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58B1 -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58B1
KR900003858B1 KR1019870012144A KR870012144A KR900003858B1 KR 900003858 B1 KR900003858 B1 KR 900003858B1 KR 1019870012144 A KR1019870012144 A KR 1019870012144A KR 870012144 A KR870012144 A KR 870012144A KR 900003858 B1 KR900003858 B1 KR 90000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arget
torque
accel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347A (ko
Inventor
마꼬또 시마다
타카시 도가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filed Critical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60W2720/106Longitudinal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moved only by an electric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본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 3 도는 본 장치의 작용을 표시한 그래프.
제 4 도는 목표토오크 연산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흡기통로 2 : 자동변속기
3 : 상류쪽흡기통로 4 : 드로틀밸브
5 : 전동모우터(작동기) 7 : 모우터위치센서
8 : 에어클리이너 9 : 에어플로우센서
10 : 흡기온도센서 11, 12 : 축
13 : 인젝터 14a : 가속기페달
14b : 가속기위치센서 15 : 엔진회전수센서
18 : 풀리기구 23 : O2센서
24 : 셀렉트스위치 25 : 점화코일
26 : 파우어트랜지스터 27 : 분배기
28 : 배기통로 29 : 셀렉트레버
E : 엔진 S1: 흡기계
본 발명은, 엔진(내연기관)흡기통로에 출력조정용의 드로틀벨브를 갖춘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흡기통로에 배설된 드로틀밸브와, 차실과 같은 차량의 조작실에 배설된 가속페달등의 인위적조작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드로틀밸브를 전동기등의 작동기로 구동할 수 있게하여, 이 작동기에 가속페달등의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에 의거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서, 드로틀밸브를 개폐제어할 수 있게한, 소위 드라이브 바이와이어(Drive By Wire)방식에 의해서 드로틀밸브를 제어하면서 차량용의 엔진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의 흡기통로에 개장된 드로틀밸브는, 가속페달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직결작동방식(메카니칼 링크방식)의 드로틀밸브 제어장치에서는, 와이어의 유동(遊動)에 의한 응답성의 악화, 와이어의 비틀림, 부식등에 의한 가속기페달피이링의 악화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 미국특허 4, 519, 36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드로틀바이와이어방식에 의해, 가속기위치를 입력신호로서 드로틀밸브를 구동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가속기페달과 드로틀밸브와의 관계가, 가속기페달의 답입량에 대응한 드로들밸브의 개방정도(1대1)의 대응으로 되어 있으며, 드라이버빌리티등을 향상시키는 일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가속기페달등의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상태(답입상태)에 따라 전동기등의 작동기로 드로틀밸브를 구동하여 드로틀밸브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드라이브 바이와이어방식에 있어서, 가속도가 여유토오크에 비례하는 일에 착안한 가속도의 예상제어를 행하므로서, 높은 정밀도로서 엔진제어를 실현하여 드라이버빌리티를 향상시키도록한,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이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도록 엔진의 흡기통로에 개장된 드로틀밸브와, 이 드로틀밸브를 구동하여, 그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작동기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인위적조작부재와, 이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량검출수단과, 이 조작량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입력되어 상기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대응한 목표가속도를 설정하는 목표가속도 설정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행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수단과,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수단과, 상기 목표가속도와 상기 주행가속도와 상기 출력토오크를 입력정보로해서, 소요의 함수관계로부터, 목표토오크를 구하는 목표토오크수단과,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로 결정되는 소망의 목표드로틀 개방정도를 설정하는 드로틀개방정도 설정수단과, 이 드로틀개방정도 설정수단으로부터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로 결정되는 목표드로틀 개방정도를 산출하여, 이 목표 드로틀개방정도가 되도록 상기 작동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에서는, 가속도가 엔진의 여유토오크에 비례하는 일에 착안하여, 드로틀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정을 함에 있어서, 목표가속도, 현재의 주행가속도, 현재의 출력토오크를 입력정보로해서, 소요의 관계식으로부터 목표토오크를 구하고, 이 목표토오크와 엔진회전수로 결정되는 목표드로틀 개방정도를 산출하여, 이 목표드로틀개방정도가 되도록 작동기에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가속도의예상제어를 행하므로서, 높은 정밀도로서, 엔진제어를 실현하여, 드라이버빌리티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제 2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변속기(2)를 갖춘 차량용엔진(예를들면 직렬 4기통엔진)E의 각 연소실에 연통하는 흡기통로(1)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기통에 연통하는 흡기통로(1)는, 흡기계S1를 구성하는 서어지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서어지탱크는, 상류쪽흡기통로(3)에 연통하고 있다.
상류쪽흡기통로(3)에는, 드로틀밸브(4)가 개장되어 있으며, 이 드로틀밸브(4)는, 축(11)(12)사이에 개장된 폴리기구(18)를 개재해서, 작동기로서의 전동모우터(5)에 의해서 그 개방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전동모우터(5)는, 모우터제어컴퓨터(6A)로부터의 전기제어신호를 받도록 결선되어 있으며, 전동모우터(5)에 의한 구동량은 모우터위치센서(7)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모우터위치센서(7)의 검출결과에 의해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간접적으로 드로틀밸브(4)의 개방정도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그 하이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RAM, ROM, 압출력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 상류쪽흡기통로(3)의 드로틀밸브(4)보다도 상류쪽에는 에어클리어너(8)가 개장되어 있으며, 이 에어클리어너(8)에는, 카르만소용돌이식 에어플로우센서(9)와 흡기온도센서(10)가 착설되어 있다.
또, 흡기통로(1)의 엔진연소실부근에는,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전자식연료분사밸브) (13)가 각기통마다 착설되어 있다. 즉, 이 엔진은, 멀티포인트연료분사방식의 엔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흡기계 S1는, 흡기통로(1), 서어지탱크, 상류쪽흡기통로(3), 드로틀밸브(4), 전동모우터(5), 모우터위치센서(7), 에어클러이너(8), 카르만소용돌이식 에어플로우센서(9), 흡기온도센서(10) 및 인젝터(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모우터제어컴퓨터(6A)외에, 각 인젝터(13)에의 연료공급량이나 점화코일(25)이 붙은 파우어트랜지스터(26)에의 온 오프타이밍(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연료, 점화시기제어컴퓨터(이하, 이것을 ECI 컴퓨터라함)(6B)가 착설되는 동시에, 자동변속기(2)의 변속단에 따라서 유압등의 제어를 행하는 변속기제어컴퓨터(이하, 이것을 ELC 컴퓨터라 함)(6C)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 컴퓨터(6A)(6B)(6C)에는, 모우터위치센서(7), 카르만소용돌이식 에어플로우센서(9), 흡기온도센서(10), 가속기페달 답입량센서로서의 가속기위치센서(14b), 엔진회전수센서(15), 수온센서(16), 차속센서(17), 대기압센서(19), 축전지전압센서(20), 크랭킹센서(21), 에어콘스위치(22), O2센서(23), 셀렉트스위치(24)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모우터위치센서(7)는 전동모우터(5)에 의한 구동량을 검출하여 드로틀 개방정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카르만소용돌이식 에어플로우센서(9)는 흡입공기량을 카르만소용돌이의 수로부터 검출하는 것이며, 흡기온도센서(10)는 흡기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가속기위치센서(14b)는 차량의 운전석 앞쪽에 착설된 인위적조작부로서의 가속기페달(14a)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것이며, 엔진회전수센서(15)는 분배기(27)로부터 크랭크각 신호를 산출하므로서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이며, 수온센서(16)는 엔진냉각수온을 검출하는 것이며, 차속센서(17)은 차속을 검출하는 것이며, 대기압센서(19)는 대기압을 검출하는 것이며, 축전지전압센서(20)는 축전지전압을 검출하는 것이며, 크랭킹센서(21)는 엔진시동시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며, 에어콘스위치(22)는 에어콘디셔너의 작동상태, 특히 온 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며,O2센서(23)는 배기통로(28)내에있어서 배기가스속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셀렉트스위치(24)는 셀렉트레버(29)의 위치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소프트웨어구성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기능, 수단을 가지고 있다.
먼저,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목표가속도 설정수단(30)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목표가속도 설정수단(30)은, 가속기 개방정도 정보와 차속정보에 따라서 가속도 DVS기 결정되는 2차원맵(기억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차속센서(17) 및 가속기위치센서(14b)로부터의 신호를 어드레스신호로서 받으므로서, 이 가속기개방정도와 차속에 대응해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가속도 DVS를 선정해낼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차속센서(17)로부터의 신호를 미분해서 주행가속도(실가속도)DVA를 구하는 가속도검출수단(31)을 갖추고 있다.
또,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출력토오크검출수단(32)을 갖추고 있다. 이 출력토오크검출수단(32)은 흡입공기량 A을 엔진회전수 N로 나눈 정보(이 정보 A/N은 엔진부하정보를 가진다)와 엔진회전수정보 N에 의해서 현재 출력토오크 TEM가 결정되는 2차원맵(기억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부하정보 A/N및 엔진회전수 N를 어드레스신호로서 받으므로서, 엔진부하정보 A/N와 엔진회전수 N에 따라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현재 출력토오크 TEM를 선정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목표가속도 DVS로부터 주행가속도 DVA를 뺀것에 소요의 계수를 곱하여 다시 현재 출력 토오크 TEM를 가산하므로서 목표토오크 TOM을 구하는 목표토오크 연산수단(34)을 갖추고 있다.
즉, 이 목표토오크연산수단(34)은 목표가속도 설정수단(30), 가속도 검출수단(31), 출력토오크검출수단(32) 및 계수설정수단(33)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다음식을 연산해서 목표토오크 TOM를 구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W는 차중, r은 타이어유효반경, g는 중력가속도, K1은 엔진 E이나 자동변속기(2)나 타이어등의 관성을 고려한 보정계수이며, 이들 값은 계수설정수단(33)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 때문에, 목표토오크연산수단(34)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목표가속도 DVS로부터 주행가속도 DVA를 뺀것을 구하는 가속도 편차수단(341)과 이 가속도편차연산수단(341)으로부터의 연산결과에 소요의 계수(Wr/g)×K1을 곱하여, 토오크환산치를 구하는 토오크환산치연산수단(342)과, 이 토오크환산치연산수단(342)으로부터의 토오크환산치에 출력토오크 TEM을 가산하는 목표토오크산출수단(34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토오크계산은 모두 1속(速)시로 환산하여 행하여지며, CPU상에서의 계산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셀렉트스위치(2)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모우터제어컴퓨터(6A)에 입력되어, 현재 몇속에 있는지를 검출되게 되어 있다.
또, 모우터제어컴퓨더(6A)는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표토오크 TOM와 엔진회전수 N로 결정되는 소망의 목표드로틀 개방정도 θ를 설정하는 드로들개방정도설정수단(35)을 갖추고 있다. 즉 드로틀개방정도 설정수단(35)는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관계로 목표토오크 TOM와 엔진회전수 N에 의해서 목표드로틀개방정도 θ가 결정되는 2차원맵(기억수단)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목표토오크 TOM 및 엔진회전수 N를 어드레스신호로서 받으므로서, 목표토오크 TOM와 엔진회전수 N에 따라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드로틀개방정도를 선정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해서 드로틀개방정도 설정수단(35)으로 얻게된 목표드로틀개방정도가 되도록 구동회로(37)를 개재해서 전동모우터(5)에 전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36)의 기능도 모우터제어컴퓨터(6A)는 가지고 있다.
또한, ECI 컴퓨터(6B) 및 ELC 컴퓨터(6C)도 CPU, RAM, ROM 혹은 적당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능, 수단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을 종래부터 행하여지고 있는것이 사용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모우터제어컴퓨터(6A), ECI 컴퓨터(6B), ECL 컴퓨터(6C)는 상호 버스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장치에 의한 드로틀밸브제어는 다음과 같이해서 행하여진다. 차량의 운전중에, 먼저 차속정보와 가속기 개방정도 정보로부터 목표가속도 설정수단(30)으로 목표가속도 DVS가 판독되는 동시에, 가속도검출수단(31)으로 차속센서(17)로부터의 신호를 미분해서 주행가속도 DVA가 출력되고, 또 엔진회전수정보와 부하정보로부터 출력토오크검출수단(32)으로 현재 출력토오크 TEM가 판독된다.
그리하여, 이들 목표가속도 DVS, 주행가속도(실가속도)DVA, 현재 출력토오크 TEM 및 계수설정수단(33)으로부터 계수정보
Figure kpo00002
또는 W, r, g, K1이 목표토오크 연산수단(34)에 입력되고, 이들 정보를받은 목표토오크 연산수단(34)에서는 그 내부에서 상기 ①식의 연산이 실행되어서, 목표토오크 TOM을 구하게 된다.
이와같이 목표토오크 TOM가 구해지면, 이번에는 드로틀개방정도설정수단(35)에서, 제 3 도에 표시한 맵으로부터 소요의 목표드로틀개방정도를 선정해내고, 그후는 이 선정한 목표드로틀 개방정도가 되도록 제어수단(36)으로부터 구동회로(37)를 개재해서 전동모우터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드로틀밸브(4)가 소망의 목표드로틀 개방정도로 제어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엔진 E의 출력상태도 제어되어, 목표한 가속도로 차량을 주행시켜 나아갈 수 있다.
이와같이, 목표가속도를 달성하기 위한 논리로서, 가속도가 여유토오크, 즉 출력토오크와 주행저항의 토오크와의 차에 비례하는 일에 착안하여, 상기 ①식으로부터 목표토오크를 구하고, 또 이 목표토오크로부터 소망의 드로틀개방정도를 선정해서 이 개방정도가 되도록 드로틀밸브(4)가 제어되므로, PID제어에 의한 경우보다도, 가속도의 예상제어의 정밀도가 높고, 또한 오르막길이나 바람손해(風損)등의 외란이 있어서, 제어정밀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주행가속도는 종래 공지의 G센서에 의해서 직접 검출해도 된다. 또, 엔진부하로서는, A/N정보대신에 드로틀개방정도 혹은 흡기통로압력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장치는, 흡기매니포울드의 집합부보다도 상류쪽의 흡기통로 부분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소위 싱글포인트연료분사방식의 엔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장치를 적용하게되는 엔진은 직렬 4기통엔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의 내연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해서, 드로틀밸브(4)를 스탭모우터에 의해서 직접 구동하므로서, 풀리기구(18)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이때, 스텝모우터의 스텝수를 RAM에 메모리하므로서 드로틀밸브(4)의 개방정도를 검출하도록 하면, 모우터위치센서(7)를 생략할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에 탑재되고, 이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도록 엔진의 흡기통로에 개장된 드로틀밸브와, 이 드로틀밸브를 구동하여, 그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작동기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인위적조작부재와, 이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량검출수단과, 이 조작량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입력되어 상기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대응한 목표가속도를 설정하는 목표가속도설정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행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수단과,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수단과, 상기 엔진의 출력토오크를 검출하는 출력토오크 검출수단과, 상기 목표가속도 와 상기 주행가속도와 상기 출력토오크를 입력정보로해서, 소요의 함수관계로부터, 목표토오크를 구하는 목표토오크수단과,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로 결정되는 소망의 목표드로틀개방정도를 설정하는 드로틀개방정도 설정수단과, 이 드로틀개방정도설정수단으로부터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로 결정되는 목표드로틀개방정도를 산출하여, 이 목표드로틀 개방정도가 되도록 상기 작동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토오크 연산수단이, 상기 목표가속도로부터 상기 주행가속도를 뺀것에, 소요의 계수를 곱하여, 다시 상기 출력토오크를 가산하므로서, 상기 목표토오크를 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토오크연산수단이, 다음식을 연산하여 상기 목표토오크(TOM)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TOM=(Wr/g) ×K1× (DVS-DVA) +TEM
    여기서, W는 차중, r은 타이머유효반경, g는 중력가속도, K1은 엔진이나 타이어등의 관성을 고려한 보정계수, DVS는 목표가속도, DVA는 상기 차량의 현재의 주행가속도, TEM은 상기 엔진의 현재의 출력토오크이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토오크수단이, 상기 목표가속도로부터 상기 주행가속도를 뺀것을 구하는 가속도편차연산수단과, 이 가속도편차연산수단으로부터의 연산결과에, 소요의 계수를 곱하여, 토오크환산치를 구하는 토오크환산치연산수단과, 이 토오크환산연산수단으로부터의 토오크환산치에 상기 출력토오크를 가산하는 목표토오크산출수단을 갖추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가속도설정수단이, 상기 조작량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과, 차속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차속정보로부터 상기 목표가속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가속도설정수단이, 상기 인위적조작부재의 조작량과 상기 차속정보와 상기 목표가속도와의 함수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작량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인위적 조작부재의 조작량과 상기 차속정보를 입력정보로해서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인위적조작부재의조작량과 상기 차속정보에 대응한 상기 목표가속도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개방정도설정수단이,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와 상기 드로틀개방정도와의 함수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를 입력정보로해서,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목표토오크와 상기 엔진회전수에 대응한 상기 드로틀개방정도를 판독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토오크검출수단이,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와 상기 엔진회전수정보로부터 상기 출력토오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토오크검출수단이,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와 상기 엔진회전수정보와의 함수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와 상기 엔진회전수정보를 입력정보로해서,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와 상기 엔진회전수정보에 대응한 상기 출력토오크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로서, 상기 엔진의 흡입공기량을 상기 엔진회전수로 나눗셈한 정보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로서, 상기 드로틀밸브의 개방정도정보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부하정보로서, 상기 엔진의 흡기통로내 압력정보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검출수단이,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의 차속정보를 미분해서 가속도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로서 전동모우터가 사용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전동모우터에 상기 목표드로틀개방정도 정보를 가진 전기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위적조작부재가 가속기페달로서 구성되고, 상기 조업량검출수단이 상기 가속기페달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엔진의 제어장치.
KR1019870012144A 1986-10-31 1987-10-30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KR900003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60530 1986-10-31
JP260530 1986-10-31
JP61260530A JPH0823330B2 (ja) 1986-10-31 1986-10-31 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347A KR880005347A (ko) 1988-06-28
KR900003858B1 true KR900003858B1 (ko) 1990-06-02

Family

ID=1734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144A KR900003858B1 (ko) 1986-10-31 1987-10-30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11713A (ko)
EP (1) EP0265968B1 (ko)
JP (1) JPH0823330B2 (ko)
KR (1) KR900003858B1 (ko)
AU (1) AU588144B2 (ko)
DE (1) DE376991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60B2 (ja) * 1987-02-12 1994-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装置
IT1218095B (it) * 1987-06-19 1990-04-12 Volkswagen Ag Disposizione per impedire fastidiosi colpi dovuti a variaziozini di carico in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er autoveicoli
JPH0625545B2 (ja) * 1987-12-28 199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電子スロツトル制御装置
JP2614636B2 (ja) * 1988-04-21 1997-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559480B2 (ja) * 1988-11-07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式弁開度制御装置
JP2654148B2 (ja) * 1988-12-22 1997-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リップ制御装置
DE3932420A1 (de) * 1989-09-28 1991-04-11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betaetigung einer in der abgasleitung einer luftverdichtenden einspritzbrennkraftmaschine angeordneten drosselklappe
US5048481A (en) * 1989-12-15 1991-09-17 Eaton Corporation Throttle actuator safety method for automated transmission
JP2861225B2 (ja) * 1990-03-26 1999-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内燃機関系の制御装置
JPH04203250A (ja) * 1990-11-29 1992-07-23 Mitsubishi Motors Corp 走行負荷分補償式速度制御部付ドライブバイワイヤ式車両
FR2672086B1 (fr) * 1991-01-29 1995-02-03 Siement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en boucle fermee de la puissanc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propulsant un vehicule automobile.
JPH0565845A (ja) * 1991-03-06 1993-03-19 Hitachi Ltd 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3318945B2 (ja) * 1992-03-02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制御装置、自動車制御システム及び自動車の制御方法
FR2688546B1 (fr) * 1992-03-10 1996-03-01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3236344B2 (ja) * 1992-05-13 2001-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動力源出力制御装置
DE4239711B4 (de) * 1992-11-26 2005-03-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EP0664384B1 (en) * 1993-07-09 2002-04-03 Hitachi, Ltd. Control device and device for generating swirl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73368B2 (ja) * 1995-02-21 2004-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AUPO271796A0 (en) * 1996-10-02 1996-10-24 Orix Vehicle Technology Pty Ltd Improved engine control unit
DE19803664B4 (de) * 1998-01-30 2004-02-26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IT1308787B1 (it) * 1999-07-05 2002-01-10 Fiat Ricerche Sistema di controllo della propulsione per un autoveicolo.
JP3812391B2 (ja) * 2001-09-26 2006-08-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8019521B2 (en) 2006-03-16 2011-09-13 Chrysler Group Llc Enhanced throttle control
US10570839B2 (en) * 2012-11-29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performance
DE102014226234A1 (de) 2014-12-17 2016-06-23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koffer
JP7351259B2 (ja) * 2020-06-08 2023-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2905C3 (de) * 1977-07-21 1994-02-24 Vdo Schindling Einrichtung zum Regeln der Fahr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s
DE2829894A1 (de) * 1978-07-07 1980-01-24 Volkswagenwerk Ag Vorrichtung zur selbsttaetigen regelung der fahr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es mit verbrennungsmotor
DE3019562A1 (de) * 1980-05-22 1981-11-2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JPS59190441A (ja) * 1983-04-11 1984-10-2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クセル制御装置
DE3347070A1 (de) * 1983-12-24 1985-07-04 Westfälische Metall Industrie KG Hueck & Co, 4780 Lippstadt Vorrichtung zum regeln der 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es
JPS60164632A (ja) * 1984-02-07 1985-08-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電子制御装置
JPS60163731A (ja) * 1984-02-07 1985-08-26 Nissan Motor Co Ltd 車速制御装置
US4750598A (en) * 1985-06-12 1988-06-1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the throttle valve of a vehicle engine
JP2517909B2 (ja) * 1986-05-29 1996-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841876B2 (ja) * 1996-06-18 2006-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押出ラミネート用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11713A (en) 1989-03-14
JPS63117140A (ja) 1988-05-21
AU8050287A (en) 1988-05-05
EP0265968A3 (en) 1988-12-21
JPH0823330B2 (ja) 1996-03-06
EP0265968B1 (en) 1991-05-08
KR880005347A (ko) 1988-06-28
EP0265968A2 (en) 1988-05-04
AU588144B2 (en) 1989-09-07
DE3769917D1 (de) 199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858B1 (ko) 차량용 엔진의 제어장치
US4649878A (en) Method of feedback-controlling idling spee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4024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ake air flow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33093A (en) Method of feedback-controlling idling spee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25545B2 (ja) 内燃機関の電子スロツトル制御装置
US4531490A (en) Idling speed feedback control method having fail-safe function for abnormalities in functioning of crank angle position-detecting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10073B2 (ja) 吸気絞り弁制御装置
US5220828A (en) Throttle valv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US5269272A (en) Engine idling speed control apparatus
US5375574A (en) Engine idling speed control apparatus
US6328018B1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49508A (en) Electrically controlled or regulated fuel meter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11309B2 (ja) 車載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開度制御装置
JP3294894B2 (ja) 車両の退避走行装置
JPH0849587A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3006637B2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US6678604B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JP2910033B2 (ja) 加速時の車速制御方法
JP2515980B2 (ja) エンジン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3859809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H04342857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JP200124848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360691A (ja) 車両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3203790B2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H04231640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