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97Y1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97Y1
KR900003897Y1 KR2019860008796U KR860008796U KR900003897Y1 KR 900003897 Y1 KR900003897 Y1 KR 900003897Y1 KR 2019860008796 U KR2019860008796 U KR 2019860008796U KR 860008796 U KR860008796 U KR 860008796U KR 900003897 Y1 KR900003897 Y1 KR 900003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yoke
fan motor
brushless fan
cutout porti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975U (ko
Inventor
마나부 시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Publication of KR870013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3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a magnetic circuit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torque ripples or self-starting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시키는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의 원리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경우의 정지위치의 설명도.
제4도는 제2도의 사점부근의 자기저항 토크의 설명도.
제5도는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합성 토크 곡선의 설명도.
제6도는 기타 종래의 단상으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평면도.
제7도는 동 종단면도.
제8도는 동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마그넷 모터의 하면도.
제9도는 동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 전기자의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
제10도는 동 스테이터 전기자 평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표시한 회전팬을 제외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사시도.
제12도는 동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13도는 기타 실시예를 나타낸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계자 마그넷 11 :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팬 모터
12A : 모터케이스 22 : 프린트 기판
23 : 스테이터 요크 24 : 위치 검지소자
32',32" : 스테이터 전기자 33 : 도려낸부
33a : 단부 34,34' : 도려낸부
35,35' : 단자 36 : 전기부품
본 고안은 자기동 가능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전 제어회로를 내장하며, 또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조단가의 저하, 신뢰성의 향상, 경량화 및 박형화의 면에서 개선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이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형상에 비하여 토크가 크다는 것, 제어성이 양호하다는 등 직류모터의 특징에 더하여 신뢰성이 높다는 데서 근래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측방향에 공극을 갖는 액설 갭 구조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플래트 모터라고도 한다.)는 박형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OA 기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계자 마그넷의 N,S의 자극을 홀소자등의 위치 검지소자를 사용하여 전기자 코일에 절환 통전하기 위한 회로(구동회로…통전제어 회로)가 모터의 상수분만 필요하기 때문에 고가로 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가로 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송풍하여 냉각시키는 목적에 사용되는 팬모터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치검지 소자를 1개로 끝나며 또 통전 전환회로도 1상분만으로 족하여 저렴가로 구성할 수 있는 단상(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팬모터에 사용되고 있다.
이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는, 통전 절환점에 대하여, 토크가 영이된다. 소위 "사점"이 있다. 그러므로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는, 전기자 코일과 계자 마그넷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에 가하여,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주로 철편이 사용된다)에 의한 토크(자기저항 토크)를 부가함으로써 사점을 해소하고 자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들면, 코어리스 모터에 있어서 자기저항 토크를 붙히는 방법으로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방법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로터요크, 2는 N,S의 자극을 교호로 6개 갖는 6극의 계자 마그넷, 3은 공심형의 전기자 코일, 4는 에어갭(Air Gap), 5는 스테이터 요크, 6은 철봉이다.
제1도의 자기저항을 붙히는 방법은, 에어갭(4)에 경사로 붙힌 것이다. 이와같이 에어갭(4)에 경사를 붙히면 효율이 저하할뿐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며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다.
제2도에 표시한 자기저항을 붙히는 방법은, 균일한 에어갭(4)의 일부에 철봉을 넣은 것으로 자기저항을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자속(7)이 발생하기 때문에 계자 마그넷(2)의 N 또는 S극의 중심과 철봉(6)은 대응한 위치에서 당해 계자 마그넷(2)이 정지하므로, 이러한 정지위치에 있어서 전기자코일(3)을 회전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설하게 되면, 자기동 할수 있는 코어리스 구조의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2도에 표시한 방법으로는, 확실하게 자기동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기저항 토크를 크게 하는데에 철봉(6)의 크기를 더욱 크게하면, 사점부근에 있어서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자속(7)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점부근의 토크가 저하하는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결점이 있다.
또 이상적인 토크 회전각곡선을 얻기 위하여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합성 토크 곡선(8)을 얻을 필요가 있다. 9는 전기자 코일(3)에 의한 전기자 코일토크(전자토크) 곡선으로, 10은 자기저항 발생용 자설체에 의한 자기저항 토크 곡선이다. 전기자코일 토크곡선(9), 자기저항 토크곡선(10)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자기저항 토크는 전기자 코일토크의 2분의 1의 크기로 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하면, 회전각의 전역에 걸쳐, 대체로 같은 회전토크로 된 합성토크 곡선(8)을 얻을 수 있다. 또 이러한 이상적인 합성토크 곡선(8)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철봉(6)등)의 크기 및 위치를 바르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원리의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어서 혹시 자기저항 발생을 위하여 에어갭(4)에 경사를 붙히거나 철봉(6)을 형성하고 있지않을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3)에 의하여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토크 곡선(9)을 얻게되나, 통전 절환점(30)에서는 토크가 영이된다. 소위 사점을 갖는 상기와 같이 가끔 계자 마그넷(2)이 정지한 경우, 위치 검지소자가 사점과 대향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당해 모터에 통전하여도 회전 토크를 얻을 수 없고 실용에 적당하지 않다.
이상적인 회전 토크를 얻을 수 있는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팬모터에 적용한 것으로써는, 제6도 내지 제10도의 것이 있으나, 제6도는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의 평면도, 제7도는 동 종단면도, 제8도는 동모터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9도는 동모터의 고정지측을 확대한 종단면도, 제10도는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이다.
이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는, 평면각형의 팬모터 케이스(12)의중앙부에 모터케이스(12A)를 준비하고, 이 모터케이스(12A)의 외주저면에는 후술하는 팬(15)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을 통하게 하는 투공(16)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케이스(12A)의 중심부에는 축수홀더(31)를 구비하고 이 홀더(31)의 내주부에 형성한 축수(21)에 의하여 회전축(20)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0)의 정상부에는 회전팬(17)이 고정설치되며, 회전팬(17)은, 그 본체(18)의 외주에는 축방향, 즉 투공(16) 방향에 바람을 보내기 위한 팬(1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팬 본체(18)의 이면에는, 로터 요크(19), 계자 마그넷(2)의 순으로 고정되어 있다.
계자 마그넷(2)는, N,S의 자극을 교호로 2P(P는 2이상의 정수) 극의 것으로, 예를들면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6극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계자마그넷(2)에 축방향의 공극(13)을 통하여 스테이터 전기자(32)를 형성하고 있다.
주로 상기 회전자재로 지지된 로터요크(19), 계자 마그넷(2), 스테이터 전기자(32) 및 후술하는 위치검지소자(24)등으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터 전기자(32)는, 스테이터 요크(23)의 계자 마그넷(2)과 대향한 상면부에 2개의 공심형 전기자 코일(43-1,43-2)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하고 홀소자등의 위치검지 소자(24) 및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돌기(25)를 형성하고, 스테이터 요크(23)의 하면에는 홀소자등의 위치검지 소자(24) 및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돌기(25)를 형성하고, 스테이터 요크(23)의 하면에는 프린트 기판(22)을 배설하며, 이 기판(22)의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통전 제어회로 형성용 전기부품 수납용 공간(3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기자 코일(43-1,43-2)은, 단상 모터로 하기위하여 반경방향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3a)와 도체부(43'a)의 개각을 계자 마그넷(2)의 자극폭, 즉 60도의 폭 공심형의 것에 형성하고 있다.
스테이터 요크(23)의 상면에 형성된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25)는 일방의 전기자 코일 예를들면, 전기자 코일(43-2)의 일방의 유효 도체부(43'a)에서 계자 마그넷(2)의 회전방향(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그 중심이 전기각으로 90도(자기각 즉 기계각으로 45도) 벗어난 앞위치에 자극폭과 같은 폭(기계각으로 60도)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위치검지 소자(24)는, 전기자 코일(43-1)의 유효 도체부(43'a)의 대체로 중간위치에 배설하고 그 단자(26)는,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28)을 통하여 그 하면의 프린트 기판(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에 의하면, 위치검지 소자(24)가 1개 이어도 자기동되며, 계자 마그넷(2)은 반드시 화살표 A 방향에 회전할 수 있다는 유용한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에 있어서, 혹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돌기(25)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5도에서와 같이 전기자 코일(43-1,43-2)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곡선은 부호 9로 표시한 형태로 되나, 통전 전환점(30)에서는 토크가 영이되는 이른바 사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때때로 계자 마그넷(2)이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 위치검지 소자(24)는 사점과 대향할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을때에는 당해 모터(11)에 통전해도 기동토크를 얻을수가 없어 실용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위치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돌기(25)를 형성함으로써, 제5도에 표시한 자기저항 토크곡선(10)을 얻을 수 있다.
이 자기저항 토크 곡선(10)으로 표시한 자기저항 토크는, 돌기(25)와 계자 마그넷(2)과의 흡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발생 토크곡선(8)의 2분의 1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8)과 곡선(9)의 합성토크는, 합성토크곡선(10)에 표시한 것과 같이되며, 사점이 없는 특성의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를 얻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의 경우에는, 스테이터 요크(23)의 상면에 돌기(25)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부품단가, 조립공정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 스테이터 요크(23)에 도려낸부(28)를 형성하고 이 도려낸부(28)를 통하여 스테이터 요크(23)의 하면의 프린트 기판(22)에 배설한 전기부품과 스테이터 요크(23) 위의 전기자 코일(43-1) 및 전자코일(43-2)과를 결선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경우 스테이터 요크(23)의 절연 대책을 충분히 강구하지 않으면 쇼트될 우려가 있고 양산에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를 자기동 하기위한 특별한 철봉이나 자성체 돌기 또는 에어갭에 경사를 형성하는 등의 구성없이도 자기동할 수 있고 또 전기자 코일과 전기부품과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뿐 아니라, 위치 검지소자를 스테이터 요크에 배설함이 없이 프린트 기판에 배설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전 제어회로를 내장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 내지는 신뢰성의 향상경량화의 면에서 개선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기동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자기저항 토크를 얻기위하여 스테이터 요크에 적절한 도려낸부를 형성하고, 이 스테이터 요크의 하면에 프린트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도려낸부와 대향한 프린트 기판에 위치검지 소자를 배설함과 동시에, 그 외주의 프린트 기판부에 도려낸부를 형성하고 이 도려낸부를 통하여 전기자 코일의 단자를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 배설한 전기부품과 결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제1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표시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단 회전팬은 생략하고 있다.)의 사시도로써, 이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는 팬모터 케이스(12')의 중앙부에 모터케이스(12A)를 구비하고 이 모터케이스(12A)의 외주저부에는 팬(15)(제7도에 표시한 것을 대용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을 통하게 하기위한 투공(16')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케이스(12A)의 중심부에는 축수홀더(31')를 구비하고 이 홀더(31')의 내측부에 형성한 축수(21')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20)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0)의 정상부에는 제7도에 표시한 회전팬(17)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회전팬(17)은, 그 본체(18)의 외주에는 축방향 즉 투공(16') 방향에 바람을 보내기 위한 팬(1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팬 본체(18)의 이면에는, 로터요크(19), 계자마그넷(2)의 순으로 고정되어 있다.
계자마그넷(2)은 N,S의 자극이 교호로된 2P(P는 2 이상의 정수)극의 것으로, 예를들면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6극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계자 마그넷(2)에 축방향의 공극(13)을 통하여 스테이터 요크 전기자(32)를 형성하고 있다.
주로, 상기 회전자재로 지지된 로터요크(19), 계자마그넷(2), 스테이터 전기자(32') 및 위치검지소자(24)로서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터 전기자(32')는 스테이터 요크923')의 계자 마그넷(2)과 대향한 상면부에 2개의 공심형 전기자 코일(43-1,43-2)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하고 있다.
스테이터 요크(23')의 하면에는, 그 하면에 전기부품을 배설하기 위한 프린트 기판(22)을 상기와 같이 배설하고 있다.
스테이트 요크(23)에는, 당해 브러시리스 팬모터(11')를 자기동시키기 위하여 1개의 도려낸부(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도려낸부(33)를 통하여 프린트기판(22)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도려낸부(33)를 통하여 노출하는 프린트기판(22)의 상면에 위치검지소자(24)를 배설하여 계자 마그넷(2)의 자극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된 도려낸부(33)는, 단순한 도려낸 것이면 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시켜 당해 브러시리스 팬모터(11')가 자기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제5도에 있어서 표시한 이상적인 합성토크 곡선(8)이 얻어지도록 하지않으면 안된다.
이상적인 합성토크 곡선(8)이 얻어지도록 하기 이하여는, 상기 도려낸부(33)는, 계자마그넷(2)의 1자극의 폭을 T로 할 때, n,T(n는 1 이상의 정수이며 또 계자 마그넷(2)의 극수보다 작은 정수이다.) 폭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도려낸부(33)는, 계자마그넷(2)의 1 자극폭과 같은 폭, 즉 6극의 계자 마그넷(2)을 사용함으로써 60도의 폭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려낸부(33)의 반경(래디알)방향의 길이는 자기저항 토크의 최대치가 발생토크 곡선(9)에 의하여 얻어지는 토크의 최대치의 2분의 1이 되도록 적절히 설계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기 위하여 도려낸부(33)의 반경방향의 길이는, 스테이터 요크(23')의 반경의 약 2분의 1의 길이로 형성한다. 제12도의 경우.
이와같은 도려낸 부(33)를 갖는 스테이터 요크(23')와 전기자 코일(43-1,43-2)과의 위치관계는 도려낸부(33)의 일방단부(33a)가 최대 토크를 발생할 위치에서 사점이 되는 위치의 사이가 되도록 스테이터 요크(23')를 배설하면 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합성토크 곡선(8)의 브러시리스 팬모터(11')를 얻기 위해서는, 도려낸부(33)의 일방단부, 예를들면 당부(33a)가 최대 토크를 얻을 위치에서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4분의 1 자극 만큼의 앞위치에 있도록 배설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자 코일(43-2)의 유효 도체부(43'a)에서 회전방향(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단부(33a)를 4분의 1 자극, 즉 15도 앞위치에 위치하도록 스테이터 요크(23')를 배설하고 있다.
프린트기판(22)의 도려낸부(33)와 대향한 위치의 외주부에, 작은 도려낸부(34,34')를 형성하고 있다.
전기자 코일(43-1,43-2)의 각 단자(35,35')는 도려낸부(34,34')를 통하여 프린트 기판(22)의 이면에 유도되어 프린트기판(22)에 형성된 배전용 프린트 패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22)의 이면에 배설된 전기부품과 전기적으로 결선하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11')에 의하면 정지시 절결부(33)의 단부 예를들면 단부(33a)가 계자 마그넷(2)의 N극 또는 S극의 중앙부에 흡인되어 대향하고 있으므로 또 위치검지소자(24)가 항상 N 또는 S극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위치검지소자는 1개이어도 자기동 할 수 있고, 계자마그넷(2)은 반드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유용한 것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려낸부(33)와 대향한 프린트 기판(22)에는, 위치 검지소자(24)외에, 뒷면이 높은 전기부품(36)등을 배설할 수도 있다.
제1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의 스테이터 전기자(32")의 평면도이다. 이 스테이터 전기자(32")에서는 계자 마그넷(2)의 1 자극 폭과 같은폭의 도려낸부(33-1,33-2,33-3)를 래디알(Radial) 하중을 지우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상호 짝수배의 자극(이 실시예에서는 2 자극)만 떨어진 스테이터 요크(23")위치에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면, 1개의 도려낸부에, 예를들면 계자 마그넷(2)의 N극이 완전히 중첩될때는, 타의 도려낸부에도 같이 N극이 중첩하도록 된다. 따라서 흡인력의 균형이 잡혀져 래디알 하중이 발생하지 않고 마찰도 적으며, 축수수명도 증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단상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와 같이 자기저항 토크를 얻기위한 돌기를 필요로 하지않고 부품수도 조립공수도 경량으로 할수 있을뿐 아니라, 위치 검지소자의 배설이 용이하고 전기적 쇼트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려낸 부는 스테이터 요크의 타발 성형시에 동시에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극히 적게든다.
또 본 고안에서는 스테이터 요크위에 돌기가 없고, 위치 검지소자를 도려낸 부에 배설할 수 있음으로 스테이터 요크위에 다수의 전기자 코일을 배설할 수가 있으므로 그 토크화도 가능하다. 이것은 전자코일을 에칭등의 수단으로 형성하는 이른바, 시이트 코일로 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8)

  1. 회동자재로 지지된 N극, S극의 자극을 2P(P는 1이상의 정수)개를 갖는 계자 마그넷(2)과, 이 계자 마그넷에 축 방향의 공극을 통하여 대향 배설된 스테이터 요크(23)와, 이 스테이터 요크위의 동상 위치에 배설된 1 이상의 공심형 전기자 코일(43-1,43-2)과, 상기 계자 마그넷의 자극을 검출하여 상기 전기자 코일에 절환 통전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요크(23)에 당해 디스크형상 브러시리스 팬 모터가 자기동 할수 있는 1이상의 도려낸부(33)를 형성하고, 상기 스테이터요크의 하면에 프린트 배선 기판을 형성하고, 상기 스테이터 요크의 하면에 프린트 배선 기판을 형성하고 이 프린트 배선 기판(22)의 하면에 통전 제어회로를 구성할 전기 부품(36)을 배설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상기 스테이터 요크에 형성한 도려낸부와 대향할 면에서, 또는 계자 마그넷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 검지 소자(24)를 배설하고, 이 도려낸부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의 외주에 도려낸부(34,34')를 형성, 상기 전기자 코일(43-1,43-2)의 단자를 프린트 배선 기판의 외부에 형성된 도려낸부(34,34')를 통하여 프린트 기판의 하면의 상기 전기 부품(36)과 전기적으로 결선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1 이상의 도려낸부(33)는 적어도 1 방의 단부가 반경 방향 또는 대략 반경방향을 향해 뻗어서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적당한 개각폭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의 반경 방향으로 뻗은 단부(33a)는 당해 도려낸부에 의하여 얻어지는 자기저항 토크가 코어리스 전기자 코일에 통전되므로서 얻는 토크 최대치의 대략 2분의 1크기로 될만한 반경방향으로 뻗은 길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의 반경 방향으로 뻗은 단부(33a)는 최대 토크가 얻어지는 위치로부터 회전자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2분의 1 자극 이하의 각도 폭 만큼 나아간 위치에 위치되도록 당해 스테이터 요크를 배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의 반경 방향으로 뻗은 단부(33a)는 최대 토크가 얻어지는 위치로부터 회전자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4분의 1 자극의 각도 폭 만큼 나아간 위치에 위치되도록 당해 스테이터 요크를 배설하여서 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는 계자 마그넷의 자극폭과 같은 개각폭의 것으로 형성하여서 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는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여서 되는 디스크형 단상 브러시리스 팬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23)에 형성한 도려낸부(33)는 상호 짝수 자극폭 만큼 떨어진 위치에 2개소 이상 형성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KR2019860008796U 1986-02-19 1986-06-23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KR9000038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23420U JPS62135574U (ko) 1986-02-19 1986-02-19
JP??23420 198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975U KR870013975U (ko) 1987-09-11
KR900003897Y1 true KR900003897Y1 (ko) 1990-05-03

Family

ID=1211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796U KR900003897Y1 (ko) 1986-02-19 1986-06-23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94572A (ko)
JP (1) JPS62135574U (ko)
KR (1) KR900003897Y1 (ko)
DE (1) DE368143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017A (en) * 1987-09-28 1990-10-02 Akai Electric Co., Ltd. Stator for use in a brushless motor
GB8802601D0 (en) * 1988-02-05 1988-03-02 Johnson Electric Ind Mfg Brushless d c electric motor
US5075605A (en) * 1990-11-01 1991-12-24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Inner-rotor commutation device
RU2098908C1 (ru) * 1995-03-07 1997-12-10 Товари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ЭТРО-ФЭСТ" Вентиль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US6144135A (en) * 1998-11-12 2000-11-07 Ho; Jsewen Stator structure for a direct-current fan motor
US6439855B1 (en) 2001-02-12 2002-08-27 Siemens Automotive, Inc. Direct current electric motor which eliminates outer case and places brushes and chokes in space efficient locations
GB0112673D0 (en) * 2001-05-24 2001-07-18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Synchronisation of machine and load characteristics
US6911757B2 (en) * 2001-08-10 2005-06-28 Rotys Inc. Ring stator motor device
JP2007236136A (ja) * 2006-03-02 2007-09-13 Sumitomo Heavy Ind Ltd ピニオン一体型モータ
US8035325B2 (en) * 2006-08-21 2011-10-11 Seiko Epson Corporation Single-phase brushless motor
US20100303652A1 (en) * 2007-05-10 2010-12-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iniature heat-dissipating fan device
TW200844724A (en) * 2007-05-10 2008-11-16 Ind Tech Res Inst Miniature heat-dissipating fan device
TWM405677U (en) * 2011-01-14 2011-06-11 Lead Data Inc Brushless fan motor and positive airway pressure breat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21001850A1 (en) * 2019-07-01 2021-01-07 Sekhar A Chandra Super efficient dc fans (sedc luxury fa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3442B1 (ko) * 1968-04-30 1973-10-15
FR2257896B1 (ko) * 1974-01-15 1976-04-30 Crouzet Sa
DE2424290C2 (de) * 1974-05-18 1986-06-05 Papst-Motoren GmbH & Co KG, 7742 St Georgen Kollektorloser Gleichstrommotor mit ebenem Luftspalt
US4394594A (en) * 1975-07-24 1983-07-19 Papst-Motoren Kg Motor with a disk rotor
CH612736A5 (ko) * 1976-04-27 1979-08-15 Papst Motoren Kg
JPS6014677B2 (ja) * 1978-06-13 1985-04-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エブ切断機
JPS5571166A (en) * 1978-11-20 1980-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FR2515438A1 (fr) * 1981-10-23 1983-04-29 Etri Sa Moteur electrique muni d'un detecteur de position, son procede de montage et sous-ensemble pour un tel moteur
JPS58141667A (ja) * 1982-02-16 1983-08-23 Takahashi Yoshiteru デイスク型半導体モ−タ
JPS5932352A (ja) * 1982-08-16 1984-02-21 Hitachi Ltd 直流ブラシレスモ−タ
JPS60113643A (ja) * 1983-11-21 1985-06-20 Yoshiteru Takahashi 1個の位置検知素子を有するディ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US4668884A (en) * 1984-04-27 1987-05-26 Sanyo Electric Co Brushless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975U (ko) 1987-09-11
DE3681437D1 (de) 1991-10-17
JPS62135574U (ko) 1987-08-26
US4894572A (en) 199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833A (en) 1-phase self-starting brushless motor
EP0223093B1 (en) Brushless motor
US4891537A (en) 1-Phase energized disk-type brushless motor
KR900003897Y1 (ko)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KR920704398A (ko) 전자적 정류 dc 기기
JPH07213041A (ja) 単相ブラシレスモ−タ
US4724350A (en) 1-phase self 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 element
US4725752A (en) 1-phase self 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 element
KR970060640A (ko) 더블 스테이터 방식의 코어레스형 비엘디씨 모터
JPS5855747B2 (ja) ブラシレスチヨクリユウモ−タ
EP0263890B1 (en) 1-phase energized brushless motor
JPH02214455A (ja) 有鉄心型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KR900007269Y1 (ko) 브러시리스 팬 모터
KR900007273Y1 (ko) 팬 모터
KR900007271Y1 (ko) 브러시리스 팬모터
KR900007272Y1 (ko) 브러시리스 팬모터
EP0233326B1 (en) Disk-type brushless fan motor
JPH0240317Y2 (ko)
KR900003892Y1 (ko)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KR900005757B1 (ko) I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H0514713Y2 (ko)
JPH062466Y2 (ja) 位置検知素子1個の一相のディ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KR900005025Y1 (ko) 공 냉장치
JPH0753423Y2 (ja) 一相通電されるデイ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KR0150343B1 (ko)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