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12B1 -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12B1
KR910009012B1 KR1019870015425A KR870015425A KR910009012B1 KR 910009012 B1 KR910009012 B1 KR 910009012B1 KR 1019870015425 A KR1019870015425 A KR 1019870015425A KR 870015425 A KR870015425 A KR 870015425A KR 910009012 B1 KR910009012 B1 KR 91000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xide
dielectric constant
composition
m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961A (ko
Inventor
송인엽
안기성
신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12B1/ko
Publication of KR89001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 고유전유계 세라믹조성물 특성도로서 시료번호의 유전상슈(K)와 유전손실계수(tanδ)의 온도 특성도.
본 발명은 고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유전율을 갖고 저온 -30℃∼고온 +85℃ +22%∼33%의 온도 특성을 만족시키며 동시에 950℃∼1000℃의 저온 소결이 가능한 고유정율계 세라믹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유전체 세라믹 원료 분말로 그린시트를 만들고 그위에 시크 스크린 방법으로 백금(Pt) 또는 팔라듐(Pd)등의 귀금속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이것을 여러장 겹쳐 쌓아 압착한 뒤 1300℃∼1400℃의 고온에서 소결시켰다. 그러나 내부 전극으로 사용되는 백금(Pt) 필라듐(Pd)등의 귀금속은 고가이므로 필연적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적층세라믹 콘덴서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납(Pb)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온 소결유전체를 사용하였으나 이 유전체의 조성물은 10℃ 미만에서의 유전손실 계수가 3∼6%까지 도달하는 관계로 사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반면에 저온소결이 가능하나 유전율이 낮고 유전손실 계수가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소결이 가능하고 유전율을 증가시켜주는 Pb(Fe1/2 Nb1/2)O3-Pb(Fe1/2 Ta1/2)O3계와 온도에 대한 유전율의 변화를 적게 해주는 Pb(Mg1/3 W2/3)O3-Pb TiO3-SrTiO3계, 상전이 온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Pb Zr O3를 주성분으로 하고 망간(Mn)과 같은 천이금속을 미향첨가하여 -30℃∼+85℃ +22%∼-33%의 온도 특성을 만족하면서 9500∼10500정도의 높은 유전율과 유전손실 계수 2.0% 미만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의 세라믹 콘덴서 조성물을 제공 하는데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9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산화연(PbO) 삼산화철(Fe2O3) 오산화니오븀(Nb2O5) 오산화탄탈(Ta2O5) 탄산 마그네슘(MgCO3)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티탄(TiO2) 탄산스트론듐(Sr CO3) 산화지르코늄(ZrO2)을 분말 형태로 평량한후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단 a=0.045, b=0.17 c=0.34)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으로 조성하고 여기에 산화망간(MnO)을 0.0∼0.1wt%까지 첨가하여(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성물이 얻어지도록 평량한후 나이론자(Jar)와 산화지르코늄(ZrO2) 볼(Ball)을 이용하여 풀레니터리밀(Plane tarymill)로 3시간 혼합하였다. 이때 분산매로 아세톤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잘 혼합된 슬러리는 건조후 650℃∼800℃에서 하소한 후 이를 적절한 입도를 가지도록 분쇄하였다. 이 시편은 건식 프레스로 직경 12mm 두께 1mm 되도록 1ton/㎠의 압력으로 성형하며 이 성형된 시편은 각각 950℃∼1000℃로 소결한 뒤 은(Ag)-팔라듐(Pb) 페이스트(Paste)로 전극부착후 전기적 특성을 조사한 바 표 1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표 1]
Figure kpo00005
표 1에서 유전상수(K) 및 유전손실계수(tan δ)를 LCR메터로 상온 25℃에서 1KHZ로 측정하였고 비저항은 고저항메터를 사용하여 직류 전압 100V에서 측정한바 표 1에서 비교제(*)인 시료번호 1-3는 Pb(FeO. 5 NbO. 3 TaO. 2)O3ㆍX-(Pb1-aSra)(MgbWCTi1-b-C)O3ㆍY-PbZrO3ㆍZ 몰비 0.3, 0.6, 0.1을 함유한 3성분계로 조성한 조성물에 산화망간(MnO)을 (0.00∼0.10wt%)첨가하였으며 소결온도는 1000℃ 이상이고 유전상수(K)는 약 5500이며 손실계수(tan δ) 1.8∼3.2%로 나타났으며 비교제(*)인 시료번호(25-27)는 Pb(FeO. 5 NbO. 3 TaO. 2)O3ㆍX-(Pb1-aSra)(MgbWCTi1-b-C)O3ㆍY-PbXrO3ㆍZ 몰비 0.5, 0.3, 0.2를 함유한 3성분계로 조성한 조성물에 산화망간(MnO)을 0.00∼0.10wt% 첨가한 결과 소결온도는 940℃정도로 되어 소결온도는 만족되나 유전상스(K)는 1300이상이 되며 손실계수(tanδ)는 2.8-1.2%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체인 시료(4-24)는 Pb(FeO. 5 NbO. 3 TaO. 2)O3ㆍX-(Pb1-aSra)(MgbWCTi1-b-C)O3ㆍY-PbZrO3ㆍZ 몰비 0.3≤X≤0.5, 0.35≤Y≤0.55, 0.1≤Z≤0.2를 함유한 3성분계 조성물에 산화망간(MnO)0.0-0.1wt%를 첨가한 결과 소결온도는 950℃-1000℃, 유전상수(K)는 6380-13580, 유전손실계수(tanδ)는 0.7-2.9%정도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제인 시료(4-24)는 비교제인(1-3) (25-27)보다 유전손실계수(tanδ)는 낮거나 또는 조금 높게 나타났고 유전상수(K)는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제인 시료번호(14)인 경우 Pb(FeO. 5 NbO. 3 TaO. 2)O3ㆍX-(Pb1-aSra)(MgbWCTi1-b-C)O3ㆍY-PbZrO3ㆍZ몰비 X=0.4 Y=0.45 Z=0.15를 함유한 3성부계 조성물에 산화망간(MnO)0.05wn%를 첨가하였을 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온 25℃에서 유전상수(K) 10530, 손실계수(tanδ) 1.1%정도로 즉 전온도구간에서 낮은 손실계수와 높은 유전율을 갖게 되어 -30℃∼+85℃ +22∼33%의 온도 특성에 만족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3성분계 중(Pb1-aSra))MgbWCTi(1-b-C)몰비를 0.35≤Y≤0.55로 고정시킨 이유는 몰비가 0.55이상일때는 저온부에서 온도 변화율이 높으며 유전율도 매우 낮아진다. 그리고 소결온도도 매우 높아지는 성질이 있으며 몰비가 0.35 이하일때는 소결온도가 낮아지고 유전율이 높아지는 반면 온도 변화율이 매우 커지게 된다. 또한 3성분계중 PbZrO3는 본래 상전이 온도가 230℃부근이기 때문에 상전이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체로 몰비(Z)의 값이 증가 할수록 상전이 온도가 상온에 고온부로 벗어나게 되어 만족한 조성을 얻을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몰비의 값이 0.15일 때 가장 적당하나 몰비의 값이 0.1≤Z≤0.2의 범위에서도 만족한 특성이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조성에서 첨가제인 산화망간(MnO)을 0.0″<0.1wt%까지 첨가시킬 때 0.05wt%에서 가장 우수한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온소결이 가능한 납(Pb) 성분의 조성물을 사용하되 유전율을 증가시켜 주는 Pb(Fe1/2 Nb1/2)O3-Pb(Fe1/2 Ta1/2) 계와 온도에 대한 유전율에 대한 유전율의 변화율을 적게해주는 Pb(Mg1/3 T2/3)O3-PbTiO3-SrTiO3계 상전이 온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PbZrO3의 조성물에 산화망간(MnO)을 첨가하여 저온-30℃ 고온+85℃보정 온도 최대 허용 변화율 -22%″<-33%온도 특성을 만족시키는 조성보다 높은 유전율 9500-10500을 가지기 때문에 내부 적극층수를 작게할 수 있어서 소형화가 가능하여 또한 전조성국간에 소결온도가 950℃<1000℃이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내부 전극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원자를 낮출수 있고 아울러 낮은 손실 계수를 갖게 되어 저온에서의 손실증가를 막을 수 있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의 고유전율계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9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산화연(NbO), 삼산화철(Fe2O3), 오산화니오븀(Nb2O3), 오산화탄탈(Ta2O5), 탄산마그네슘(MgCO3),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티탄(TiO2), 탄산스트론듐(SrCO3), 산화지르코늄(ZrO3)의 산화물로 함성된 Pb(FeO. 5 NbO. 3 TaO.2)O3ㆍX-(Pb1-aSra)(MgbWCTi1-b-C)O3ㆍY-PbZrO3ㆍZ(단 a=0.045, b=0.17, 0.34)의 3성분계 몰비를 0.30≤X≤0.50, 0.35≤Y≤0.55, 0.10≤Z≤0.20 범위내에 산화망간(MnO)을 첨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유계 세라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성분계에 산화망간(MnO)을 0.1wt% 미만으로 첨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KR1019870015425A 1987-12-30 1987-12-30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KR91000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425A KR910009012B1 (ko) 1987-12-30 1987-12-30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425A KR910009012B1 (ko) 1987-12-30 1987-12-30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61A KR890010961A (ko) 1989-08-11
KR910009012B1 true KR910009012B1 (ko) 1991-10-26

Family

ID=1926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425A KR910009012B1 (ko) 1987-12-30 1987-12-30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066B2 (en) * 2001-05-15 2010-06-15 Showa Denko K.K. Niobium monoxide powder, niobium monoxide sintered body and capacitor using the sintered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066B2 (en) * 2001-05-15 2010-06-15 Showa Denko K.K. Niobium monoxide powder, niobium monoxide sintered body and capacitor using the sintered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61A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107A (en) Ceramic composition for reduction-reoxidation type semiconductive capacitor
KR100444230B1 (ko) 내환원성 유전체 자기 조성물
JP3902546B2 (ja) 耐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KR100271727B1 (ko) 모놀리식 세라믹 커패시터
US3995300A (en) Reduction-reoxidation type semiconducting ceramic capacitor
US4054531A (en) Ceramic dielectric composition
CN108249915B (zh) 电介质组合物及电子部件
KR910009012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조성물
JP2919360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6208806A (ja) 誘電体材料およびセラミック部品
JPS6116131B2 (ko)
KR940004141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 콘덴서 조성물
KR940004142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 콘덴서용 조성물
KR910009011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JP2621823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US6180547B1 (en) High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KR920006728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콘덴서 조성물
JP2958826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KR0165557B1 (ko) 자기 조성물
KR910001778B1 (ko) 유전체 파우더 조성물
KR100254797B1 (ko) 고유전율계 캐패시터 조성물
US5262369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JP2621822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KR930006571B1 (ko) 세라믹 콘텐서용 유전체 조성물
JPH05315669A (ja) 圧電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