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19B1 -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19B1
KR870000119B1 KR1019860006492A KR860006492A KR870000119B1 KR 870000119 B1 KR870000119 B1 KR 870000119B1 KR 1019860006492 A KR1019860006492 A KR 1019860006492A KR 860006492 A KR860006492 A KR 860006492A KR 870000119 B1 KR870000119 B1 KR 8700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air
pinch roller
load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오 히로세
미노루 요시다
도요조오 우라까미
타다요시 후꾸다
히로시 호리우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123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3348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6000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정1도는 재생기록 모우드 중에서 본 발명에 의한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의 평면도
제2도(a)는 제1도의 화살표 IIa의 방향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2도(b)는 제1도의 화살표 IIb의 방향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3도는 기대를 제거시킨 재생기록모우드 중에 있는 제1도의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정지모우드 중에 있는 제1도의 모우드 설정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6도는 캠배열장치와 그 구동장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7도는 캠배열장치와 그 부속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8도는 자기테이프를 인출하도록 부채꼴형상의 기어와 한쌍의 아암 기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9도는 각 아암기구의 단부에 착설된 로우딩장치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사시도
제10도는 테이프종단 검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11도는 (a)(b)(c) 및 (d)는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정지모우드, 일시정지 모우드, 재생기록 모우드, 급속이송리와인딩 및 급속이송진행 모우드를 각각 제공하는 캠배열장치의 각종 위치를 나타낸 선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와 모우터의 상태를 나타낸 타임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본체 (1b) : 제1캠
(1c) : 안내홈 (1d) : 제2캠
(2) : 아이들러제어레버 (4) : 핀치로울러제어레버
(13) : 로우딩모우터 (15) : 부채꼴형상의 기어
(19)(21) : 기어 (23) : 제2아암기구
(23a)(25a) : 제1아암 (23b)(25b) : 제2아암
(25) : 제2아암기구 (41) : 캡스턴
(51)(52) : 테이프로우딩수단 (54)(62) : 테이프안내로울러
(55)(63) : 경사포스트 (66)(67) : 안내구멍
(77) : 핀치로울러지지레버 (79) : 핀치로울러
(93)(104) : 리일지지디스크 (98) : 회전축판
(102) : 아이들러기어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콤팩트한 크기의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는, 선택된 작동 모우드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테이프카세트를 로우딩하는 각종 레버기구, 즉 리일이송, 핀치로울러의 동작 및 기타 여러가지 기능에 대해서 복잡하게 작동하므로 주로 크기가 크고 복잡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 레코오더는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 121, 267호(하야시), 미국특허 제4, 138, 699호(우라) 및 미국특허 제4, 258, 399호(이이지마)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비데오 카메라에 장착할 수 있도록 극히 콤팩트한 크기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설계하고, 조립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작동 모우드를 설정하는 배열장치는 가급적 간단하고 콤팩트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발명의 주 목적은, 복잡한 레버기구와 핀치로울러의 접촉압을 발생하는 플랜저등의 크고 복잡한 레버기구를 제거하여 콤팩트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의 새로운 모우드 설장 배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모우드 설정배열장치는 복합적으로 동작되도록 제공된 각종 부재들이 회전에 의해 위치변동이 있을때,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의 서로 다른 작동모우드를 설정하는 캠본체를 갖추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는, 핀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핀치로울러를 작동시키는 제1레버수단과 핀에 대해서 제3레버를 회전시키는 3개의 위치(즉 핀치로울러가 한쌍의 리일지지 디스크에 착설된 카세트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1핀치로울러위치, 상기 핀치로울러와 상기 캡스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자기테이프를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에 인접시키는 제2핀치로울러 위치 및 상기 핀치로울러와 상기 캡스턴 사이에서 자기테이프를 타이트하게 지지하기 위해 핀치로울러가 상기 캡스턴과 접촉압을 가지는 제3핀치 로울러 위치) 사이에서 핀치로울러를 제1레버와 함께 작동되게 착설된 제1캠부재와, 실린더 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제1아암기구와, 상기 제1아암기구상에 착설된 테이프로우딩 수단과, 실린더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제2아암기구와, 상기 제2아암기구에 착설된 테이프로우딩 수단과, 상기 제1캠부재의 회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테이프로우딩수단이 카세트내에 위치하는 최초의 위치와 상기 테이프로우딩 수단이 드럼둘레에 자기테이프를 현가시키는 드럼 대향축상에 대체로 위치하는 로우딩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로우딩 수단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실린더 각각에 전달수단을 개재해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과,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브레이크 슈우부재를 가진 제2레버수단과, 한쌍의 리일지지디스크중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가진 계합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a) 및 제2도(b)는 본 발명에 의한 모우드 설정배열에 관한 도면으로서, 서로간에 소정의 공간이 평행하게 형성된 기대(65)(6)로 구성되어 있다. 캠본체(1)는 상기 기대 사이에 위치하고,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의 서로 다른 4개의 작동모우드, 즉 정지모우드, 일시정지모우드, 재생기록모우드 및 순방향 고속이송/역방향고속이송 모우드를 설정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본체(1)는 기대(6)로부터 뻗어있는 축(7)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기어(1a)와, 기대(65)와 대향하는 기어(1a)의 상부면상에 일체가 되게 동축적으로 착설된 제1캠(1b)과 상기 제1캠(1b)상에 일체가 되게 착설된 제2캠(1d) 및 상기 기어(1a)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안내홈(1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캠(1b)은 디스크형상의 측면상에 오목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캠(1b)상에 착설된 제2캠(1d)은 대체로 360°의 3/4의 원형 형상이며, 대체로 1/4원의 돌출부(1d-a)를 가진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출부(1d-a)는 곡면단부(ad-b)와, 경사단부(1d-c) 및 제2캠(1d)의 축(7)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정상단부(1d-d) 로 구성되어 있다. 제11도(a) 및 제11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내홈(1c)은 외측홈부(1c-a), 중간홈부(1c-b) 및 내측홈부(1c-c)를 이루는 3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3개의 부분 중 중간홈부(1c-b)는 축(7)주위를 나선방향으로 뻗어서 내외측홈부(1c-a)(1c-c) 사이를 연결하며, 또한, 내외측홈부(1c-a)(1c-c)는 축(7)주위를 일정한 반경으로 뻗어 있다.
다음에, 캠본체(1)에 대한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기대(6)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핀(8)에 고착된 기어(9)와 상기 기어(1a)가 맞물려 있다. 핀(8)은 기대(6)를 개재해서 베벨기어(10)를 견고하게 수용하기 위해 기대(6)와 대향하는 쪽의 하부방향에 삽입되어 있다. 베벨기어(10)는 기어(12b)와 동축상에 착설된 다른 베벨기어(12a)와 맞물려 있다. 기어(12b)는 로우딩모우터(13)의 구동축상에 견고하게 착설된 기어(14)와 맞물려 있다. 로우딩모우터(13)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식이며,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의 제어팬널상에 착설된 조작버튼(도시생략)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콤퓨터(도시생략)의 신호를 받음으로서 동작되고, 이 마이크로스위치(SW1)(SW2)(SW3)(SW4)(SW5)의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로우딩모우터(13)는 기대(6)로부터 하부방향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판(11)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배열장치에 의해 로우딩모우터(13)로부터의 구동력은 캠본체(1)에 전달된다.
제3도 및 제7도에 축(P1)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캠본체(1)의 제1캠과(1b) 연동해서 작동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이 아이들러 제어레버(2)에는 제1, 제2 및 제3아암(2a)(2b)(2c)이 있고, 스프링(101)에 의해 축(P1)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세되고 있다. 상기 제1아암(2a)은 구동력전달을 제어하고, 카세트(CA)리일을 효과적으로 제동하며, 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아암(2b)은 제1캠(1b)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제2아암(2b)의 돌출부가 제1캠(1b)에 형성된 오목부(1b')와 계합할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 아이들러제어레버(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아암(2b)의 돌출부가 오목부(1b')로부터 이탈할 경우,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아이들러제어레버(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아암(2a)은 회전축판(98)상에 착설된 핀(100)과 계합하기에 적합한 훅부분(2a')을 가지고 있다. 회전축판(98)은 기어(103)의 샤프트(36)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회전축판(98)을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103)와 풀리(37) (제5도 참조) 사이에 위치하고, 풀리(37)는 무단벨트(38)에 의해 다른 풀리(35)와 연결되어 있다. 이 풀리(35)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리일모우터(34)의 구동사프트(34a)상에 고착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회전축판(98)은 이이들러기어(102) (제1도)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핀(99)을 가지고 있다. 이 아이들러기어(102)는 기어(103)와 맞물려 있으므로, 리일모우터(34)의 구동력은 풀리(35), 무단벨트(38), 풀리(37) 및 기어(103)를 개재해서 아이들러기어(102)에 전달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훅부분(2a')이 핀(100)에 대해서 이탈되어 있는 동안에, 기어(10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아이들러 기어(102)가 리일지지디스크(104)와 동축적으로 착설되어 있는 기어(104a) (제1도)와 계합할때까지 회전축판(3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리일모우터(34)의 구동력은 리일지지디스크(104)에 전달된다.
반면에, 훅부분(2a')이 핀(100)에 대해서 이탈되어 있는 동안에, 기어(10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경우, 리일지지디스크(93)와 동축적으로 착설된 기어(93a)(제1도)와 계합할때까지 회전축판(98)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경우, 리일모우터(34)의 구동력은 리일지지디스크(93)에 전달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캠(1b)의 오목부(1b')에 아이들러 제어레버(2)의 제2아암(2b)의 돌출부가 계합함으로서,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훅부분(2a')은 이 핀(100)과 계합하여, 회전축판(98)의 어떠한 회전동작도 방지된다. 이 경우, 아이들러기어(102)는 중립위치, 즉 기어(104a)(93a)사이에서 강제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아이들러제어레버(2)의 제2아암(2a)도 레버(107)(제1도)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과 계합하는 핀(110)을 가지고 있다. 이 레버(107)의 일단부는 핀(109)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타단부는 레버(10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레버(105)에는 브레이크 슈우로서 각각 작용하는 한쌍의 경사면(105a)(105b)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핀(110)은 상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레버(107)는 핀(109)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버(105)가 상방향으로 상승되며, 그 결과, 경사면(105a)과 리일지지 디스크(104)사이와 또, 경사면(105b)과 리일지지디스크(9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생긴다. 따라서, 리일지지디스크(104)(93)는 제동력이 없어진다.
반면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핀(110)은 하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레버(107)는 핀(109)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레버(105)는, 경사면(105a)(105b)이 리일지지디스크(104)(93)와 각각 접촉할때까지, 레버(105)는 핀(108)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리일지지디스크(104)(93)는 각각 제동력을 가진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이들러제어레버(2)의 제3아암(2c)은 한쌍의 마이크로스위치(SW3)(SW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아암(2c)은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기울어져 있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스위치(SW4)를 작동한다. 반면에,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아암(2c)은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위치로 기울어져 있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스위치(SW3)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7도에 있어서 기대(6)에 고착된 일단부(3a)와, 아암(3)의 탄력에 의해 제1캠(1b)의 둘레와 접촉하는 타단부(3b)를 가진 아암(3)(제3도)은 제1캠(1b)과 연동해서 작동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SW2)는 제1캠(1b)의 오목부(1b')와 아암(3)의 타단부(3a)가 계합할때, 마이크로스위치(SW2)를 작동하도록 아암(3)의 일단부(3a)에 인접해서 착설되어 있다.
핀(76)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제3, 4도 및 제7도)는 제2캠(1d)과 연동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또한, 핀치로울러(78)를 회전할 수 있게 수용하는 일단부(77a)를 가진 로울러지지레버(77)는 핀(76)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 핀치로울러(79)는 기대(65)에 형성된 아아치형홈(82)(제1도)을 통해서 기대(65)로부터 상방향으로 뻗는다. 핀치로울러지지레버(77)의 타단부의 부분(77b)에는 신축스프링(78)이 착설되어 있고, 또한 이 스프링(78)이 핀치로울러제어레버(4)의 부분(4b)에 착설된다.
이 신축스프링(78)은 부분(4b)(77b)을 분리하도록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와 탄력을 가한다. 그러나, 이 분리는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로부터 뻗어있는 핀(4a)과 핀치로울러 지지레버(77)에 형성된 오목부(77c) 사이의 계합에 의해 규제를 받는다. 또한, 이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에는 한쪽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아암(80)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부세수단(도시생략)은 제2캠(1d) 둘레와 접촉하는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핀(76)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핀지로울러 제어레버(4)와 로울러지지레버(77)를 부세하기 위해 핀(76)에 착설되어 있다.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제2캠(1d)의 원형부분, 즉 돌출부(1d-a) 이외의 부분과 접촉할 경우, 이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 핀치로울러지지레버(77)는 핀치로울러(79)를 축(7)과 인접해서 핀(76)주위를 회전한다.
캠본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제 2캠(1d)의 곡면단부(1d-b)상에서 접동할 경우,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는 시계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한다. 그후, 캠본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할 동안,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경사단부(1d-c)상에 접동할 경우,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는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며, 또한 핀치로울러 지지레버(7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경사단부(1d-c) 중간부근에 있을때, 핀치로울러(79)는 밀접하게 캡스턴(41)과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으나, 캡스턴(41)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후,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제2캠(1d)의 정상단부(1d-d)와 접촉하기 전에, 핀치로울러 지지레버(77)는 핀치로울러(79)와 캡스턴(41) 사이에서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정상단부(1d-d)와 접촉할때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는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신축스프링(78)을 수축하고, 그결과, 핀치로울러(79)와 캡스턴(41)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한다. 핀치로울러(79)와 갭스턴(41) 사이에서 접촉압이 발생할 경우, 아암(80)은 이들 접촉압을 지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스위치(SW1)를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배열에 의해 핀치로울러(79)와 캡스턴(41)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캠본체(1)에서 다량의 토오크를 필요로 함이 없이 핀치로울러(79)를 신속하게 제3도의 위치로부터 제5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캡스턴(41)은 풀리(40), 무단벨트(43) 및 (42) 플라이휘일풀리(39)를 개재하여, 모우터(39)로부터 구동력을 받고 있다. (44)는 풀라이휘일풀리(42)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하여 6개의 지주(45)(46)(47)(48)(49)(50)에 의해 플라이휘일풀리(42)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회전검출장치를 포함하는 회전검출기이다.
또한, 캠본체(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핀치로울러(79)는 제3도의 위치에서 제4도의 위치로 복귀한다.
기어(18a)와 계합하고 있는 부채꼴형상의 기어(15)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핀(5)은 안내홈(1c)과 연동해서 작동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고, 이 부채꼴 형상의 기어(15)는 기대(6)로 부터 뻗어있는 핀(16)에 회전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이 부채꼴형상의 기어(15)에는 아아치형홈(15a)이 있으며, 이 홈에는 부채꼴형상의 기어(15)의 부분(15b)과 기어(18a)가 계합하는 제1위치와 부분(15c)과 기어(18a)가 계합하는 제2위치사이에서 핀(16)주위를 부채꼴형상의 기어(15)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축(7)이 뻗어 있다.
먼저, 안내홈(1c)과 부채꼴형상의 기어(15)의 관계를 설명한다.
핀(5)이 안내홈(1c) [제11도(a) 또는 제11도(d)]의 내측홈부(1c-c)에 위치할때, 부채꼴형상의 기어(15)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위치에 있다. 캠본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핀(5)은 안내홈(1c)의 중간홈부(1c-b)를 따라서 접동한다. 캠본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축(7)으로부터 반경향으로 핀(5)을 밀어내며, 그 결과 부채꼴형상의 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본체(1)를 외측홈부(1c-a)[제11도(b) 또는 제11도(c)]에 핀(5)을 위치하도록 회전시킬때, 이 부채꼴형상의 기어(15)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2위치에 위치한다.
기어(18a)(제7도 또는 제8도)는 기어(18b)에 고착되어 있고, 이들기어(18a)(a8b)가 샤프트(17)에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기어(18b)는 실린더(22)에 고착된 기어(19)와 계합한다. 이 기어(19)와 실린더(22)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샤프트(28)상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아암기구(23)의 축연결부(23c)를 개재해서 제2아암(23b)(제8도)과 연결된 제1아암(23a)이 실린더(22)상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아암(23a)(23b)은 제2아암기구(23)이다.
또한, 기어(18b)는 샤프트(27)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기어(20)와 계합하고, 이 기어(20)는 다시 실린더(24)에 고착된 기어(21)와 계합하고 있다. 기어(21)와 실린더(24)는 샤프트(26)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축 연결부(25c)를 개재해서 제2아암(25b)과 연결된 제1아암(25a)은 실린더(24)상에 고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아암(25a)(25b)은 제1아암기구(25)이다.
제1 및 제2아암기구(23)(25)의 각 단부에는 드럼(117)(제1도) 둘레에 테이프를 로우딩하기 위한 테이프로우딩 수단이 착설된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52)는 제2아암기구(23)상에 착설된 테이프로우딩 수단이고, (51)은 제2아암기구(25)상에 착설된 테이프로우딩 수단이다. 상기 한쌍의 테이프로우딩 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드럼(117)주위에 착설된 각종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비데오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한쌍의 헤드(도시생략)가 드럼(117)의 대향측면상에 착설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65)로부터 수직선에 대하여 10도정도 경사진 축에, 기대(65)에 형성된 개구내에 드럼(117)이 착설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117)이 회전할때, 이 헤드는 드럼(117)주위를 회전하는 테이프를 대각선으로 교차한다. 상기 한쌍의 테이프로우딩 수단(51)(52)을 각각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구멍(66)(67)이 드럼(117)의 대향측면상의 기대(65)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17)과 고정자기헤드(118)와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서 리일지지디스크(104)와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기대(65)의 상단부까지 안내구멍(66)이 뻗어있다. 이 안내구멍(66)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로우딩위치에서 테이프로우딩수단(51), 정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V형상의 블록(70)이 착설되어 있다. 또, 블록(72)은 드럼(117)과 적당한 각도로 제1테이프 로우딩수단(51)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V형상의 블록(70)과 인접해서 착설되어 있다.
상기 V형상의 블록(70)과 블록(72)을 통합해서 테이프 안내수단의 상태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라 한다.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을 그 초기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벽판(74)이 (제3도 참조) 안내구멍(66)의 좌측 하단부에 인접해서 착설되어 있다.
또한, 안내구멍(67)은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하여 리일지지디스크(93)와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소거자기헤드(116)와 드럼(117)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서 기대(65)의 상단부까지 뻗어있다. 또한 상기 안내구멍(67)의 상단부에는 V형상의 블록(71)과 또 다른 블록(73)이 테이프 로우딩수단(52)을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 및 위치 설정을 위하여 착설되어 있고 이들을 규제수단이라 한다. 그리고, 안내구멍(67)의 하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초기위치에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2)을 지지하도록 블록(75)이 착설되어 있다.
길다란 안내벽(68)(제3도)은 안내구명(66)을 따라서 기대(65)하단에 착설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길다란 안내벽(69)은 안내구멍(67)을 따라서 기대하부에 착설되어 있다.
다음에,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은 서로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테이프 로우딩수단(51)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테이트 로우딩수단(51)은, 제2아암(25b)의 샤프트(53)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또한, 그 둘레에홈(57a)을 가진 길다란 접동블록(57)은 샤프트(53)의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 접동블록(57)은 안내구멍(66)을 따라서 접동하므로, 길다란 접동블록(57)은 안내구멍(66)이 뻗어있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배열해서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53)의 하단부에는 길다란 안내블록(58)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 안내블록(58)의 일단부는 샤프트(53)에 고정해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샤프트(53)로부터 수직으로 뻗어 있다. 또, 샤프트(53)의 상단부에는 또 다른 길다란 블록(56)이 착설되며, 이 블록(56)의 대체로 중앙부는 샤프트(53)에 고정해서 연결되고, 이 블록(56)의 대향단부는 샤프트(53)로부터 수직으로 반대방향에 뻗어 있으며, 이 블록(56)의 일단부에는 샤프트(53)와 평행하게 뻗어있는 축(54a)에 테이프 안내로울러(54)가 착설되어 있다. 또한, 이 블록의 타단부는 축(54a)과 12도 정도 경사져서 뻗어있는 축을 가진 경사포스트(55) 착설되고, 이 경사포스트(55)가 착설되고, 이 경사포스트(54a)의 자유단은 그 연결단보다 축(56)으로부터 더욱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상기 블록(56)에 테이프 안내로울러(54)와 경사포스트(55)가 착설되어 있는 것을 테이프 안내 수단이라고 한, (테이프 로우딩수단(52)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테이프 안내수단이 갖추어져 있음). 축(53) 저면에서 봤을때, 이 안내블록(58)은 테이프 안내로울러(54)가 착설된 블, (56)의 일단부가 뻗어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있다. 접동블록(57)이 안내구멍(66)을 따라서 접동할때, 안내블록(58)에 연결된 일단부와 접동블록(57)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축(53)주위에서 블록(56)(58)을 시계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스프링(59)이 샤프트(53)상에 착설되어 있다.
제1아암기구(25)에 의해 안내구멍(66)을 따라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이 이동할 안내블록(58), 특히 안내블록면(58a)(제9도)이 안내벽(68)에 접촉하고 있고, 안내벽(68)이 뻗어있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안내블록(58)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블록(56)은 샤프트(53)을 개재해서 안내블록(58)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또한 안내벽(68)이 뻗어있는 방향과 일렬로 배열된다.
제2아암기구(23)의 테이프 로우딩수단(52)은 테이프 로우딩수단(51)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다. 다만, 로울러의 경사진 방향과 스프링의 부세방향만이 다를 뿐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프 로우딩수단(52)에 있어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의 경사포스트(55)와 대응하는 경사포스트가 테이프 안내로울러(63)의 축에 대하여 12도 정도 경사진 축을 가지며 이들을 테이프안내 수단이라고 한다. 따라서, 경사포스트(63)의 자유단은 그 연결단보다 테이프 안내로울러(62)에 더욱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또,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의 스프링(59)과 대응하는 스프링은, 접동블록(61)이 안내구멍(67)을 따라서 접동할때, 접동블록(61)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블록[블록(64)만을 부세함]만을 부세하기 위하여 착설되어 있다.
다음에, 캠본체(1)의 회전에 의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이 쇄선(CA)(즉 카세트가 놓여지는 자리)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내에 카세트의 위치를 정하도록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의 각 경사포스트와 로울러에 인접해서 자기테이프(MT)가 뻗어있다.
또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이 초기위치에 있을때, 부채꼴 형상의 기어(15)상의 핀(5)은 안내홈(1c)의 내측홈부(1c-c)와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부채꼴 형상의 기어(15)는 기어부분(15b)을 기어(18a)와 계합하는 제1위치에 있다. 이 경우에, 기어(19)(2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제1아암(23a)(25a)을 하방향에 위치시킨다. 그 결과, 제2아암기구(23)의 제1, 제2아암(23a)(25b), 제1아암기구(25)의 제1, 제2아암(25a, (25b)이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로우딩수단(51)(52)은 초기위치를 유지한다. 제2아암기구(23)의 제1, 제2아암(23a)(25b)이 겹쳐졌을 경우, 실린더(22)에 인접한 기대(6)상에 착설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SW5)가 스위칭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SW5)는 한쌍의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의 초기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이 초기위치에 있을 경우, 블록(56)은 샤프트(53)에 착설된 스프링(59)에 의해 제1도의 쇄선(56')으로 표시된 바와같은 벽판(74)과 접촉을 하며 지지된다. 쇄선(56')내의 화살표는 스프링(59)에 의한 부세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테이프로우딩수단(52)이 초기위치에 있을 경우, 길다란 블록(64)은 제1도의 화살표와 같이 블록(64)과 블록(75)사이의 접촉압으로 쇄선(64')으로 표시된 위치에 지지된다.
캠본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핀(5)은 안내홈(1c)의 중간홈부(1c-b)와 계합되고 따라서, 핀(5)은 축(7)으로부터 더욱 멀리 이동된다. 그 결과, 핀(16)주위를 부채꼴형상의 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부채꼴형상의 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1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아암(25a)이 하방향에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제1아암(25a)은 상방향을 향해 샤프트(26)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방향으로 제1아암(23a)도 샤프트(28)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하, 제1아암기구(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아암(25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동안 제2아암(25b)은 앞쪽방향을 항해 일직선으로 뻗으며, 따라서 테이프로우딩수단(51)은 상방향으로 안내구멍(66)을 따라 접동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장초기에 길다란블록(56)은 스프링(59)에 대하여 벽판(74)으로부터 이간된다. 이 길다란 블록(56)이 벽판(74)으로부터 이간하고 있을때, 이 블록(56)은 안내구멍(66)과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내블록(58)[그 위치는 제1도에서 쇄선(58)으로 나타냄]도 안내구멍(66)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며, 그 자유단은 V형상의 블록(70)으로 향한다. 블록(56)과. 이간에 의해 안내로울러(54)는 카세트(CA)로부터 자기테이프(MT)를 밖으로 끌어낸다.
이 길다란 블록(56)이 벽판(74)에서 이간될 경우, 스프링(59)의 부세력의 블록(56)(58)에 가해져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안내블록(58)과 길다란 안내벽(68)과의 접촉 때문에 블록(56)(58)은 모두 안내구멍(66)과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안내구멍(66)의 중간부분을 따라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이 이동할 동안, 길다란 블록(56)은 안내구멍(66)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이, 드럼(117)과 고정자기헤드(118)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서 길다란 블록(56)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때에, 핀(5)이 외측홈부(1c-a)에 도달하기 전에, 즉 부채꼴형성의 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부분(15c)과 기어(18a)가 계합하기 전에, 스프링(59)에 의해 블록(56)(5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안내벽(68)을 지나서 블록(58)을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때, 안내블록(58)이 V형상의 블록(70)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블록(56)(58)은 시계방향으로만 근소한 각도 회전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우딩 위치에서 안내블록(58)을 정지시킨다. 길, 란 블록(56)의 정밀한 각도 조절은 블록(72)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때에, 제1, 제2아암(25a)(25b)은 앞쪽방향을 향해 직선은로 뻗는다.
제1, 제2아암(25a)(25b)이 앞쪽방향을 향해서 직선으로 뻗을때, 뻗어있는 상기 제1, 제2아암(25a)(25b)의 길이는 로우딩 위치로 테이프 로우딩수단(51)을 전진시키는데 필요한 길이보다 약간 길어지므로, 블록(56)과 V형상의 블록(70)사이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 제2아암(25a)(25b)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약간의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활형상을 굴곡될때 스프링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1, 제2아암(25a)(25b)은 캡스턴(41)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굴곡되어 있다는데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제2아암기구(23)에 착설된 테이프 로우딩수단(52)도 캠본체(1)의 회전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동작하고 있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이 로우딩 위치로 이동할때 제1도의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자기테이프(MT)는 드럼(117)둘레에 현가된다. 현가된 자기테이프(MT)에 소정의 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J형상의 장력레버(84)(제1도)가 착설되어 있다. 이하, 장력레버(84)와 그 부속부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1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장력레버(84)의 일단부에는 안내핀(83)이 착설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샤프트(28)(제7도)를 개재해서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뻗어있는 샤프트(85)에 고정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85)는 스트링(STRING)(86)이 감겨있는 풀리(87)와 고착되어 있다. 이 스트링(88)은 풀리(85)를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스프링(8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샤프트(85)주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장력레버(84)를 부세한다. 샤프트(85)둘레에는 반원형상의 구멍이 기대(65)에 형성되어 있고, 제2아암기구(23)의 제1아암(23a)으로부터 연장되는 핀(97)과 접촉하고 있다. 이 장력레버(84)에는 레버(94)와 계합하기 위하여 그 위에 고착된 핀(90)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판(91)과 브레이크슈우(92)를 가진 레버(94)가 샤프트(89)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또한, 머리핀 형상의 스프링(95)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는 판(96)이 샤프트(89)상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 판(96)의 단부상에는 레버(94)와 계합하는 설편(9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핀 형상의 스프링(95)의 부세력은 판(96), 설편(96a)을 개재해서 레버(94)에 전달되므로 레버(9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테이프로우딩수단(52)을 초기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2아암기구(23)가 겹쳐질 경우, 제1아암(23a)으로부터 뻗어있는 핀(97)은 반원형상의 구멍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머리핀 형상의 스프링(95)의 부세력에 의해 레버(9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일지지 디스크(93)로부터 브레이크슈유(92)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제1도에서 볼때 핀(90)을 좌측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장력레버(84)는 스프링(88)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의 쇄선부부(64')(58') 사이의 위치에 안내핀(83)을 위치시킨다.
제2아암기구(23)가 로우딩 위치 근처에 테이프로우딩수단(52)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뻗을때, 핀(97)은 장력레버(84)의 원형단부와 계합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위치로 장력레버(8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핀(90)이 샤프트(89)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레버(94)를 밀어내어 브레이크슈우(92)와 리일지지디스크(93)가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카세트로부터 끌어내어진 테이프는 소정의 장력으로 현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설정 배열장치는 자기테이프의 양단부를 검출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종단 검출장치는 J형상의 장력레버(84)와 인접해서 착설된 핀(120)을 포함하고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120)은 축을 따라 형성된 길다란 개구(120a)와, 이 축과 수직방향을 따라 또 다른 개구(120b)를 가지고 있다. 이들 길다란 2개의 개구(120a)(120b)의 코너에는 상기 축에 대해서 45도 경사진 거울(123)이 핀(120)을 개재해서 L형상의 광통로가 형성된다. 블록(127)에 착설된 발광다이오우드(122)는 고착판(121)에 의해 적정한 위치에 착설되어 있다. 카세트(CA)가 적절한 위치에 있을 경우, 핀(120)이 카세트(CA)에 형성된 원통형상 구멍으로 삽입된다. 원통형상의 구멍의 축과 45도 경사진 거울(124)이 카세트(CA)의 원통형상의 구멍에 먼저 견고하게 착설되며, 핀(120)으로부터 기대는 카세트호울더(125)에 견고하게 지지된 블록(128)내에 수광소자(126)가 착설된다. 카세트(CA)에는 도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기 테이프(MT)는 이 도관을 개재해서 거울(124)과 수광소자(126)사이를 통과한다.
자기테이프는 자기테이프부와 자기테이프부 양단에 인입 및 견인테이프부로 구성된다. 자기테이프부는 불투명하며 인입 및 견인테이프부는 투명하다. 따라서, 자기테이프부가 도관에 있을 경우, 수광소자(126)는 거울(124)로부터 광을 수신하지 못하고, 반면에 인입 및 견인테이프부가 도관에 있을 경우, 수광소자(126)는 광을 수신하여 자기 테이프의 단부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129)(130)(제1도)은 테이프종단 검출장치이며, 서로 대향해서 착설되어 있다.
다음에, 모우드설정 배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캠본체(1)가 제11도(a)에 도시한 바와같은 위치(제1위치에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는 정지모우드에 있으므로, 각종 부품이 제4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캠본체(1)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이들러제어레버(2)의 제2아암(2b)이 캠(1b)의 오목부(1b')에 계합되어서 아이들러기어(102)를 중립위치에 유지함과 동시에, 레버(105)에 의해 리일지지디스크(93)(104)에 제동효과를 부여하고 (제1도 및 제3도 참조), 핀치로울러레버(4)는 축(7)과 인접해서 핀치로울러(79)가 위치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부채꼴 형상의 기어(15)로부터 뻗어있는 핀(5)은 축(7)과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으며, 제1위치에서 부채꼴형상의 기어(15)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한쌍의 테이프 로우딩 수단(51)(52)은 그들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제1캠(1b)에 의해 상방향으로 암(3)을 밀어내므로서, 장력레버(84)는 경사포스트(63)와 핀치로울러(79)사이에 안내핀(83)을 위치시킨다.
제4도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정지모우드일때 카세트(CA)를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내의 적절한 위치에 놓을 수 있으며, 꺼낼 수도 있다.
정지모우드에 있어서, 스위치(SW1)(SW2)(SW3)(SW4)(SW5)가 시간 T0에서 제12도의 타임차아트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오프, 오프, 온, 오프 및 온이 된다.
각 스위치(SW1) 내지 (SW4)와 각 조작버튼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의 순차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콤퓨터(도시생략)에 입려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시간 T1에서 기록버튼(도시생략)을 누룰때, 로우딩모우터(13)가 온이되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캠본체(1)가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일시정지 모우드에 설정하기 위하여 제11도(b)에 도시한 위치(제2위치)로 설정될때까지, 캠본체(1)를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하기 시작한다. 일시정지모우드의 설정은 제12도에 도시한 시간 T2에서 완료된다.
시간 T1과 시간 T2사이의 시간 간격에서 다음의 조작순서를 행한다.
먼저, 중립위치에서 아이들러기어(102)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리일지지디스크(93)(104)를 해제하도록 아이들러제어레버(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부채꼴형상의 기어(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초기위치로부터 제1도 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우딩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이 각 안내구멍(66)(67)의 중간부근으로 이동되었을때, 제2캠(1d)의 곡면단부(1d-b)와 핀치로울러제어레버(4)의 계합에 의해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핀치로울러(79)는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갭스턴(41)을 향해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실린더(22)의 회전에 의해 장력레버(84)상에 착설된, 안내핀(83)이 핀치로울러(79)와 거의 동기해서 이동한다.
핀치로울러(79)가 캡스턴(41)과의 접촉압을 발생하기 전에, 즉 핀치로울러제어레버(4)가 제2캠(1d)의 경사단부(1d-c)와 계합하기 전에, 아암(3)의 단부(3b)는 오목부(1b')와 계합하고, 스위치(SW2)가 스위칭되(65)와 평행한 방향으로 광을 직진시킨다. 거울(124)의 광통로에는 수광소자(126)가 카세트(CA)를 수용하어, 로우딩모우터(13)를 정지시킨다. 로우딩모우터(13)를 정지시키는 것이외에 시간 T2에서 스위치(SW2)로 부터 발생한 신호는 드럼(117)을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도시생략), 캡스턴(41)을 구동하는 모우터(39) 및 아이들러기어(102)를 구동하는 리일모우터(34)를 구동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리일모우터(34)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므로, 리일모우터(34)로부터의 구동력을 기어(104a)에 정달하기 위하여, 아이들러기어(102)는 기어1(103)의 축(36)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일시정지 모우드에 있어서, 각각의 V형상의 블록(70)(71)에 대하여 가해진 소정의 압력으로 테이프 로우딩수단(51)(52)을 로우딩 위치에 위치시키고, 핀치로울러(79)는 캡스턴(41)과의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캡스턴(41)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안내핀(83)은 제1도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일시정지 모우드에 있어서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자기테이프가 회전드럼(117)둘레에 현가되어 기록준비가 완료된다.
다음에, 시간 T3에서 시동버튼(도시생략)을 누를때, 캠본체(1)가 제11도(c)에 도시한 위치(제3위치)에 설정될때까지, 기록/재생모우드(이 경우는 기록모우드)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설정하기 위하여, 캠본체(1)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횐전시킨다. 기록모우드의 설정은 제12도에 도시한 시간 T4에서 완료된다.
시간 T3와 시간 T4사이의 시간 간격에서 다음과 같은 조작순서를 행한다.
상기 한쪽 방향으로 로우딩모우터(13)를 더 회전시킴으로서, 제2캠(1d)의 경사단부(1d-c)를 따라서 핀치로울러(4)가 접동할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와같이 핀치로울러 제어레버(4)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핀치로울러(79)와 캡스턴(4)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한다. 시간 T4에서 핀치로울러제어레버(4)는 접촉압 위치에 핀치로울러(79)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캠(1d)의 정상단부(1d-d)와 접촉함과 동시에, 아암(80)은 로우딩 모우터(13)를 정지하도록 스위치(SW1)를 스위칭한다. 핀치로울러(79)와 캡스턴(41)사이에 있는 자기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속도로 주행된다. 기록은 시동버튼을 해제할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에, 시간 T5에서 시동버튼이 해제되었을때, 로우딩모우터(13)는 작동하여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캠본체(1)가 제11도(b)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될때까지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일시 정지위치에 다시 설정하기 위하여 캠본체(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간 T6에서 캠본체(1)가 제11도(b)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아암(3)은 로우딩모우터(13)를 정지하기 위하여 스위치(SW2)를 복귀시킨다.
따라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는 일시정지 위치를 유지한다.
그후, 시간 T7에서 다시 시동버튼을 누룰때, 캠본체(1)는 제11도(b)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11도(c)에 도시한 위치로 그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시간 T8에서, 기록모우드는 상기에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다시 설정됨으로서 기록을 다시 행한다.
다음에, 시간 T9에서, 자기테이프부가 끝나고 견인테이프부가 테이프 종단검출기에 나타났을때, 테이프 종단검출장치는 테이프 종단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캠본체(1)는 제11도(c)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11도(a)에 도시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시간 T10에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정지모우드에 설정된다.
그러므로, 핀치로울러(79)와 테이프로우딩수단(51)(52)은 제4도에 도시한 위치에 다시 위치한다.
기록모우드로부터 정지모우드로의 복귀는 기록버튼을 해제하는 스텝에 의해 수동으로 행할 수 있으며, 그후, 정지버튼(도시생략)을 누른다.
다음에, 시간 T11에 고속리와 인딩버튼(도시생략)을 누룰때, 로우딩모우터(13)는 제11도(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11도(d)에 도시한 위치(제2위치)로 캠본체(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시 작한다. 시간 T12에서 제11도(d)에 도시한 위치로 캠본체(1)가 회전할때, 아이들러 제어레버(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나, 핀치로울러(79)와 테이프로우딩수단(51)(52)은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위치(SW4)를 온하고 스위치(SW5)를 오프하므로써 리일모우터(34)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자기테이프(MT)의 고속리와 인딩을 달성한다. 고속리와인딩은 테이프 종단검출장치에 의한 인출테이프부를 검출했을 경우나 또는 수동으로 정지할 수 있다.
고속리와인딩을 정지시키는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캠본체(1)는 시간 T13,T14사이의 시간 간격에서 제11도(d1)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11도(a)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재생할려고 할때, 재생버튼(도시생략)을 누른다. 이 경우, 캠본체(1)는 정지하지 않고 제11도(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11도(c)에 도시한 위치로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핀치로울러(79)는 캡스턴(41)과 접촉압을 발생하기 위한 위치로 일단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우딩모우터(13)에 의해 구동되는 캠본체(1)를 각종 동작 모우드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이 장치는 캡스턴에 대하여 핀치로울러의 접촉압을 발생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솔레노이드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모우드설정 배열장치를 사용하는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는 비데오 카메라에 수용할 수 있도록콤 팩트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만청구범위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Claims (1)

  1. 테이프를 드럼과 비접촉으로 한 언로우딩상태에서 테이프를 고속주행시키고, 카세트로부터 인출한 테이프를 상기 드럼에 권회시킨 로우딩 상태에서 테이프를 정속주행시켜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하는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한쌍의 리일대에 브레이크슈우를 각각 압접 또는 이간시키는 브레이크 안내수단과, 캡스턴에 핀치로울러를 압접 또는 이간시키는 핀치로울러 안내수단과, 한쌍의 안내구멍에 각각 계합하여 상기 카세트내의 언로우딩 위치와 상기 드럼에 테이프를 감은 로우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한쌍의 테이프로우딩수단과, 이 한쌍의 테이프로우딩수단에 각각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제1아암과, 이 한쌍의 제1아암의 타단에 각각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제2아암과, 이 한쌍의 제2아암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맞물려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와, 이 한쌍의 기어에 맞물리는 부채꼴형상의 기어와, 상기 브레이크안내수단과 상기 핀치로울러 안내수단에 계합하는 제1, 제2캠과 상기 부채꼴형상의 기어에 고착된 핀에 계합하는 안내홈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제1위치에서 상기 브레이크슈우를 상기 리일대에 압접시켜 상기 핀치로울러를 상기 캡스턴으로부터 이간시킴과 동시에 한쌍의 제1, 제2아암을 절곡상태로 해서 상기 로우딩수단을 언로우딩 위치에 규정함으로서 정지모우드를 형성하고 제1위치로부터 한쪽방향으로 회전한 제2위치에서 상기 브레이크슈우를 상기 리일대로부터 이간시켜 상기 핀치로울러를 상기 캡스턴으로부터 이간시킴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제1, 제2아암을 절곡상태로 해서 상기 로우딩수단을 언로우위딩치에 규정함으로서 고속 또는 리와인딩모우드를 형성하고 제1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 제3위치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우를 상기 리일대로부터 이간시켜 상기 핀치로울러를 상기 캡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제1, 제2아암을 뻗은 상태로 해서 상기 로우딩수단을 로우딩위치에 규정함으로서 기록 또는 재생모우드를 형성하는 캠본체와, 모우드절환시에 상기 캠본체를 제3위치로 회전구동하는 로우딩모우터를 각각 배치해서 이루어진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배열장치.
KR1019860006492A 1981-08-05 1986-08-06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KR87000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492A KR870000119B1 (ko) 1981-08-05 1986-08-06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3484 1981-08-05
JP56123484A JPS5823348A (ja) 1981-08-05 1981-08-05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モ−ド設定機構
KR8203512A KR860000634B1 (ko) 1981-08-05 1982-08-05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KR1019860006492A KR870000119B1 (ko) 1981-08-05 1986-08-06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512A Division KR860000634B1 (ko) 1981-08-05 1982-08-05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119B1 true KR870000119B1 (ko) 1987-02-11

Family

ID=2731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492A KR870000119B1 (ko) 1981-08-05 1986-08-06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1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634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EP0404426B1 (en)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9662B1 (ko)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306230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magnetic tape cassette
KR0149638B1 (ko) 겸용식 기록 및 재생장치
US5184262A (en) Dual motor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870000119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모우드 설정 배열장치
US4008489A (en) Portable video tape recorder
US4985788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00010706A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KR920005245B1 (ko) 자기테이프 카셋트용 릴 및 테이프 구동장치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338428Y2 (ko)
GB2293914A (en) A cassette recorder capable of acco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EP0376242B1 (en) Tape-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900005639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JPS5880162A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KR900005641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00003676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용 테이프가이드장치
JPH0680545B2 (ja) ブレ−キ装置
JPH0395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