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25Y1 - 공 냉장치 - Google Patents

공 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25Y1
KR900005025Y1 KR2019860009646U KR860009646U KR900005025Y1 KR 900005025 Y1 KR900005025 Y1 KR 900005025Y1 KR 2019860009646 U KR2019860009646 U KR 2019860009646U KR 860009646 U KR860009646 U KR 860009646U KR 900005025 Y1 KR900005025 Y1 KR 900005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magnetic
field magnet
magne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01U (ko
Inventor
마나부 시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Priority to KR2019860009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025Y1/ko
Publication of KR880003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 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원등의 장치에 이용한 공냉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공냉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동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4도는 동 계자 마그넷과 스테이터 전기자와의 전개도.
제5도는 동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의 정격전압상태에서 사용했을 때의 토크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체 2 : 자상 연결부재
3 : 탭 4 : 나사
5 : 전기회로 구성부품 배설용기판 6 : 전기회로 구성품
7 : 공냉장치 8 : 투공
9 : 축수홀더 9a : 단부
10 : 스러스트 받침 11 : 오일리스메탈축수
12 : 회전축 13 : E링
14 : 계자 마그넷 15-1, 15-2 : 전기자코일
15a, 15a' :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
15b : 발생토크에 기여하지 않는 부체부
16 : 자전변환소자 17 : 스테이터전기자
18∼25 : 점선으로 둘러싼부
19-1, 19-2 : 자기저항 토크발생용자성체
26 : 안정점 27 : 자기저항 토크곡선
29 : 영점 29, 29' : 전기자 토크곡선
30 : 합성토크곡선 31∼34 : 트랜지스터
35, 36 : 접속점 37 : 플러스전원단자
38 : 접지 39-1, 39-2 : 출력단자
40 : 로터요크 41 : 팬
42 : 보오드 43 : 팬 브레이드
44 : 송풍출구 45 : 단부
46 : 캡 커버 47 : 투공
본 고안은 전원 OA 기기 기타 장치내의 전기회로등을 식히기 위한 공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원 OA 기기등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전기 회로등을 식히기 위하여 고가인 팬 모터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등에 있어서는 팬 모터를 내장함에 있어서 그 내장 공간 및 취부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매우 번잡하여 고가로 되는 결점이있다.
또 상기 팬 모터는 AC 타입과 DC 타입이 공지로 되어 있으나, 이들은 대체로 철심형태의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중량이 무겁고, 이것을 전원 등의 장치에 조립해 넣는데는 불리한 점이 많다.
또 전원에 있어서는, 그 내부 전기회로 구성부품을 배설한 전기회로 부품 배설용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의 전기회로 부품등을, 상기 팬 모터에 의해 냉각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기판에는, 전기회로 부품을 충분히 배설할 공간이 있는 외에, 다시 여분의 공간이 있다.
또 기판에 전기회로부품 이외의 여분 공간이 없을 때에도 큰 기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 기타 장치에 있어서는, 당초 그 장치의 내부를 식힐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설계한 경우에 있어서 뒤에 공냉장치를 필요하다고 판명된 경우, 시장판매 되는 것을 두껍고 큰 팬 모터를 사용할 수 없으나, 상기한 큰 기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팬 모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공냉장치를 전원등의 장치의 통체내에 합리적으로 내장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제2의 목적은, 공냉장치가 통체내에 조립함에 대단히 유리하며, 극히 경량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제3의 목적은 장치내에 설치되는 전기회로 구성부품을 배설한 전기회로 부품 배설기판을 공냉장치의 구성요소로 이용하여, 당에 공냉장치를 대단히 얇게 형성한다는 것과, 저렴가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냉장치의 조립을 극히 용이하게 한다는데 있고 본 고안의 요지는 주로 장치본체내의 전기회로 구성부품을 배설한 전기회로 부품배설용 기판에 전기자 코일을 배설하고, 이 전기자 코일에 직접 또는 기판을 통하여 N, S의 자극을 2P(P는 1이상의 자연수)개 갖는 계자 마그넷을 면대향 시켜서 회전자로 하고, 이 회전자에 팬을 취부함으로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을 통체에 조립한 경우에 있어서의 공냉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공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주로 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전원, OA 기기등 내부를 식힐 필요가 있는 장치의 통체로서 이 통체(1)에는자상 연결부재(2), 탭(3), 나사(4)에 의하여 전기회로 구성부품 배설용 기판(5)이 고정되어 있다.
이 기판(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순히 전기회로 구성부품(6)을 배설하기 위해서만 기능할 뿐만 아니라, 이 전기회로 구성부품(6)등을 식히기 위한 공냉장치(7)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기판(5)의 후술하는 코오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를 구성하는 부분과 대향한 부분을 제외하고 타의 공간면에는 제2도시와 같이 트랜지스터, 콘덴서, 저항 및 IC 등의 전기회로 구성부품(6)을 배설하고 있다.
기판(5)에는, 투공(8)이 형성되며, 이 투공(8)에는 축수홀더(9)가 장착되며, 단부(9a)를 기판(5)에 걸어 맞추어서 고정하고 있다.
단부(9a)이 개부구에는, 스러스트(Thurst)받침(10)을 장착하고 있다.
축수홀더(9)의 내주부에는, 오일리스메탈 축수(11)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12)은, 축수(11)에 의하여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있으며, 회전축(12)의 하단부에는, 빠짐방지 및 오일단절을 겸한 E링(13)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12)의 상단부에는, 재차 마그넷(14)을 고정하고 있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계자 마그넷(14)은, 플라스틱 마그넷에 의하여 형성되며, 플라스틱 마그넷을 원판항으로 몰드 형성할 때에 회전축(12)도 일체화하고, 이어서 제2도시와 같이 N극, S극의 자극이 교호로 약 45도 폭으로 형성되도록 8극의 것으로 착자 형성하고 있다.
계자 마그넷(14)와 대향한 기판(5)면에, 제2도 및 3도시와 같이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와 도체부(15a')와의 개각이 계자 마그넷(14)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이 권회 형성된 공심형의 전기자 코일(15-1, 15-2)을 2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180도 대칭으로 배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17)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자 코일(15-1, 15-2)의 둘레방향의 도체부(15b)는 발생 토크에 기여하지 않으므로서 이 도체부(15b)의 폭 분만큼의 반경이 작은 계자 마그넷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 계자 마그넷(14)은 8극의 것을 사용하므로써 전기자 코일(15-1, 15-2)은 발생 토크에 기여할 반경 방향의 도체부(15a)와 도체부(15a')와의 개각을 약 45도의 것으로 형성하면 180도 통전 방식의 효율이 우수한 1상 통전의 코어리스 편형 브러시리스 모터가 형성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건의 전기자 코일(15-1, 15-2)을 사용하고 있다.
위치검지소자로서 사용한 홀 소자나 홀 IC등의 자전 변환소자(16)는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또는 도체부(15a') 위에 배설하는 것이 더욱 위치적으로 적합하나, 이와 같이 하면, 이 소자(16) 폭분만큼 두께가 증가되므로, 계자 마그넷(14)와 전기자 코일(15-1, 15-2)와의 사시의 에어갭이 증대하고, 큰 회전토크를 얻을 수 없으며, 배설상 매우 번잡하여 양산에 부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16)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4도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전기자 코일(15-1)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와 대향한 점선으로 둘러싼부(18) 위치에 배설할 저전변환소자(16)를 생각한다면, 점선으로 둘러싼부(18)위치는 계자마그넷(14)의 N극(14a)의 대체로 중간부 위치와 대향하고 있어서, 이러한 점선으로 둘러싼부(19-21)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점선으로 둘러싼부(20) 위치는, 전기자 코일(15-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와 대향하므로, 이 위치(20)에는 상기와 같이 자전변환소자(16)를 배설할 수 없으나, 점선으로 둘러싼부(19, 21) 위치는 전기자 코일(15-1, 15-2)의 유효도체부(15a)(15a')도 대향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19위치에 대응한 기판(5)의 면에 자전변환소자(16)를 배설한 것이 제3도에 표시되고 있다.
또 전기자코일(15-1, 15-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와 대응한 점선으로 둘러싼부(22)(23)위치를 기준으로 고려하면, 계자 마그넷(14)의 S극(14d, 14f)의 대체로 중간부와 대향한 점선으로 둘러싼부(24, 25)위치에 해당하므로 이 (24, 25) 위치에 해당하는 기판(5)면에 자전변환소자(16)를 배설해도 된다.
기판(5)의 계자마그넷(14)와 면 대향한 위치에는,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접착하고 있다.
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19-1, 19-2) 대신, N극 또는 S극의 단극면을 계자 마그넷(14)축을 향한 자석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의 자석은 고 투자율 자성체는 아니지만, 편의상 여기서 말하는 자기저항 토크발생용자성체(19-1, 19-2)는 사점이 되는 위치에서(P는 계자 마그넷(14)의 극수)의 범위에서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설하면 된다.
이러한 위치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배설하면, 자기변환소자(16)가 1개의 1상 통전되는 코이리스 편형 브러시리스 모터라 할지라도, 1방향에 자기동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계자 마그넷(14)는 8극의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도, 즉, 사점이 되는 위치에는 22.5도의 범위내의 기판(5) 면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배설하면 된다.
이것을 전기자 코일(15-1, 15-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15a')를 기준으로 생각해 본다.
지금 전기자 코일(15-1, 15-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15a')를 계자 마그넷(14)의 N극과 S극의 중간부와 대향하고 있는 위치가 사점이 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지시 및 기 동시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를 피하게 되는 것과, 이러한 1상 통상되는 코어리스 펀평브러시리스 모터는 자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지시 및 기동시에 도체부(15a, 15a')가 계자 마그넷(14)와 N극과 S극과의 중간부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를 얻게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상기도체부(15a) 또는 / 및 도체부(15a')와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19-1) 또는 / 및 자성체(19-2)로 배설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1상 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자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동 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는, 상기도체부(15a) 또는 도체부(15a')에서도(P=8의 경우)의 범위내 또는 이러한 위치와 동상위치에 배설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자인 계자 마그넷(14)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15-1, 15-2)의 도체부(15a) 또는 도체부(15a')에서 회전방향을 향하여 앞의 위치, 즉, 반 화살표 A방향 위치에 상기범위조건에 의하여 정해진 범위내에서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배설하면 된다.
그러나,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상기위치에 달아 놓으면 된다는 것은 아니다.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배설하는데는, 최고효율이 1상 통전되는 편형 브러시리스 모터가 되도록 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는 전기자 코일(15-1, 15-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15a')에서,
단 PW:계자 마그넷(14)의 1자극당접의 폭, n:0, 1, 2, …의 정수폭 혹은 대체로 이 폭만큼, 계자 마그넷(14)의 회전 방향(화살표 A방향, 제3도 참조)를 향하여 앞 위치의 기판(5) 면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첩착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계자 마그넷(14)은 제2도에서와 같이 N, S의 자극이 교호로 된 8극의 원판상의 것을 사용하므로서, 계자 마그넷(14)의 1자극 당접의 폭 PW는 45도로 되어 있고, 제1자극당접의 폭 PW의 4분의 1 자극폭은 11.25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계자 마그넷(14)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는, 상기(1) 식에 있어서는 n은 0일 때 선택하면, 전기자 코일(15-1, 15-2)의 타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15a')에서 둘레방향으로 11.25도의 각도폭만 상기계자 마그넷)14)의 회선방향(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앞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1) 식에 의하면, 이러한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형성하는 위치는 달라도, 제3도를 참조하여 점선으로 둘러싼부 48 내지 52가 해당하므로, 이러한 위치 48 내지 52위치에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형성해도 좋다.
제3도에 표시한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 19-1 혹은 19-2 위치, 또는 점선으로 둘러싼부 48 내지 52의 모든 위치에,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또는 자성체(19-2)를 배설하면, 이 자성체(19-1) 또는 자성체(19-2)는 계자 마그넷(14)의 중심부에 흡입되어 예컨데, 자전변환소자(16)가 1개이어도, 계자 마그넷(14)은 자기동할 수 있는 위치로 흡인되어 즉 자전변환소자(16)가 사점을 검출하지 않는 위치에 계자 마그넷(14)이 정지하므로, 자전변환소자(16)는 예를 들면, 1개의 1상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형 브러시리스 모터이어도 자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대신에, 상기 위치에 계자 마그넷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을 형성하면, 이 자석 S극이 계자 마그넷(14)면에 향하고 있으면, 계자 마그넷(14)의 S극면과 대향하고 있을 때는 반발하고, N극과 S극의 경계부와 대향한 위치에서는 자석의 자기저항에 의하여 이 자석에 흡인되는 방향에 이용되고, N극과 대향할 때는 이 N극의 중심부와 흡인 대향하도록 계자 마그넷(14)을 흡인한다.
이와 같이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정지용 자속에 의하여 자기저항을 발생시켜, 예를 들면, 자전변환소자(16)가 1개 이어도 회전자를 자기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된다.
즉, 계자 마그넷(14)에 S극을 향한 상기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을 기판(5)면에 형성하면, 계자 마그넷(14)은 자기동할 수 있는 위치, 즉, 자전변환소자(16)가 사점을 검지하지 않는 위치에 정지하므로 자전변환소자(16)는 예컨대 1개이라 해도, 1상의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자기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1)에 의거 배설한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은, 통전시에 코어리스 펀평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기동할 수 있는 위치이다.
또 상기 (1)식에 의거한 위치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을 형성하면 되는 이유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최대 기동 토크가 발생하는 것은, 전기지 코일(15)의 일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또는 타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는 계자 마그넷(14)의 N극 (또는 S극)의 중심부와 대향하고 있을 때, 타방의 도체부(15a')(또는 도체부(15a))는 계자 마그넷(14)의 S극 (또는 N극)의 중심부와 대향하고 있을 때이다.
즉 최대기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은,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을 상기 전기자 코일(1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또는 도체부(15a')와 대향한 위치에 배설하면 좋게 된다.
그러나, 위치에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속을 형성하여 당해 코허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의 기동시에 미리 최대기동 토크를 작동하도록 하면, 당해 모터의 기동시의 로스로, 최고효율의 것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계자 마그넷(14)이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최대로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도록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15a')에서 상기(1)식의 조건만 앞 위치에 코킹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 식(1)의 위치는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자석이 계자 마그넷(14)의 N극 또는 S극의 자극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고, 계자 마그넷(14)의 정지위치를 항상 최고의 기동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이다.
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 또는 계자 마그넷 설정위치 정지용 자석은 계자 마그넷(14)의 자극 중심에서, 항상 정지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기동될 크기, 자력의 강도의 것을 적의 선택하면 편리하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180도 대칭으로 2개의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형성한 것은, 보다 한층 회전자의 자기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자성체(19-1) 또는 자성체(19-2)는 그 중 1개를 사용해도 고안의 목적을 달성된다.
또 기판(5)면에,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19-1) 또는 자성체(19-2)를 형성하는 것은, 본래는 바람직하지 않은 자기저항 발생의 원인이되나, 이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반대로 자성체(19-1, 19-2)에 의한 자기저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연속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위치검지(자전변환)소자는 1개이어도 충족되며 저렴함 1상 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한 냉각장치를 얻는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제5도는 당해 모터를 정격전압 상태에서 사용했을 때의 토크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제5도의 토크곡선과 같이 계자 마그넷(14)의 위치와 자기저항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면, 안정점(26)에서는 자기저항 토크 곡선(27)이 우상방향에 영점(28)을 끊고 있다.
이 영점(28)은, 소위 사점이며, 영점(28)과 안정점(26)과는 계자 마그넷(14)의 4분의 1의 1자극, 즉 11.25도 떨어져 있다.
상기 안정점(26)은 1회전 중에 전부로서 8개소 나타낸다.
안정점(26)과 안정점(26)과의 사이에는 토크 영의 영점(28)이 있으나, 이 영점(28)은 소위 사점이고, 본 고안에서는 이점에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하도록 하여 토크가 영이 되지 않도록 하여져 있어 불안정점으로 되어 있고 약간의 외력으로 계자 마그넷(14)이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8극의 계자 마그넷과 자성체로 된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19-1, 19-2)를 위하여 자기저항 토크 곡선(27)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전기자 코일(15-1, 15-2)에 전류가 흘렀을 때의 전기자 토크와 회전각의 관계는 부호 29, 29'에서와 같이 전기자 토크곡선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자기저항 토크곡선(27)의 영점인 안정점(26)보다도 적은 우측(CW방향)에 있다.
자전변환소자(16)와 후술하는 통전제어회로에 의한 전류작용이 가해지면, 전기자 토크곡선(29, 29')의 2분의 1이 되므로 자기저항 토크곡선(27)과의 합성을 취하면, 부호 30에 표시한 합성토크 곡선을 얻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사점이 없어져 안정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영점(28)의 위치의 자기저항 토크는 전기자 토크의 2분의 1로 되어 있어서 합성토크 곡선(30)은 극히 원활한 파형곡선이 되므로, 계자 마그넷(14)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성능이 우수한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8극의 계자 마그넷(14), 2코일(15-1, 15-2) 1상 왕복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어서의 계자 마그넷(14)과 전기자 코일(15-1, 15-2)과의 전개도이다.
전기자코일(15-1, 15-2)이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 15a')는, 각각 기계각으로 180도의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전기자 코일(15-1)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의 타방단자와 전기자 코일(15-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의 일방 단자는 통전 제어회로 내의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와의 접소점(35)에 접속되어, 전기자 코일(15-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15a')의 타방 단자는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34)의 콜렉터와의 접속점(36)이 접속되어 있다.
통전제어회로는 1상의 왕복통전 제어회로로 형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31, 33)의 에미터는 각각 플러스전원단자(37)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32, 34)의 에미터는 각각 접지(38)에 접속되어 있다.
자전변환소자(16)의 출력단자(39-1)는 통전제어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31, 34)의 베이스측에, 출력 단자(39-2)는 트랜지스터(32, 34)의 베이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자전변환소자(16)는 계자 마그넷(14)의 N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39-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1, 34)를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15-1, 15-2)에는 화살표 방향의 전류를 흘러서 화살표 A방향의 회전력을 얻게 된다.
자전변환소자(16)는, 계자 마그넷(14)의 S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39-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2, 33)가 도통하고, 전기자코일(15-1, 15-2)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흘러, 화살표 A방향의 회전력을 얻을 수가 있다.
계자 마그넷(14)의 상부에는, 자성체판으로 된 로터요크(40)가 첩착 고정되어 있다.
이 로터 요크(40)의 상부에는, 팬(41)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팬(41)은, 수지로 일체 형성한 것이고, 보오드(42)의 상면에 1방향 외주에 바람을 송풍하기 위한 팬 브레이드(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팬(41)을 갖는 1상 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는, 송풍출구(44)를 외주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기판(5)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단부(45)를 하단부에 연장 형성한 캡형 커버(46)를 씌워서 단부(45)에 형성한 투공(47) 및 기판에 형성하여 투공(48)을 일치시켜 도시없는 나사로 상기 캡커버(46)를 나착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자 마그넷(14)으로서 8극의 것을 사용, 2개의 전기자 코일을 사용한 예를 표시했으나, 계자 마그넷 2P(P는 1이상의 임의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전기자 코일도 2개에 한하지 않고, 1개 이상이어도 좋고 2개의 전기자 코일과 같은 회전 토크를 발생할 수 있도록 1개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는 타의 자극까지 연장형성된 형상의 1코일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전기자 코일은 상기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도넛상의 공심전기자 코일을 이용해도 좋다.
또 계자 마그넷도 일체로 형성된 것은 아니고, 복수의 세그먼트로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전기자 코일의 개각과 일치하는 계자 마그넷 세그먼트를 사용, 형성한 것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 전기자 코일 혹은 계자 마그넷의 자극이 스큐우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모든 것은 본 고안의 청구의 취지에서 볼 때, 이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 적합한 크기 또는 흡입력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 자기저항 토크발생용 자성체로서 철부재등의 자성체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했으나, 자기저항 토크 발생부재로서 자석을 사용해도 무방하다(이 경우에 있어서 자석은, 자기저항 토크발생부재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 자석도 자기저항 토크발생부재와 동일한 동일기능을 가지므로 이것도 자기저항 토크발생부재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위치검지소자로서 자전교환소자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소자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위치검지소자로서, 위치검지 코일을 사용해도 된다.
이 위치검지 코일의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을 형성할 도선과 같이 동시에 바이파일터(bifilar) 권취하여 형성해도 된다.
전기자 코일의 내주, 또는 외주, 혹은 전기자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전기자코일과 동상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먼저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펜 모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냉각장치를 전원등의 장치 통체내에 합리적으로 내장할 수 있고, 둘째는, 본 고안의 공냉장치는 통체내에 조립하여 넣는데 그 형체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 통체를 갖는 장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나, 장치를 대형화, 고가, 중량증가등이 전혀 없이 오히려 소형, 경량 및 저렴가의 장치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장치 본체내의 전기회로 구성 부품(6)을 배설한 전기회로 구성부품 배설용 기판(5)에, 전기자 코일(15-1, 15-2)을 배설하고, 이 전기자 코일에 직접 또는 기판을 통하여 N, S의 자극을 2P(P는 1이상의 자연수)개 갖는 계자 마그넷(14)을 면대향 시켜서 회전자로 하고, 이 회전자에 송풍할 수 있는 팬(41)를 취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팬(41)은, 보오드(42) 상면 둘레에는 측방으로 송풍되게 일방향으로 휘어진 다수개의 팬 브레이드(4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회로부품 배설용 기판(5)은, 장치 본체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팬(41)부는 소정방향에 공냉 송풍출구(44)를 갖는 캡 커버(46)를 팬(41)에 씌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자 코일(15-1, 15-2)과 계자 마그넷(14)등으로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를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하여 자기동 할 수 있도록 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하여 자기동 할 수 있도록 된 1상 통전되는 코어리스 편평 브러시리스 모터는 사점이 되는 위치에서(P는 계자 마그넷의 자극수)의 범위 내에서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장치.
KR2019860009646U 1986-07-05 1986-07-05 공 냉장치 KR900005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646U KR900005025Y1 (ko) 1986-07-05 1986-07-05 공 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646U KR900005025Y1 (ko) 1986-07-05 1986-07-05 공 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1U KR880003501U (ko) 1988-04-13
KR900005025Y1 true KR900005025Y1 (ko) 1990-06-05

Family

ID=1925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646U KR900005025Y1 (ko) 1986-07-05 1986-07-05 공 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0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1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833A (en) 1-phase self-starting brushless motor
US4804873A (en) Unidirectional brushless motor
USRE37261E1 (en) Axially compact small fan
EP0161032B1 (en) Electric motor
US5097170A (en) Brushless d.c. electric motor
US6608411B2 (en) Direct current brushless motor
KR900003897Y1 (ko)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JP2005137036A (ja) 軸方向空隙型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KR900005025Y1 (ko) 공 냉장치
JP2000050604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軸流ファンモータ
JPH02214455A (ja) 有鉄心型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JPH048154A (ja) 有鉄心形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KR900007269Y1 (ko) 브러시리스 팬 모터
EP0263890B1 (en) 1-phase energized brushless motor
KR900007273Y1 (ko) 팬 모터
KR900007271Y1 (ko) 브러시리스 팬모터
KR900007272Y1 (ko) 브러시리스 팬모터
JPS60113646A (ja) 1個の位置検知素子を有するディ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KR0150343B1 (ko)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
JPH058391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S61189159A (ja) 直流ブラシレスモ−タ
KR900003893Y1 (ko) 유철심형 브러시리스 모터
KR900001849Y1 (ko) 축류(軸流) 팬
KR900005028Y1 (ko) 위치검지소자 1개, 1코일, 2극의 마그넷로터를 갖는 원통상의 브라시리스 모터
KR900005029Y1 (ko)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