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692Y1 -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692Y1
KR900005692Y1 KR2019870017139U KR870017139U KR900005692Y1 KR 900005692 Y1 KR900005692 Y1 KR 900005692Y1 KR 2019870017139 U KR2019870017139 U KR 2019870017139U KR 870017139 U KR870017139 U KR 870017139U KR 900005692 Y1 KR900005692 Y1 KR 900005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loading
moving plate
guid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835U (ko
Inventor
함영식
Original Assignee
함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식 filed Critical 함영식
Priority to KR2019870017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692Y1/ko
Publication of KR890008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92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적재함 1,2'2" : 가이드 레일
3,3' : 접동 로울러 4 : 컨베이어 로울러
5,5' : 밸트 6,6',6"6: 후진안내 로울러
7,7' : 전진안내 로울러 8,8' : 후진 와이어
9,9' : 전진 와이어 10 : 이동판
본 고안은 운반차의 적재함 바닥면에 컨베이어를 형성하여 수직 이동판을 벨트에 부착하고 적재함 좌우 측면의 밑면과 중간부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이동판의 접동 로울러가 접동되게 설치하고 접동축에 와이어를 결착해서 권취기가 모터로 회동되게 형성하여 화물을 승하차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럭등은 적재물에 따라 덤브해서 쏟아부리는 것과 그렇지 못한 적재물들은 직접 사람이 승차하여 하역하게 되는 불편이 있고 적재함을 대향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폐단이 있으나 본 고안은 적재시에는 이동판을 차의 끝부분에 후진시켜 놓고 적재하면 상단 부분부터 적재되면서 이동하면 사람이 차에 승차하지 않고 짐을 만재할 수 있으며 하역할때도 끝부분 부터 하역되는데로 이동하면 다 부릴때까지도 밑에서 작업할 수도 있고 청소차로 이용시는 이동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면 압축작용을 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고 쏟을때는 뒷문을 열어 놓고 이동판을 후진하면 간단히 부릴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반차량의 적재함(1)의 앞상단면에 수직이동판(10)을 형성하여 좌우면에 상하로 접동로울러(3,3')에 후진시키는 와이어(8,8')와 전진와이어(9,9')를 접동로울러 측에 일체로 결착하고 이동판(10) 하단에는 통상의 컨베이어식으로 벨트(5,5')를 결착하여 임의로 다수의 컨베이어 로울러(4)를 형성해서 차의 프레임이 유착하여 왕복으로 이동되게 설치하였고 적재함 양측판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가이드레일(2,2',2")을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접동로울러와 와이어가 가이드 레일에 따라 안내되게 하고 후진안내 로울러(6,6',6",6)와 전진안내 로울러(7,7')을 형성하여 와이어(8,8')와 (9,9')가 안내 로울러 사이에 권설되게 하고 안내 로울러(6)은 컨베이어 로울러(4)의 축에 연결해서 회전력을 도움게 설치하였다.
와이어(8,8')와 (9,9')는 안내 로울러에 따라 권취기(11)로 감아 통상의 모우터(12)나 엔진으로 연결하여 전후로 구동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적재시에는 이동판(10)을 와이어(8,8')로 작동해서 적당히 후진한 다음에 뒤에서 지게차나 인력으로 물품이나 짐등을 적재하면서 와이어(9,9')를 가동하여 전진시켜가면 앞쪽부터 차례로 짐을 적재할 수 있고 반대로 하역할때는 뒤에서 부터 차례로 짐을 내리면서 와이어(8,8')를 가동하면 승차하지도 않고 전부 내릴 수 있고 물품에 따라 밑에서 용이하게 승차할 수 있으며, 무거운 짐도 차에서는 간단히 움직일수 있는 효과가 있고 쓰레기 수송차로 사용할 때는 적당히 적재된 쓰레기를 이동판(10)을 전후로 움직이면 압축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적재할 수도 있고 적재함을 콘테이나 처럼 대형화할 수 있으며 여러 형태로 제작이 용이하며 적재물에 따라 부분적으로 하역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적재함(1) 앞상단에 수직이동판(10)를 형성하여 밑면에 컨베이어 벨트(5,5')를 결착해서 컨베이어 로울러(4)에 회동되게 하고 좌우면에 접동 로울러(3,3')와 와이어(8,8')(9,9')가 접동축에 일체로 형성하고 적재함 좌우측판에 가이드 레일(2,2')를 형성하여 접동 로울러가 안내되게 하고 와이어 안내 로울러(6,6',6",6)와 (7,7')를 형성해서 와이어를 권설하여 권취기(11)로 구동되게 형성한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KR2019870017139U 1987-10-05 1987-10-05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KR900005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139U KR900005692Y1 (ko) 1987-10-05 1987-10-05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139U KR900005692Y1 (ko) 1987-10-05 1987-10-05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35U KR890008835U (ko) 1989-05-29
KR900005692Y1 true KR900005692Y1 (ko) 1990-06-28

Family

ID=1926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139U KR900005692Y1 (ko) 1987-10-05 1987-10-05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6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35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13336A (en)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for freight car and container
US3717263A (en) Apparatus for loading bagged mail from a loading dock into a highway vehicle
US5022809A (en) Truck for alternately handling bulk and palletized cargo
US3317066A (en) Trailer van and conveyor
US3443703A (en) Dumping apparatus
GB105932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discharging and/or loading containers for the storage or transport of goods or materials
JP2001526145A (ja) 貨物自動車、そのトレーラー、輸送コンテナーなどに用いる積み込み、積み降ろしシステム
KR900005692Y1 (ko)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CN209505547U (zh) 一种散装粮食自卸运输车
US7320572B2 (en) Cargo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US3211307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vehicles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CN108945319A (zh) 一种便于搬运货物的物流运输船
NL8105629A (nl) Voertuig voor vrachtvervoer.
CN211812429U (zh) 一种铁路运输装卸装置
GB2101555A (en) An improved freight-carrying road vehicle
US3767067A (en) Truck body with bottom conveyor assembly
GB2252284A (en) Rail or road goods vehicle allowing automated side-loading and unloading
CN2471607Y (zh) 一种小型厢式货车用输送带
CN218197869U (zh) 一种箱式货车后门结构
JPS61196835A (ja) 荷送り装置
CN212922141U (zh) 一种卷烟包装车承载架
KR900005761Y1 (ko) 운반차량의 적재장치
JPH0572563U (ja) 貨物自動車
SU11930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тарно-штучных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