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56Y1 - 약제 휘산 용기 - Google Patents

약제 휘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56Y1
KR900005456Y1 KR2019870016150U KR870016150U KR900005456Y1 KR 900005456 Y1 KR900005456 Y1 KR 900005456Y1 KR 2019870016150 U KR2019870016150 U KR 2019870016150U KR 870016150 U KR870016150 U KR 870016150U KR 900005456 Y1 KR900005456 Y1 KR 900005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nt
lid
engagement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377U (ko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김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식 filed Critical 김원식
Priority to KR2019870016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456Y1/ko
Publication of KR890006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제 휘산 용기
제1도는 본 고안 약제 휘산 용기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그종단측면도.
제3도는 그 걸림기구가 해제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절결부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제 휘산 용기 5 : 통기구
6 : 용기본체 13 : 가동 뚜껑체
20 :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 21 : 걸어맞춤 고리
24 : 걸림기구
본 고안은 방향제, 소취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휘산성 약체를 방산시키기 위한 약제 위산 용기에 관한것이다.
방향제, 방취제등을 수용하고, 그 휘산 성분을 실내나 차내 등에 방산시키기 위한 약제 휘산 용기가 종래부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종래 용기는, 비교적 작은 여러개의 약체 방산용 통기구를 같은 원주상에 배설하고, 그 통기구의 열려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뚜껑체를 회전할 수 있게 부착한 것이 대부분이고, 손으로서 그 뚜껑체를 회전할수 있는 것에 의해서 약제 방산량의 조절을 이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작은 통기구를 보면서 부분적 개방, 완전 개방 및 폐쇄에 이르기까지 신중하게 미조정을 이룩할 필요가 있으며, 조작이 간편한 것 및 폐쇄의 확실성에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내에 비치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주행중에 운전자가 이 용기 통기구의 열려진 정도를 조절하는데 시간이 걸려 일이 더디게 될때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약제 수용 용기의 본체에 형성된 약제 방산용 통기구의 열려진 정도의 조절, 즉 약제 방산량의 조절을 쉽게하는 약재 휘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약제 방산용 통기구를 갖는 휘산성 약제수용에 사용되는 용기 본체와, 전술한 통기구가 형성된 면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탄성체에 의해 그 통기구를 덮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된 가동 뚜껑과, 그 뚜껑체가 전술한 통기구를 노출시키는 방향에 손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동후의 위치에서 그 뚜껑체를 해제할 수 있게 유지하기 위한 걸림 기구이고, 상호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힘을 더하여 함께 해서 전술한 용기본체 및 뚜껑체에 마련되어 손에 의해 걸어맞춤의 해제가 될 수 있게 된 걸어맞춤 고리 및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을 갖는 그 걸림기구 등을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휘산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3도에 표시한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약제 휘산 용기(1)는, 구부(2)에 약제를 받아올리는데 쓰는 심지 재(3)를 갖는 액상 약제 수용부(4)가 수용된 직방체 형상의 용기본체(6)를 갖추고있다.
그 용기본체(6)는, 상면이 개방된 아래 용기(7)에 하면이 개방된 윗용기(8)가 끼워맞춰져 있고, 아래용기(7) 상단부의 바깥쪽을 향한 불룩한 곳(9)이 윗용기(8) 아래 끝부분의 오목한 곳(10)에 걸어맞춰져서 양쪽의 용기의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있다.
윗용기(8)에서 하나의 모가진 곳에는 잘린부분(11)이 마련되어 있고, 그 잘린부분(11)은 욋용기(8)의 측면 중앙부분에 이르는 깊이로 상벽 및 서로 이웃하는 측벽을 4각형 모양으로 잘린 것이다.
윗용기(8) 상벽에 있어서 잘린부분(11)에 임하는 가장자리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그 잘린부분(11)을 둘러싸는 것 같이 평면으로 보이는 L자 형상의 벽체(12)가 아래용기(7)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L자 상태의 벽체(12)의 각면의 상부에는, 약제수용부(4) 부터의 약제를 방산하기 위한 통기구(5)가 마련되어 있다.
그 통기구(5)는 수평으로 늘어나는 홈상태로 된것이고, 벽체(12)의 각면에 4개 줄이어 설치되어 있다.
아래용기(7)의 L자 상태의 벽체(12)와 윗용기(8)의 잘린부분(11) 하방의 측벽 등에 의해 평면으로 보이는 구형의 빈자리가 형성되어, 그 빈자리에는 통기구(5)가 형성되는 면에 따라서 상하이동 할 수 있게 가동 뚜껑(13)가 끼어넣게 되어 있다. 그 뚜껑체(13)은, 하부개방의 직방체 형태로 되어 그 뚜껑체(13)중앙에서 늘어뜨려지는 통상부(18) 및 아래용기(7)에 세워설치된 통상부(19)에 압축코일 스프링(14)에 양단축이 깊이 들어가서 그 스프링(14)은 통기구(5)를 덮는 방향으로 뚜껑체(13)에 힘을 더해주고 있다.
뚜껑체(13)는 하단에 바깥쪽으로 향한 불록한 부분(15)을 가지며, 벽체(12) 및 윗용기(8)에는 그 블록한 부분(15)을 받아넣어서 뚜껑체(13)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6),(17)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안내홈(16),(17)의 상단에 홈벽에 뚜껑체(13)의 블록한 부분(15)이 맞닿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14)의 더해지는 힘에 의해 뚜껑체(1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뚜껑체(13)의 상면이 윗용기(8)의 상면에 대해 면일되게 하고, 약제 휘산 용기(1)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게 되어 있다.
뚜껑체(13) 및 아래용기(7)는 그 뚜껑(13)이 통기구(5)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손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뚜껑체(13)를 용기본체(6)에 대해 해제가 될수 있게 유지하는 걸림기구(24)를 갗추고 있다.
걸림기구(24)는 걸어맞춤 고리(21)와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과의 뚜껑체(13)의 통상부(18)의 바깥둘레면에서 아래쪽으로 늘어나는 걸어맞춤 고리(21)와 아래용기(7)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등을 갗추고 있다.
그 걸어맞춤고리(21)는,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 측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뚜껑체(13)가 손에 의해 통기구(5)를 노출시킬 수 있게 아래쪽으로 향해 이동시켰을 때에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으로 걸어맞추게 하고, 스프링(14)의 탄성력에 맞서서 뚜껑체(13)를 이동한후의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한다.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은, 걸어맞춤고리(21)에 마주보게 하고 아래용기(7)에 세워 설치된 판체(22)에 있어서 상하2개소에 마련되고 있다.
윗쪽의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은 뚜껑체(13)의 윗면이 잘린부분(11)의 측면이 보이는 중앙부까지 하강한 위치로 걸어맞춤고리(2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그 뚜껑체(13)을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이런 경우, 벽체(12)의 각면에 마련된 각4개의 통기구(5), 중, 윗쪽의 각2개의 통기구(5)만이 노출된다.
즉, 통기구(5)의 총 열려있는 면적의 반부분이 노출된다.
아래쪽의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은, 뚜껑체(13)의 윗면이 잘린 부분(11)의 아래 끝부분과 같은 평면상으로된 위치로 걸어 맞춤고리(2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그 뚜껑체(13)을 유지하고, 통기구(5)의 전체를 노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걸림기구(24)에는 걸어맞춤을 해체하기 위한 걸림해체편(25)이 비치되어 있다.
그 걸림해제편(25)은, 아래용기(7)에 세워 설치된 판체(22)의 중앙부의 세로길이로 열려 있는 곳을 통해서 걸어맞춤고리(21)측으로 출몰할 수 있게 미끄러저 움직일 수 있게 끼어 만들게 되었고, 그 걸림해체편(25)의 아래쪽에 마련된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는 설편(26)이 용기본체(6)에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고리(21)가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에 걸어맞춤할 때에는, 걸림해제편(25)은 그 걸어맞춤고리(21)의 탄성력에 의해서 판체(22)의 열려있는 안쪽으로 가라않게 되어 있다. 걸림해제편(25)은, 걸어맞춤고리(21)은 탄성력에 맞서는 힘으로 설편(26)이 용기본체(6) 안으로 밀어넣으면, 이것에 따라 함께 판체(22)의 열린 곳에서 볼록하게 나오고, 걸어맞춤고리(21)를 밀어 움직여서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에서 떼어내고, 걸림을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걸림해제에 의해서 뚜껑체(13)는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올리게 되어 통기구(5)를 덮어서 휘산성 약제의 널리 흩트려 지는 것을 정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약제 휘산 용기(1)는 뚜껑체(13)의 상하위치를 판단할 뿐이고 휘산성 약제를 방산시키기 위한 통기구(5)의 열려있는 정도로 판단할 수가 있게 되고, 뚜껑체(13)의 밀어내림 및 설편(26)의 밀어넣기에 의해서 쉽게 약제방산량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차안에 둔 약제 휘산 용기(1)의 약제 방산량을 운전자가 조절하는 경우에서도 그 조절이 빠르고쉽다.
제4도에서 일부를 잘라내어 표시한 약제 휘산 용기(1)는, 본 고안 용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약제수용부가 수납되어 측멱에 부채꼴 상태의 약제 방산용 통기구(5)가 마련된 용기본체(6)와 그 통기구(5)가 형성된 면에따라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나사코일스프링(27)에 의해 그 통기구(5)를 덮는 방향에 힘을 더해준 부채꼴 상태의 움직이는 뚜껑체(13)등을 비치하고 있다.
뚜껑체(13)는 스프링(27)의 더해주는 힘에 맞서는 힘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에 의해서 그 통기구(5)의 노출범위를 변경해서 약체 방산량의 조절을 이룩할 수가 있게 된다.
이 약제 휘산 용기(1)는 싱술한 제1실시예의 약제 휘산 용기(1)와 같이 그 뚜껑체(13)을 이동한 후의 위치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하는 걸림기구(24)를 비치하고 있다.
그 걸림기구(24)는 뚜껑체(13)의 원호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과 용기본체(6)에 회전자재롭게 비치되어서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에 자체 무개에 의해 하강해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고리(21) 등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고리(21)는 뚜껑체(13)가 통기구(5)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걸어맞춤용의 오목한곳(20)에 들어가서 스프링(27)의 힘을 더하는 것에 맞서서 그 뚜껑체(13)를 이동한 후의 위치에 걸림을 유지한다.
약제의 방산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걸림고리(21)을 손으로서 윗쪽으로 밀어 올려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과의 걸어맞춤용을 해제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서 뚜껑체(13)는 스프링(27)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통기구(5)를 덮는 방향으르 이동되고, 그뚜껑(13)의 양끝부분에서 용기본체(6) 안에서 늘어나는 스프링지지용 설편(23)을 통기구(5)의 한끝에 맞닿게해서 이동을 정지시켜 그 통기구(5)의 전면을 덮개 한다.
제4도의 약제 휘산용기(1)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구(5)의 연린정도를 눈으로서 판단할 수가 있게 되고, 또 뚜껑체(13)의 회전 및 걸어맞춤고리(21)의 밀어올림에 의해서 쉽게 약제의 방산량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본고안의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약제 휘산용기(1)는 걸어맞춤용의 오목한 곳(20)이 간격을두고 마련되어 있기때문에 소정의 적절한 단계로서의 약제 방산량조절을 쉽게 이룩할 수가 있게된다.
그러면 그 약제 휘산용기(1)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제4도의 약제휘산용기(1) 처럼 걸어맞춤용의 오목한곳(20)이 빽빽하게 다수 마련되어 통기구(5)의 열린 정도의 조절이 실질상 무단계로 될수 있게 할수도 있다.
제4도의 다른 실시예의 약제 휘산 용기(1)에는 걸어맞춤고리(21)가 항상 걸어맞춤용의 오목힌 곳(20) 측에있도록 걸어맞춤고리 회전멈추기(28)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한층 약제 휘산 용기의 용기본체에는, 그 용기본체내의 자연대류를 촉진시켜서 통기구에서의 약제방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열려있는 곳을 마련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뚜껑체가 용기본체의 동기구 형성면에 따라서 이동할 수있게 부착되어 그 뚜껑체가 걸림기구에 의해서 이동한 후의 위치로 유지되는 한편, 걸림의 해제에 의해서 탄성체의 작용으로 통기구 폐쇄방향으로 되돌리게 되어 있어서 전술한 통기구의 열린정도, 즉 약제방산량의 조절을 쉽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기능적인 약제 휘산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약제방산용 통기구(5)를 보유하는 휘산성 약제 수납용 용기본체(6)와, 전기한 통기구(5)가 형성된 면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고, 또한 탄성체에 의해서 그 통기구(5)를 덮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진 가동뚜껑체(13)와, 그 뚜껑체(13)가 전기한 통기구(5)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손에 의해서 이동되었을때, 이동후의 위치에서 그 뚜껑체(13)를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걸림기구(24)로서, 서로의 걸어맞춤 방향으로서의 가하여지는 힘에 따라서 전기한 용기본체(6) 및 뚜껑체(13)에 설치되고, 손에 의해서 걸어 맞춤과 해제가 가능하게된 걸어맞춤고리(21)및 걸어맞춤용 오목한 곳(20)을 보유하는 걸림기구(24)를 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휘산 용기.
KR2019870016150U 1987-09-23 1987-09-23 약제 휘산 용기 KR900005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150U KR900005456Y1 (ko) 1987-09-23 1987-09-23 약제 휘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150U KR900005456Y1 (ko) 1987-09-23 1987-09-23 약제 휘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377U KR890006377U (ko) 1989-05-13
KR900005456Y1 true KR900005456Y1 (ko) 1990-06-20

Family

ID=1926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150U KR900005456Y1 (ko) 1987-09-23 1987-09-23 약제 휘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4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377U (ko) 198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383A (en) Vapor releasing device
US7350663B2 (en) Waste storage device
KR20050092110A (ko) 덮개가 달린 용기
CA2599437A1 (en) Volatile liquid dissemination apparatus
US3908906A (en) Air freshener container or vapor diffusing device
US3946945A (en) Dispensing container and refill for an air treating gel
KR900005456Y1 (ko) 약제 휘산 용기
CA1072059A (en) Dispenser for vapors of solid volatile materials
US4261132A (en) Rodent bait protection box
US3369653A (en) Dust-tight locking mechanism
JPH0244757Y2 (ko)
JP5459792B2 (ja) 揮発性物質放出容器
JP4266772B2 (ja) 揮散器
EP3448443A2 (en) Volatile medium delivery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JP7289590B2 (ja) 芳香剤容器
GB2275608A (en) A tamper-resistant electrically heated vapour dispensing apparatus
JP7319176B2 (ja) 薬剤揮発具
JPH0332357Y2 (ko)
JP2014009001A (ja) 揮散用容器
JP5024926B2 (ja) 薬剤揮散器具
JPH09299470A (ja) 芳香放散用容器
JPS601734Y2 (ja) 芳香剤容器
JP2005130923A (ja) 揮散器
JPH0511193Y2 (ko)
JPS588172Y2 (ja) 芳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