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19B1 -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19B1
KR900006119B1 KR1019840003600A KR840003600A KR900006119B1 KR 900006119 B1 KR900006119 B1 KR 900006119B1 KR 1019840003600 A KR1019840003600 A KR 1019840003600A KR 840003600 A KR840003600 A KR 840003600A KR 900006119 B1 KR900006119 B1 KR 90000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etal
fiber
fibers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793A (ko
Inventor
죠오지 모린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죤 제이 헤이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죤 제이 헤이간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5000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Primary Cell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제1도는 섬유토우(tow)가 부분적으로 입혀져 있으며 그 단부에는 일체로 된 섬유/금속 기재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1a도는 제1도의 선 1a-1a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b도는 제1도의 선 1b-1b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c도는 제1도의 선 1c-1c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d도는 제1도의 선 1d-1d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극내의 섬유 1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극에 보호관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4도는 섬유토우가 완전히 입혀져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4a도는 제4도의 선 4a-4a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4b도는 제4도의 선 4b-4b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4c도는 제4도의 선 4c-4c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전극내의 섬유 1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정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전극에 보호관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7도는 관통 지지체의 주위를 섬유토우로 감싸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전개사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전극의 일부단면 정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전극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10도는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전극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전지에 사용되는 분할판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전극들의 사이에 위치한 통과 격리재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전지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전지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임의적인 전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전지의 사시도.
제19도는 다공성 판전극을 포함하는 본 발명 전지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전지내의 다공성 판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쌍극성(bipolar)전지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전지내의 분할판 및 활성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극 12 : 섬유
13 : 중심섬유 14 : 도금된 금속층
15 : 섬유토우 16 : 전기접속체
17 : 클램프 아암 18 : 납땜부
20 : 보호관 21 : 구명
22 : 전극 30 : 전극
30A : 양극 30C : 음극
32 : 토우 34 : 관통 지지체
36 : 불활성 스크린 38 : 금속도금부
40 : 납땜부 42 : 전기접속체
44 : 보호관 46 : 홈
48 : 구멍 52 : 탱크
54 : 전해질 56 : 관통 격리판
58 : 전원 6O : 분할판
62 : 구멍 64 : 유입도관
66 : 유출도관 7O : 저장탱크
72 : 다전지 탱크
본 발명은 표면적을 크게하여주고 심재(core)섬유와 그 상부의 금속피복과의 고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전기접속을 효율적으로 하여주는 섬유를 가진 전극과, 이와 같은 전극을 함유하는 전지와, 이러한 전극 및 전지를 형성시키고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전기분해, 전기도금, 전해채취, 전기적 유기합성 및 폐기물의 회수등과 같은 각종의 전기화학적 공정에 있어서의 효율은 전극의 표면적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게 된다. 이제까지는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극에 이랑부분 혹은 주름을 형성시켜 왔다. 또한, 전극의 표면을 거철게 함으로써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의 방법들은 표면적을 증대시키는데에 있어서 제한된 정도의 효과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표면적의 증대를 위해 탄소섬유를 전극에 가하여준 최근의 연구결과는 미국 특허 제4046663호, 제4108754호, 제410875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전극에는 다수의 탄소섬유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탄소섬유의 한쪽 단부는 전기접속체에 클램프되어 있다. 이들 전극에 있어서는 그 단면적이 증대되었기는 하지만, 그 전기접속은 비교적 불량하다. 특히, 이러한 섬유토우(tow)는 전기접속체로 클램프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탄소섬유는 불변적으로 파괴된다. 이와 같은 섬유의 파괴는 토우의 전기효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들의 기계적인 접속으로 인하여 접속부에서의 전기저항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극은 기계적으로 파괴되기 쉽고 전기접속이 비효율적이기 때운에 이론적인 효율은 실현될 수 없었다.
미국 특허 제4046663호, 제4046664호, 제4108754호, 제410875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극은 또한 심지(wick)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해질을 단자부분으로부터 끌어들인다. 이러한 전해질이 증발하고 나면, 잔류물인 염이 전극에 남아서 전기접속에 악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염 침착물은 단자에 대한 열차폐체가 됨으로써 온도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국에는 단자를 교략(bridge)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심지효과 및 섬유의 손상을 제어할 수는 있다고 하더라고, 섬유속(束)의 중심부에서는 섬유에 대한 전기접속이 불량하게 된다.
탄소섬유의 상부에 금속피복올 위치시킴으로써, 이와 같이 도금된 탄소섬유의 토우를 각종의 전기화학적 공정에서의 전극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여러차례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 탄소섬유에 가하여진 도금은 불연속적이며 취약하고, 또한 가하여주는데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4132828호에서는 탄소섬유상에 니켈을 진공침착시킨다. 그러나, 이 특허에 의한 피복은 탄소섬유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며, 따라서 섬유가 꼬이면 피복이 부서지거나 떨어져나가기 쉽다.
또한, 탄소섬유에 대한 도금을 행하기 위하여 무전극 니켈욕(electroless nickel bath)도 역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금방법은 너무 서서히 진행되며 공정의 수행에 비용이 많이들고, 또한 불연속적인 열등한 피복을 생성시키기는 마찬가지이다. 미국 특허 제3622283호에 기재된 피복된 섬유도 역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적이 크며 전기접속이 효율적이고, 또한 연속적인 금속피복이 높은 결합력으로 섬유상에 결합되어있는, 섬유를 포함하는 전극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의 형상으로 굴곡, 포장, 제직 혹은 편직되어서 전지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금된 혹은 도금되지 않은 섬유전극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전지에서와 같은 결점이 없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의 섬유를 갖는 전극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전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밭명의 전극에는 다수의 섬유가 포함되며, 각각의 섬유에는 적어도 하나의 얇은 금속피복이 견고하게 점착되어 었다. 이 피복은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금속피복된 섬유가 굴곡되었을 때에도 피복이 갈라질 수는 있으나 벗겨나갈 수는 없도록 양호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극에 대한 섬유는 예컨대 탄소섬유 혹은 탄화규소섬유와 갈이 반금속성일 수도 있고, 혹은 예컨대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또는) 아라미드 섬유와 같이 비전도성일 수도 있다.
섬유가 탄소나 탄화규소와 같이 반금속성일 경우, 금속피복은 본 출원인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 제358,637호(출원일 1982.3.1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가하여질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 제358,637호에 기재된 섬유피복은 연속적인 것이며, 결합특성 및 가요성이 향상되어 있다. 결과적으로,미국 특허출원 제358,637호의 방법에 따라 피복된 섬유를, 전극으로 유용하며 또한 종래의 금속피복된 탄소섬유나 탄화규소섬유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던 형태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출원 제358,637호에서는 탄소섬유 흑은 탄화규소섬유의 피복에 대한 바람직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기 바란다.
금속 피복된 탄소섬유 혹은 탄화규소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다음의 단계가 이용된다.
(a) 다수의 전기전도성 심재(core)섬유를 연속적인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이 섬유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한가지 금속을 전해적으로 침착(沈着:deposition)시킬 수 있는 용액내에 연속적으로 침지시키는 단계와, (c) 용액내에 침지된 전극과 섬유사이에 외부적인 전압(이 전압은 금속침착을 유발시키기에 통상적으로 필요한 값보다 큰 값이다)을 가하여 주면서 다량의 전기를 제공함으로, (i) 섬유의 표면에 금속을 환원시키고, (ii) 섬유의 표면상에 금속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핵형성시키고, (iii) 금속층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심재상에 점착시키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는, 이 섬유가 굴곡되었을때에 피복이 갈라질 수는 있으나 벗겨져나갈수는 없도록 하여주기에 충분한 금속-심재 결합력을 갖게된다. 또한, 바람직한 섬유에 있어서, 이 결합력은 피복의 실질적인(즉, 5체적% 이상)분리 및 박리를 일으킴이 없이도 섬유가 매듭지워질 수 있기에 충분한 값이상의 결합력을 갖는다.
섬유가 나일로, 폴리에스터 및/또는 아라미드 등과 같이 비전도성일 경우에는, 우선 매우 얇은 금속내부층을 가하여서 전도성을 부여한 후에, 상기 미국 특허출원 제358,637호에서와 같이 금속층을 피복시킨다.
심재섬유가 반금속이던지 혹은 비금속이던지 간에, 본 발명의 전극은 이 전극이 전원에 접속되는 접속부 근처에서 금속피복된 섬유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의 금속피복에 의하면, 전원에 대한 접속을 예컨대 납땜등의 수단으로 이루어서 전기접속부 근처에 연속적인 섬유/금속 매트릭스를 생성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예컨대 권축(crimping)과 같이 섬유를 손상시키고 전극의 효용을 감소시키는 기계적인 접속을 회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납땜접속부 및 이에 의한 연속적인 섬유/금속 매트릭스에 의하면, 종래의 기계적인 접속부에서 흔히 나타났던 그리고 전기접속의 질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심지효과가 방지된다. 그리고, 납땜접속부 및 이에 의한 연속적인 섬유/금속 매트릭스는 모든 섬유를 금속에 대해 포위시키므로, 심지어 100,000 섬유의 중심에 있어서도 접촉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전극은 단지 전기접속부 근처의 부분만을 금속도금시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전극은 또한 섬유토우의 전체를 금속도금시킨 다음에, 전극으로 사용하기에 앞서 금속피복의 일부를 벗겨냄에 의하여서도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전기화학적 용도에 있어서, 전기접속부 근처에만 도금되어 있는 전극은 바람직하게 양극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섬유가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금속피복되어 있는 섬유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피복된 섬유에 의하면 표면적이 커지므로 전기전도성이 커진다. 이들은 예컨대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기접속부의 근처에 탄소/금속 매트릭스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속적인 매트릭스에 의하연 섬유의 손상 및 심지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각 섬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도금되어 형성된 전극은 전형적으로 음극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섬유의 피복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섬유전극을 종래에는 얻을 수 없었던 각종의 유용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특히, 금속피복된 섬유토우는 이들 금속피복이 섬유로부터 파괴되어나갈 염려가 거의 혹은 전혀 없이 관통 지지체의 주위에 감겨질 수가 있다. 도금된 전극의 기타 형태로서는, 평평한 형태로 지지되거나 흑은 관통 지지체의 주위에 감겨질 수 있는 제직된 매트(mat)와, 윈통형의 관통 지지체의 주위에 위치될 수 있는 편직된 관형의 형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의 가요성의 결과로, 몇가지의 독특한 전지구조들 및 방법들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컨대, 관통 지지체의 주위에 장착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의 1개 혹은 다수의 전지내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그후, 탄소섬유와의 접촉을 최대로 하는 방식으로 전지를 통하여 전해질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한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전지를 관통 지지체상의 양극과 관통 지지체상의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전지는 비전도성 장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벽에는 1개 혹은 다수의 구멍의 형태로된 전해질 통로가 있다. 소정의 유동형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벽내의 전해질 통로가 저부모서리 혹은 이와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에 교대로 위치될 것이다. 구멍들을 장벽내에 이와 같이 배치시키면, 전해질과 천극과의 접촉을 최대로 하여주는데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전지에는 관통 지지체의 주위에 감겨진 다수의 섬유포함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다전극(multi-electrode)전지들은 직렬로 배열될 수 있고, 이때 전지들 사이의 접속은 전해질과 전극과의 접촉을 최대로 하여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전해질 유동형식은 전지들 사이의 장벽내의 구멍들을 장벽의 저부 모서리와 상부 모서리에 교대로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기타 전지도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다공성 금속판을 음극으로 사용하여 상술한 양극과 고대로 배열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백금선과 같은 소형의 양극을 표면적이 큰 금속도금된 섬유 음극과 함께 이용하여 임의의 전지를 제공하고, 시편금속을 음극상에 도금시키면서 기타의 금속은 용액내에 잔류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임의의 전지의 전극과 전해질과의 최적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서는, 금속도금된 섬유음극을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시키고 이 원통을 양극과 동심원으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원통형 섬유전극은 다공성 원통체의 주위에 섬유토우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금속도금된 섬유를 관형의 구조로 편직하여서 형성할 수도 있다. 쌍극성(bipolar) 전지에서 산화 및 환원반응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전지로서는 2개 용액을 모두 함유하는 전지내에 양극들과 음극들을 교대로 배열한 것이 있는데, 이때 상호 접속된 본 발명 전극들중의 하나는 1개 용액내에 위치하며, 상호 접속된 다른 전극은 다른 용액내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밭명의 전극에 의하연 표면적이 커지고 효율적인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며, 심재섬유와 그 상부의 금속피복과의 사이에 결합력이 커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제1a도, 제1b도, 제1c도, 제1d도, 제2도에는 본 발명의 전극(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극(10)은 다수의 섬유(12)로부터 형성되며, 각각의 섬유에는 예컨대 약 7-11미크론의 중심섬유(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13)와 예컨대 약 0.5미크론 정도의 얇은 동심원적 연속 니켈층 혹은 기타 도금된 금속의 층(14)을 포함한다. 도금된 섬유(12)는 토우(15)내로 형성되는데 토우(15)는 일반적으로 다수(예컨대, 약40000-50000개)의 도금된 섬유(12)로 된 병렬체이고, 이 토우의 직경은 약 0.125인치인 것이 전형적이다. 전기접속체(16)내에는, 이 전기접속체(16)의 클램프 아암(clamping arm)(17)이 토우(15)의 한쪽 단부 주위에 계합되도록 소정 길이의 토우(15)가 위치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접속체(16)의 아암(l7)은 토우(15)를 느슨하게 보유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토우(15)의 주위에 계합되어 있으나, 도금된 섬유(12)가 확실히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준다. 클램프 아암(17)에 의하여 토우(15)에 가하여지는 힘은, 이와 같은 기계적인 접속이 전기전도성에 대해 의존하게 될 경우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힘보다는 실질적으로 작다.
토우(15)가 전기접속체(16)에 일단 계합되연, 이 전기접속체(16)와 토우(15)의 조합체는 용융된 금속(예컨대, 약 60%의 주석과 약 40%의 납으로 된 땜납)의 욕(bath)에 침지된다. 땜납(18)은 도금된 섬유(12)들 근처의 사이부분 및 전기접속체(16)와 도금된 섬유(12)의 사이부분으로 스며들어서 전극(10)의 단부에 효율적인 탄소/금속 매트릭스를 형성시키고, 따라서 토우(15)와 전기접속체(16)의 사이에는 효과적인 전기전도성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금된 섬유(12)에 대해 소정량만큼 스며드는 것은 몇초내에, 전형적으로 약10초내에 이루어진다.
그후, 각각의 섬유(13)에서 전기접속체(16)와 반대쪽 부분의 금속도금(14)을, 예컨대 질산욕내에 침지시키는 방법 등에 의하여 벗겨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납땜부(18)로부터 멀어져가는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도금(14)의 짧은 부분이 남겨지도록 도금(14)을 벗겨낸다. 바람직하게는, 이 도금(l4)은 남땜(18)로부터 0.5-2인치 정도 뻗어나가는 것이 좋다[제2도의 부분(X)].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0)의 최상단부에는 탄소섬유(13), 도금(14), 납땜부(18), 그리고 전기접속체(16)의 아암(17)으로 이루어지는 탄소/금속 매트릭스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속체(16)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는 탄소섬유(13), 도금(14), 납땜부(18)로 이루어진 일체로 된 탄소/금속 매트릭스가 있다.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갈이, 전기접속체(16)로 부터 조금 더 떨어진 곳에는 전극(10)내에 탄소섬유(13)와 도금(14)은 포함되지만 납땜부(18)는 없다. 이와 같이 납땜부가 없는 도금(14)에 의하면, 단자(16)로 부터 도금이 벗겨진 섬유(13)로의 전류에 대한 단계적인 저항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전해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더더욱 금속이 공격받게될 서어지(surge)부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구배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0)의 나머지 부분에는 도금이 없는 섬유(13)가 토우(15)내에 느슨히 배열되어 있으며, 전해질은 화살표(1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섬유(13)의 사이를 자유롭게 유동하여 이 섬유와의 최대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 탄소섬유는 흑연으로서, 일반적으로 무정형 탄소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제3도에는, 플래스틱 혹은 기타의 불활성물질로 형성된 비전도성 보호관(20)이 설치된 전극(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보호관(20)은 전극(10)의 상부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으며, 보호관(20)을 일반적으로 전극(10)과 함께 사용될 전해질 표면에서 몇 인치 하부에 배치될 전극(10)상의 지점까지 전기접속체(16)로 부터 뻗어나간다. 이 보호관(20)은, 가장 심하게 손상시키는 전해질 반응은 전해질 표면의 바로 아랫부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화호관(20)은 전해질의 위험부위에서의 손상효과를 극소화시켜 준다. 전해질과 전극(10)사이의 전이효과를 더욱 극소화시키기 위하여서는, 전기접속체(16)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보호관(20)의 단부에 다수의 조그만 구멍(21)들을 형성하여 전류구배의 전이지역을 효과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전류서어지와 전해질 공격부위를 최소로 하여 줄수 있다.
제4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 제5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전극(22)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극(22)은 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10)과 유사하지만, 다만, 전극(22)의 도금(14)은 각 섬유(13)의 전체 길이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음만이 다르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속체(16)에 근접한 전극(22)의 부분에는 탄소섬유(13), 금속도금(14), 납땜부(18), 그리고 전기접속체(16)의 아암(17)으로 이루어지는 일체로 된 탄소/금속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접속체(16)로 부터 약간 떨어진 전극(22)상의 부분에는, 탄소섬유(13), 금속도금(14), 납땜부(18)로 이루어지는 일체로 된 탄소/금속 매트릭스가 있다(제4b도 참조). 또한, 전기접속체(16)로 부터 그 반대쪽으로 더욱 뻗어나가고 전극(22)의 반대편말단으로 뻗어나간, 각각의 섬유(13)는 금속도금(14)을 포함하지만, 화살표(1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은 전극(22)을 통하여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도금된 섬유에 있어서는 전기전도성이 크다.
제6도에는 전극(22)을 보호관(20)과 함께 사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보호관(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과 그 주위와의 경계부분에서 전해질의 손상 영향을 최소화한다. 대부분의 전기-화학적 적용에 있어서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전극은 음극으로 사용된다.
제7도 내지 제9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판형 전극(3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극(30)은, 대략 직사각형의 불활성 관통 지지체(34)의 주위에 감겨져서 불활성 스크린(36)에 의해 상기 관통 지지체(34)상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가느다란 토우(32)로부터 형성된다. 이 토우(32)는 제l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도금이 벗겨진것일 수도 있고, 혹은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도금된것일 수도 있다.
양극으로 사용되던지 혹은 음극으로 사용되던지 간에, 모든 전극(30)에는 금속도금된 부분이 있다. 이러한 금속도금부(38)에 의하면, 전기접속체(42)를 토우(32)에 부착시키기 위한 납땜부(40)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일체로 된 탄소/금속 매트릭스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상기 금속도금부(38)는 납땜부(40)의 한계선을 넘어서 뻗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떤 전극에 있어서는 토우(3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나갈 것이다.
이 전극(30)에는 또한 보호관(44)이 포함되는데, 이 보호관(44)은 공기와 전해질과의 계명 상부의 지점으로부터 전해질 표면 3-4인치 하부의 지점까지 뻗어나가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 보호관(44)은 관통 지지체(34)의 상부까지만 뻗어나갈 수도 있기는 하지만, 토우(32)를 관통 지지체(34)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이 관통 지지체(34)부근의 지점까지 더욱 뻗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갈이 관통 지지체(34)에는 다수의 구멍(48)에 있으며, 또한 보호판(44)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다란 절결부 혹은 홈(4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우(32)는 관통 지지체(34)내의 구멍들을 통해 유도되어서, 연속적인 형태로 이 관통 지지체(34)의 주위에 감겨진다.
제8도에는 하나의 토우(32)가 각각의 단부에서 종료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토우를 사용하여 다수의 지점에서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 토우(32)는 관통 지지체(34)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며, 관통 지지체(34)와 토우(32)와의 조립체의 주위에 접혀져 있는 스크린(36)에 의해 손상이 방지된다. 스크련(36)은 나일론이나 유리섬유로 제조될 수 있요며, 이 스크린(36)은 1개 전극으로부터 다른 전극으로 섬유가 흩어져 옮겨짐을 방지한다.
전극(30)을 음극으로 사용할 경우, 전체 토우(32)는 전형적으로 도금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도금의 예에서는, 전극(30)의 형성도중에 토우(32)내에 만들어지는 다수의 날카로운 굴곡부분에도 분구하고, 도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우(32)내의 섬유와 접촉을 유지할 것이다.
전극(30)을 양극으로 사용할 경우, 도금은 전기접속체(42)얘 대한 토우(32)의 납땜 접속부(40)부근의 지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토우(32)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도금을 이와같이 토우(32)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토우(32)를 관통 지지체(34)에 장착하기 전에 행하여질 수도 있고 혹은 장착후에 행하여질 수도 있다.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극(10) 또는 (30)의 심재를 이루는 섬유(12)는 탄소이다. 또한, 섬유(12)는 예컨대 탄화규소와 같은 기타의 반금속성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예컨대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또는) 아라미드 등과 같은 비전도성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은 얇은 금속내부층에 의해 전기전도성이 부여된다.
금속피복(14)은 니켈 ,구리, 은, 납, 아연, 백금족 금속 혹은 기타의 금속을 포함하는 각종의 금속으로부터 용도에 따라 선택되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이 금속피복은 다층(多層)구조일 수 있는데, 한가지 예를 들면 내부층을 니켈로 하고 외부층을 은으로 하는 것등이다.
매트릭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납땜이라고 표현된 물질은 주석과 납, 혹은 구리와 은 등과 같은 합금 및 예컨대 구리와 같은 순수한 금속읍 포함한다. 이 납땜 매트릭스는 단자의 벽과 각각의 모든 섬유(l2)와 의 사이에 전기적인 교략을 생성시킨다.
섬유(12)외 토우의 길이는 전극(10)(30)에 대해 요구되는 폭 및 길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제7도 내지 제9도에서와 같이 감싸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제직되거나 편직된 것일 수도 있다. 한가지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길이가 수인치 내지 40피이트인 토우를 사용하면 만족스럽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은, 소량의 용액내에서 전극의 표면을 크게 하여줄 수 있으므로 전류밀도를 낮게 하여줌과 동시에 파라데이 당량에 대한 전체전류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가지 예로서, 40000(40K)개의 섬유외 토우내에 도금이 이루어진 후에 피복된 섬유가 8미크론이 되도록 하여주는 7미크론의 섬유를 사용하면, 토우의 길이 1인치당 면적이 40평방인치인 것과 같다.
뿐만 아니라, 전기도금된 섬유의 저항은 매우 낮으므로, 단자로부터 실질적으로 떨어져 있는 부분이라고 할지라도 토우의 전위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밭명에 의한 전극은 도금, 습식야금, 광업 폐기물류(流)등으로부터의 공정류와 같은 묽은 용액 및 예컨대 사진이나 촉매공정에서와 같이 금속이 존재하는 모든 묽은 용액으로부터 가용성 금속을 제거하고 회수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은 그 효과적인 표면이 넓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전류 및 임의의 전압이 금속의 선택적인 회수와 불순물의 제거에 대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는 용질의 회수 및 전기적 유기화학에 대해 별개의 반응실에서 효과적인 산화 및 환원을 수행하기 위한 쌍극성 전지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전극을 이용하는 전지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전지(30)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적용예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0도에는 전해질(54)로부터 금속을 회수 혹은 제거하는 등의 전기화학적 방법에 대해 사용되는 탱크(52)가 도시되어 있다. 양극으로 사용되는 전극은 부호(30A)로 표시되어 있고, 음극으로 사용되는 전극은 부호(30C)로 표시되어 있다. 양극(30A)과 음극(30C)은 탱크(52)내에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인접한 양극(30A)과 음극(3OC)의 사이의 중간에는 관통 격리판(5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탱크(52)에는 다수의 전지가 포함되며, 각각의 전지에는 1개의 양극(30A)과, 1개의 관통 격리판(56)과, 1개의 음극(30C)이 포함된다.
양극(30A)과 음극(30C)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회로에 의해 전원(5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차동은 특정한 전해질용액에 대한 전류/전압관계의 함수이다. 바람직한 전압은, 제거될 혹은 회수될 특정한 금속에 대한 전류/전압곡선내의 적절한 굴곡점(Knee)에 대응할 것이다.
탱크(52)내의 각각의 전지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쌍의 분할판(60)에 의해 경계지워진다. 각각의 분할판(60)은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활성 투시(see-through)물질로 형성되며, 이 분할판(60)의 한쪽 모서리 부근에는 다수의 구멍(62)(도면에는 수직열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이 있다. 이 구멍(62)의 전체면적은 유출도관(66)의 면적에 비하여 약 50%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멍(62)의 직경은 0.625인치, 간격은 약 0.5인치일 수 있다. 이 구멍(62)들은 탱크(52)내의 한쪽 전지로부터 다음번 전지로 전해질(54)이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분할판(60)은 분할판(60)의 평면내에서 180° 회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한쪽 분할판(60)에는 저부 모서리에 구멍(62)들이 있고, 그 옆의 분할판(60)에는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에 구멍(62)들이 있다.
작동시, 전해질(54)은 탱크(52)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한 유입도관(64)올 통하여 탱크(52)로 향한다. 이 전해질은 최초에 축적부(55)로 도입된 후에, 제1분할판(60) 내의 구멍(62)을 통과한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면, 첫번째 전지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전해질(54)의 소정의 유동형식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축적부(55)는 서어지 평균화기(surge averager)로서의 역할을 하여, 전해질(54)내에 있을 수 있는 모든 침전물을 수집한다. 전해질(54)은 궁극적으로 유출도관(66)을 통해 탱크(52)로부터 방출된다. 전체 탱크(52)내의 분할판(60)의 구멍(62)의 배열에 의하면, 전해질(54)이 한쪽 전지로부터 다음번 전지로 넘어갈 때에 상방 및 하방으로 교대로 유동하게 된다. 탱크(52)를 통한 전해질(54)의 이와같은 일반적인 유동형식은 화살표(68)에 의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에 의하면 전해질을 탱크(52)에 대해 길이 및 폭방향으로 폭포지게 함으로써 탱크(52)내에서의 전해질의 체류시간 및 전극(30)과의 접촉시간을 최대로 하여주며, 따라서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회수 혹은 제거함을 최적화시킨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양극(30A)과 음극(30C)의 구조에 따르면 표면적이 매우 크게되는 한편, 탱크의 구조에 의하연 전해질(54)과 양극(30A) 및 음극(30C)과의 최대접촉이 보장된다.
회수 혹은 제거될 금속은 음극(30C)상에 도금된다. 따라서, 음극(30C)을 전지로부터 주기적으로 꺼내서 금속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음극(30C)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해내는 것은 온침(digestion)혹은 건식야금에 의하여, 또는 농축전지내에서 음극을 양극화시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이 전형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화학적 및 구조적 특징을 제13도에 나타내어져 있다시피, 제14도와 제16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은 전지내에서의 공정류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에 합치시킬 수 있다.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공정류는 저장탱크(70)내후 펌핑된 후에 다전지(multi-cell)탱크(72)로 향한다. 이 공정류는 랭크(72)내에서 금속을 빼앗긴 후에 도관(89)을 통해 축적기(97)로 방출된다. 축적기(97)내의 용출액은 펌프(99)에 의해 펌핑되어서 중화탱크(100)(석회가 함유되어 있음)로 향하며, 이곳에서 중화된 후에 도관(101)을 통해 폐기물로서 방출된다.
제14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면, 예컨대 니켈, 주석, 납, 구리등과 같은 금속의 묽은 산용액을 함유하는 공정류는 유입도관(76)을 통하여 축적기(78)로 향한다. 도시된 탱크(72)는 직사각형이며, 분할판(80)은 그 한쪽 단부의 폭을 가로질러 뻗어나가서 축적기(78)로서의 역할을 하는 격실을 형성한다. 탱크(72)의 첫번째 전지(82A)와 축적기(78)의 사이에 위치한 분할판(80)에는, 공정류가 서어지 제어부(86)의 상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채널(84)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첫번째 전지(82A)내의 공정류(74)의 수면 상부에서 서어지 제어부(86)의 한쪽 단부를 가로질러 욕(72)내의 저벽(90)에서 격리된 지점까지 뻗어나가는 서어지판(88)에 의해 서어지 제어부(86)가 경계지워진다.이것은 저 채널(91)을 제공하는데 이것을 통해 공정류가 첫번째 전지(82A)내로 흘러들어간다. 첫번째 전지(82A)에는 양극(30A), 관통 격리판(56), 음극(30C), 그리고 또다른 관통 격리판(56)으로 이루어지는 교대적인 배열이 반복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이 반복되므로, 각각의 전지(82A 내치 82D)에는 다수의 양극(30A)과 음극(30C)이 교대로 포함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30A)과 음극(30C)은 저벽(90)으로부터 격리되고 부채(93)상에 지지되어서, 침전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30)과 음극(30)은 예컨대 보통의 모선과 같은 통상의 회로에 의해 가변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제14도 내지 제16도에는 전기접속체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전압은 전해질(54)로부터의 금속의 회수 혹은 제거를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전지(82A 내지 82D)는 탱크(72)를 가로질러 축적기(78)에 평행하게 뻗어나가며, 이들은 분할판(94)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다. 각각의 분할판(94)의 한쪽 모서리에는 1개 혹은 다수의 구멍(96)이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판(94)은 그 평면내에서 교대적으로 180°회전되어 있으므로, 구멍(96)들은 대향하는 상부 모서리와 저부 모서리에 반대로 교대로 위치하게 된다. 즉, 전지(82A)와 전지(82B)사이의 분할판(94)에는 저벽(92)과 서어지판(8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모서리에 구멍(96)들이 있고, 전지(82B)와 전지(82C)사이의 분할판(94)에는 저벽(92)과 서어지판(88)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에 구멍들이 있다. 이와 같은 특정한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전지(82A 내지 82D)내의 유동류의 단부간 유동형식이 상부 저부 유동형상 흑은 저부 상부 육동형식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유동형식은 채널링(channeling)을 최소화하면서도 탱크(72)내에서의 유동류의 체류시간을 최적화시킨다. 궁극적으로, 공정류(74) 욕(72)의 저벽(92) 부근에 위치한 유출도관(98)을 통해 욕(72)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제10도 내지 제12도와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전지 및 방법들은 준 귀금속 및 귀금속을 비롯한 금속을 약 1.0ppm 이하로 공정류 혹은 폐기류로부터 제거 및 회수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제13도 내지 제16도의 시스템은 50갤론들이 다전지 탱크(72)내에서 1분당 5갤런의 비율로 유동하는 30ppm의 니켈을 함유하는 공정류내에서 약 50%의 니켈을 한번의 통과로 제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니켈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니켈이 만족할 정도로 감소될 때까지 공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것은, 이 공정류를 궁극적으로 중화기에 도입시키기 전에 도관(98)으로부터 도관(103)을 거쳐서 도관(76)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지는 예컨대 도시의 폐기물과 같은 가용성 염을 불용성으로 만들어서 용출액으로부터 여과해낼 수 있도록 용액을 분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지는, 전압을 정밀하게 선택된 특정한 수준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온화서열이 높은 금속은 용액내에 잔류시키는 한편 소정의 금속을 음극상에 침착시키는, 제17도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의전극(discretionary cell)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형태의 임의도금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표면적이 큰 음극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탄소섬유 음극(102)을 예컨대 백금과 같은 얇은 단일성 양극(l04)과 함께 사용하는 임의전극(100)(제17도 및 제18도)에 의해, 작은 공간과 작은 양의 전해질로서도 달성될 수 있다. 전해질(106)은, 임의전극(10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 유입도관(108)을 통하여 이 임의전극(100)내에 도입된다. 유입도관(108)은 편향기소켓트(110)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유입도관(108)에는 전해질(106)을 임의전지(100)의 주위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111)이 있다. 단일선 양극(104)은 유입도관(108)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다. 음극(102)은 양극(104)과 동심원적으로 이 양극(104)과 간격을 두고 그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결과로서, 유입도관(108)으로부터 흘러나온 전해질(106)은 양극(104)을 지나고 음극(102)을 통과하여 음극(l02)상에서 소정의 금속도금을 수행한다.
임의전극(l00)내에서 사용된 음극(102)은 니켈로 도금된 탄소섬유 전극이다. 음극(102)을 양극(104)의 주위에 동심원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플래스틱 관통 지지체[즉, 그리드(grid)](112)의 주위에 음극(102)을 균일하게 감아줌으로써 달성된다. 관통 지지체(112)는, 예컨대 굳으면서도 가요성이 있는 플래스틱 스크린을 굽혀서 원통형의 형태로 고정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음극(102)은 다공성의 외부 스크린(l14)에 의하여 관통 지지체(112)상에 고정된다. 관통 지지체(l12)와 스크린(114)의 관통특성에 의하면, 전해질(106)이 음극(l02)을 통해 유동하여, 이 음극(102)을 구성하는 다수의 니켈 도금 탄소섬유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음극(102)은 그리드(112)의 주위에 균일하게 감겨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음극(102)은 원통형의 형태로 편직될 수도 있으며 흑은 매트의 형태로 편직된 후에 그리드(112)나 기타의 관통성 구초체의 주위에 감겨질 수도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전해질(106)을 임의전지(1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유출도관(116)이 설치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이 임의전지(100)는 유출도관(116)과 유입도관(108)이 금속의 제거를 위한 공통적인 전해질 용액원(源)에 연결되어 있는 폐쇄된 시스템을 한정짓는다. 임의전지(100)는 어떠한 크기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전지(100)는 전해질용액을 함유하는 대형의 탱크상에 장착된 소형의 장치일 수 있다. 전형적인 적용예에서, 40K 니켈도금된 토우 음극(102)을 원통형으로 형성시켰을때(제17도), 그 직경은 약 4인치이었고 길이는 약 12인치이었다. 이 음극(102)의 표면적은 약 100ft2이며, 이 음극(102)은 1갤런 이하의 체적을 갖는 임의전지내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보다 큰 탱크도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106)내의 적당한 양의 금속이 음극(102)상에 침착된 후에 공정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켜서 음극(102)을 제거 및/또는 교체함으로써, 이 음극(102)상에 침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혹은 금속적 가치가 있는 금속을 회수한다.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된 전극에는, 제10도에 도시된 탱크(5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탱크(122)가 포함되어 있다. 이 탱크(122)에는 다수의 분할판(124)이 포함되며, 각각의 분할판(124)에는 전해질(128)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26)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구멍(126)들은 분할판(124)의 모서리 근쳐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분할판(124)은 그 평면내에서 180°교대로 회전됨으로써 전해질(128)이 탱크(122)내에서 바람직한 상하좌우의 유동형식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판(l24)은 다수의 전지들을 상호 분리시키며, 이에 전지(130)내에는 관통 격리판(I36)에 의해 분리된 l개의 양극(132)과 1개의 음극(134)이 포함되어 있다. 양극(132)에는 관통 지지체(140)의 주위에 감겨져 있는 탄소섬유 토우(138)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양극(132)내의 탄소섬유 토우(138)는 다수의 탄성섬유로부터 형성되며, 각각의 탄소섬유는 전기접속체의 부근에서는 금속도금되어 있고 전기접속체로부터 조금 더 벌어진 부분에서는 도금이 되지 않았거나 혹은 도금이 벗겨져 있다. 즉, 각각의 양극(132)은 상술한 양극(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이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134)은 다수의 구멍(142)을 포함하는 관통성 흑은 다공성의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음극(134)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판이다. 각각의 양극(132)과 음극(134)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관통 격리판(136)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관통 격리판(5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가지 예로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전지는 예컨대 은, 구리, 아연, 카드뮴, 및 주석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전해질 혹은 시안화물을 제거 혹은 회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 유기화학과 합성, 그리고 유기 잔사의 처리에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21도와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1도에 도시된 전지에는, 서로 다른 2개의 전해질용액(154)(156)을 함유하기 위한 2개의 격실후 분할시키는 다공성 막(152)을 가진 탱크(l50)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전극에는 양극(158)과 음극(160)이 있으며, 이들은 상술한 양극(30A) 및 음극(30C)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양극(158)과 음극(160)은 지점(164)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비활성적(passive)안 전극들로서, 이들은 외부의 전원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쌍극성을 이룬다. 양극(158)과 음극(160)은 다공성 막(l5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따라서 양극(158)은 전해질(154)을 함유하는 격실내에 위치하게 되며 음극은 전해질(156)을 함유하는 격실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공성 막(152)에는 중공(中空) 지지체(161)가 포함되며, 그 주위에는 예컨대 캔버스와 같은 다공성 부재(168)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다공성 막(152)은 용액(l65)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 용액은 중성일 수 있다. 전지에 대해 활성적(active)인 전극은 전해질(l54)내의 판상 음극(166)과 전해질(156)내의 판상 양극(168)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용액(l54)(l56)은 서로 다른 것인데, 이들중 하나는 산성이고 다른 하나는 염기성이다. 전해질용액(154)은 양극(158)에서 산화되며, 전해질용액(156)은 섬유전극의 극성화(polarizing)가 없이도 음극(160)에서 환원된다. 실제로, 다공성 막(152)은 이온선택성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다공성 막(152)은 비교적 값이싸고, 높은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쌍극성 전지는 양극액과 음극액을 별도로 유지시키려는 경우, 전지의 어느 한쪽에서의 산화 혹은 환원이 이온성인 경우, 또는 극성화된 전극이 필요한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종의 수성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다수의 연속적인 섬유로 구성되며, 각각의 섬유상에는 얇고 견고하게 점착된 금속 피복이 있는 전극.
  2. 다수의 심재(core)섬유를 연속적인 길이로 제공하고, 각각의 심재섬유의 적어도 한쪽 단부를 실질적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점착된 금속의 피복으로 도금하고, 상기 심재섬유의 금속피복된 단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전기접속제를 위치시키고, 상기 금속 피복된 섬유의 단부들의 사이로 뻗어나가서 효율적인 전기접속을 제공하는 일체로 된 섬유/금속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전기전도성 금속에 의해 상기 금속 피복된 단부들과 전기접속체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섬유를 함유하는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40003600A 1983-06-24 1984-06-23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KR900006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760483A 1983-06-24 1983-06-24
US507604 1983-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793A KR850004793A (ko) 1985-07-27
KR900006119B1 true KR900006119B1 (ko) 1990-08-22

Family

ID=2401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600A KR900006119B1 (ko) 1983-06-24 1984-06-23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129845B1 (ko)
JP (1) JPH0723549B2 (ko)
KR (1) KR900006119B1 (ko)
AT (1) ATE38255T1 (ko)
AU (1) AU572858B2 (ko)
CA (1) CA1273604A (ko)
DE (1) DE3474841D1 (ko)
DK (1) DK163310C (ko)
ES (2) ES8604321A1 (ko)
FI (1) FI77271C (ko)
HK (1) HK5691A (ko)
IL (1) IL72209A (ko)
NO (1) NO164670C (ko)
SG (1) SG98190G (ko)
ZA (1) ZA844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7912B1 (en) * 1983-06-24 1990-05-16 American Cyanamid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ly plating fiber
EP0151055B1 (fr) * 1984-01-09 1988-08-31 Yves Heroguelle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récupération galvanique de métaux en solutions diluées
GB9318794D0 (en) * 1993-09-10 1993-10-27 Ea Tech Ltd A high surface area cell for the recovery of metals from dilute solutions
US7378011B2 (en) 2003-07-28 2008-05-27 Phelps Dodg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winning copper using the ferrous/ferric anode reaction
US7494580B2 (en) 2003-07-28 2009-02-24 Phelps Dodg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powder by electrowinning using the ferrous/ferric anode reaction
US7378010B2 (en) 2004-07-22 2008-05-27 Phelps Dodg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powder by electrowinning in a flow-through electrowinning cell
US7393438B2 (en) 2004-07-22 2008-07-01 Phelps Dodge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powder by electrowinning
US7452455B2 (en) 2004-07-22 2008-11-18 Phelps Dodg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 powder by electrowinning
KR100729281B1 (ko) * 2005-10-21 2007-06-15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전해조용 전극구조
MX2010007795A (es) 2008-01-17 2011-02-23 Freeport Mcmoran Corp Metodo y aparato para la recuperacion por via electrolitica de cobre usando lixiviacion atmosferica con extraccion por via electrolitica de reaccion de anodo ferroso/ferrico.
JP5787580B2 (ja) * 2011-04-06 2015-09-30 株式会社東芝 電解還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1618C3 (de) * 1971-10-16 1975-05-28 Maschinenfabrik Augsburg-Nuernberg Ag, 8000 Mue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thodischen Behandeln dünner elektrisch leitender Faserstränge bzw. -bündel
CA1055885A (en) * 1974-08-07 1979-06-05 Bernard Fleet Carbon fiber electrode
US4108757A (en) * 1974-08-07 1978-08-22 308489 Ontario Limited Carbon fiber electrode
JPS55121271A (en) * 1979-03-12 1980-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substrate for battery
DE2929346C2 (de) * 1979-07-20 1985-10-17 C. Conradty Nürnberg GmbH & Co KG, 8505 Röthenbach Regenerierbare formstabile Faserwerkstoff-Elektrode für schmelzflußelektrolytische Prozesse
JPS5757879A (en) * 1980-09-24 1982-04-07 Hitachi Ltd Insoluble electrode
IL67867A (en) * 1982-03-16 1987-10-30 Electro Metalloid Corp Yarns and tows comprising high strength metal coated fibers,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0137912B1 (en) * 1983-06-24 1990-05-16 American Cyanamid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ly plating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3310C (da) 1992-07-06
HK5691A (en) 1991-01-25
NO164670C (no) 1990-10-31
FI842530A (fi) 1984-12-25
ZA844777B (en) 1985-02-27
FI77271C (fi) 1989-02-10
EP0129845A1 (en) 1985-01-02
JPS6059092A (ja) 1985-04-05
AU572858B2 (en) 1988-05-19
FI842530A0 (fi) 1984-06-21
FI77271B (fi) 1988-10-31
NO164670B (no) 1990-07-23
ES547434A0 (es) 1986-10-16
CA1273604A (en) 1990-09-04
AU2977284A (en) 1985-01-03
DK306984D0 (da) 1984-06-22
NO842527L (no) 1984-12-27
EP0129845B1 (en) 1988-10-26
ES533656A0 (es) 1986-01-16
SG98190G (en) 1991-02-14
IL72209A0 (en) 1984-10-31
IL72209A (en) 1988-01-31
ATE38255T1 (de) 1988-11-15
DK306984A (da) 1984-12-25
KR850004793A (ko) 1985-07-27
JPH0723549B2 (ja) 1995-03-15
ES8604321A1 (es) 1986-01-16
DE3474841D1 (en) 1988-12-01
ES8700337A1 (es) 1986-10-16
DK163310B (da) 199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100A (en) Electrochemical cells and electrodes therefor
US4762603A (en) Process for forming electrodes
KR900006119B1 (ko) 전극 및 이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JP2537525B2 (ja) 金属電解析出用電解槽
US4476206A (en) Fiber reinforced grid for a storage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4367127A (en) Metals recovery cell and electrode assembly for same
US4643819A (en) Devices for the galvanic recovery of metals from diluted solutions
EP0415876B1 (en) Continuous electroplating of conductive foams
US4464446A (en) Anodes of composite materials and accumulators using solid anodes
JPH03229889A (ja) 高速電解法を用いての導電性基体の連続被覆方法とその装置
US4350580A (en) Current distributors for reticulate electrodes
US5098544A (en) Continuous electroplating of conductive foams
CA30457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having reversible electrodes
US4432838A (en) Method for producing reticulate electrodes for electrolytic cells
EP0290210A2 (en) Dielectric block plating process and a plat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ZA968314B (en) Silver electrolysis method in moebius cells
CA1093148A (en) Process for assembling a porous membrane on a support and assembly produced in this manner
JP2835811B2 (ja) マンガン酸塩から過マンガン酸塩への再生法およびその再生装置
US4021597A (en) Sea water battery with a lead chloride catho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419214Y (zh) 电镀设备
CN2269241Y (zh) 半渗透式离子析出装置
EP0266312A1 (en) Reticulate electrode and cell for recovery of metals from waste water
RU2112084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ористых, ячеистых,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с металлами и сплавами
CA1050478A (en) Electrolytic cells
JPS5946759A (ja) 複合材料陽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