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10Y1 -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10Y1
KR900005710Y1 KR2019870010667U KR870010667U KR900005710Y1 KR 900005710 Y1 KR900005710 Y1 KR 900005710Y1 KR 2019870010667 U KR2019870010667 U KR 2019870010667U KR 870010667 U KR870010667 U KR 870010667U KR 900005710 Y1 KR900005710 Y1 KR 900005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ape
head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411U (ko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0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710Y1/ko
Publication of KR89000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 브이씨알의 주행계를 PLAY 및 FF/REW모드에서 각각 보인 평면도.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로서, 제 3 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 4 도는 PLAY시 작용을 보인 평면도.
제 5 도는 FF/REW시 작용을 보인 평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로딩기구부의 기능부품 높이 관계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로딩기구부의 기능부품 높이 관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플레이트 21 : 헤드드럼
23, 23' : 로딩안내로 25 : 캠기어
25a : 캠홈 27 : 핀치로울러
28 : 레버 28' : 축핀
29 : 테이크업 가이드핀 30 : 레버
30' : 축핀 31 : 전폭소거헤드
32 : A/C헤드 33 : 권취릴
34 : 가이드포스트 35 : 탐사레버
35a : 작동핀 35' : 축핀
36 : 가이더 37 : 구동레버
37a : 작동핀 37b : 안내공
37c : 단턱부 38, 39 : 인장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브이씨알에 있어서 테이프를 고속으로 이송시키면서 특정화면을 탐사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FF/REW시 테이프가 A/C헤드에 감겨 콘트롤헤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화면을 탐색할 수 있게한 테이프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이씨알의 테이프 주행계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플레이트(1)의 배면에 구동캠기어(2)가 설치되고, 이 구동캠기어(2)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판(3)이 텐션포스트(4)와 핀치로울러(5)를 이동시키어 테이프(6)가 공급릴(7)에서 부터 카세트테이프(8)에 내장되어 있는 가이드(9)를 지나 로울러(10), 전폭소거헤드(11), 경사포스트조립체(12), 헤드드럽(13), 경사포스트조립체(14), A/C헤드(15), 캡스턴(16)과 핀치로울러(5), 그리고 테이크가이드포스트(17)를 순차적으로 지난다음 카세트테이프(8)에 내장되어 있는 가이드(18)를 지나 최종적으로 권취릴(7')에 감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포스트조립체(12)(14)는 정지 또는 FF/REW 모드시 카세트테이프(8)에 형성된 개구부(8a)(8b)의 테이프(6)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중간개구부(8b) 내측는 탐사헤드(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브이씨알은 테이프(6)를 녹화시키는 경우에는 테이프(6)가 A상태의 주행경로로 이송되는데 이때에 헤드(11)에서 특정신호를 기록하고, FF/REW, 즉 경사포스트조립체(12)(14)가 제2도 상태로 이동되어 테이프(6)가 B상태의 주행경로로 고속으로 이송되는데 녹화시 헤드(11)에서 기록한 특정신호를 헤드(19)가 검출하여 원하는 화면를 찾을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브이씨알의 고속하면 탐사장치는 신호를 기록할때에는 주행경로 A상에 있는 헤드(11)를 사용하고 검출시에는 주행경로 B상에 있는 별도의 탐사헤드(19)를 사용함으로서 기록 및 검출시 헤드(11)(19)의 위치가 상위하게 되므로 원하는 화면을 보기 위하여 테이프를 로딩시켰을때 원하는 화면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없을 뿐더러, 별도의 헤드(19)를 하나 더 사용함으로서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캠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레버에 테이프 탐사사용레버를 연동시키어 FF/REW 모드시 테이프가 A/C 헤드에 접촉주행되게 하여, A/C헤드에서 테이프에 특정신호를 기록 및 검출할 수 있게하고, 또한 구동레버에 의하여 핀치로울러레버와 테이크업가이드레버가 함께 구동될 수 있게함으로써, 별도의 탐사전용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헤드로 테이프의 특정하면을 탐사할 수 있게하면서 구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인바, 이와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본 고안장치의 일실시예가 설치된 브이씨알의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이고, 제 6 도 각 기능부품의 높이 관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크부베이스플레이트(20)의 후방부에 헤드드럼(21)이 성치되고 그 전방부에는 카세트테이프(22)의 개구부(22a) (22a')에 삽입되도록 로딩안내로(23) (23')를 타고 이송되는 경사포스트조립체(24)(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하면에 캠기어(25)가 축(25')으로 유착되고 캡스턴샤프트(26)의 일측에 핀치로울러(27)가 선단부에 고정된 레버(30)가 축핀(30')으로 축착되고 상기 양측 로딩안래로(23)(23')에 인접하게 전폭소거헤드(31)와 A/C헤드(32)가 각각 설치되며 권취릴(33) 후방부에는 테이프가이드포스트(34)가 선단부에 고정된 탐사레버(35)가 축핀(35')으로 축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탐사레버(35)에 인접하게 가이더(36)가 고정되고 그 가이더(36)에 지지되어 구동레버(37)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레버(37)의 일단부 하면에 고정한 작동핀(37a)이 상기 캠기어(25)의 상면에 형성한 캠홈(25a)에 삽입됨과 아울러 구동레버(37)의 중간부 일측에는 안내홈(37b)이 형성되어 그 안내홈(37b)에는 상기 탐사레버(35)의 단부에 형성한 작동핀(35a)이 삽입되고, 탐사레버(35)의 중간부에 일단이 고정된 인장코일스프링(38)의 타단부는 구동레버(37)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레버(37)의 타측단부에는 핀치로울러레버(28)의 축핀(28') 내측에 일단부를 고정한 인장코일스프링(39)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구동레버(37)의 안내공(37b)과 인접하게 탄턱부(37c)가 형성되어 그 단턱부(37c)에는 테이크업가이드레버(30)의 단부가 접촉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a는 캠기어(25)의 하면 캠홈(25b)에 삽입되는 섹터기어(40)의 작동핀이고, 41, 41'는 로딩기어, 42, 42'는 로딩기어(41) (41')에 각각 연결된 관절형 로딩레버, 43은 공급릴(33')과 권취릴(33)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둘러를 보인 것이며, 44는 테이프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브이씨알에 카세트테이프(22)를 집어 넣으면 제3도와 같이 안착되고 이때에는 경사포스트조립체(24) (24')와 가이드포스트(34)가 카세트테이프(22)의 좌우측 개구부(22a) (22a')내에 들어있는 정지상태로 특히, 가이드포스트(34)는 "가"위치에 있게된다.
녹화 및 재생시에는 제3도의 상태에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동력으로 캠기어(2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기어(25) 상면캠홈(25a)에 연결된 작동핀(37a)이 따라서 회전되므로, 구동레버(37)는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구동레버(37)의 안내홈(37b), 단턱부(37c) 및 스프링(39)이 동작되어 탐사레버(35), 테이크업가이드레버(30)및 핀치로울러레버(27)는 각각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여 제4도와 같이된다.
이와같은 작동이 행하여 지는 동안에 캠기어(25)의 하면에 형성된 캠홈(25b)에 연결된 핀(40a)이 섹터기어(40)를 회전시키고(제6도 참조). 그에 연동되어 로딩기어(41) (41')가 회전됨에 따라, 로딩레버(42)(42')가 경사포스트조립체(24)(24')들을 "다"이치로 끌고 이동하게 되며, 이와같이 하여 테이프(44)의 경로가 제4도와 같이 된 때부터 헤드(32)로써 테이프(44)에 녹화 및 어드레스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한편, 테이프(44)에 기록된 어드레스 신호를 고속으로 서어치하기 위해 FF/REW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이. 캠기어(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캠기어(25)의 하면 캠홈(25b)이 동일반경으로 형성된 구간에 의하여 섹터기어(40)와 로딩기어(41) (41')는 회전하지 않아 경사포스트조립체(24) (24')는 카세트테이프(22)의 개구부(22a) (22a')에 있게되고, 캠기어(25)의 상면 캠홈(25a)에 연결된 핀(37a)이 회전되어 구동레버(37)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된 가이더(36)에 안내되면서 제5도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어 탐사레버(35)는 축핀(35')을 기준으로 안내홈(37b)에 의하여 회동하여 가이드포스트(34)가 테이프(44)를 이끌고 "나"위치로 이동하여 헤드(32)에 테이프(44)가 접촉되면서 주행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 4 도의 상태에서 녹화시 기록되 어드레스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어드레스 신호를 검출하여 원하는 위치를 찾으면 서어치를 멈추고 제 4 도의 재생위치 "다"위치로 테이프(44)를 다시 로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재생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에는 가이드포스트(34)가 "나"위치에 있으며, 구동레버(37)가 제 3 도에서 제 4 도의 상태로 화살표방향으로 더 이동되더라도 가이더(36)와 안내홈(37b) 방향이 같기 때문에 그대로 "나"위치에 있게되어 재생시에는 가이드포스트(34)는 테이프(44)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브이씨알과 호환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속탐사용헤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헤드(32)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캠기어(25)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레버(37)에 탐사레버(35)가 연동되게 설치함으로써 동일헤드(32)에서 녹화시에 고속탐사신호를 기록하고 FF/REW시 탐사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재생할 수 있게되어 원가절감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구동레버(37)에 의하여 테이크업가이드레버(30)와 핀치로울러레버(28)를 구동할 수 있게되어 주행계 구성을 간소화하는 이점등이 있다.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베이스플레이트(2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보인평면도이고, 제 8 도는 제 7 도의 기능부푸의 높이 관계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는 ㄱ자형 구동레버(51)의 일축단부를 베이스플레이트(20)에 축핀(51')으로 축착하고 그 구동레버(51)의 중간부 하면에 고정한 작동핀(51a)을 캠기어(25)의 상면에 형성한 캠홈(25a')에 삽입하며, 그 구동레버(51)의 타측단부에는 연결핀(51b)을 고정하여 그 연결핀(51b)에는 탐사레버(35)의 단부에 형성되고 동심원부(35c)를 갖는 안내장공(35b)을 유착함과 아울러 연결레버(52)의 일측단부에 형성한 연결공(52a)을 유착하고 그 연결레버(52)의 타단부에 형성한 장공(52b)에는 핀치로울러레버(28)의 중간부에 고정한 핀(28b)을 삽입하여 그 핀(28b)과 연결레버(52)의 장공(52b)내측부 핀(52c) 사이에 코일스프링(53)을 연결한 것으로 도면에서 54는 탐사레버(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탄지하는 코일스프링이고 그외 다른 부분은 본 고안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FF/REW 모드시에는 캠기어(25)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51)가 축핀(51')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핀(51a)이 구동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이고 구동레버(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구동레버(51)의 핀(51b)이 탐사레버(35)의 안내장공(35b)을 밀게되어 탐사레버(35)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가이드포스트(34)가 "가"위치에서 "나"위치로 이동하고 헤드(32)에 테이프(44)가 감기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포스트(34)가 "나"위치에 도달한 후 캠홈(25a')의 변위에 의하여 구동레버(51)가 더 움직여도 연결핀(51b)의 회전궤적이 안내장공(35b)의 동심원부(35c)와 일치하기 때문에 가이드포스트(34)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프(44)는 헤드(32)에 일정각도 감긴상태로 B의 주행경로로 주행하고 이때 스프링(54)은 탐사레버(35)에 탄발력을 작용시켜 가이드포스트(34)가 정확한 위치를 갖도록 한다.
이와같이된 상태에서 테이프(44)는 헤드(32)에 일정각도 감긴상태로 B의 주행경로로 주행하고 이때 스프링(54)은 탐사레버(35)에 탄발력을 작용시켜 가이드포스트(34)가 정확한 위치를 갖도록 한다.
이와같이된 상태에서 테이프(44)에 녹화된 기록된 어드레스 신호를 헤드(32)로 검출하여 원하는 위치를 찾으며, 서어치를 멈추고 캠기어(25)를 구동시켜 테이프(44)를 주행경로 A까지 로딩시키고 사용자가 원했던 곳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여기서 "나"위치에 있는 가이드포스트(34)는 주행경로 A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44)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브이씨알과 호환성을 갖게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고속서어치용 신호기록과 검출이 동일한 헤드(32)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저확한 서어치위치를 재생모드에서 재현하고 별도의 헤드를 설치하지 않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와 동일한 이점을 갖으며 구동레버(51)와 핀치로울러레버(28)를 연결레버(52)로 연결하여 함께 구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헤드드럼(21)의 일측 로딩안내로(23')에 인접하게 A/C 헤드(32)가 설치된 통상의 브이씨알에 있어서, 상기 A/C헤드(32)에 테이프를 접촉시키는 가이드포스트(34)를 갖는 탐사레버(35)에 인접하게 가이더(36)를 고정하여, 그 가이더(36)에는 일정길이의 구동레버(37)를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구동레버(37)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한 안내홈(37b)에는 탐사레버(35)의 단부에 형성한 작동핀(35a)을 삽입하고 탐사레버(35)와 구동레버(37)의 중간부간에는 인장코일스프링(38)을 연결하는 동시에 구동레버(37)의 타단부와 핀치로울러레버(28)의 일측부를 인장코일스프링(39)으로 연결하는 한편, 구동레버(37)의 안내홈(37b)일축에는 테이크업가이드레버(30)의 단부가 접촉되는 단턱부(37c)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2019870010667U 1987-06-30 1987-06-30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00005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667U KR900005710Y1 (ko) 1987-06-30 1987-06-30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667U KR900005710Y1 (ko) 1987-06-30 1987-06-30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11U KR890001411U (ko) 1989-03-18
KR900005710Y1 true KR900005710Y1 (ko) 1990-06-28

Family

ID=1926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667U KR900005710Y1 (ko) 1987-06-30 1987-06-30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7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11U (ko) 198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634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EP0306230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magnetic tape cassette
US4012787A (en) Video tape recorder
KR900005710Y1 (ko) 브이씨알의 고속화면 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860007652A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
US4692823A (en) Tape loading device for a video tape recorder
EP0539665A1 (en) Tape loading apparatus
KR900005641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00005640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00003676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용 테이프가이드장치
US5233489A (en) Fast screen detecting device of VTR
KR900005639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JP267144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70000119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KR1004129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헤드조립체
JPH03134846A (ja) テープ装置
JPH075559Y2 (ja) 画面検索機能を有す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792956B2 (ja) 磁気テ−プ装置
KR10027774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JPH029888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GB1562404A (en) Web cassettes and web guiding members therefor
JPH05303801A (ja) 磁気テープ装置
KR20000015620U (ko) 브이시알의 릴 제동제어장치
JPH0626716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22020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