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830Y1 -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 Google Patents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30Y1
KR900004830Y1 KR2019860000041U KR860000041U KR900004830Y1 KR 900004830 Y1 KR900004830 Y1 KR 900004830Y1 KR 2019860000041 U KR2019860000041 U KR 2019860000041U KR 860000041 U KR860000041 U KR 860000041U KR 900004830 Y1 KR900004830 Y1 KR 900004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hildren
seat
chairs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948U (ko
Inventor
민병진
Original Assignee
민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진 filed Critical 민병진
Priority to KR2019860000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830Y1/ko
Publication of KR870011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4Children's chairs convertible from a high chair to a low one, e.g. by reversing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도의 이면사시도로서 등받이를 제거시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좌판 2,2' : 원호상의 돌조
3,3' : 의자 4,4' : 등받이 좌고
본 고안은 어린이용 의자의 양면에 좌고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서 어린이 키의 크기에 따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좌고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린이용 의자는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한쪽면에만 좌판을 형성하여 있기 때문에, 한개의 의자로서 어린이의 크기에 따라 대소용으로 겸용할 수가 없었고, 특히 보조용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받침을 깔거나 또는 방석을 올려놓아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같은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원은, 어린이용 의자의 상하부에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좌판을 형성하되, 어느 한쪽의 좌고는 높게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좌고는 얕게 형성하므로서, 어린이 키의 크기에 따라 의자를 뒤집어 양면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개의 의자를 준비할 필요없이 한개의 의자로 두가지를 겸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좌판(1)(1')의 중앙부에 원호상의 돌조(2)(2')를 튀어나오게 형성한 두개의 의자(3)(3')를 서로 끼워 붙임하되, 등받이 좌고(4)(4')를 하나는 높고 다른 하나는 얕게하고 두개의 의자(3,3')중 한개의 의자(3')에는 등받이좌(4')를 제거하고 팔걸이(6)만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안락의자, 6은 팔걸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두개의 의자(3)(3')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끼워붙임되어 있고, 등받이 좌고(4)(4')도 하나는 높고 다른 하나는 얕으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비교적 작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등받이 좌고(4)가 높은 의자(3)에 앉도록 하여서 앉은 어린이의 다리를 바닥에 닿게할 수 있고, 반대로, 키가 비교적 큰 어린이는 등받이 좌고(4')가 얕은 의자(3')에 앉도록 하여서 앉은 어린이의 다리를 바닥에 닿도록 하여서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고, 안락의자(5)나 또는 식탁용 의자등에 보조의자로 사용하여 앉은 자세를 높이고저할 경우에는, 등받이 좌고(4')가 얕은 의자(3')에 어린이를 앉히게 하므로서, 식사하기에 편리하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좌석에 앉은 위치도 성인들과 같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팔걸이(6)만 형성되어 있는 의자(3')는 일반 의자위에 놓아서 어린유아를 앉히게 되면 자연등받이에 지지되어 크고 작은 어린이를 막론하고 겸용할 수 있고, 좌판(1)(1')상의 돌조(2)(2')로 하여금 착석한 어린이의 자세가 약간 뒤로 기울게 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좌판(1)(1') 중앙부에 원호상의 돌조(2)(2')를 튀어 나오게 형성한 두개의 의자(3)(3')를 서로 끼워 붙임하되, 그중 한개의 의자(3)에 대한 등받이 좌고(4)는 높게 형성하고, 다른 한개의 의자(3')에 대한 등받이 좌고(4')는 얕게 형성하여서 된 좌고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의자(3)(3')중 한개의 의자(3')에는 등받이(4')를 제거하고 팔걸이(6)만 형성한 의자.
KR2019860000041U 1986-01-07 1986-01-07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KR900004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041U KR900004830Y1 (ko) 1986-01-07 1986-01-07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041U KR900004830Y1 (ko) 1986-01-07 1986-01-07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48U KR870011948U (ko) 1987-08-01
KR900004830Y1 true KR900004830Y1 (ko) 1990-05-31

Family

ID=1924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041U KR900004830Y1 (ko) 1986-01-07 1986-01-07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8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48U (ko) 198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6429A (en) Chair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JPH042599Y2 (ko)
US3813091A (en) Couch
US4813742A (en) Orthopedic footstool
US6543844B1 (en)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US11026513B2 (en) Cushion
JP3137036U (ja) 椅子
KR900004830Y1 (ko) 좌고(座高)를 달리한 어린이용 의자
US5104179A (en) Combination table and toy device
JP3146343B2 (ja) 椅 子
US2803289A (en) Chair
JP4892301B2 (ja) チェア−キット
JP3237217U (ja) 椅子
GB2227930A (en) Baby seat
US590520A (en) Combined chair and foot-rest
KR920002671Y1 (ko) 조립식 의자
CN216438870U (zh) 一种亲子沙发
JPH0928499A (ja) 椅 子
GB2227409A (en) Baby support seat and mattress
JPS6348211Y2 (ko)
KR880002663Y1 (ko) 유모차겸 자동차용 유아의자
KR101905096B1 (ko) 등받이와 식탁 및 고정수단이 구비된 분할형 의자
KR200307441Y1 (ko) 공간확장이 가능한 소파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