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90Y1 -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90Y1
KR900003890Y1 KR2019860009031D KR8609031D KR900003890Y1 KR 900003890 Y1 KR900003890 Y1 KR 900003890Y1 KR 2019860009031 D KR2019860009031 D KR 2019860009031D KR 8609031 D KR8609031 D KR 8609031D KR 900003890 Y1 KR900003890 Y1 KR 900003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rushless motor
phase
armature coil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031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시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Priority to KR2019860009031D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90Y1/ko

Links

Landscapes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로서의 구동회로.
제2도는 종래의 구동회로.
제3도는 본 고안을 적용코자 하는 1예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케이스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팬이 달린 캡체의 사시도.
제6도는 6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의 2개의 전기자 코일로 된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7도는 6극의 원환상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 제7도의 6극의 계자 마그넷 전개도.
제9도는 4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하는 스테이터 전기자를 형성할 전기자코일의 평면도.
제10도는 4극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11도는 4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할 경우의 2개의 전기자 코일로 된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전기자 코일의 확대한 평면도.
제13도는 제9도 및 제11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 4극의 계자 마그넷과의 전개도.
제14도는 8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할 스테이터 전기자를 형성한 전기자코일의 평면도.
제15도는 8극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16도는 8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할 경우의 2개의 전기자코일로 된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17도는 제4도 및 제16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 8극의 계자 마그넷과의 전개도.
제18도는 제14도의 전기자 코일의 확대한 평면도.
제19도는 종래의 전기자 코일 1개, 위치검지소자 1개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왕복 통전용 구동회로도.
제20도는 구동회로의 타이밍 챠아트.
제21도 및 제22도는 제19도의 구동회로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대책을 표시한 회로의 설명도.
제23도는 종래의 제19도의 구동회로의 결점을 해결한 본 고안의 실시예 2로서의 구동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M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Q1,Q8: 트랜지스터
R7: 에미터 저항 1 : 자전변환소자(위치검지소자)
2 : 정측전원단자 3 : 접지단자
4 : 트랜지스터 브릿지 5,5',5",6,6',45,45' : 전기자코일
5a-1, 5a-2, 5'a-1, 5'a-2, 5"a-1, 5"a-2, 6a-1, 6a-2, 6'a-1, 6"a-1, 6"-2, 45a-1~45a-4, 45'a-1,~45'a-4 :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
24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각형 케이스
18 : 회전축 21 : 에어통과공
22 : 스테이 24 : 프린트기판
25-1,25-1 : 자성체로 된 나사 27 : 스테이터 전기자
28 : 팬이 달린 캡체 29 : 팬
30 : 로터요크 31,31'31" : 계자 마그넷
52,52',53 : 구동회로
본 고안은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무기 등 여러 가지 장치가 출현됨에 따라 이에 적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요구하게 되었는바, 이러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는, 적용될 장치에 의하여는 극히 저렴가로, 또 소형으로 또 극히 편평한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이 조건을 만족케하는 것은, 전기자 코일이 3개로서, 또 위치검지소자가 1개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팬모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는, 마그넷 회전가(계자 마그넷)를 소정범위에 걸쳐 회동하게 할 수는 있으나, 연속적으로 회전시킬수는 없기 때문에 디스크형 브러시리스는 팬 모터를 구성할 수는 없다.
여기서 전기자 코일 2개를 스테이터 전기자로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있어서는, 위치검지소자를 2개 필요 하였다.
여기서 위치검지소자로써는, 홀소자나, 홀 IC등의 자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위치검지소자는 고가이기 때문에, 될 수있다면 1개로 하는 것이 저렴하고 또 소형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양산할수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치검지소자가 1개이면 상기 전기자 코일이 1개일 경우 같이 모터 기동시에 있어서 그 소자가 계자마그넷(마그넷 회전자)의 N극과 S극과의 경계부, 즉 디드포인트를 검출하고있는 상태를 없게하여 항상 마그넷 회전자를 정지시 자기저항을 발생하므로서 기동할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여 정지하도록 구성한 저렴가로 유용한 위치검지소자 1개의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면 저렴가인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얻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위치검지소자 1개, 전기자코일 2개의 2P(P는 2이상의 정의 정수)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 자기저항 토크를 얻어 자기동 할 수 있는 1상 통전하는 브러시리스모터, 특히 1상 통전하는 브러시리스 팬 모터로서는 제2도에 표시한 구동회로를 사용하였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부품수를 적게 유용할 수 있는 것이다.
1은 위치검지소자로써 사용한 4단자 홀소자, 2는 정측 전원단자, 3은 접지단자, 4는 트랜지스터 브릿지, Q1-Q6는 트랜지스터, R1-R6는 저항, 5,6은 전기자코일로써, C는 콘덴서, D는 다이오드이다.
4단자 홀소자(1)의 일방전원단자(7)는, 저항(R2)를 통하여 다이오드(D)의 케소드에 접속되고 에노드는 정측 전원단자(2)에 접속되어있다.
4단자 홀 소자(1)의 타방전원단자(8)는 접지단자(3)에 접속되어 있다.
4단자 홀소자(1)의 일방 출력단자(9)는 PNP형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을 통하여 접지단자(3)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저항(R3)의 접속점(10)은, 트랜지스터 브릿지(4)의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어있다.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PNP형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접속 됨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하여 다이오드(D)의 케소드에 접속되어있다.
4단자홀 소자(1)의 타방 출력단자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4)을 통하여 접지단자(3)에 접속되어있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저항(R3)과의 접속단자를, 트랜지스터 브릿지(4)의 최종단의 NPN형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어있다.
트랜지스터 브릿지(4)는, 트랜지스터(Q3-Q6), 저항(R5,R6), 전기자코일(5,6), 콘덴서(C)로 된다.
전기자코일(5,6)은 동상위치에있고, 직렬접속되어 있다.
콘덴서(C)는 있어도 없어도 좋으나, 어떤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의미에서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트랜지스터 브릿지(4)는 PNP형 트랜지스터(Q3) 및 NPN형 트랜지스터(Q6)가 도통할 전기자 코일(5,6)에 소정방향의 통전이 이루어지고, PNP형 트랜지스터(Q4), NPN형 트랜지스터(Q5)를 도통하면 전기자코일(5,6)에는 상기와 반대의 소정방향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이 트랜지스터 브릿지(4)는, 트랜지스터(Q3,Q6)가 도통하고 있을때에는, 트랜지스터(Q4,Q5)를 불도통하고, 그반대의 경우에는 상사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있다.
트랜지스터(Q3,Q4)의 에미터 끼리는 공통접속되고 저항(R2,R1) 및 다이오드(D)의 케소드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전기자 코일(5,6)의 직렬회로와 콘덴서(C)와의 병렬회로의 일방 접속점에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전기자 코일(5,6)의 직렬 회로와 콘덴서(C)와의 병렬회로의 타방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 접속되어있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저항(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는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되어있다.
트랜지스터(Q5,Q6)의 에미터는 공통되며 접지단자(3)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2도에 표시한 구동회로는, 부품수도 적고 저렴하므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사용해도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회로를 예를 들면 제3도 이후에 표시한 코어리스타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사용한 경우에는, 풍음 이외에 큰 전기자 코일의 통전 절환음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배경에 의거 창안한 것으로, 약간의 저항1개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이렇게 구동회로를 크게 할 필요없이 종래와 같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내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고가가 되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구동회로와 비교하여 소음이 나는 통전 절환음을 약 3분의 2정도 작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에 의하여 대부분 문제가 되지않는 통전 절환음으로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제2도의 구동회로의 트랜지스터(Q5,Q6) 서로의 에미터를 접속하고 이 접속점과 접지단자(3) 사이에 에미터저항(R7)을 접속하므로써 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구동회로를 적용하여 유용한 코어리스 타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여 유용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예를 제3도 내지 제18도를 인용 설명한후 제1도 및 제19도 이후에 사용한 본 고안의 구동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위치검지소자 1개, 전기자코일 2개, 6극의 계자 마그넷을 갖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로써 이 제3도는 제6도의 X-X' 선을 종단면한 도면으로 되어있다.
부호11은 공간부로써, 이 공간부(11)을 이용하여, 구동회로용 전기부품(12,13)을 조립하도록 하고, 양산공정을 간단히 하며, 저렴가로 성능이 우수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을 얻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측 방향에 편평한 예를들면 자성체로 형성된 캡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개각 케이스(14)(제4도참조)는 중심투공(15)을 가지며, 이 투공(15)의 내주부는 상방향에 연출한 돌출제(14a)를 갖는다.
이 투공(15)의 내주부 상하 양단구부에는 베아링 축수(16,17)가 형성되어있다.
이 축수(16,17)에 의하여,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본체의 대체로 중심부에 회전축(18)이 회동자재로 축지되어 있다.
회전축(18)의 하부에는 타짐방지용 E링(19)이 장착되어있다.
부호 20은 케이스(14)의 부(제4도 참조), 21은 케이스(14)의 저부에 형성되는 에어 통과공, 22는 스테이, 23-1,23-2는 각각 플러스 전원 코오드, 마이너스 전원 코오드이다.
14b는 캡체(14)에 형성된 비자성체로 된 지주이고, 180도 대칭 위치에도 도시하지 않은 지주(14b)가 형성되어있다.
이 지주(14b)의 정상부에는, 프린트기판(24)이 자성체로 된 나사(25)에 의하여 고정되어있다.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는 스테이터 요크를 형성하면, 강한 계자가 얻어지게 되나, 후술하는 자전 변환소자(1)에서의 출력이 방형파로 되며, 전기자 코일(5,6)에 방형파의 통전이 이루어짐으로, 통전의 절환이 급하기 때문에 청감상 큰 회전음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스테이터 요크를 사용치않고 프린트기판(24)만을 사용 자전변환소자(1)의 출력을 발생하여 사인파로하고, 전기자 코일(5,6)에 사인파 통전을 하여 큰 회전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져 있다.
스테이터 요크가 없기 때문에 가한 자속이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전기자 코일(5,6)의 권선 사양을 바꾼 결과 통전전류가 낮게 또는 회전수를 높인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를 얻었다.
또 스테이터 요크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저렴하고 조립도 용이하여 저렴가인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를 얻을 수 있다.
프린트기관(24)위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전기자 코일(5,6)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하고 있다.
이 두개의 전기자 코일(5,6)에 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27)을 형성하고 있다.
이 스테이터 전기자(27)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축방향에 편평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팬이 달린 캡체(28)와 면대향하고 있다.
29는 팬이 달린 캡체(28)의 외주부에 이 캡체(28)와 일체로 형성된 팬이다.
상기 캡체(28)의 내면, 대체로 중심부에는 보스부(26)(제3도참조)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26)에 회전축(18)의 상단부가 고정 설치되어있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캡체(28)의 내면부에는 원환상의 로터요크(30)가 고정되어있다.
로터요크(30)의 하면에는 제7도에서와 같은 N,S의 자극을 교호로 된 원환상의 5극 계자 마그넷(31)을 고정설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27)에 먼대향 시키고 있다.
프린트기판(24)의 계자 마그넷(31)과 면대향한 면에 제6도에서와같이 발생로크에 기여할 반경 방향의 도체부(5a-1)와 도체부(5a-2), 도체부(6a-1)와 도체부(6a-2)와의 개각이 계자 마그넷(31)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이 권회 형성된 전기자코일(5,6)을 두 개 서로 중첩하지않도록 상기한 바와같이 180도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프린트기판(24)의 상기 전자코일(5,6)과 대항하지않은 부분의 하면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구동회로용의 전기부품(13,12)(트랜지스터, 저항)등을 배설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자코일(5,6)의 외주방향의 도체부(5b,6b)는 발생 토크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도체부(5b,6b)의 폭만큼 반경이 작은 계자 마그넷(31)을 사용해도 무방하게 된다.
또, 계자 마그넷(31)은 6극의 것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기자 코일(5,6)은 발생토크에 기여할 반경방향의 도체부(5a-1), 도체부(5a-2), 도체부(6a-1), 도체부(6a-2)와의 개각을 60도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위치검지소자로서의 홀 소자나 홀 IC등을 자전변환소자(1)는 위치적으로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 5a-2, 6a-1) 또는 도체부(6a-2)위에 배설하면 좋을 것이나, 이와같이 하면 이 소자(1)만큼의 두께가 증가하므로 계자 마그넷(31)과 전기자코일(5,6)과의 사이에 에어캡이 커져서 큰 토크를 얻을수없고 배설상 대단히 복잡하여 양산에 접합치않다.
따라서 후술에서와 같이 자전변환소자(1)는 전기자 코일(5,6)의 일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와 균등조건에 있는 프린트기판(24)의 상면부에 배설하고 있다.
제6도를 참조하여 2개의 전기자코일(5,6)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한 것은 회전 균형을 맞추어 회전 진동을 작게하기 위한 이유이다.
상기 나사(25-1,25-2)는 계자 마그넷(31)의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제7도참조)을 향하여 전기자코일(5,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6a-2)에서 대체로 4분의 1자극 폭(15)도 만큼 앞의 프린트기판(24) 부와 대향한 지주(14b)에 나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이 위치에 자성체로 된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나사(25-1,25-2)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같이 이 나사(25-1,25-2)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24)를 지주(14b)의 정상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나사(25-1,25-2)의 나착 가감에 의하여 자기저항력의 가감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나사(25-1,25-2)에 의하여 자기저항을 발생시켜, 예를들면, 자전변환소자(1)가 1개 이어도 계자 마그넷(31)을 자기동 가능케 하고 있다.
즉 나사(25-1,25-2)에 의한 자성체로 된 돌기를 프린트기판(24)위에 형성하는 것으로 마그넷 회전자가 상기 돌기(나사 25-1,25-2)에 붙혀져 당해 계자 마그넷(31)이 자기동 할수있도록 위치, 즉 모터기동시에 있어서, 자전변환소자(1)가 디드포인트를 검지하지않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한 위치 돌기(나사 25-1,25-2)를 형성하는 것으로 자전변환소자(1)가 예컨대 1개 이어도, 2코일 1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를 자기동 할수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나사(25-1,25-2)의 위치를 다시 제6도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전기자 코일(5,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2)의 점선으로 표시한 중심선(32)에서 마그넷(31)의 약 4분의 1의 자극폭, 즉 약15정도 개도한 만큼, 전기자코일(5,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2,6a-2)에서 회전(화살표 A)방향에 대하여 그 앞위치에 상기 나사(25-a,25-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사(25-1)와 나사(25-2)와는 180도 대칭한 프린트기판(1)의 위치에 형성하여 보다 한층 회전자의 자기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나사(25-1,25-2)는 1개 이어도 목적을 달성한다.
또 상기와 같은 조건위치, 즉 전기자 코일(5) 또는 / 및 전기자 코일(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6a-1)에서 회전(화살표 A)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4분의 1자극 만큼 앞 위치인 점선을 둘러싼부(33) 또는/ 및 점선을 둘러싼부(34)위치에 상기 돌기를 형성할 나사(25-1,25-2)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나사(25-1,25-2)에 의한 자성체로 된 돌기를 상기 위치에 형성한 이유를 설명하면, 최대 기동토크가 발생하는 위치는 전기자코일(5,6)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 또는 도체부(5a-2,6a-1) 및 도체부(6a-2)의 위치이다.
따라서 이 위치에 상기 나사(25-1,25-2)를 형성하면 되나, 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기동시에 미리 최대기동 토크가 작동하게 하면 기동시의 로스와 최고 효율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계자 마그넷(31)이 적게라도 작동하면 최대 토크를 발생시킬수있으므로,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5a-2,6a-1,6a-2)에서 상기한 조건만큼 앞 위치에 나사(25-1,25-2)에 의한 자성체로 된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위치는 나사(25-1) 또는 나사(25-2)가 계자 마그넷(31)의 N극 또는 S극의 자극 중심에 위치하도록 계자 마그넷(31)의 정지위치를 항상 최상의 기동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이다.
또 나사(25-1,25-2)는 그 머리부가 계자 마그넷(31)의 자극 중심에서 항상 정지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기동할 수 있는 크고 강한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제8도는 6극, 2코일, 1상의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있어서의 계자마그넷(31)과 스테이터 전기자(27)와의 전개도이다.
전기자 코일(5)의 일방단자(35)와 전기자코일(6)의 타방단자(36)가 접속되며, 전기자코일(6)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의 단자(37)는, 구동회로(38) 내의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의 접속점(39)에 접속되어, 전기자 코일(6)의 일방단자(40)가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의 접속점(41)에 접속되어있다.
구동회로(38)는 1상의 왕복통전 제어회로에 형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Q3,Q4)의 에미터는 각기 프러스 전원단자(2)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Q6)의 에미터는 각각 접지단자(3)측에 접속되어있다.
자전변환 소자(1)의 출력단자(9)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어있다.
자전변환소자(1)의 출력단자(10)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자전변환소자는 계자마그넷(31)의 N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Q4)를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5,6)에는 상기와 반대방향의 전류가 흘러 소정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가 있다.
다음에 자전변환소자(1)의 배설 위치에 대하여 상술하면 자전변환 소자는 제5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전기자코일(5)(또는 6)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6a-1)(E또는 5a-2,6a-2)의 점선으로 둘러싼부(26)(또는 42-44)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위치적으로 바람직하나, 상기한 이유에서 점선으로 둘러싼부(26)(또는 42-44)위치에 배치할수 없다.
따라서 점선으로 둘러싼부(26)를 보면 자전변환소자(1)는 계자 마그넷(31)의 N극(31a)의 대체로 중간부와 대응하고 있으므로, 이와 균등관계에 있는 위치를 찾으면, N극(31c)의 대체로 중간 위치부인 점선으로 둘러싼부(44)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선 둘러싼부(44)에 대응한 프린트기판(24)위에 자전변환소자(1)를 배치하고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5,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6a-1)와 대향하지 않으므로 자전변환소자(1)의 배치가 용이하다.
또 이상 조건에 따라서, 자전변환소자(1)는 여러 가지 설계에 맞춘 적합한 목적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예에 있어서는 계자 마그넷(3)으로서 6극의 것을 사용해도 같이 위치 검지소자 1개, 2코일의 1상모터이면서도 자기동이 가능하고 저렴가로 소형의 것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여기서 전기자 코일은, 상기예에 있어서는 2개의 전기자코일(5,6)을 사용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전기자코일 1개에서도 상기와 같은 자기저항 발생 수단을 채용하면,당해 모터는 자기동하여 회전할수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전기자 코일이 1개의 경우에는, 큰 회전토크를 얻을수없기 때문에 지름이 8㎝-15㎝정도의 송풍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로서는 실용적이 아니라, 그러므로, 통상 전기자 코일을 최저 2개를 필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기자코일(5,6)을 2개 사용한 경우에는, 2개의 전기자 코일(5,6)을 바른 위치에 배설하지않았을 경우에는 회전균형이 나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로 될 염려가 있다. 또 전기자코일이 1개의 경우에 비교하여 전기자 코일 2개의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 1개 만큼 권선 공수가 높아짐으로 납땜 공정이 2회분만큼 증가한다(1개의 전기자 코일에서는 권시단자 및 권종단자의 2개 단자가 나와 있으므로, 이 2개의 단자를 프린트기판의 소정 개소에 납땜할 필요가 있음)로, 그만큼 양산에 번잡하여 단가도 높아지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로 되는 결점이었다.
그러므로, 다음에 의한 코어리스 타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조립한 기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도 유용함으로 이에 대하여 제9도 이후의 것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의 구조나 자기저항 발생 수단에 대하여는 상기한 예에서 기재한 것을 채용할 수있으므로, 중복하는 개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전기자코일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9도는 타 실시예에서의 스테이터 전기자를 구성하는 전기자 코일(45)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로, 제10도는 N,S의 자극을 교호로 된 4극의 계자 마그넷(31')에 사용, 적합하도록 평면에 있어서 평탄상체틀체 코일을 형성한 것이다.
이 전기자 코일(45)는 프린트기판(24)에 배설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4개의 계자 마그넷(31')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10도에서와같이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반경 방향의 도체부(5a-1)와 도체부(5a-2,6a-1)와 도체부(6a-2)등의 개각이 90도로 권회 형성된 2개의 전기자코일(5,6)을 180도로 대칭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 실시예의 전기자코일(45)은, 제11도에서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전기자코일(5',6')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전기자코일(5',6')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회전 토크가 발생할수 있도록 2개의 전기자코일(5',6')을 1개의 형상으로 한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전기자 코일(45)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이와같은 약간의 차이이지만 구성요소에 있어서 작은 모터에 있어서는 그 효과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구성요소가 적은 것으로한 모터의 출원건수는 매우 많은 것으로 되어있는 현실이다.
제9도에 표시한 전기자 코일(45)은, 경사도체부(45a-1~45a-4)가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로써, 외주방향의 도체부(45b-1,45b-2) 및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와 도체부(45a-2)사이, 도체부(45a-3)와 도체부(45a-4) 사이의 도체부(45b-3,45b-4)는 발생토크에 기여하지 않는 도체부이다.
또 이러한 형상의 전기자 코일(45)은, 권선기에 의하여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는 것이나, 수가 적어 수작업적으로 생산할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45)은, 권선기에 의하여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는 것이나, 수가적어 수작업적으로 생산할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45)을 구형틀상으로 권희 형성하고, 도체부(45b-3,45b-4)를 서로 상대향하는 방향에 밀어서 제9도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고정화 하면 된다.
제12도에 있어서는, 확대할 제9도의 전기자 코일(45)의 외주에 계자 마그넷(31')의 N극, S극의 자극과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S의 기호를 붙이고 있다.
이러한 기재에서 판명되는 바와같이 자기저항을 발생하는 나사(25-1,25-2)는 계자 마그넷(31')(제10도)의 회전방향(화살표 A)에 대하여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45a-3)에서 대체로 4분의 1자극(22.5도)앞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나사(25-1,25-2)를 배치할 균등조건 위치로서는, 점선으로 둘러싼부(46,47)이 해당됨으로 이러한 위치에 자성체로 된 나사(25-1,25-2)를 나착해도 좋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서의 전기자 코일(45)은,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 및 도체부(45a-2)를 갖는 일방 도체부(발생 토크에 기여하지않는 도체부(45b-3)도 포함하고있다)(45A) 및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2) 및 도체부(45a-4)를 갖는 타방 도체부(발생토크에 기여하지않는 도체부)(45b-4)도 포함하고 있다)(45B) 모두 180도 대칭한 N극과 S극과의 2개 자극과 대향할수 있는 형상으로 형상하고 있다.
또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과 도체부(45a-4) 및 도체부(45a-2)와 도체부(45a-3)와의 개각이 계자 마그넷(31')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1개의 전기자 코일(45)이어도 제11도에 표시한 종래의 2개의 전기자 코일(5',6')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회전토크를 발생시킬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기자코일(45)(또 후술하는 전기자 코일(45')도 같다)은 발생토크에 기여할 2개의 도체부(45a,45b)모두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르도록 계자 마그넷(31')의 N 및 S극의 2개 자극에 대향할 수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특징이있다.
또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전기자 코일(45)(후술하는 전기자 코일(45')에 대하여도같다)은 종래의 전기자코일(예를들면 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2개의 도체부(5'a-1,5'a-2)각각을 180도 대칭한 이 극으로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이 있는 전기자 코일(45)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용한 모터(FM)는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터(FM)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은, 계자 마그넷(31')이 4극 이므로(또 후술하는 8극의 계자마그넷 이어도 무방하다)로써, 계자 마그넷이 6극이거나, 10극 이상에서는 유용한 모터(FM')를 용이하게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그 이유는, 계자 마그넷이 10극 이상이면 불필요하게 발생하거나, 대단히 고가로 되는 결점이었기 때문이다.
또 계자마그넷이 6극의 경우에 대하여는, 적용코자 하는 전기자 코일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결점이었다.
제13도는 제9도(제12도) 및 제11도의 경우의 전기자 코일(5,6,45)와 제10도의 계자 마그넷(31')와의 전개도로써, 도체부(45a-1)는 전기자 코일(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에, 도체부(45a-4)는 전기자코일(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2)에, 도체부(45a-3)는 전기자코일(6')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1)에, 도체부(45a-2)는 전기자코일(6')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2)에 해당하는 것이다.
지금 전기자 코일(45)의 도체부(45a-1) 및 전기자 코일(5')의 도체부(5'a-1)에 예를들면 화살표 B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이 도체부(45a-1, 5'a-2)와 180도 대칭인 전기자코일(4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3) 및 전기자코일(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1)에도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음이 제13도에서 명백해진다.
상기 전기자코일(4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5a-1,45a-3) 및 전기자코일(5',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6a-1)는 모두 계자 마그넷(31')의 N극과 대향하고 있으므로, 이들 도체부에 의하여 소정방향의 회전토크를 발생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2개 전기자 코일(5',6')을 1개의 형성 용이한 형상의 전기자 코일(45)로 해도좋다.
이에 대하여 제7도에 표시한 6극의 계자 마그넷(31)를 사용하여, 2개의 전기자 코일(5,6)을 제6도에서와같이 180도 대칭으로 배치한 경우의 전개도는 제8도와 같다.
이 제8도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자 코일(5)의 일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는 계자 마그넷(31)의 N극과 대향하고있어 화살표 B방향의 전류가 흐르고있으나, 이 전기자 코일(5)의 일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와 180도 대칭인 전기자 코일(6)의 일방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1) 계자 마그넷(31)의 S극과 대향하고있어, 반 화살표 B 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6극의 계자 마그넷(31)을 사용한 경우에는, 2개의 전기자 코일(5,6)을 제2도에 표시한 전기자코일(45)와 같이 하여 1개의 전기자 코일로 하는 것은 용이하지않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전기자 코일은 상기와 같이 계자 마그넷(31')이 4극의 경우, 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8극의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 되어있다.
또 제12도에 있어서는, 자전변환소자(1)는 전기자 코일(4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의 하부위치의 프린트기판에 형성한 투공안에 배설하고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제14도 이후를 참조하여 별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제15도에 표시한 8극의 계자 마그넷(31")을 사용한 경우에 스테이터 전기자를 구성하는 전기자코일(45')의 평면도이다.
이 전기자 코일(45')은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형상의 것에 형성한 것으로, 1개의 전기자 코일(45')이면서, 상기 전기자 코일(45)과 같이 제16도에 표시한 종래의 전기자코일(5")과 코일(6")과의 대체로 2개분의 회전토크를 발생할수있도록 된 것이나, 이와 같이 전기자코일(45')을 구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당해 전기자코일(45')가 스큐우상으로 형성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전기자 코일(45')가 스큐우상으로형성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전기자 코일(45')에의 통전이 원활하게 되는 결과, 마그넷(31")은 원활하게 회전할수있으므로, 회전음이 대단히 작아지는 이점이있다.
또 종래에 있어서는 8극의 계자 마그넷(31")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와 도체부(5"a-2,6"a-1)와 도체부(6"a-2)와의 개각이 45도의 부체꼴로 권회 형성된 2개의 전기자 코일(5",6")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예의 전기자 코일(45')은 1개의 형태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제14도에서와 같이 대단히 간단한 형상으로 되어있어서, 이 전기자 코일(45)이 상기예의 전기자 코일(45)와 같이 유용한 것은, 제17도의 전개도에서 명백하다.
즉, 전기자 코일(45')의 도체부(45'a-1) 및 도체부(45'a-2)를 갖는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는 전기자 코일(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 및 전기자 코일(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2)에 대하는 것으로, 도체부(45'a-4) 및 도체부(45'a-3)를 갖는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2,6"a-1)에 대응하는 것이다.
지금 제17도에 있어서 전개도를 참조하여, 전기자코일(45')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1) 및 전기자코일(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5"a-1)는 계자 마그넷(31")의 N극과 대향하고 있을 때, 180도 대칭한 전기자 코일(4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3) 및 전기자 코일(6")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6"a-1)도 계자 마그넷(31")의 N극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동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소정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발생시킬수가 있다.
따라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형상의 전기자코일(45')의 경우에는, 6극의 계자 마그넷(31)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불합리점이 발생하지않고 유용한 모터(FM)를 달성할 수 있다.
제18도는 제14도의 확대도로써, 점선으로 둘러싼부(48-51)는 자기저항을 발생하기 위하여, 나사(25-1,25-2)를 나착함에 적합한 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또 이 제18도의 경우, 타에도 2개소만 자기저항을 발생시키는데 적합한 위치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전기자코일(45')와 중복되는 위치로 되어있고 그리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 대하여는 제18도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 상기 점선으로 둘러싼부(48-51)는 전기자코일(45')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5'a~45'a-4)에서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에 대하여 계자 마그넷(31")의 4분의 1자극앞의 위치에 해당하지않으나, 이 위치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위치이므로, 상기 점선으로 둘러싼부(48-51)위치에 나사(25-1,25-2)를 나착해도 좋은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디스크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의 구동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위치검지 소자로써 사용한 자전변환소자(1)가 1개, 전기자코일(5')와 전기자코일(6') 또는 전기자코일(5")와 전기자코일(6")의 제2개의 1상 통전되는 왕복통전의 구동회로(52)로서, 제2도의 구동회로의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를 접속하고 이 접속점(53)과 접지단자(3) 사이에 에미터저항(R7)을 접속한다.
자전변환소자(1)가 계자마그넷(31') 또는 계자 마그넷(31")의 N극을 검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1)가 온하면, 트랜지스터(Q6)가 온하고, 트랜지스터(Q3)가 온하여 전기자 코일(5') 및 전기자코일(6') 또는 전기자코일(5") 및 전기자코일(6")에는 화살표 B방향의 전류가 통전하여 소정방향의 회전토크를 발생하고 반대로 자전변환소자(1)가 계자 마그넷(31') 또는 계자마그넷(31")의 S극을 검출하므로써 발생하는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가 온하면, 트랜지스터(Q5)는 온 하고, 트랜지스터(Q4)가 온하여, 전기자코일(5') 및 전기자코일(6') 또는 전기자 코일(5") 및 전기자코일(6")에는 반 화살표 B방향의 전류가 통전된다.
상기 구동회로(52)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렴으로 또, 제2도의 구동회로에 비교하여 소음이 되는 통전절환음이 3분의 1로감소하고, 전체로서 종래 제2도의 구동회로의 것에 비하여 통전절환음이 3분의 2로 되어 대체로 문제가 되지않는 통전 절환음이 된다.
제19도는 종래의 타구동회로(53)를 표시하는 것으로, 위치검지소자로써 사용한 자전변환소자(1)가 1개, 전기자 코일(45) 또는 전기자코일(45')이 1개의 1상 통전되는 왕복통전의 구동회로(53)로, 자전변환소자(1)가 계자 마그넷(31')또는 계자 마그넷(31")의 N극을 검출하므로써 발생하는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6,Q3)가 온하여 전기자코일(45) 또는 전기자코일(45')에는 화살표 B방향의 전류가 통전되어 소정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발생하고 반대로 자전변환소자(1)는 계자 마그넷(31') 또는 계자 마그넷(31")의 S극을 검출하므로써 발생하는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가 온하면, 트랜지스터(Q)가 온 하고 트랜지스터(Q5,Q1)도 온하여 전기자코일(45) 또는 전기자 코일(45')에는 반 하살표 B방향의 전류가 통전된다.
R9-R17은 저항이다.
상기 구동회로(53)는 제2도의 구동회로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제19도 도시의 구동회로(53)에 대하여는, 트레지스터(Q1)또는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 파형이 제20a도의 타이밍 챠아트에서와 같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동을 위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또는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 파형은 제20b도와 같이 구형파로 되어있어서 전기자코일(45) 또는 전기자코일(45')에의 통전을 위한 절환스위칭의 온, 오프시에 당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는 청감으로 큰 회전음을 발생하는 결점이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제21도와 같이 최종판의 트레지스터(Q)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 콘덴서(C)를 넣거나, 제22도와 같이 최종단의 트렌지스터(Q)의 베이스 콜렉터 사이에 콘덴서(C)를 넣어서 파형을 일으켜, 스위칭을 평활하게 하여 상기 청감에서 큰 회전음을 작게하였다.
그러나, 이방법에서는 콘덴서(C)의 지연으로 통전의 위상이 지연되며 위치검출기(상기 자전변환소자 1등의 위치검지소자)의 위치를 벗어나지않으면 안되는 결점이었다.
이 경우, 위치검출기의 위치를 떼어놓으면, 이번에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펜 모터(FM의 기동시에 있어서, 회전각 닿는 것의 늦어짐이 적으므로 반대로 반 토크가 들어가, 상기한 자기저항을 사용하여 기동하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의 기동의 경우에는 안정점에서 기동하지않고, 효율이 불량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로 되는 결점이었다.
또 자기저항을 사용하여 기동시키는 자기저항 방식은, 상기에서 확인된바, 여기서 재차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 방식은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채용되고있는 방식이다.
1상 통전되는 팬 모터(FM)는, 디드 포인트가 있으므로 자기저항을 이용하여 당해 모터의 기동시에는 디드 포인트를 피할수 있는 위치점에, 당해 모터의 계자 마그넷을 안정시켜두는 방식으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에 사용하는 실시예 2로서의 구동회로(52')는 종래의 제19도에 표시한 구동회로(53)의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 되어있다.
또 외계의 온도 상승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하지 않도록 온도 보상을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의 실시예 2의 제23도의 구동회로(28)는 제19도의 종래 구동회로(53)에 대응한 것이다.
제23도의 구동회로(52')는 제19도의 구동회로(53)에 있어서, 전기자코일(45)또는 전기자코일(45')을 통전 구동하기 위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Q6)의 에미터와 접지단자(3)사이에 온도에 의하여 저항치가 가변하는 에미터 저항으로써 사용한 온도가변저항소자(서모어스터)(R7)을 넣어서 구성한다.
이와같이 하는 것으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Q6)의 콜렉터 파형을 제20c도와 같이 할수있으므로써 전기자 코일(45) 또는 전기자 코일(45')에는 원할하며 정상인 통전 절환이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스위칭에 의한 청감에서 큰 회전진동 소음이 발생하지않는 매우 작은 회전음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얻을수있게된다.
또, 온도가변 저항소자(R7)로서는, 직선상의 좋은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또 온도가변 저항소자(R7)로서 큰 저항치의 것만 입수할수없을 경우에는 (R'7)로 표시한 바와같이 이소자(R7)과 병렬로 1이상 적절한 값의 저항을 접속하면 된다.
또 상기 구동회로(52')에 있어서, 온도가변저항소자(R7)를 사용한 경우에 그 전압효과에 의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의 회전수의 저하가 걱정되나, 정상 회전중에있어서, 전기자 코일(45) 또는 전기자코일(45')의 역기전압에 의하여 전류가 감소하게 되므로 전압강하가 적어지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상기한 걱정은 해소된다.
또 모터기동시, 온도 가변소자(R7)에 의하여 전류가 제한됨으로, 당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회전이 천천히 입상하므로 기동시에 큰 회전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없고, 또 통전전류가 적으므로 전류 용량이 적은 전원으로 구성하는 특징이었다.
또 당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는 천천히 입상하므로 바람을 제어할 경우에 자연풍을 송풍할 수 있는 특징이있다.
또 상기 위치에 온도변화에 의하여 저항치를 변화하는 온도 가변저항 소자(R7)를 형성하여 있어, 외계의 온도가 상승하면 이 소자(R7)의 저항치가 떨어지고 그 결과 전기자 코일을 포함한 전체의 개인이 상승함으로 전기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많아져 당해 모터의 회전수는 상승한다.
즉 종래에 있어서, 외계의 온도상승으로 당해 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하는 현상을 방지할수가있다.
상기와같이 본 고안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는,
(1) 위치검지소자가 1개이어도 자기동할 수 있다.
(2) 위치검지소자가 1개, 전기자코일이 1개 또는 2개로 구성 부품이 적으므로 조립이 극히 용이하며 저렴하고, 소형으로서 고성능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양산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스테이터 요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스테이터 요크를 사용하지않고 구성한 경우에는 통전 전류를 적게 고속회전 할수있을뿐 아니라, 전기자코일의 통전 절환을 원활 하게 할수 있어서 이런 의미에서도 본 고안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높혀졌다) 또 저렴가로 양산할 수 있다.
(3) 코어리스 타입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경우에는, 당해 팬 모터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자기저항 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서 성능이 우수한 당해 팬 모터를 얻을 수 있다.
(4) 또 코어리스의 경우에는, 대단히 무게가 가벼운 것을 얻을수있다.
(5) 전기자코일이 1개의 경우에는, 위치맞춤의 곤란성이 없고, 전기자 코일을 바른 위치에 배설할수있어 회전 균형이 우수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6) 전기자 코일이 1개의 경우에도, 종래 2개 필요한 것과 같은 회전 토크를 얻을 수 있다.
(7) 전기자코일이 1개의 경우,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전기자 코일의 단자의 납땜 공수를 줄일수있어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다.
(8) 위치검지소자 및 전기자 코일이 1개 이어도, 더욱 적당한 위치에서 자기저항을 발생할수있어서 디드포인트를 없게하여 자기동할 수 있고, 또 안정한 회전을 할 수가있다.
(9) 스테이터 요크를 사용치않고, 전기자 코일에 사인파 통전을 하게 하면, 적은 전류로, 고속회전 시킬수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이 청감상 큰 회전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10) 종래의 구동회로에, 단순히 에미터저항 또는 온도 가변 저항소자를 부가한 간단한 구성으로 당해 종래의 팬 모터에 비교하여 대부분 문제가 되지않는 극히 적은 회전음(종래에 비교하여 3분의 2정도)의 유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저렴가로 얻을 수 있다.
(11) 당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회전 입상을 천천히 할수있으므로, 기동시의 통전 전류가 적은 것으로 족하며 저렴가인 전원용량이 적은 전원으로 구성하고 또 바람제어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12) 또 단순히 상기 위치에 온도가변 저항소자를 형성한 것만으로(필요에 따라 이 소자에 저항을 병렬 접속하면 편리하다). 상기 (10) 및 (11)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외계의 온도 상승에 의하나, 모터의 회전수를 저하시키지않고 끝낸다는 온도 보상이 이루어진다는 등의 실용효과가 매우 큰 고안이다.

Claims (17)

  1. 자기저항 토크를 얻어 자기등 할수있도록 된 위치검지소자 1개의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어서, 위치검지소자(1)로써 4단자 홀소자를 사용하고, 이 홀소자의 양 전원단자중 일방을 정측에 접속하고 타방을 접지측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3-Q6) 및 전기자 코일(5,5',5",6,6',6",45,45')로 되며, 정전원측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 및 접지측에 접속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가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에 소정방향의 통전을 하고, 정전원측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 및 접지측에 접속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가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에 소정방향의 통전을 하고, 정전원측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및 접지측에 접속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Q5)가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에 소정방향의 통전을 하고, 트랜지스터(Q3)과 트랜지스터(Q4)와의 접속단자를 정전원측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의 접속단자를 접지측에 접속하고있는 트랜지스터 브릿지(4)회로등을 가지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을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 브릿지 회로의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와의 접속점과 접지측과의 사이에 에미터 저항(R7)을 게재시킨 구동회로(12,12'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2. 제1항에있어서, 저항(R7)은 온도가변저항소자를 사용하고 전기자코일 통전 절환시에 있어서의 통전파형을 리니어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온도보상을 하도록 구동회로(52,52',5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Q4)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트랜지스터(Q5,Q6)는 NPN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4. 제1항에있어서, 구동회로(52,52'53)는 상기 홀소자의 일방전원단자를 저항(R2)을 통하여 정전원측에 접속하고, 타방의 전원단자를 접지측에 접속하며, 홀 소자의 일방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타방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끼리를 접속하고, 저항(R1)을 통하여 정전원측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는 각기 저항(R3,R4)을 통하여 접지측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3)와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끼리를 접속하여 정전원측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 끼리를 저항(R7)을 통하여 접지축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를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를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의 접속점과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사이에 전기자코일(5,5',5",6,6',6",45,45')과 콘덴서 (C)의 병렬회로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통상에있는 1이상의 전가지코일로된 스테이터 전기자(27)가 고정자로 되어있으며, N,S의 자극이 2P(P는 1이상의 정의 정수)개있는 계자마그넷(31,31',31")이 상기 고정자와 상대적 회동을 하는 회전자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 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동상 위치에 있는 1이상의 전기자 코일이 서로 중첩되지않도록 배치된 스테이터 전기자(27)가 고정자로되며, N,S의 자극이 2P(P는 2이상의 정의 정수)개 있는 계자마그넷(31,31',31")을 상기 고정자와 상대적 회동을 하는 회전자로 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7. 제6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코어리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모터.
  8. 제7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정, 역 모든 방향으로 회전해도 무방한 경우에는, 상기 자기저항 토크는 전기자 코일의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5a-1, 5a-2, 5'a-1, 5'a-2, 5"a-1, 5"a-2, 6a-1, 6a-2, 6'a-1, 6'a'-2, 6"a-1, 6"-2, 45a-1~45a-4, 45'a-1,~45'a-4)혹은 대체로 도체부 또는 이 도체부와 동상위치에서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9. 제7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1방향만 회전시킬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서, 회전방향을 향하여 상기 도체부 혹은 대체로 도체부에서 계자 마그넷(31,31',31")의 2분의 1자극폭 혹은 대체로 2분의 1자극폭만큼의 앞위치에서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모터.
  10. 제7항에있어서, 자기저항 토크는, 전기자 코일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 혹은 대체로 도체부에서 회전방향을 향하여 상기도체부에서 계자마그넷의 1자극폭의 4분의 1자극폭만큼의 앞 위치에서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1. 제6항 내지 제10항중 어느한 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모터는, 코어리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2. 제11항에있어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모터는, 코어리스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3. 제12항에있어서, 전기자 코일은,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의 개각이 계자 마그넷의 자극폭과 동일 혹은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4. 제12항에있어서, N,S자극이 교호로 된 4P(P는 1또는 2의 정수)극의 계자 마그넷(31")를 회전자로하고, 이 계자마그넷에 면대향하여 형성된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의 개각이 상기계자 마그넷의 자극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개각폭의 특형상의 것에 형성된 1개의 위치검지소자(1)로 구성된 디스크형 브리시리스모터에있어서, 상기 전기자코일(45,45')은 각기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가 180도 대칭인 이극에도 대향햐도록 연장 형성하고, 계자 마그넷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전기자코일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서 마그넷 회전자의 4분의1 또는 대체로 4분의 1자극폭 만큼의 앞 위치 또는 이 위치와 실질적을 균등한 한 위치에서 자기저항을 발생하여 디드포인트를 없애도록 구성한 자기저항 발생 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자 코일에 통전 구동하기 위한 최종단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전원 사이에 온도에 의하여 저항치가 변화하는 온도가변저항 소자(R7)를 형성하여 상기 통전이 절환시에 있어서 통전파형을 리니어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온도보상을 하도록 된 통전제어 회로(5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5. 제14항에있어서, 자기저항 발생 수단은, 전기자코일의 하면에 형성한 비자성체에 자성체로 된 나사(25-1,25-2)를 나착하는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6. 제15항에있어서, 나사(25-1,25-2)는 비자성체에 스테이터 전기자를 고정하기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17. 제16항에있어서, 브러시리스모터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모터 또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2019860009031D 1986-06-26 1986-06-26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900003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031D KR900003890Y1 (ko) 1986-06-26 1986-06-26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031D KR900003890Y1 (ko) 1986-06-26 1986-06-26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90Y1 true KR900003890Y1 (ko) 1990-05-03

Family

ID=1925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031D KR900003890Y1 (ko) 1986-06-26 1986-06-26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8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1537A (en) 1-Phase energized disk-type brushless motor
US4211963A (en) Brushless, permanent magnet d-c pulse current controlled, essentially uniform torque dynamo electric machine, particularly motor
JPS6223352A (ja) 一相通電されるブラシレスモ−タ
US4733119A (en) 1-Phase self-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producing element
GB2215527A (en) Stable start position for brushless D.C. electric motor
KR900003890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S5855747B2 (ja) ブラシレスチヨクリユウモ−タ
JPH062465Y2 (ja) 一方向にのみ回転するディスク型単相ブラシレスモ−タ
JPS6227621B2 (ko)
JPH01110085A (ja) モータ制御装置
JPS59122350A (ja) 半導体モ−タ
KR900003891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S6070947A (ja) 1個の位置検知素子を有するディ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JPS60113646A (ja) 1個の位置検知素子を有するディ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US20140340014A1 (en) Analog Three Phase Self Excited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JP2639521B2 (ja) 無集電子三相直流電動機
JPS60118045A (ja) 位置検知素子として磁電変換素子を使用しないブラシレスモ−タ
JPH0347439Y2 (ko)
JPH0753423Y2 (ja) 一相通電されるデイ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JPS60118049A (ja) ブラシレスモ−タ
JPS60141155A (ja) ブラシレスモ−タ
JPS60141156A (ja) 磁界内におかれたコイルの誘導出力を位置検知信号として駆動コイルを通電制御するブラシレスモ−タ
KR900007227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H087056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S6096169A (ja) 電機子コイル1個の1相通電されるデイスク型プラシレスフアンモ−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