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566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566B1
KR900004566B1 KR1019880003553A KR880003553A KR900004566B1 KR 900004566 B1 KR900004566 B1 KR 900004566B1 KR 1019880003553 A KR1019880003553 A KR 1019880003553A KR 880003553 A KR880003553 A KR 880003553A KR 900004566 B1 KR900004566 B1 KR 90000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composition
dielectric
composition
ceramic capacitor
multilayer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314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566B1/ko
Publication of KR89001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본 발명은 적층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성온도가 낮은 Pb계 유전체를 조성물로 채택하여 유전상수를 높여주므로서 전극을 100% Ag전극으로 대체사용할 수 있으며 저온에서도 소성가능하도록 하는 Pb계통의 새로운 적층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세라믹 콘덴서는 얇은 판자형태로된 세라믹 유전체와 내부전극을 여러층으로 적층시킨 후, 이를 소성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단위체적당의 정전용량이 매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어온 적층세라믹 콘덴서 중에서 -25℃ 내지 85℃의 온도이내에서 정전용량이 ±10% 이내에서만 변화하는 소위 "B특성"을 나타내는 세라믹콘덴서는 그의 세라믹 유전체가 BaTiO3계통으로서 소성온도가 높아 전체조성물의 소성온도가 1140℃~1400℃를 벗어날 수 없고, 따라서 위의 원료를 사용하여 콘덴서를 제조할때 높은 온도가 요구되므로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있고, 제조시 전극은 값비싼 귀금속(팔라듐함량 30% 이상)을 사용해야 했고, 더구나 설계능력지수인 유전상수도 4000을 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성분으로서 고온에서 소결되는 BaTiO3계통의 세라믹을 사용하는 대신에 저온에서도 소결이 가능한 Pb계통의 세라믹을 사용하므로서, 그 특성을 BaTiO3, SrTiO3로 조절하여 900℃ 이하에서 소성하여 4000 이상의 유전상수를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따라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소성온도가 낮아 에너지절약도 가능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있어서, 다음 조성식(Ⅰ)로 나타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인 것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x는 0.01 내지 0.1의 범위이다.
이를 유전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원료물질로서 PbO, WO3, MgO, MnO2, BaCO3, SrCO3을 몰비에 따라 중량을 달아 하나의 혼합물을 만들고, Ball Mill나 Vib Mill에서서 10~20시간 습식혼합한다.
이어서, 혼합된 원료물질을 탈수건조하고, 전기로내에서 700 내지 900℃의 온도로 2~20시간동안 소성시킨 다음, 이를 다시 진동밀로 10-24시간동안 미분쇄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Pb계 적층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은 저온소결 Pb계 세라믹 유전체조성물로서, 약 900℃이하의 온도에서도 세라믹 유전체와 내부전극을 적층시켜 소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고온소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해 내부전극으로 사용해야만 했던 팔라듐함량이 높은 귀금속대신 훨씬 가격이 저렴한 Ag를 100%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을 사용하여서 제조된 적층세라믹 콘덴서는 "B"특성을 나타내는 등제반 전기적인 특성이 종래의 적층세라믹 콘덴서에 비하여 조금도 손색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콘덴서 조성물로도 우수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하게되면, 종래에 비하여 조금도 물성의 손색이 없으면서도 저렴한 Ag로 내부전극을 전부 제조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개 때문에 재료비의 절감 및 소성전기로의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소성온도가 낮은 Pb계 유전체를 채택하여 그 특성을 BaTiO3, SrTiO3로 조절하여 900℃이하에서 소성가능함은 물론, 4000이상의 유전상수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은 Pb1-x(BaㆍSr)X(Ti0.4Mg0.29Mn0.01W0.3)O3의 조성식으로 표시되는 것. 단, x의 범위는 0.01~0.1임.
KR1019880003553A 1988-03-31 1988-03-31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KR90000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553A KR900004566B1 (ko) 1988-03-31 1988-03-31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553A KR900004566B1 (ko) 1988-03-31 1988-03-31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314A KR890015314A (ko) 1989-10-28
KR900004566B1 true KR900004566B1 (ko) 1990-06-29

Family

ID=1927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553A KR900004566B1 (ko) 1988-03-31 1988-03-31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5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314A (ko) 198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968A (en) Low temperature sintered ceramic material for use in solid dielectric capacitors or the lik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995300A (en) Reduction-reoxidation type semiconducting ceramic capacitor
US4753905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EP0221696A2 (en) Dielectric compositions
JPS63103861A (ja) 非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KR900004566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US4601989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3030557B2 (ja) 誘電体磁器材料を用いた電子部品
JPS6134210B2 (ko)
JPS6128621B2 (ko)
JP3435039B2 (ja) 誘電体磁器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900004254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KR100220922B1 (ko) 저온 소결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S6121183B2 (ko)
KR910001778B1 (ko) 유전체 파우더 조성물
KR910009012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KR900004567B1 (ko) 적층 세라믹콘덴서의 유전체조성물
JP2594989B2 (ja) 誘電体磁器材料
JPS61203506A (ja) 高誘電率磁器組成物
US4624935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KR100251137B1 (ko) 비환원성유전체자기조성물
KR100380944B1 (ko) 저온 소결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920006729B1 (ko) 고 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KR19990081475A (ko)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H10167814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