만 아니라, 각 단계에 촉매의 조성을 조절해야 하므로 매우 고가인 촉매의 재순환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방법이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3732/70호에 설명된 방법은 제1단계에 코발트 및 브롬 화합물들을 도입시키고 제2단계에는 반응계에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을 가함으로써 산화 반응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산화볍이고,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167942/82호는, 제1단계에서는 1 또는 그 이상의 코발트 화합물과 l 또는 그 이상의 브롬 화합물의 전량 및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의 일부를 도입하여 제 1단계의 액체 생성물내 미반응 수도 쿠멘 농도가 0.4중량% 미만일 때까지 제1단계내 반응이 진행되고, 다시 제2단계에서는 촉매의 조성을 재조정하기 위하여 반응계에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의 나머지 부분을 가하여 산화 반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산화법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실제로는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 첨가에 의하여 제2단계 산화의 효율을 개량하기 위하여 설계되고 따라서 제1단계 산화에 사용되는 촉애의 조성이 선택적 산화에 충분히 적절한 것이 아니므로 수도 쿠멘의 트리멜리트산 에로의 선택적 산화에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인 수도 쿠멘의 2 산화 탄소와 물로의 산화가 비교적 크므로 트리멜리트산을 수율 및 선택도가 충분히 높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67942/82호에 설명된 방법에는 촉매 성분으로 다량의 브롬을 사용하므로 생성물이 브롬으로 오염된다는 위험이 따른다.
더우기, 이를 방법은 각 단계에서 촉매의 조성을 바꾸고 제한하여야 하기 매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사용된 촉매의 재순환이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고 제 5898/83호에 설명된 방법은 110∼170℃에서 제1단계 산화를 실시하여 수도 쿠멘의 농도가 10중량% 이하인 제 1단계 반응 생성율을 수득하여, 180∼240℃에서 제2단계 산화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작업에 의한 연속 유동 산화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사용되는 촉매의 활성 및 트리멜리트산 선택도가 실질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며: 촉메 성분 전량을 반응 제1단계에 충전하므로 사용된 촉매, 재순환에 따른 어려움이 제거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용되는 촉매의 조성, 특히 브롬 대 코발트 및 망간의 비가 바랍직한 산화에 적합한 범위내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트리멜리트산 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자 산소 함유 기체에 의한 수도 쿠멘의 산화로 트리멜리트산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우수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으며, 이 방법은 하기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단점들이 제거될 수 있다 : 간단한 작업으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된 촉매의 재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2산화 탄소와 물을 생성하는 소위 완전 산화의 억제로 고 촉매 활성 및 트리멜리트산 고 선택성을 달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트리멜리트산의 수율에 상당한 개량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결정들을 제거하기 위한 본인들의 광범위한 연구의 결과, 온도가 상호 다른 적어도 2개의 반응 단계를 채택하여 모든 촉매 성분들의 전량을 반응 제1단계에 도입하고 촉애 조성을 특정한 범위내로 유지하는 다단계 작업으로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발전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1 또는 그 이상의 코발트 화합물, l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 및 1 또는 그이상의 브롬 화합물로 이루어진 촉매 존재하에 아세트산 용매 내에서 분자 산소 함유 기체로 수도 쿠멘의 산화에 의한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발트 화합물의 총량은 코발트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什중량%의 범위내이고, 망간 화합물의 총량은 망간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0중량%의 범위내이고, 브롬 화합물의 총량은 브롬 원자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2.0중량%의 범위내이며, 단, 브롬 대 코발트 및 망간의 원자비는 2.51∼2.99의 범위내로 유지되며, 이 방법은, 반응 온도가 110∼180℃C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선행 반응 단계와 반응 온도가 180∼230℃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후속 반응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반응단계로 이루어지고, 코발트 화합물, 망간 화합물, 브롬 화합물, 아세트산 용매 및 반응물의 전량이 선행 반응 단계의 제1단계에 도입되며 산화 반응은 후속 반응 단계에서 사실상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범위가 상호 다른 선행 반응 단계와 후속 반응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반응단계를 사용한 다단계 작업에 의하여, 사용되는 촉매 전량, 사용되는 아세트산 전량, 사용되는 수도쿠멘전량, 그리고 분자 산소 함유 기체를 반응 제 1단계(선행 반응 단계의 제 1반응 단계)에 도입하여 제 1단계에 산화를 개시하고; 따라서 선행 단계 산화가 개시 및 계속됨으로써, 산화 촉매 존재하에 아세트산 용매내에서 수도쿠멘(1,2,4-트리메틸벤젠)을 분자 산소 함유 기체로써 트리멜리트산(1,2,4-벤젠트리카르복실산)으로 산화한다.
선행 반응 단계에서 충분히 높게,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수도쿠멘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생성된 액체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후속 단계의 산화용으로 전술한 범위내의 온도로 승온 및 유지시키거나, 또는, 생성된 액체 반응 혼합물을 후속 단계의 산화용으로 전술한 온도로 유지되어져 있는 또 다른 반응대역으로 전달하고, 다시 후속 단계의 산화가 진행되어 산화가 사실상 완성될 때까지 진행된다.
용매로써 아세트산의 량은 수도쿠멘중량의 2중량배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4∼10중량배이다. 20중량% 이하의 물을 함유하는 아세트산도 사용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산화 촉매는 코발트, 망간 및 브롬으로 이루어진 촉매이며 이들 촉매 성분은 하기 화합물들로써 촉매계에 가해질 수 있다. 즉, 아세트산에 용해성인 코발트 화합물 및 아세트산에 용해성인 망간 화합물 양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코발트 및/또는 망간의 적절한 형태는 예를들면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나프테네이트, 옥테네이트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 수산화물: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할라이드: 보레이트, 니트레이트, 카르보네이트 등과 같은 무기산의 염; 아세틸 아세트네이트, 카르보닐, 아민 컴플렉스, 옥소컴플렉스 등과 같은 유기 컴플렉스 등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코발트 또는 망간의 형태는 아세테이트, 카르보네이트, 수산화물, 브로마이드 등이다.
사용 가능한 브롬화합물의 설명예로는 브롬: 수소 브로마이드: 암모늄 브로마이드; 소듐 브로마이드,리튬 브로마이드, 포타슘 브로마이드, 세슘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브로마이드: 코발트 브로마이드, 망간 브로마이드, 세륨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기타 무기 브롬화합물 , 그리고 테트라브로모에탄, 브로모아세트산, 벤질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유기 브롬 화합물이 있다. 바람직한 브롬 화합물은 소듐 브로마이드, 고발트 브로마이드, 망간 브로마이드, 암모늠 브로마이드이며, 소듐 브로마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대응 화합물들로 부터 1 또는 그 이상의 코발트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 그리고 1또는 그 이상의 브롬 화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발트 화합물의 총량은 코발트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0중량%의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코발트 촉매량이 0.01중량%(코발트 금속으로서)미만이라면 반응 속도가 매우 감소되며, 반면에 만일 1.0중량%(코발트 금속으로서)보다 크다면 트리멜리트산의 코발트 염의 량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가되며 결과적으로 소망하는 생성물의 수율이 감소한다
망간 화합물의 총량은 망간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0중량%의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망간 촉매량이 0.01중량%(망간 금속으로서)미만이라면 충분히 높은 촉매 활성을 얻을 수 없거나 2산화 탄소의 수율이 증가한다. 반면에, 만일 이것이 1.0중량%(망간 금속으로서)보다 크다면 소망하는 생성물의 수율이 감소한다.
높은 촉매 활성, 높은 선택성 및 사용된 촉매의 회수시 작업의 용이성을 얻기 위하여 코발트 화합물의 총량 대 망간 화합물의 총량의 가장 바람직한 비는 코발트 금속 대 망간 금속의 원자비(Co:Mn)로서 통상 5:1∼1:10, 바람직하게는 4:1∼1:4의 범위내이다.
브롬 화합물의 총량은 브롬 원자로서 아세트산의 0.01∼2.0중량%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하는 동시에, 브롬 대 코발트 및 망간의 원자비(Br/Co+Mn)로서 2.51∼2.99, 바람직하게는 2.6∼2.9의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브롬 촉매의 총량이 상술한 원자비로서 2.51미만이라면 얻어지는 촉매 활성은 충분히 높지못하다. 반면에, 그 비가 2.99 보다 크다면 생성물내에 브롬 성분의 농도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며, 그 결과 생성물의 정제 고스트가 통상 증가하며, 촉매 고스트가 증가하고, 촉매 활성이 통상 증가하더라도 사용된 촉매 회수 효율이 어떤 경우에는 감소한다.
본 발명의 중요점 중의 하나는 1 또는 그 이상의 코발트 화합물 전량,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 전량, 1 또는 그 이상의 브롬 화합물 전량, 아세트산 용매 전량, 수도쿠멘 전량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전술한 범위내의 온도에서 분자 산소 함유 기체와 접촉시킴으로써 산화가 개시된다는 점이다. 즉, 촉매, 용매 및 수도쿠덴의 전량을 선행 반응 단계의 초기 단계에 도입함으로써 산화 반응을 개시 및 실시하여야 한다. 만일 망간 화합물 등과 같은 촉매 성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행 반응 단계 후의 반응 단계를에 도입한다면, 2산화 탄소, 1산화 탄소 및 물로의 불필요한 완전 산화가 증가하며 반면에 트리멜리트산의 수율은 감소하고 반응 작업이 복잡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산화제로 사용되는 적절한 분자 산소 함유 기체는 통상적으로 공기이며 순수한 산소 또는 산업 폐가스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공기 등과 같은 분자 산소 함유 기체는 통상적으로 반응기의 1 또는 그 이상의 개스 입구를 통하여 액체 반응물 또는 반응 혼합물에 연속 공급되며, 직렬로 연결된 2 또는 그 이상의 반응기내에서 다단계 작업으로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각 반응기의 1 또는 그 이상의 개스입구를 통하여 공급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산소 분자 함유 기체를 연속 도입하는 방법을 통상 사용한다.
선행 단계의 반응 온도는 110∼l80℃, 바람직하게는 120∼170℃의 범위내로, 그리고 후속 단계의 반응온도는 l80∼230℃, 바람직하게는 190∼220℃의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선행단계 반응의 반응 온도가 110℃보다 더 낮다면 반응 속도가 극히 낮게 되며: 만일 이것이 180℃ 보다 더 높다면 완전 산화 등과 같은 불필요한 반응이 증가하며 종종 촉매의 탈활성화(deactiv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작업은 불리점을 초래한다. 반면에, 만일 후속 단계 반응의 반응 온도가 180℃ 보다 더 낮다면 트리멜리트산에로의 산화의 완성이 어려우며, 만일 이것이 230℃ 보다 더 높다면 용매와 반응물의 2산화 탄소에로의 분해가 증가하며 기타 착색된 불순물과 같은 부-생성물도 증가한다. 따라서 이들 2개의 작업은 불리하다.
반응 압력은 적용되는 반응 온도에서 아세트산 용매가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바람직하게는 4∼50kg/㎠의 범위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반응계 상의 산소 분압에 대하여는, 반응기로부터 유출하는 배기 개스내에 산소농도가 1∼8용량%의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반응기에 공급되는 분자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같이 선행 단계의 반응을 진행한 후에 후속 단계의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의도된 산화가 사실상 완성되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반응을 실시하는 한, 다양한 탄소용 기술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선행 반응 단계에 1단계 반응을 채택하고 후속 반응단계에 다른 1단계 반응을 채택하는 2단계 작업에 의하여 반응을 완성할 수 있으며, 또는 반응 단계의 어느 하나를 서브-단계(sub-stage)로 더욱 분할하여 3 또는 그 이상의 반응 단계에 의한 다단계 작업으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반응 단계를을 동일한 단일 반응 대역 또는 반응기내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또는 반응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반응 대역들 및/또는 반응기들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동일한 단일 반응 대역 또는 반응기내에서 2 또는 그 이상의 반응 단계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반응 시간에 따라 한 단계와 다른 단계에 반응 온도를 적절히 바꾸어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반면에, 2 또는 그 이상의 반응 대역 및/ 또는 반응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온도를 각각 상술한 온도로 유지시킨 일련의 반응 대역 및.또는 반응기들에 액체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흘림으로써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뱃치식batchwise)다단계 작업 및 연속 유동식(continuously-flow)다단계 작업 양자를 본 발명에 반응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트리멜리트산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단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 산화반응, 분해 반응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2산화 탄소의 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순도의 트리멜리트산을 고수율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
환류 응축기, 회전날을 갖는 교반기 및 공기 취업용 노즐을 갖춘 티타늄 라이닝된 1ℓ 오오토클레이브를 반응에 사용하였다. 반응기에 액체 반응 혼합물, 용매 및 촉매를 넣고 온도를 승온시킨 후에 상기 생성된 용액에 표면밀(subsurface)공기를 도입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산소 측정기(oxygen-meter)로써 반응기로부터의 배기개스내의 산소를 정량 분석하고, 배기개스내 2산화 탄소를 알칼리용액으로 수거하여 생성된 용액을 정량 분석하여 2산화 탄소의 수율을 결정하였다. 반응 완성 후에 반응기로부터 반응 생성물을 꺼내고 반응 생성물(산)을 에스테르화하여 대응하는 메틸에스테르로 전환시키고 나서 개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생성된 메틸에스테르를 정량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에서는 각 촉매 성분의 전량을 반응계에 미리 넣은 후에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2에서는 망간을 제외한 모든 촉매 성분들을 반응계에 넣은 후에 반응을 개시하고 40분간 반응을 진행한 후에 망간 화합물을 반응계에 가하였다.
반응용 촉매 성분, 용매, 기타 원료의 량 및 반응 조건을 결과와 함께 표1에 보였다.
[실시예 3, 비교예 3 및 4]
내경이 70.3㎜, 길이 2500㎜, 그리고 반응기 내부에 공기 취입용 노즐을 갖춘 3개의 티타늄관상 반응기로 이루어진 기액 접촉형 반응장치를 사용하여 각각 표1에 보인 반응 조건하에 독립적으로 연속 유동 반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3 및 비교예 3에서는, 사용될 전술한 촉매 성분, 아세트산 및 수도쿠멘의 전량을 제1반응기에 연속 도입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4에서는 망간 화합물을 제1 반응기의 출구에 도입하였다.
적당량의 액체 반응 혼합물을 각 반응기의 출구로 부터 때때로 취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결과를 표1에 보였다.
표1에는 연속 유동 반응의 경우에 제1반응기로부터 취한 액체 생성물에 대한 결과를 보였다. 반응 온도, 반응 압력 및 반응 시간은 제2반응기에서 190℃, 20㎏/㎠, 및 60분이었고, 제3반응기에서 210℃, 30㎏/㎠ 및 60분으로 유지되었다.
제3반응기에서 반응을 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수도쿠멘의 산화율이 99.1%이며 수득된 트리멜리트산의 순도는 97%이었다. 반면에 비교예 3 및 4에서는 2산화 탄소의 발생이 상당히 높으며 소망하는 생성물의 최종 수율이 낮았다. 연속 유동 반응에서 2산화 탄소의 발생량은 제3반응기로부터의 배기개스내 2산화탄소의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Br/(Co+Mn)의 원자비를 3.4(브롬 사용량이 증가된 것을 의미함)로 유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정확히 반복하였을 때에는 브롬 1,000ppm으로 오염된 트리멜리트산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1

Claims (11)

1 또는 그 이상의 코발트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망간 화합물, 및 1 또는 그 이상의 브롬 화합물로 이루어진 촉매존재하에 아세트산 용매 내에서 분자 산소 함유 기체로 수도쿠멘의 산화에 의한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발트 화합물의 총량은 코발트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0중량%의 범위내이고, 망간 화합물의 총량은 망간 금속으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1.0중량%의 범위내이고, 브롬 화합물의 총량은 브롬원자로서 아세트산 용매의 0.01∼2.0중량%의 범위내이며, 단, 브롬 대 코발트 및 망간의 원자비는 2.51∼2.99의 범위내로 유지되며, 이 방법은, 반응 온도가 110∼180℃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선행 반응 단계와 반응 온도가 180∼230℃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후속 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반응 단계로 이루어지고, 코발트 화합물, 망간 화합물, 브롬 화합물, 아세트산 용매 및 반응물의 전량이 선행 반응 단계의 제1단계에 도입되며 산화 반응은 후속 반응 단계에서 사실상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코발트 화합물은 코발트 아세테이트 또는 코발트 브로마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망간 화합물은 망간 아세테이트 또는 망간 브로마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브롬 화합물은 소듐 브로마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코발트 화합물은 코발트 아세테이트 또는 코발트 브로마이드 이고, 망간 화합물은 망간 아세테이트 또는 망간 브로마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코발트 대 망간의 원자비는 4:1∼1:4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브롬 대 코발트 및 망간의 원자비[Br/(Co+Mn)]는 2.6∼2.9의 범위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는 선행 반응 단계에서 120∼180℃의 범위내로 유지되며 후속 반응 단계에서 190∼220℃의 범위내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선행 단계에서의 산화 반응은 수도 쿠멘의 전환율이 50% 이상이 될 때까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분자산소함유기체는 공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반응 압력은 4∼50㎏/㎠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KR1019870009981A 1986-09-09 1987-09-09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KR900006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712 1986-09-09
JP61210712A JPS6366149A (ja) 1986-09-09 1986-09-09 トリメリツト酸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892A KR880003892A (ko) 1988-06-01
KR900006442B1 true KR900006442B1 (ko) 1990-08-31

Family

ID=1659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981A KR900006442B1 (ko) 1986-09-09 1987-09-09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35308A (ko)
JP (1) JPS6366149A (ko)
KR (1) KR900006442B1 (ko)
BR (1) BR87045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579A (en) * 1989-12-18 1991-02-12 Amoco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rimellitic acid
KR920009976B1 (ko) * 1990-04-03 1992-11-09 주식회사 유 공 트리멜리트산(Trimellitic acid)의 제조방법
US5453538A (en) * 1994-02-14 1995-09-26 Amoco Corporatio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utilizing cerium to facilitate a low bromine to metals catalyst ratio
IE970418A1 (en) * 1997-06-04 1998-12-16 Chemical Technologies And Know Process for production of aromatic tricarboxylic acids
JP2004331585A (ja) * 2003-05-08 2004-11-25 Mitsubishi Gas Chem Co Inc 高純度無水トリメリット酸およびその製造法
PL1728778T3 (pl) * 2005-05-13 2009-07-31 Polynt S P A Sposób wytwarzania kwasu trimelitowego
CN112694396A (zh) * 2019-10-23 2021-04-23 中国石化扬子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偏苯三甲酸或均苯三甲酸的制备方法及应用
CN110642699A (zh) * 2019-10-31 2020-01-03 江苏正丹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均三甲苯低温液相连续氧化生产均苯三甲酸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3016A (en) * 1970-04-24 1972-08-08 Standard Oil Co Staged catalyst addition for catalytic liquid phase oxidation of pseudocumene to trimellitic acid
JPS5826899B2 (ja) * 1979-11-28 1983-06-0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トリメリツト酸の製造法
JPS585898A (ja) * 1981-07-01 1983-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警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35308A (en) 1989-05-30
JPH0567132B2 (ko) 1993-09-24
BR8704513A (pt) 1988-04-19
JPS6366149A (ja) 1988-03-24
KR880003892A (ko) 198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23994A (en) Oxidation of xylene and toluic acid mixtures to phthalic acids
KR900006442B1 (ko) 트리멜리트산의 제조방법
JP5055262B2 (ja) 水中におけるp−キシレンの液相酸化によるp−トルイル酸の製造方法
NL8004153A (nl)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carbonzuren uit aldehyden.
JPH02138150A (ja) ジカルボン酸類及びその誘導体類の製造方法
US3793369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arboxylic esters
KR19980071834A (ko)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아크롤레인으로부터 이크릴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반응에서 산화환원계로서 고체 혼합 산화물 조성물의 용도
JP4788022B2 (ja) 芳香族ポリカルボン酸の製造法
US7009074B2 (en) Process for direct oxidation of methane to acetic acid
US4877903A (en) Cyclohexanol/cyclohexanone mixtures produced from cyclohexane
US3584038A (en) Oxidative treatment of mononuclear aromatic compounds
US6891064B1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oalkylcarboxylic acid
US3333004A (en) Production of glyoxal
US4088823A (en) Promoted liquid phase oxida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US3030414A (en) Process of preparing meta- and para-nitrobenzoic acids
JP2697787B2 (ja) トリメリト酸の製造方法
US3637829A (en) Liquid phase oxidation of mononuclear aromatic compounds
US3703547A (en) Method of preparing phthalic acids
JPH06211740A (ja) 4,4´−ビフェニル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3778471A (en) Process for producing aliphatic carboxylic acids and aromatic carboxylic acids
US4048238A (en) Promoted liquid phase oxida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US3502718A (en) Process involving oxidation
US2966515A (en) Oxid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rtiary alkyl benzoic acid
JP4981791B2 (ja) トリメリット酸の製造方法
JPH055861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