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00Y1 -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00Y1
KR900004400Y1 KR2019870006219U KR870006219U KR900004400Y1 KR 900004400 Y1 KR900004400 Y1 KR 900004400Y1 KR 2019870006219 U KR2019870006219 U KR 2019870006219U KR 870006219 U KR870006219 U KR 870006219U KR 900004400 Y1 KR900004400 Y1 KR 900004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member
flange
fasten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488U (ko
Inventor
사까에 무라다
Original Assignee
무라다세이고오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다 쇼오따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세이고오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다 쇼오따로오 filed Critical 무라다세이고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21D17/025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by pressing tubes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제1도는 장치 본체의 사시도.
제2a도는 제1공정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장치 본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플랜지로 가공 형성된 파이프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파이프 1 : 삽입부
2 : 플랜지 11 : 장치본체
12,12' : 다리부 13 : 상틀부
14 : 체결측 15,16 : 누름부재
17,17' : 승강안내부 18 : 파이프 고정구
19,19' : 고정구 설치부 20 : 베어링부
21 : 걸림부재 25 : 바아 핸들
26 : 걸이부 27 : 환상홈
본 고안은, 예를들면 자동차냉각기(car cooler)용 배관 등의 파이프 접속단부, 즉 파이프의 단부 가까이에 환상의 플랜지를 일체로 확대 성형 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플랜지 성형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 냉각기용 배관 등을 콤프레셔 등의 설치벽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파이프(P)는 삽입부(1) 가까이에 환상의 플랜지 (2)가 일체로 확대 형성된 것이 제공되어 왔으나 이와같은 종래 파이프(P)의 말단부 가까이에 있는 환상의 플랜지(2) 가공 형성에는, 두가지 공정을 필요로 하는 대단히 번거로운 것이었으므로, 이와같은 형상의 플랜지(2)를 갖는 파이프(P)는 공장 생산에 의해서만 제공되어 왔었다. 따라서, 예를들면 수리 현장 등에서 제5도 도시와 같은 형상의 플랜지(2)를 갖는 파이프(P)를 교환 수리할때에는 대단히 불편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므로 수리현장 등에서, 제5도 도시와 같은 현상의 플랜지(2)를 간단하게 성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평행하는 두개의 다리부를 갖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틀부의 중앙 상면에서부터 하면으로 관통시킨 체결측을 나사결합으로 설치하고, 상기 두개의 다리부 중앙 높이 위치에 누름 부재의 승강안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에 파이프 고정구의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측의 상부에는 베어링부를 끼워 붙이고, 하단에 걸이부를 갖는 걸림부재를 그 상단에서 상기 베어링부의 좌우에 추형으로 접합 설치하여 이루어진 장치 본체와 측면 상방에 상기 걸림부재의 걸이부가 걸리도록하기 위한 환상홈을 갖게하여 형성한 누름부재에 의하여 구성된, 파이프에 플랜지 가공을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누름부재를 교환 자유롭게 하게함으로써, 플랜지의 형성에 필요한 두 공정의 가공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리용구를 제공하여, 수리 현장 등에서 파이프의 단부 가까이에 환턱상의 플랜지를 간단 용이하게 확대 성형할 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측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의하여, 장치 본체의 다리부 사이에 설치된 누름부재를 걸어 유지할수 있도록 하여, 장치 본체 다리부에의 고정구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측의 체결을 종료한 후에 걸림부재 하단에의 걸이부를 누름부재의 환상홈에 유지시키고, 그리고 체결측을 반대로 회전시켜서 체결을 해제할때, 체결측의 상승에 따라서 누름부재도 함께 상승되게 한 것으로서, 특히 제2공정인 체결 종료후, 누름부재를 짧은 측을 갖는 파이프에서 대단히 용이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걸림부재의 하단에 걸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누름부재에 환상홈을 갖게함으로써 걸림부재가 누름부재에 용이간편하게 붙여지고 떼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치 본체(11)는 평행한 두개의 다리부(12, 12')를 갖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틀부(13) 중앙의 상면에서부터 하면으로 관통시킨 체결측(14)을 나사결합으로 설치하고, 상기 두 다리부(12, 12')의 중앙 높이 위치에 누름부재(15, 16)의 승강 안내부(17, 17')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하단에 파이프 고정구(18)의 설치부(19, 19')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측(14)의 상부에는 베어링(20)을 끼워 붙이고, 이 베어링(20)의 좌우에는 걸림부재(21, 21)를 그 상단에서 추형으로 접합설치하고, 누름부재(15, 16)를 상기 두 다리부(12, 12')의 승강안내부(17, 17')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부(12, 12')의 하단에 있는 설치부(19, 19')에 파이프 고정구(18)가 자유롭게 얹혀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 본체(11)의 상틀부(13) 중앙에서, 상면에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22)을 뚫고, 상기 체결측(14)은 상기 나사구멍(2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23)를 가짐과 동시에, 베어링(20)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단부 부분에 뚫린 관통공(24)에 끼워붙인 바아핸들(25)에 의하여 체결축(14)을 나사 결합시키며, 상기 걸림부재(21)는 하단에서 안쪽방향으로 굽힌 걸이부(26)을 갖고, 이 걸이부(26)가 장치 본체(11)의 상틀부(13)으로부터 하방에 위치케하며, 상기 누름부재(15, 16)는 각각의 외주 상방부에 상기 걸림부재(21)의 걸이부(26)가 걸리도록한 환상홈(27)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15, 16)의 외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주체 형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공정용으로서 사용하는 누름부재(15)는 제2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공정으로서 사용하는 누름부재(16)는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에 일체로 돌출설치한 단축(28)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파이프 고정구(18)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사용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1공정용의 누름부재(15)를 장치 본체(11)의 2개의 다리부(12, 12') 사이의 승강 안내부(17, 17')에 설치함과 동시에, 2개 걸림 부재(21)의 걸이부(26)에 의하여 누름부재(15)의 환상홈(27)에 걸어 놓고, 다음에, 가공하는 파이프(P)를 고정시킨 파이프 고정구(18)를 장치 본체(11)의 다리부(12, 12')의 하단에 있는 설치부(19, 19')에 얹어 고정한다. 그리하여, 바아핸들(25)을 체결측(14)의 체결이 끝날때까지 돌리면, 체결측(14)의 체결에 의하여 누름부재(15)가 강하하여, 파이프의 단부 부분에 제1공정인 가공이 실시된다. 그러므로, 체결종료후에, 바아핸들(25)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누름부재(15)는 걸림부재(21)를 통하여 상승한다. 제1공정이 종료하면, 파이프 고정구(18)를 장치 본체(11)로부터 해제하고, 걸림부재(21)를 누름부재(15)로 부터 해제하고 누름부재(26)를 장치 본체로 부터 인출하여, 제2공정용의 누름부재(16)와 교환한다.
누름부재(16)는 전술과 같이 걸림부재(21)에 의하여 환상홈(27)에 걸어놓고, 그리고 장기 제1공정을 종료한 상기 파이프(P)를 고정시키고 있는 파이프 고정구(18)를 다시 장치 본체(11)에 얹어 고정 설치하고, 상기와 같은 체결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파이프(P)의 단부 부분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삽입부(1)와 환턱상으로 확대된 플랜지(2)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체결 종료후엔, 바아 핸들(25)을 반전시켜서 누름부재(16)글 걸림부재(21)를 통하여 상승시킨다. 제2공정용의 누름부재(26)에 갖는 단측(28)은 체결에 의하여 파이프의 단부 부분의 삽입부(1)에 삽입되어서 확고하게 체결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걸림부재(21)로 걸려 있는 누름부재(26)는 체결측의 반전 상승에 따라서 함께 상승하며, 그리하여, 단측(28)을 파이프(P)의 삽입부(1)부터 극히 용이하게 빼어낸다.
누름부재(26)가 상승하고, 그리고 걸림부재(21)에 의하여 걸려있는 상태에서 파이프 고정구(18)를 장치 본체(11)로 부터 해제한다. 그리하여, 파이프(P)는 고정구로 부터 해제되어서 목적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누름부재를 교환 자유롭게 함으로써, 플랜지의 형성에 필요한 두가지 공정에 의한 가공을 용이간단하게 할 수가 있는 수리 용구를 제공하고, 수리 현장 등에서 파이프의 단부 가까이에 환턱상의 플랜지를 간단 용이하게 확대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체결구에 갖는 걸림부재에 의하여 누름부재 및 고정구의 붙이고 뗌을 용이하게 하며, 나아가 제2공정에 있어서는 파이프의 단부 부분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 있는 누름부재의 단측을 대단히 용이하게 빼어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평행하는 두개의 다리부를 갖는 역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틀부의 중앙 상면에서부터 하면으로 관통시켜서 체결측을 나사결합으로 설치하고, 상기 두 다리부의 중앙 높이 위치에 누름부재의 승강 안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에 파이프 고정구의 설치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체결측의 상부에는 베어링부를 끼워붙여 이 베어링부의 좌우에 걸림부재를 그 상단에서 추형으로 접합 설치시켜서 형성된 장치 본체와, 측면 상방에 상기 걸림부재의 걸이부가 걸릴수 있는 환상홈을 갖는 누름부재로 구성되는,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KR2019870006219U 1986-06-26 1987-04-27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KR9000044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98173 1986-06-26
JP1986098173U JPH0114351Y2 (ko) 1986-06-26 1986-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488U KR880000488U (ko) 1988-02-19
KR900004400Y1 true KR900004400Y1 (ko) 1990-05-19

Family

ID=1421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219U KR900004400Y1 (ko) 1986-06-26 1987-04-27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54634A (ko)
JP (1) JPH0114351Y2 (ko)
KR (1) KR9000044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060A (en) * 1998-11-20 2000-05-16 Nguyen; Tien Tool kit for flaring metal tubes
US6796574B2 (en) * 2001-04-16 2004-09-28 Jems Of Litchfield Elongate receiver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179358B2 (en) * 2017-01-06 2019-01-15 Yung Chi Industry Co., Ltd. Rotary pipe sizing tool
KR102428075B1 (ko) * 2017-09-13 2022-08-03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
US11534900B2 (en) * 2020-05-05 2022-12-27 John McNeel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pipe joint
CN112658086A (zh) * 2020-11-10 2021-04-16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发动机带翻边衬套类零件的加工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467C (de) * C. SENDOWSKI, Berlin, Marienburgerstr. 31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ördeln eines Hohlgegenstandes
US919924A (en) * 1908-11-27 1909-04-27 Arthur J Mcquaide Button-set for pneumatic hammers.
US3109479A (en) * 1959-06-05 1963-11-05 Penn Aircraft Products Inc Flaring tool
US3209571A (en) * 1962-07-16 1965-10-05 Parker Hannifin Corp Tube flaring tool
GB1207464A (en) * 1968-06-29 1970-10-07 Girling Ltd Improvements in tools for deforming metal
GB1359390A (en) * 1971-12-28 1974-07-10 Nippon Steel Corp Screw press
US4535616A (en) * 1983-04-08 1985-08-20 Dowley Manufacturing, Inc. Flar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6119U (ko) 1988-01-16
JPH0114351Y2 (ko) 1989-04-26
US4754634A (en) 1988-07-05
KR880000488U (ko) 198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6082A (en) Self locking, snap mounted attachment device
KR100888419B1 (ko) 클립
JPH0389010A (ja) 連結具
JPS6327570B2 (ko)
KR900004400Y1 (ko) 파이프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장치
US3168341A (en) Spring clip retainer
JP2512383Y2 (ja) 板材の固定構造
KR200332872Y1 (ko) 파이프 지지장치
JP3706681B2 (ja) デッキインサート
JP3120355B2 (ja) 固定具
KR100187097B1 (ko) 사이드핀의 고정구
KR10187275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고정장치
JPS5823130Y2 (ja) 照明器具のセ−ド
CN220204300U (zh) 一种快速拆装的内饰钉
JPH0615065Y2 (ja) 吊下げ具
JPS6114739Y2 (ko)
JPH0347402Y2 (ko)
JP2529535B2 (ja) 吊り下げ用係止具
JP2814348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JPH06212685A (ja) 側溝ブロックとその吊り治具
JPS632649Y2 (ko)
JPS6338834Y2 (ko)
JPS5838034Y2 (ja) マンホ−ル用ステツプ本体
KR20230082293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JPH03129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